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찰승가대학(전통강원)의 역할과 대안

        안탄형(Tan Hyeong Ah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1

        많은 출가자들이 사찰승가대학(전통강원)을 졸업하고도 동국대학교나 중앙승가대학교로 진학을 하고 있다. 이는 사찰승가대학(전통강원)의 교육 내용이 피교육자의 교육욕구나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교육을 충분히 감당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사찰승가대학(전통강원)은 피교육생 수, 교수 및 강사의 수 및 질적 수준, 그리고 교육성취도에 대한 평가시스템의 부족 등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본 조건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한 상태이며, 그로 인한 교육의 부실화가 오랫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받아 왔다. 그러나 승가기본교육은 여전히 삼원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혁의 과제는 하나도 처리되지 못하고 그 자리에 멈추어져 있다. 설상가상으로 출가자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피교육자의 숫자가 급감함에 따라 기본교육기관의 구조조정이 승가교육의 최대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기본교육기관을 개혁하면서 동시에 그 과정 속에서 사찰승가교육도 함께 혁신할 것인가에 맞춰 사찰승가대학(전통강원)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 대안으로 기본교육기관들은 불교의 미래를 위해 현재의 위상을 버려야 하며, 종단에서 직영하는 단일화된 새로운 기본교육기관이 새로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단일화된 기본교육기관의 후속 대책으로 전통강원을 전통교육 전문교육기관으로 전환시키고, 그 운영체계와 내용을 구체화해서 국가의 무형문화재로 지정 받아서 운영하는 방법으로 전통승가교육을 지속화하고 강화하는 것을 제안해 보았다. 이로써 기본교육기관의 단일화를 통해 오랜 시간 동안 숙제로 남아 있던 승가교육의 일원화가 피교육자에게 동일한 교육환경과 교육내용을 통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여 피교육자의 질적 수준을 높임은 물론 종단차원의 삼보정재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행정의 용이성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Even after graduating from Buddhist monks' academy (traditional Gangwon), many monks go on to Dongguk University or JoongAng Sangha University. This means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Buddhist monks' college (traditional Gangwon) does not adequately cover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trainees or the knowledge and technical education necessary to adapt to social changes. Temple Sangha University (Traditional Gangwon) is not well equipped with basic conditions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such as the number of trainees, the number and quality of professors and instructors, and the lack of an evaluation system for educational achievemen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However, the basic education for sangha still maintain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s it is, and none of the reform tasks have been dealt with. To make matters worse, as the number of trainees plummeted as the number of homeless students sharply decreased, the restructuring of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is emerging as the biggest task of Sangga education.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how to reform the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t the same time also innovate the Buddhist monk education in the process, we looked at the problems of the Buddhist monks' college (traditional Gangwon) in more detail, and suggested alternatives. As an alternative,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abandon their current status for the future of Buddhism, and a new unified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 directly managed by the cult should be established. As a follow-up measure to such a unified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 it is to convert traditional Gangwon in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specializing in traditional education, to materialize its operating system and contents, and to continue and strengthen traditional Sangha education by designating and operating it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Through the unification of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unification of Sangha education provides high-quality education to trainees through the sam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tent,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trainees as well as improving the longitudinal level of three-dimension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승가 및 한국불교의 미래에 관한 재가불자들의 인식 연구

