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상의 법적 의의에 관한 소고

        전지수 대한교육법학회 2022 敎育 法學 硏究 Vol.34 No.3

        Religion and meditation are deeply related. Meditation is used as a means of achieving religious goals. But modern meditation is becoming popular on a secular level in terms of religious rituals. If so, the legal status of meditation in both religious and secular contexts should be established. It is no longer possible to limit meditation on a religious level, except that a constitutional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meditation is required if it is subsumed by religion. According to Article 20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rinciple of freedom of religion and separation of religion is guaranteed. It should be noted that unlike religious meditation, the modern flow of meditation is the secular practice of the public for the well-being of the mind and body. The issue here is that religion is both secular and contradictory. In particular,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art of the contents of meditatio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Nevertheless, meditation has become a discipline belonging to the school. For example, Buddhist meditation is organized in Buddhist universities, Catholic meditation in Catholic universities, and Christian meditation in Christian universities. In other words, there is a limit to meditation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the university. Moreover, the legal status and legal nature of meditation or meditation is not clear in current legislation, doctrines and precedents. Although the Constitution stipulates human worth and dignity, the right to pursuit of happiness, freedom of religion, academic freedom, and the education righ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ate of legislative omission regarding meditation in Education Act. Therefore, by presen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editation, the concept of religion, meditation as a religion and study (Chapter Ⅱ), whether meditation is included in freedom of religion and the legal nature of meditation (Chapter Ⅲ), and in-depth discussions on the comparative nature and legal principles are presented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종교와 명상은 깊은 관련성을 갖는다. 종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명상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 명상은 종교적 의식의 차원에서 세속적인 차원으로 대중화되고 있다. 그렇다면 종교와 세속의 맥락에서 명상의 진영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더 이상 명상은 종교의 차원으로 한정하기 어려워 보인다. 단, 명상이 종교에 포섭된다면 명상의 개념에 관한 헌법적 정의가 요구된다. 헌법 제20조에 따라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의 원칙이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교적 명상과 달리 현대적 명상의 흐름은 대중이 심신의 안녕을 위하여 세속적으로 수행되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여기에서 쟁점은 종교는 세속과 관련됨과 동시에 상반된 개념이란 점에 있다. 특히, 명상학은 고등교육법상 학문적 또는 초중등교육의 일부내용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은 주지할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종립학교의 명상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불교대학에서는 불교명상, 천주교대학에서는 천주교명상, 기독교대학에서는 기독교명상 등으로 접근하여 종립대학의 교리에 따른 명상학으로 귀속되는 한계가 인식된다. 더욱이 명상 또는 명상학이 갖는 법적 지위와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현행 법제나 학설 및 판례상으로도 명확한 정립은 미진한 문제도 내포한다. 헌법상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와 행복추구권, 종교의 자유, 학문의 자유, 교육권을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명상과 종교의 구분이 모호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헌법상 자유와 권리의 문제를 고려하면 이에 대한 논의는 긴요해 보인다. 따라서 명상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여 명상과 종교의 개념, ‘종교로서의 명상’과 ‘학문으로서의 명상’을 구분하여 살펴보고(제2장), 명상의 법적 지위를 논증하기 위해 현행 법규상 명상에 대한 규정을 조사하고, 헌법상 종교의 자유에 명상이 포섭되는지 여부 및 명상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 행복추구권과 교육권의 차원에서 살펴보되(제3장), 명상과 명상학을 중심으로 비교법적 성격 및 법리에 대한 심층적인 논증은 본 연구의 한계로 제시한다.

