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구중억 한국문헌정보학회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No.1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the mobile demand for information from libraries is increasing and mobile library service will soon be quired. This study analyzed the mobile library services for the mobile webs established by 4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56 belonging to ARL in the United States. It examined 42 mobile applications developed by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18 mobile applications developed by th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belonging to ARL in the United States. Mobile accessibility was assessed by conducting mobileOK test for the mobile websites of the same libraries. The study shows th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should establish mobile websites focusing on key contents which reflect the demand for mobile information of users, and secure mobile web accessibility which the users could conveniently use.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도서관 정보에 대한 모바일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도서관 및 미국 ARL 소속 56개 대학도서관이 구축한 모바일 웹, 국내 대학 및 대학도서관이 개발한 모바일 앱 42개, 미국 ARL 소속 대학 및 대학도서관이 개발한 모바일 앱 18개를 대상으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4개 대학도서관 및 미국 ARL 소속 56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모바일OK 테스트를 실시하여 모바일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의 모바일 정보 수요를 반영한 핵심 콘텐츠 위주로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이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모바일 웹 접근성 확보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임정효,홍현진,Lim, Junghyo,Hong, Hyunj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국제 웹 표준 기구 W3C에서 만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모바일OK 검사를 실시하여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모바일OK 검사 실시가 가능한 81개 공공도서관에 대해 모바일OK 검사를 실시하고 W3C에서 제정한 모바일 웹 모범사례를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확대 및 개선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교육청의 정책적 지원, 웹 표준에 맞는 모바일 웹 서비스 설계, 웹 설계 과정에서 유해요소 제거, 가벼운 모바일 웹 문서 제작, 분산되어 연결된 여러 개별 파일들의 합병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mobile OK test which means the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 and to evaluate the public libraries' mobile web services. For this purpose, 81 public libraries were tested and analysed in Mobile Web Best Practices presented by W3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several strategies: Support by local governments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Design mobile web services corresponding with web standards, Removal of harmful elements in the web design process, Making simple mobile web documents, A merger of individual fi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ect to expand and improve the public library mobile web services for future.

      • KCI등재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김성진,Kim, Sung-J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Davis의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술수용모형의 핵심변수인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을 기본으로 하되 최근 모바일 시스템에 많이 적용되는 인지된 놀이성을 추가하였으며 외부변인으로는 모바일 도서관의 유비쿼터스속성 및 상황인식성과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자기효능감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두 곳의 모바일 도서관 접속 경험이 있는 재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된 유용성이 서비스 이용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모바일 서비스 이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인지된 놀이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외부변인인 유비쿼터스속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상황인식성은 인지된 놀이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모바일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쳤다.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이용의도를 결정하는 영향력 있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영역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함께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intention to use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based on the Davi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employed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were core variables in TAM, and added perceived playfulness that was recently applied to many researches on mobile system acceptance intention. As external variables, ubiquitous ability, context awareness, and mobile internet self-efficacy were employ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25 surveys from two academic libraries and was analyzed with SPSS 18.0 and AMOS 21.0. As a result, perceived usefuln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users' acceptance intention and perceived ease of use was an indirect determinant of service usage. But perceived playfulnes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Ubiquitous ability among extern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context awareness did on both perceived playfulness and ease of use, and mobile internet self-efficacy did on perceived ease of us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academic library mobile service area.

      • 모바일 도서관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노동조 ( Dong Jo Noh )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社會科學硏究 Vol.20 No.-

        본 연구는 모바일 도서관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모바일 도서관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함께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에 기반한 모바일 도서관의 서비스 실태와 과제, 발전 전망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문헌연구와 도서관의 홈페이지 내용 분석, 전문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도서관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소장 자료의 검색, 대출 및 반납, 참고질의, 공지사항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모바일 도서관은 구현 기술의 표준화와 서비스의 단순성, 컨텐츠와 인터페이스의 문제가 제기된다. 셋째, 모바일 도서관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통합 및 표준화와 함께 정보기술 인프라와 프로세스의 발전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모바일 도서관의 정보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환경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개발과 함께 개인별 맞춤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노영희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4