        박수호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3 불교와 사회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lay Buddhists perceive the Sangha and Buddhism in the context of the need to improve the image of the Sangha and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s policy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urrent perceptions of lay Buddhists about the image of the Sangha and the main challenges of the Korean Buddhism, and to draw out future challenges through a discussion of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proces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in the “Buddhist Public Opinion Survey for the Future Design of the Buddhist Order”, which was conducted by the Institute of Buddhist Social Sciences at Joong-Ang Sangha University for one month from March 2022.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using Google Forms among core lay Buddhist members. A total of 1,527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and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rated the image of the Sangha positive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level of positivity is high becaus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re believers. Second, respondents who approved of the social activities of monks significantly outnumbered those who disapproved, and the public role of monks in the community needs to be addressed more proactively. Third, we found that restoring the purity of the sangha community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Buddhist community, and that efforts to restore purity need to be centered on precept observance and practice. Fourth, among the many roles that monks pla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gree on the importance of embodying a spirit of compassion, deep understanding of doctrinal knowledge, and living a clean life through observance of the precepts. Fifth, disinterest in religion, various scandals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lack of propagation were mainly cited as reasons for the decline in the Buddhist population, and the operation of useful programs for daily life and modernization of Buddhism were mainly cited as solution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weak alignment between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Buddhist population and the solutions. Sixth, Buddhism needs to be modernized by reinterpreting its doctrines and redefining its practices. Seventh, there is a high need for Buddhist intervention in respecting life, resolving social conflicts, and prohibiting discrimination and hatred. Eighth, peace of mind and stability, practicing compassion, and respect for life are important tasks for the future of Korean Buddhism, while traditional ritualistic tasks were rated as less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first,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promote the image of the Sangha through effective plans. In this regard,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basic research on monks should be conducted first, and redefining monkhood as a way to enhance the image of the Sangha. We reviewed active social activities that can spread the good influence of monks. Second, he argued that the core Buddhist values of observance of the precepts, practice, peace of mind, and compassion should be the foundation of these activitie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scientific method should be applied to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and find alternatives. 이 연구는 불교의 위기 극복을 위해 승가의 이미지 제고와 불교계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재가불자들이 승가와 불교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승가의 이미지와 불교계의 주요 과제들에 대한 재가불자들의 현재 인식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주요 특성들과 관련한 논의를 통해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22년 3월부터 1개월간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과학연구소에서 진행한 ‘종단의 미래 설계를 위한 신도 여론 설문조사’(이하 ‘신도 여론조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에 토대를 두고 있다. 신도 여론조사는 핵심 신도층을 대상으로 구글 폼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는 모두 1,527명이었고, 통계프로그램인 ‘SPSS 21’을 이용해 빈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불자들은 승가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조사 대상이 핵심 신도들이었다는 점에서 긍정성의 정도가 높은 편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둘째, 스님들의 사회적 활동에 대해 찬성하는 응답자들이 반대하는 응답자들보다 현저히 많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스님의 공적 역할에 대해서는 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해 보인다. 셋째, 승가 공동체의 청정성 회복이 불교계의 중요한 과제이며, 지계와 수행을 중심으로 청정성 회복을 위한 노력이 전개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스님이 수행하는 여러 역할 가운데에서 자비 정신의 구현, 교학적 지식의 깊은 이해, 지계를 통한 청정한 생활의 중요성에 대다수 응답자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도 수 감소의 원인으로는 종교에 대한 무관심, 불교계의 각종 추문, 포교 부재 등이 주로 지적되었고, 대응 방안으로는 실생활에 유용한 프로그램의 운영과 불교의 현대화 등이 주로 언급되었다. 그리고 신도 감소의 원인과 대응 방안 사이의 정합성이 약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교리의 재해석과 수행법의 재정립을 통한 불교의 현대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생명 존중, 사회적 갈등 해소, 차별 및 혐오 금지 등에 대한 종책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마음의 평화와 안정, 자비 실천, 생명 존중 등이 미래 한국불교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고, 전통적인 제의적 성격의 과제는 중요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첫째, 실효성이 있는 승가의 이미지 제고 방안을 마련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관련해 승려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기초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승려다움의 재정립과 스님들의 선한 영향력을 확산할 수 있는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통해서 이미지를 제고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둘째, 이러한 활동의 기저에 지계와 수행, 마음의 평안과 자비 실천이라는 불교의 핵심 가치가 자리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불교계가 처한 현실 진단과 대안 모색에 과학적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회생 노력과 그 불교사적 의의

        김상영(Sangyou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9 불교와 사회 Vol.11 No.2