      • KCI등재

        『유가사지론』에서의 자비명상[慈愍觀]

        김형록(Khim Hyung Rog)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본고는 최근에 감정조절의 장애로 인하여 사회적인 논란이 발생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자비명상의 성격을 문헌적으로 고찰한다. 중심 과제는 한역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자비명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지만, 남방전통에서 강조하는 자애명상과의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자비명상의 수행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첫째로 ‘자애’명상은 중생에게 행복을 주고자 하는 ‘자’수행(慈修習, mettā-bhāvanā)이 강조된 반면에 ‘자비’명상에서는 중생의 고통을 뽑아 구제한다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서의 ‘비’ 수행(悲修習, karuṇā-bhāvanā)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둘째는 비(悲)수행은 초기불교나 남반전통에서는 독자적인 수행방식으로 찾아보기 어려운데 그 원류를 추적하여 보면, 고통과 액난을 제거한다는 적극적인 의미의 해석은 『아비달마발지론』에서 유래되었고, 이후에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의 대비(大悲)사상을 거치면서 이후 『유가사지론』과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셋째, 선정과 관련하여서는 남방전통의 자애명상이 색계 선정의 제3선에 도달하는 선정계열로 소속시킨 반면에, 자비명상은 위빠사나 계열에 소속시키면서, 색계뿐만 아니라, 욕계와 무색계의 선정까지 삼계 모두를 포섭한 것으로 기술한다. 넷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성문지에서는 자비명상을 ‘의미(義)’, ‘대상(事)’, ‘형상(相, lakṣaṇa)’, ‘품격(品, paksa)’, ‘시간[時]’과 ‘도리(道理)’의 여섯 가지 차별대상[六事差別所緣]을 관찰하는 위빠사나로 규정하고 해명하는 방식은 다른 문헌에서 발견할 수 없는 『유가사지론』에서만 나타나는 자비명상의 독특한 특성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해심밀경』과 『유가사지론』의 성립시기 문제로서 자비명상[慈愍觀]이란 주제이다. 『해심밀경』과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사상을 비교해 볼 때, 『해심밀경』이 먼저 성립하고 나중에 『유가사지론』에 편입되었다. 『해심밀경』이 법의 이치에 대한 해명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유가사지론』은 『해심밀경』의 교법에 근거하여 실천적인 수행관찰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This article literally examines the nature of compassion meditation that is garnering new attention in the wake of recent social controversy occurred due to the emotion control disorders. While primary task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compassion meditation shown at Xuánzàng version of Yogācārabhūmi-śāstra(瑜伽師地論) or Discourse on the Stages of Yogic Practice, another one is to identify disciplinal nature of compassion meditation along with its differences with loving-kindness meditation as emphasized in Asia’s southern schools. The study had following findings. First, ‘loving-kindness meditation’ emphasized mettā-bhāvanā (cultivation of loving-kindness) in an effort to give happiness to people, whereas ’compassion meditation’ emphasized karuṇā-bhāvanā (cultivation of compassion) from the more positive context of rescuing people by rooting out their sufferings, which marked a big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econd, this karuṇā-bhāvanā is a rare discipline method in the early Buddhism or in Asia’s southern schools, and such positive interpretation of rooting out sufferings and disasters derived from Abhidharmajñānaprasthāna- śāstra(阿毘達磨發智論) and later established itself as the core idea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and Mahayana Buddhism after going through the great compassion ideology of Abhidharmamahāvibhāsā- śāstra(阿毘達磨大毘婆沙論). Third, while loving-kindness meditation in Asia’s southern schools belonged to the third line of form (Rūpaloka, 色界) in terms of discipline, compassion meditation was described to include not only form, also desire (Kāmaloka, 欲界) and formless (Arūpaloka, 無色界) realm, belonging to Vipassana Fourth, according to Yogācārabhūmi-śāstra, how to define and clarify compassion meditation as Vipassana observing six different objects of meaning, thing, symptom (lakṣaṇa), dignity (paksa), time and reason, is the unique nature of compassion meditation as shown only at Yogācārabhūmi-śāstra - not to be seen in other literatures. Lastly, Fifth, when comparing ideology shown in the 『Samdhinirmocana-sutra』 and 『Yogācārabhūmi śāstra』 based on the subject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as a matter of time of establishment, 『Samdhinirmocana-sutra』 was established first, and 『Yogācārabhūmi-śāstra』 was added afterward. While 『Samdhinirmocana-sutra』 is focused on the explanation of the reason for the dharma, 『Yogācārabhūmiśāstra 』 provides detailed description of practical performance and observation on the basis of the doctrine of 『Samdhinirmocana-sutra』.