        Recently the concept of Library 3.0 and its substance have been discussed by scholars and specialists along with Web 3.0.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bates on Library 3.0 and review the concept of Library 3.0.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library 3.0 service model based on its analysis. The keywords of in the proposed Library 3.0 model in this study is the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SSDL), the Linked Library, and the Mobile Library. First, the SSDL means a real knowledge sharing and cooperation by applying both semantic web technology that which can manage data by machin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to e-libraries. Second, the Linked Library indicates that library resources become linked data that link libraries in all over the world. Finally, the Mobile Library refers to ubiquitous library equipped with RFID and mobile technology. 웹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의와 함께 도서관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의도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학자들과 현장 전문가들에 의해 진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3.0을 바라보는 다양한 논의들을 분석하고 도서관 3.0의 개념을 정리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 3.0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도서관 3.0 서비스의 키워드는 기계에 의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시맨틱 웹 기술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전자도서관에 적용되어 ‘진정한 지식 공유 및 협업’이 가능한 소셜시맨틱디지털도서관, 도서관의 자원이 Linked Data가 되어 전 세계의 도서관이 연결된 구조의 링키드 도서관, 그리고 RFID 및 모바일기술이 적용된 유비쿼터스적 모바일 도서관이다.

      • KCI등재SCOPUS

        도서관 모바일 웹사이트의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김성희,남재우,Kim, Seong-Hee,Nam, Jae-Woo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2 No.1

        본 연구는 도서관 모바일 웹사이트의 구조를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올바른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 8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웹사이트를 조사하였고 정보구조와 내비게이션 체계, 레이블링 체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도서관들의 모바일 웹사이트의 정보구조는 선형구조였다. 조사대상 각 도서관에서는 메인화면에서 4~15개의 메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공통적인 메뉴는 자료검색과 도서관안내 메뉴이며,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PC용 웹사이트의 연결, 문의, 뉴스 등을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도서관의 모바일 웹사이트들은 대부분 서브도메인이나 서브디렉토리에 'm'이나 'mobile' 같이 모바일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해서 웹페이지의 URL을 구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도서관 모바일 페이지의 메인레이블과 세부레이블을 표현하는 데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cademic library websites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navigation, and labeling system. The study showed that the information structure was linear. In analyzing 8 library sites, we found many common top-level categories but ultimately, the number of main menu ranged from 4 to 15 categorie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tes used a sub-domain such as mobile, or just m to keep it short. It seemed to keep the mobile site part of the library site without creating confusion. Finally, Labeling in some mobile sites was not clear and consistent.

      • 시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도서관의 설계 및 구현

        허용현 ( Young Hyun Heo ),한석희 ( Seok Hee Han ),김영곤 ( Young Gon Kim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4 디지틀 도서관 Vol.74 No.-

        최근 종래의 전통적 도서관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도서관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접근성이나 사용성은 디지털도서관 구축에서 고려되고 있지 않아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디지털도서관 기술에서 장애인의 접근성 및 사용성의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는 디지털도서관의 모습을 설계하고 제안하였다. 웹을 이용한 접근성은 이미 다수 연구가 되어 상당수 논의가 진척되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스마트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접근성을 개선하도록 하였고 이를 디지털도서관의 중요한 설계요소로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서관을 이용하려는 장애인들의 도서관 이용불안과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 환경의 장점을 활용하여, 도서관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 도서관 이용에 불편을 겪는 사람들의 도서관 이용을 극대화하여 문화발전에 이바지하였다. In recent years, traditional libra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transformed as digital library of new form. However,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not being considered as the elements of a digital library. In this thesis, analyz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existing digital library technology, and propose the appearance of enhanced digital library. There are already many research result for web accessibility and its improves. Therefore, in this thesis, using smartphone mobile devices to improve the physical accessibility. And the use of the smartphone is significant design points of digital library. By doing so, I suggest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blind who want use the library. In addition, take advantage of the smart environment, people are not familiar with the library, the library used to suffer the inconvenience of people to maximize the use of the library wa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 KCI등재