        2000년대 이후에 들어서면서부터 우리 학계의 조선시대 불교사 관련 연구는 양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역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주도해 나가고 있는데, 이들 연구에 힘입어 이제 조선시대 불교는 이전과 전혀 다른 차원에서 이해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조선 명종대 문정왕후의 불교 회생 노력과 그것이 지니는 불교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논문의 앞부분에서는 중종-명종 시기 불교와 관련한 최근의 새로운 견해들을 소개하고, 아울러 이들 연구에 나타나는 몇 가지 의문점들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중종대 불교를 ‘극렬한 탄압기’로 인식하지 말아야 한다는 최근의 주장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나름대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1550년(명종 5) 문정왕후가 주도적으로 결행한 ‘선교양종(禪敎兩宗) 복립(復立)’의 과정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불교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문정왕후는 불교 회생을 위한 의도적 절차와 시행계획을 미리 구상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을 책임지고 이끌어나갈 수 있는 대표 승려도 물색하였다. 허응 보우(虛應普雨)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탁된 당대의 고승이었다. 문정왕후와 보우에 의해 추진된 명종대 불교회생 노력은 이를 지원하는 정치집단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최근 연구자들은 이들 세력을 ‘훈척세력’으로 단정하고 있지만, 과연 명종대 훈척세력으로 지칭되는 정치집단이 불교정책에 대해서도 동일한 의지를 지니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명종대 선교양종 복립은 불교, 또는 승단이 존립하기 위한 최소한의 근거를 회복하는 일이었다. 비록 일시적이었지만 이 시기에 진행된 선교양종의 복립과 도첩제, 승과고시의 복구 등으로 인해 불교계는 가까스로 ‘회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회생은 17세기 이후 전개된 불교계 변화와 상당 부분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Since entering the 2000s, our academia’s research on the Buddhist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continued to develop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Recent research is leading the field of history actively, and with the influence of such research it can be evaluated that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as reached the level, understood on an entirely different dimension than before.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to examine the efforts of Queen Munjeong of Joseon Myeongjong period to revive Buddhism as well a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irst section of the paper introduces the newly held views regarding Buddhism during the rule from Jungjong to Myeongjong and attempts to examine a few questions that appear in these studies. Particularly, I tried to suggest my personal opinions on the recent argument that Buddhism during Jungjong period should not be perceived as a “period of extreme oppression”. The following section examines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復立) of the Seongyoyangjong (禪敎兩宗)” that was led by Queen Munjeong in the year of 1550 (the 5th year of Myeongjong's reign) as well as its significance on the Buddhist history. It is highly likely that Queen Munjeong had been planning the deliberate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resuscitation of Buddhism in advance. Moreover, she also searched a representative monk who was able to lead the series of such measures. Heoeung-Bou (虛應普雨) was the contemporary high priest, who was appointed during such process. The efforts to revive the Myeongjong period Buddhism, promoted by Queen Munjeong and Bou,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political group that supported such efforts. Recent researchers refer to such forces as “Huncheog forces”, yet it is equivocal whether the political group, termed as “Huncheog forces” during the of Myeongjong period, had possessed the same willingness for the Buddhist policy. The restoration of the Seongyoyangjong of the Myeongjong period was the task to revive the minimum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m or the monastic group. Despite being temporary, the Buddhist community barely provided the opportunity of “revival” by the restoration of Seongyoyangjong, Docheobje, restoration of monastery examination proceeded during this period. Also,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revival during this perio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Buddhism that occurred since the 17th century.

      • COVID-19, 종교, 그리고 ‘코로나 이후’ 사회

        유승무(Seungmu Lew)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0 불교와 사회 Vol.12 No.1

        이 연구는 의료사회학적 시각에서 의료현상으로서 ‘COVID-19현상’과 전체사회(특히 COVID-19 이후 사회변화) 사이의 관계를 종교를 매개로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글에서는 이론적 차원에서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다음, 종교를 매개로 한 의료사회학적 연구를 시도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COVID-19 현상과 전체사회의 관계에 신탁의 종교가 개입하느냐 혹은 심탁(수행)의 종교가 개입하느냐에 따라 그 관계가 판이하게 다르게 나타날 것이란 이론적 틀을 말한다. 둘째, 앞서 언급한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 COVID-19 현상, 한국사회의 사회적 면역체계로서 사회적 거리두기, 그리고 이에 대한 각 종교(신탁의 종교와 심탁의 종교)의 대응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실증해 보았다. 그 결과, 신탁의 종교가 심탁의 종교에 비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저항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료현상으로서 COVID-19 현상과 전체 사회의 변화 사이의 인과관계가 종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이상의 논의에 기초하여 우리는 COVID-19 이후 사회적 파장으로서 사회변화를 사회구조적 차원과 생활세계의 차원으로 나누어 자세하게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COVID-19 현상이 몰고 올 새로운 종교현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두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실천적 차원에서 심탁의 종교로서 불교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보배경>에 나타난 붓다의 모범이 그 지향적이라면 제주도 원명선원의 실험은 그 붓다의 모범을 따르는 불교적 실천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henomenon” as a medical phenomenon and the society as a whole (especially social change after COVID-19) through religion from a medical sociological perspectiv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is article, a theoretical framework was proposed that could critically review prior studies at the theoretical level and then attempt medical sociological research through religion. Specifically, it refers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henomenon and the whole society will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religion of the trust(oracle religion) or the religion of Shim-tak(the Religion of the heart) intervenes. Secon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framework.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henomenon. social distancing as a social immune system in Korean society. and the response of each religion (the religion of the trust and the religion of the heart) was demonstr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ligion of the oracles was relatively more resistant to social distancing than the religion of Shim-tak. This means that as a medical phenomen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henomenon and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as a whole can vary according to religion. Thir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we not only presented in detail the social change as a social wave after COVID-19 at the social structural dimension and the living world dimension. but also specifically presented a new religious phenomenon that the COVID-19 phenomenon will bring. Finally, we presented what and how Buddhism would do as the religion of Shim-tak in practical terms. It could be confirmed that if the Buddha’s example in <Bobai sutra> was oriented. the experiment of Wonmyeongseonwon in Jeju Island was a Buddhist practice that followed the example of the Buddha.