      • KCI등재후보

        명상초보자들의 호흡명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천정은(Jung eun Chun)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여 명상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호흡명상을 경험한 내용을 탐구하는 것이다. 명상을 시작하면서 부딪치는 낯섦이 무엇이고, 어떻게 경험해 가는지 그 과정을 이야기로 펼쳐내었으며, 그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진행한 호흡명상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참여자 가운데 경험내용을 구체적이고 세밀 하게 표현했던 세 명을 선정하였다. 2015년 10월부터 2017년 3월까지 ‘호흡명상 집단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프로그램 전체 참여과정을 녹음한 내용과 경험들에 관한 사전 사후 인터뷰 내용, 현장일지, 명상일지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가운데 하나인 Clandinin &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선택하였고, 그 절차는 현장에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텍스 트 구성하기, 현장텍스트로부터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 등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호흡명상을 경험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나타난 경험의 의미는 “낯설고 어색함에서 오는 불편함”, “모른다는 불확실 속에서 자신과의 싸움”, “자신의 호흡에 대한 확신”, “자유로운 삶으로 가는 변화의 시작”으로 전개되었다. 결론적으로 호흡명상의 경험은 자 신의 호흡에 대한 낯섦, 불편함, 어려움, 불신이라는 자기 자신과의 싸움을 이겨내고, 호흡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됨으로써 자유로운 삶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의 생생한 체험을 내러티브 탐구로 분석하여 호흡명상 경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보다 확장하였고, 연구참여자들의 성장에 호흡명상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 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beginners’ experiences of breathing meditation, utiliz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hen beginners experienced the medit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unfamiliarity that beginners faced when starting meditation, composed the stories on the process of experiences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In order to examine the cases,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who had expressed their experiences in a explicit and detailed way from previous group programs of breathing meditation organized by the researcher. The group programs of breathing meditation was held from October 2015 to March 2017 and this study collected the recordings of whole program process, interviews on participants’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meditation, researcher’s field notes and mediation diaries from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applied was narrative inquiry of Clandinin & Connelly -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process followed three stages of entering into the scene, text composition at the scene and study on text composition from the scene 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ased on the participants’ stories after breathing meditation,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were summarized as “inconvenience caused by feeling of unfamiliarity and awkwardness”, “struggling with inner-self over the uncertainty in unknown status”, “self-assurance on self-breathing” and “beginning of changes toward a freer life”. In conclusion, the breathing meditation experiences turned out to be the initial step of changes toward a freer life with complete confidence in breathing of the participants, after the phase of self-struggling with the unfamiliarity, inconvenience, difficulty, distrust among participa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on breathing meditation experience by analyzing individual’s vivid experiences through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delivered the meanings and values of breathing meditation for the growth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후보

        호흡과 오감에 의한 염지관 명상상담이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오윤경 한국명상상담학회 2008 명상심리상담 Vol.2 No.-