        QR코드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확장 방안에 관한 연구

        박진희,Park, Jin-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1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과 Wi-Fi망의 확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등이 실시되면서 PC라이프 스타일에서 모바일라이프 스타일로 변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각계 각층에서는 2차원 바코드의 일종인 QR코드를 홍보, 마케팅 툴로써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현재 QR코드는 일상생활에서도 대중적인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환경에서 국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서는 2~3년 전부터 QR모드를 도서관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 도서관에서도 최근 모바일도서관 웹사이트 구축이 증가됨에 따라 QR코드를 서비스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QR코드의 특성과 확산 배경에 대해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국내외 도서관에서의 QR코드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QR코드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영역을 도출하고, 이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expansion of smart phones, wi-fi. and unlimited service changed our life style from personal computer based to mobile device based. With this trend, a lot of companies and government facilities use QR code as an advertising material, and now the QR code is very popular service in our ordinary life. In the meantime, libraries in abroad and university libraries started using QR code in library service about 2 or 3 years ago, and domestic libraries started using it in service due to the increase of establishment of mobile Library websites. In this research, starting with looking into the literature, I analyzed the examples of the use of QR code in libraries. On the base of it, I drew a QR code library service model, an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use of it.

      • KCI등재

        시나리오기법을 통한 도서관 서비스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노동조,Noh, Dong-J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도서관이 미래의 변화를 감지하고 예측하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전제아래 미래예측기법의 하나인 시나리오기법을 통하여 도서관 서비스의 미래를 예측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도서관 홈페이지의 내용 분석, 전문사서와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 나타난 추세를 근거로 시나리오를 동하여 도서관 서비스의 중기 미래(5년-10년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의 정보 환경은 모바일과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대표되며, 이들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간적 지체, 단말기의 보급 속도, 도서관 서비스의 자세와 대응 속도, 저작권 문제 등이 미래 도서관의 불확실 요인으로 대두된다. 셋째, 기술의 보급 속도와 도서관 서비스의 발전 속도에 따라서 또한, 기술의 보급 속도와 저작권 문제의 해결 속도에 따라서 다양한 시나리오가 만들어진다. 넷째, 도서관은 끊임없이 변하는 정보기술의 추이를 상시적으로 분석하여 불확실 요인을 찾아내야 하며, 예측 가능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미래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개발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to predict through the scenarios, one of the forecast technique the future of library service. In order to do that literature reviews, analysis of library's home page and specialist interview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based on the scenarios to predict the middle future(after 5-10 years) of library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future information environment is represented by mobile md ubiquitous. Through this, anytime, anywhere, any device, we can be taken any media The second, the unreliable factors come out in time lag, the supply speed of terminals, library services, copyrights and so on. The third, as the supply speed of technique and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solution speed of digital copyright problem these make various scenarios. The fourth library try to find unreliable factors in constant change of the information technique, variety of internal factors. And strategy needs to dispose of various scenarios properly.

      • KCI등재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승희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4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for library mobile services in terms of service quality. First, a literature review of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and the mobile library service evaluation was conducted. Then, based on the analysis, the evaluation model consisting of 4 quality dimensions, 10 quality factors, 39 quality measurement items was developed. Delphi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Finally, a final model consisting of 4 quality dimensions, 9 quality factors, and 37 quality measurement items was derived. The evalua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sure of library mobile service quality and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improvement of library mobile service. 이 논문은 서비스 품질 관점에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과 모바일 서비스 평가 연구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품질 평가에 필요한 4개 품질 차원, 10개 품질 요인, 39개 품질 측정 항목으로 구성된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 품질 차원, 9개 품질 요인, 37개 품질 측정 항목으로 구성된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평가 모형은 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품질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