      • 단사인(斷事人) 제도와 승가 분쟁 해결의 원칙

        이자랑(Ja-Rang L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1

        ‘화합승(和合僧)’이라는 표현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승가는 화합을 중시하는 공동체이다. 따라서 승가 운영 전반에 걸쳐 화합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멸쟁법(滅諍法)이다. 멸쟁법이란 승가에서 구성원들 간에 다툼이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율장에서는 칠멸쟁법(七滅諍法)이라고 하여, 일곱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승가에서 발생한 다툼은 반드시 이 일곱 가지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조정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들 멸쟁법 중 하나인 현전비니(現前毘尼), 그리고 이 현전비니의 일환으로 실행되는 ‘단사인(ubbāhikā, 斷事人)’ 제도의 검토를 통해 멸쟁법의 근간을 이루는 ‘여법’과 ‘화합’이라는 이념이 갖는 의의를 고찰하였다. 멸쟁법은 율장 건도부 「멸쟁건도」에서 인연담과 더불어 종합적으로 다루어지지만, 이 외 인도불교사에서 발생한 대규모 분쟁사건에도 적용된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붓다 열반 후 100년경에 발생한 십사(十事) 비법 논쟁이다. 이 논쟁에는 멸쟁법 중 현전비니의 일환으로 실행되는 단사인 제도가 적용되고 있다. 단사인 제도란 일종의 위원회 형식이다. 분쟁중인 양측으로부터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들을 각각 선발하여 이들에게 분쟁 해결을 위임하는 것이다. 십사 사건의 경우에는 각 4명씩 선발하여 총 8명이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들이 붓다의 법과 율에 근거하여 문제의 안건을 검토하고 결론을 내린 후, 그 쟁사와 관련된 현전승가의 구성원에게 동의를 구하는 방식이다. 이 제도는 현전비니로 1차적인 조정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여 제2차 조정으로 넘어간 경우, 만약 여기서도 의견이 분분하여 결론을 도출해내기가 쉽지 않을 때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판단이 쉽지 않은, 그래서 자칫하면 승가의 화합을 깨뜨릴 수 있는 민감한 사안에 적용되는 멸쟁법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빨리율 「칠백건도」를 중심으로 십사 논쟁의 진행과정을 살펴보고, 이 논쟁의 해결을 위해 도입된 현전비니와 단사인 제도의 내용 및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일견 단사인 제도는 위원회 형식이라는 점에서 일부 구성원의 의견을 다른 구성원들에게 강압적으로 적용하는 제도로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실행 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이 멸쟁법 역시 승가 운영의 주요이념인 여법과 화합의 실현을 위해 고안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金山寺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硏究