        본 사례연구는 청소년들이 쉽고 재미있게 명상을 접할 수 있도록 오감의 체험에 주안점을 두어 고안된 명상 상담 프로그램으로 진행 되었다. 오로지 대학 입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오늘날의 열악한 교육여전 속에 청소년들은 올바른 자아개념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사례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 하였다. 집단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모두 편안한 마음과 행복한 삶을 원하였다. 그러기 위해 자기 자신에 대해 더 많은 것들을 알아가기를 원하였다. 염지관 명상은 순간순간의 자기 자신의 몸의 느낌과 대상을 있는 그대로 지켜보는 명상이다. 그리하여 자신을 바로보지 못하게 했던 장애물부터 벗어나게 해 준다. 장애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힘이 생기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있게 해준다. 이러한 점에서 청소년들에게 몸과 마음을 관찰하게 하는 본 사례 연구는 의미 있는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의 전반적인 진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흡 명상, 오감명상, 상담 세 영역으로 나누어 8회기의 구조화 된 프로그램으로 진행 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집중력을 감안하여 명상 시간은 짧게 여러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셋째, 호흡 명상은 매 회기 명상의 기본으로 진행하였다. 넷째, 오감을 활용한 다양한 명상은 명상 후에 게임 형식으로 전환하여 흥미를 유발하였다. 모든 명상 후에는 명상일기를 쓰고 소감 나누기를 하였다. 다섯째, 상담 영역에서는 청소년들과의 공감을 통해 신뢰를 형성 하였다. 또한 적극적인 감정 표현을 도왔으며 인지 심리 이론 이 일부 적용되었다. 여섯째, 수업은 주1회 2시간씩 이루어졌으며, 매 회기마다 그 주 에 배운 명상이 과제로 제시되었다. 과제 나누기 시간을 가져 과제 실천을 격려하였다. 일곱째, 학부모와의 면담을 병행하여 과제 함께하기 등 필요한 협조를 요청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회기와 8회기에 실시한 자아개념 검사 결사 결과에서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그밖에도 청소년들의 소감, 상담자의 관찰, 학부모의 관찰에서 의미 있는 변화된 모습들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호흡과 오감에 의한 염 지관 명상상담이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사례연구에서 연구자는 공부에만 내몰린 청소년들이 질적인 교육에 목말라 있음을 느꼈고, 명상이 훌륭한 대안이 된다는 확신과 사명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본 사례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보안한 후속프로그램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다 정교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rocessed with The Yum-Zi-Guan Meditation Counseling program organized for teenagers so that they can easily experience meditation counseling with breath and five senses. These days korean teenagers are under pressure of so wrong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they only have to study during their school period. They can't have opportunities to establish their own upright self concept. In fact, most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pursuit peaceful mind and happy life and are longing to know themselves more. With this situation,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self concept of teenagers. The Yum-Zi-Guan Meditation is a meditation that one contemplates their own emotions and bodily sensations each moment. This makes participants see their own emotions and bodily sensations without any obstacles. Teenagers who get out of the obstacles, can get the power which make them consider things objectively and modify their fixed wrong conception of themselves. In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he overall cont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 First, this constructed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was processed in three scopes: breath meditation, five senses and meditation counseling. Second, because of limited concentration capacity of the teens, meditation practice was divided into several short sections. Third, breath meditation was performed every session. Forth, this program elicits participant's interest by having activities such as games. At the end of each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mediation diaries and share their impressions in discussion. Fifth, in the counseling part, the program gave an influence to help forming participants' faith one another through sharing common sympathy. And helped expression of other's emotion spontaneously. Meanwhile, the theory of cognitive psychology was partly adopted as well. Sixth, it took a class two hours once a week and the week lesson was related to an assignment,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share impressions of class performance through assignment. Seventh, participant's parents were consulted accordingly and asked to cooperate their own children's performance of assignment.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The effects through inspecting Self Concept comparing first one and eighth session was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the result was shown that the observation from the emotions of teen participants and inspection of consultants, the parents was modified meaningfully. Accordingly, The ‘Yum-Zi-Guan Meditation Counseling’with Breath meditation and Five Senses influenced the teen participants for formation of self concept positively. Researcher found that teen participants who are under study pressure are desperately craving for quality education such as meditation. In the end, researcher have a sense of mission and confidence that meditat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teen's quality education. Revealed problems through this research, however, are needed to study further and develop more alternative programs succeedingly dealing with the teens.

      • KCI등재

        명상을 통한 상담의 가능성 모색

        박태수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it is possible to be aware of inherent human desires and eliminate them by skill of counseling with meditation. In the case of counseling through meditation, we can get to a spiritual state which frees us from desires and calms us as we learn how to love and cherish beings with life, and as we go of the desires from within our mind. As a method, there is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can make us be in harmony with our surroundings and look at the desires rising instantly from within us by making our mind and body awakened. Counseling with meditation can help us be aware of the troubles, anguish, interpersonal conflicts or diseases in our lives and cure them by helping make manifest as best as we can the nature of Buddha or divinity of Jesus. During counseling through meditation, clients are constantly mindful about the doer and observer existing in our mind. A counselor should help clients feel comfortable and satisfied by maintaining a calm and clear mind through mindfulness, admitting his/her feelings as a part of himself/herself and listening to them, and being friendly to himself/herself. The subjects of meditation in counseling are: meditation seeking self, resolving sufferings by way of spiritual wisdom in ourselves, and freeing ourselves from attachment by discerning the limit of life. Each meditation session begins with breathing meditation, and lets clients solve their problems through the counseling process. Even though there are possibilities for group counseling through meditation, reaching the stage of enlightenment which is free from worries of imperfection is difficult to achieve. 본 연구는 인간에게 끊임없이 일어나는 욕망들을 알아차리고 이것에서 벗어날 수 있는 영성능력을 기르기 위해 명상을 통한 상담의 과정에 대한 경험사례와 상담자의 전문성을 제시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상담과정에서 명상주제나 상담자의 자질에 대해 연구자의 경험사례와 전문적인 판단을 중시하였으며, 문헌을 통해 심리적인 현상들을 이해하는데 있다. 명상을 통해 상담을 할 경우, 우리는 생명을 가진 존재를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것과 내 안에서 일어나는 많은 욕구들을 놓아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고요해지는 영적 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러한 명상방법으로 마음챙김명상(mindfulness)이 있으며, 이 수행법은 몸과 마음과 정신을 깨어 있게 해서 우리를 주변의 세계와 융합시켜 주고 순간순간 자신에게 일어나는 욕망을 바라보게 한다. 명상을 통한 상담에서는 인간에게 있는 예수나 부처의 수준에까지 상승할 수 있는 불성이나 신성 가능성을 최대로 발휘하게 하여 우리의 삶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번뇌, 인간관계의 갈등이나 질환 등을 자각하고 치료하도록 도와준다. 명상을 통한 상담과정에서 내담자는 끊임없이 자기 안에 있는 두 사람, 즉 행위자와 관찰자가 함께함을 자각하고 마음챙김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담자는 마음챙김을 통해 늘 양혼(밝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를 유지하고, 자신의 감정을 자기의 ‘일부’로 인정하여 감정이 말하고자 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면서 자기 자신과 친함으로써 내담자를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룬 명상주제로는 ‘나를 찾는 명상’, ‘내 안에 있는 영적 지혜로 고통해결하기’, ‘삶의 한계를 통찰하여 집착에서 벗어나기’를 제시하였고, 이 주제명상은 호흡명상으로 시작하여 상담과정을 통해 내담자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명상을 통한 상담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깨달음의 경지인 불완전함의 근심을 떨쳐버리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불교명상의 正向 탐구