        이분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6 불교와 사회 Vol.8 No.-

        금산사 오층석탑을 해체하여 수리할 때 탑안에서 <母嶽山金山寺五層石塔重創記>와 각종의 사리구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중창기에는 금산사 오층석탑의 조성시기와 중창불사 현황과 관련 인물 등을 소상하게 알려주는 내용이 실려 있다. 이는 단절된 조선 전기 금산사에 대한 역사를 이어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뿐만아니라 동제사리합과 작은 합 2점, 청동오층탑과 엽전 7점, 그리고 불상 8구와 동자상 1구 등 일체의 금산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는 조선 초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금산사 오층석탑 중창기에는 금산사 오층석탑의 해체과정, 사리장엄구의 발견, 그리고 탑 안에 다시 사리장엄구를 봉안하는 과정까지 묘사되어 있다. 뿐만아니라 덕원군을 대공덕주로 한 왕실의 지원에 힘입어, 이 지역의 지방관료, 그리고 스님들이 대거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탑에 봉안된 사리장엄구는 탑의 조성시와 중창당시에 매납된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시기별 특징을 담고 있다. 특히, 탑내 봉안된 불상들은 1492년 탑을 중창할 당시 조성하여 스님들이 모셨던 원불로, 16세기 전후의 불교조각사 양식을 이해하는데 단서가 되는 불상들이다. 이렇게 불상을 탑에 봉안하는 것과 봉안한 불상에 불복장과 사리를 넣는 사리장엄구의 독특한 특징은 매우 흥미롭다. 금산사 탑에 불상을 봉안하였던 이유는 불상 신앙이 고조되면서, 개인의 소원을 비는 구복적 원불신앙의 유행에 기인한 듯 하다. 즉, 법당에 불상을 봉안하듯이 탑에 불상을 봉안하였던 당시 신앙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In dismantling and repairing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discovered from within the pagoda were sarira receptacles and Moaksan geumsansa ocheungseoktap jungchanggi (Construction Records on Moaksan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The records give a detailed description of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construction time, reconstruction situation, and related personnel, making them an important material in learning about the history of Geumsansa Temple in the first half period of the Joseon. Likewise, items contained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Sarira Reliquaries -- such as a copper sarira bowl and two small bowls, a Five-story Bronze Pagoda and seven coins, eight Buddha images, and one cherub figure --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rly-time Joseon Sarira Reliquaries in the history of arts. The reconstruction records describe the process of demolishing the pagoda, the discovery of Sarira Reliquaries, and the process of enshrining Sarira Reliquaries in the pagoda. It was also revealed that,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household with Prince Deogwongun as the biggest sponsor, a large number of the region’s local officials and monks participated in Buddhist affairs. The local governor, too, encouraged the Hyangdo community to allow many worshippers to participate in Buddhist affairs. The Sarira Reliquaries enshrined inside the pagoda were provided during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pagoda and a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 times. In particular, Buddhas enshrined inside the pagoda were created in 1492 when the pagoda was constructed and were served by monks. They ar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Buddhist sculpture styles around the 16th century. It is very interesting to enshrine Buddhas inside the pagoda and to install Sarira Reliquaries containing statues inside which sariras are put, without using other apparatuses. Buddhas were enshrined in the Geumsansa Temple Pagoda presumably because, with devotion to the Buddha image being heightened, individuals’ faith of seeking blessings was popular. In other words, as Buddha images were enshrined in worship halls, they were also enshrined in pagodas, a new faith trend at the time.

      • 불교미술에서 보는 붓다관(觀)

        이주형(Juhyung Rh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09 불교와 사회 Vol.1 No.-