        조기룡(趙基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우리사회에 명상의 붐(boom)이 일면서 상품화된 다양한 명상들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한 명상들은 사람들의 레저와 힐링의 욕구를 토대로 성장하고 있다. 본고는 명상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힐링성과 레저성을 분석 후 불교명상이 가지고 있는 종교수행으로서의 고유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종교수행으로서 불교명상이 가져야 할 정향으로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명상은 힐링과 레저의 효과가 있다. 명상이 뇌과학적으로 그리고 심리학적으로 심신 치유 즉 힐링의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는 차고 넘친다. 그리고 사람들은 힐링 이외에도 분명히 일을 하다 남는 틈을 활용한 휴식 또는 자기실현의 활동인 레저로써도 명상을 한다. 불교명상 또한 힐링과 레저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불교명상은 힐링과 레저를 넘어 인간의 근원적 문제에 대한 해결을 지향해야 한다. 불교명상은 종교로서 불교의 수행법이기에 불교수행의 목적인 인간이 반드시 겪어야만 하는 고통을 종식시켜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타의 명상들도 인간의 고통을 제거하고 행복을 추구한다는 면에서는 불교명상과 동일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여타의 명상은 유아(有我)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무아(無我)를 전제로 하는 불교명상과는 다르다. 즉 여타의 명상이 현세를 살아가는 나라는 존재의 행복에 집착함에 비하여, 불교명상은 나를 버림으로써 영구한 열반에 이르고자 하는 것이다. The recent meditation boom in Korean society has seen the spread of various forms of commercialized meditation. The growth of such forms of meditation is founded on peoples’ desires for leisure and healing. In this study, I examine the traits of leisure and healing shared by meditation in general, and then derive the uniqueness of Buddhist meditation as a form of religious ascetic practice. Ultimately, I present the orientation to be followed by Buddhist meditation as a form of religious asceticism. Meditation has the effects of leisure and healing. There is a plethora of research in brain science and psychology that support the efficacy of meditation in healing the body and mind. Furthermore, people also practice meditation during their free time after work as a restful activity or self-realization - that is, leisurely. Buddhist meditation also has the effects of leisure and healing. However, Buddhist meditation must go beyond healing and leisure and orient itself toward addressing fundamental human questions. As Buddhist meditation is a form of ascetic practice in the Buddhist religion, its purpose should be to put an end to the inevitable afflictions of human suffering. Other forms of meditation may appear equivalent to Buddhist meditation in that they seek to remove human suffering and to pursue happiness. However, in that they are predicated on the ‘existence of the self’ (有我), other forms of meditation run counter to Buddhist meditation, which is predicated on the ‘non-existence of the self’ (無我). Thus, while other forms of meditation are preoccupied with the happiness felt by the self as an entity living in the current world, Buddhist meditation strives for the attainment of eternal nirvana by letting go of the self.

      • KCI등재후보

        명상의 세계윤리적 가치

        김용환 ( Yong Hwan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6 No.1

        명상은 크게 요가명상과 참선명상으로 나뉜다. 요가명상은 외향요가의 바히랑가(bahiranga)와 내면요가의 안타랑가(antaranga)로 구분된다. 내면요가 에서는 미묘한 의식의 정화를 통해 연대성의식을 함양하는 삼매를 지향한다. 요가명상으로 의식이 연대성으로 나아가면 공공연대성의 함양에 기여하게 된다. 요가명상의 목표는 연대성 삼매이며, 이는 곧 신비로운 비전이나 초능력을 성취하는 것이라기보다 시민적 제약과 한계로부터 벗어나서 초월적 자아를 깨달음에 있다. 이러한 연대성의 깨달음은 세계시민성에서 공(公) 과 사(私)를 매개하는 가치를 드러내며 업보(業報) 에서 벗어나 세계시민으로 원생(願生)으로 살 수 있게 함으로 세계윤리의 연대성 가치를 보여준다. 참선명상은 북방불교 계통의 간화염법(看話念法)과 남방불교 계통의 위빠사나 관법(觀法)으로 나뉜다. 이러한 참선명상의 목표는 업식(業識)을 소멸하고 사상(四相)의 가아(假我)를 독로(獨露)함으로써, 진아(眞我)의 ``간·주체성``을 회복하고 타자와 상생하는 무여열반 아라한과이다. 이는 고통스러운 윤회에 다시 들지 않고 세계시민으로서 원생(願生)으로 살 수 하기에 세계윤리의 관용성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 참선명상은 사상(四相)과 결부된 미혹의 경계를 퇴치하여 무념과 반야의 무여열반 아라한과에 이르러 ``내외명철``(內外明徹)을 성취하고자 한다. 참선명상의 세계윤리적 가치는 관용성을 깨달아 타자와의 공감대를 일깨우는 가운데 세계민성을 함양하는 데 있다. 이처럼 명상을 통해 세계시민성을 자각함으로써 공공시민으로 원생(願生)으로 살 수 있고, 연대성과 타자와의 공감대를 일깨워 인류의 자유와 소망, 그리고 상생의 새 길을 마련할 수 있다. Meditation can be divided into Yoga meditation and Zen meditation. The outer bahiranga of Yoga meditation and inner antaranga of Yoga meditation. In inner yoga focuses on more subtle and minute samadhi solidarity. In this samadhi state, the meditator can cultivate public common citizenship through meditation. The aim of Yoga meditation is the solidarity of consciousness. It can fulfill not mystical vision and super power but awareness of transcendental self and freedom from citizenship`s limitation. It would cultivate solidarity value of global ethics to live on desirable life as global citizenship free from karmic force. It focuses on the deep interconnection between mind and body, which can be experienced directly by disciplined attention to the physical sensations that form the life of the body, and that continuously interconnect and condition the life of the mind. Zen meditation of Buddhism can be divided into Northern invocation of dharma topic and Southern Vipasana(Pali) insight. It is a way of self-transformation through self-observation and introspection. The aim of Zen meditation is the abolition of past karmic force and rediscovery of suchness nature as intermediatory subjectivity. It could help to reach Nirvana arahat to practice the tolerance toward the others. It can contribute desirable life as global citizenship to practice tolerance to be free from agnosic circulation life. Specially in Zen meditation of Buddhism, clear consciousness practice can calm the mind, only insight can reveal how the mind was disturbed to start with, which leads to prajna(Pali). Buddhist meditation as taught by the Buddha, it is essentially non-sectarian in character and has universal application toward global citizenship. We can conclude it is possible to make a new life of global citizenship through public solidarity and tolerance to contribute human freedom, hope and conviviality.

      • 동 ․ 서양 종교적 자연관에 내재된 긍정적 정서의 명상 공간

        문정필(Jung-Pil Moo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1

        명상행위가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데 반해, 그 공간을 제시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이를 위해 명상에 들 수 있는 초입공간의 개념 정립이 필요하며, 그 환경에 접근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선행되어온 동․서양의 종교적 자연관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명상 행위를 위한 공간적 접근으로서, 동․서양의 종교적 자연관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긍정적 정서가 생성되는 명상 초입공간의 개념적 가치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명상에 들어갈 환경을 동․서양의 종교에 나타난 자연관에 관련성을 두어, 동아시아 전통건축물과 서구의 전통건축물을 대상으로 해석, 긍정적 정서로 생성되는 공간을 통해 명상의 초입에 들어갈 환경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동․서양의 종교적 자연관을 논의하여 긍정적 정서가 생성되는 명상 초입공간을 이루는 공간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 유․불․선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한 명상공간은 근본적으로 마음을 비워 자연과 연속되어 하나 된다는 점에서 허공이나 비움을 우선으로 한다. 이는 물질적 세계를 비워내는 공간으로, 자연과 연속성을 이루는 효용적 가치로 긍정적 정서에 접근될 수 있다. 둘째, 서구 기독교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한 명상공간은 근본적으로 물질을 위계적으로 활용하는 공간이다. 이는 물질적 세계를 중심으로 표현되는 공간으로, 노출된 자연환경에서 신에 의해 보호되는 내밀함의 가치로 긍정적 정서에 접근될 수 있다. 따라서 동․서양 종교적 자연관에 긍정적 정서가 내재된 명상초입공간은 과거의 종교적 사회성을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사상적 가치로 공간을 변환시켜 적용해야 할 과제이다. Today, various forms of meditation and related behaviors are spreading socially. On the other hand, research surrounding the space of meditation is in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entry space' as a spatial concept entering the space of meditation and the perspectives related to the perception surrounding the space. To this end, a review of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 of the East and West is also requ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step-by-step approach in space for meditation behavior. We will look 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in the religious natural view of the East and West, and look at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meaning of the entrance space for meditation. In particular, we tried to discuss the environmental meaning of the entrance space that generates positive emotions at the entrance of meditation. To this end, attention was paid to differences in religious perspectives between the East and West, which reveal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for meditation. Based on this basis, interpretation was attempted in preparation for traditional East Asian and Western buildings. In this study, the spatial meaning created in the entrance space for meditation by differences in natural views from religious perspectives in the East and West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he meditation space set in the natural view of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 the empty mind is fundamentally emptied and the empty space is prioritized in that it becomes one with nature. This is a spatial perception to empty the material world, and to give more positive and emotional value to achieving continuity with nature. Second, in the meditation space set in the natural view of Western Christianity, a space that hierarchically utilizes the material world is given priority. This is a space expressed around the material world, pursuing the value of sticking out while being protected by God in an exposed natural environment, and approaching positive emotions. In the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religious nature and sociality of the era are basically reflected. As discussed above, discussions on the space for meditation entry are common in trying to elicit positive emotional values regardless of East or West. This has a social and ideological meaning that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in the spatial perception of modern society and has practical value to apply.

      • KCI등재

        명상의 심리치료적 작용 기제에 관한 고찰

        박성현(Sung Hyun Park),민희정(Hee Jung 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심리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명상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명상의 주요 유형인 마음챙김 명상과 자비 명상의 심리치료적 작용 기제에 대해 이론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우선 명상과 심리학의 융합에 있어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명상의 작용 기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치료 프로그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명상의 작용 기제에 대해 탐구했다. 더 나아가 마음챙김 명상과 자비 명상의 치료적 작용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적 연구를 살펴보고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마음챙김 명상은 주의 집중과 자기 조절, 가치 명료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유연성, 노출효과 등을 통해 내적, 외적 경험에 대해 새로운 자각을 심어주고 일정한 공간을 제공해 관점 전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비 명상은 신경망의 변화와 더불어 정서조절, 신체와 정신의 안정, 긍정정서를 높여 만족감과 행복감을 증대해 심리치료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명상의 심리 치료적 작용 기제를 증명하는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meditat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generally used in psychological therapy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analytic and behavioral theories in order to explore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explored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from psychoanalytic theory, which is considered the first integration of meditation with psychological therapy. Then,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from behavioral theory, which has been integrated with meditation for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y programs. Finally, we reviewed scientific research to identify the scientific mechanism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According to our results, mindfulness meditation effectively promotes one’s awareness of inner and outer experiences by cultivating focused attention; self-regulation; value clarification; exposure; and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lexibility. Meanwhile, compassion meditation is effective for psychological therapy because it gives people time to regulate and stabilize their body and mind and develop positive emotions in order to cultivate well-being and happiness. Further scientific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should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se mechanisms of meditation.

      • KCI등재

        명상과 도덕교육의 만남 -"도덕명상"과 "도덕명상교육" 정립을 위한 시론-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이 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명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도덕교육과 접목시켜 ‘도덕명상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명상은 우주의식의 본질 체험을 포함한, 종교적?철학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체계적인 개념이자 고도의 수행법이다. 모든 종교와 철학사상에서 명상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을 보면, 명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보편적 특성임을 알 수 있다. 명상 연구는 인간의 의식과 영성(靈性)을 다룬다는 점에서 객관성과 타당성의 확보가 과제인데, 뇌과학의 발달로 명상의 과학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명상은 새로운 부흥기를 맞고 있다. 그러나 철학적·사상적 기반 없이 명상을 단순히 질병 치료나 심리 치유에 적용할 경우 위험이 따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성찰이 요구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명상 연구의 흐름, 명상에 대한 철학적·사상적 이해, 명상의 효과를 바탕으로,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명상에 접근하여 ‘도덕명상’의 개념을 정립하고 ‘도덕명상교육’의 가능성과 그 목표와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결론에서 앞으로 필요한 ‘도덕명상교육’의 과제를 찾아보았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theory of the moral meditation education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on and scientific effect of meditation. Recently, people have an interest in meditation from a mindfulness to the medicine curative effect or the therapeutic value. The meditation has a variety of forms in every religion or thought including Confucianism, Taoism, Christianity, Islam, and so on. It is historically religiously and philosophically pretty complicated and profound concept that we should deal with this concept not superficial but careful. This study is a trial of educational approaches to meditation. First of all, I briefly sum unfolding contents of meditation study up, researching philosophical or ideological meaning of meditation. And then I look for the result and meaning by scientific researches. I combine meditation with moral education, by conceptualizing ‘moral meditation’ and ‘moral meditation education’. The former focuses on which one builds his character through spiritual elevation, the latter which on is objective and method in moral education. In conclusion, I suggest task and solution for ‘moral medit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