        이 논문은 불교조형물에 드러난 붓다에 대한 생각을 살펴본다. 구체적인 방법상으로는 불교조형물의 표현 양태와 기능에서 몇 가지 양상에 주목하여 그와 관련지을 수 있는 붓다관을 논의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가 경론을 통해 아는 붓다관이 참조 대상이 된다. 붓다를 다룬 불교조형물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불상을 논의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불상에 붓다관이 반영된 양태로서 주목하는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1) 붓다가 표현된 양태가 붓다관과 관련하여 중요하다면, 붓다의 부재 또한 주목할 만하다. 무불상시대의 조형물에서 보이는 붓다의 부재는 불교 외적 요인도 있겠으나 가시적 형상을 초월한 붓다의 특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다. (2) 불교도들은 점차 붓다를 인간의 형상으로 보고자 하는 강한 열망에 사로잡혔고 그 결과 불상이 탄생했다. 붓다 보기에 대한 열망은 『아쇼카 아바다나』}등 몇몇 경전에 드러난 양상이기도 하다. (3) 붓다 보기, 불상보기는 삼매 수행의 한 방법으로도 체계화되었다. 그러한 양태는 『반주삼매경』을 필두로 『관불삼매해경』}등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4) 붓다관은 불상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불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32상의 구족․장엄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어느 붓다에나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라 특별한 붓다관을 반영한다고는 할 수 없다. 대체로 불상들은 붓다가 최고의 지혜와 자비를 갖춘 존재라는 일반적인 합의를 반영할 뿐이다. 불상에 특이한 조형적 특징들이 보인다면, 그것은 반드시 특정한 붓다관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시대적이나 지역적인 조형 전통이나 흐름을 반영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때로는 어느 지역이나 종족의 신적인 것, 초월적인 것에 대한 상상이나 관념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5) 불상은 그 물적․매체적 특성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즉 붓다를 표현한 조형물은 단순히 붓다로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물(物)로서의 의의도 지니며, 그것을 보고 대하는 행위에서도 그러하다. 따라서 여기에 개재된 붓다에 대한 생각은 단순히 붓다관의 문제에 그치지 않으며, 붓다를 나타낸 물(物)에 대한 태도․생각, 그 기능과도 관련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the idea of Buddha was manifested in Buddhist visual creations. It discusses several distinctive aspects especially focusing on Buddha images. If the modes of visually presenting the Buddha matters, the absence of the Buddha in human forms at the earliest stage of Buddhist art is equally significant. It is an eloquent statement about the Buddha as a transcendental figure who has gone beyond any limitations of human world. The one who entered the ultimate nirvana cannot be depicted properly back in human forms. However, the desire to see him visually was irresistible among early Buddhists as reflected in the story of Upagupta paying homage to Māra who transformed himself into a double of the Buddha. It led to the recreation of the Buddha in human forms or the anthropomorphic signification of the one who is no longer visible. The viewing of the Buddha in mental practice or dream and eventually in visual images became an important method of practice for Buddhists to achieve the highest spiritual goal. In visual images the Buddha was depicted with a number of the thirty-two lakṣaṇas of mahāpuruṣa. They denoted the superhuman character of the Buddha in physical form, but did not convey further specific significances because they were features universal to any Buddhas. To read the ideas of the Buddha embodied in visual form is much more complex. We have a fundamental question as to whether the sophisticated ideas of the Buddha can be shared or transmitted between the commissioner of the image and its sculptor or whether they can be depicted in the way they can be read as originally intended by the commissioner or the sculptor. The ideas of the Buddha reflected in Buddha images are hardly more than the general conception of the Buddha as the supreme embodiment of wisdom and compassion, although there are minor differences in periods and regions. There can be further variations in diverse regions that stem from the variety of conventional modes of representing human form and the notion about the numinous world. One should also note that a Buddha image was not simply viewed as a replacement for the Buddha. The image was often the Buddha himself. The “signified” and the “signifier” were not fundamentally separable. This was another prominent aspect when the Buddha took the form of an image.

      • 태백산 정암사의 역사와 사격(寺格)

        김상영(Sang-you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2

        태백산 정암사는 뚜렷한 창건연기를 지니고 있는 고찰(古刹)이다. 『삼국유사』와 『오대산사적』에는 자장(慈藏)과 정암사의 관계를 밝히는 다양한 기록이 전하며, 수마노탑에서 발견된 5매(枚)의 탑지석과 『정암사사적』 등의 자료를 통해 정암사 역사를 잘 살필 수 있다. 수마노탑은 정암사의 사격을 상징하는 대표적 문화유산으로, 2020년 보물 제410호에서 국보 제332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정선군과 정암사는 10여 년 동안 수마노탑의 국보 승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과정에서 정암사와 수마노탑에 대한 학계의 연구 역시 큰 진전을 이룰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이들 연구를 바탕으로 창건 이후 정암사 역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정암사의 사격을 나름대로 제시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다. 창건 이후 17세기까지의 정암사 역사는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18-19세기 정암사 역사와 관련한 자료는 상당 수 전하고 있으며, 본문에서는 이 시기 진행된 불사(佛事)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필자가 제시한 정암사의 사격은 ①‘5대 적멸보궁’의 하나이자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성지(聖地)로서의 사격, ②자장율사 ‘열반지처(涅槃之處)’로서의 사격, ③문수신앙을 신봉하는 ‘문수성지’로서의 사격, ④계율을 중시하는 ‘계율도량’으로서의 사격, ⑤18-19세기 ’불교중흥도량’으로서의 사격, ⑥국보승격운동 과정에서 보여주었던 ‘지역모범도량’으로서의 사격 등이다. Jeongamsa Temple in Taebaeksan is an ancient temple with a clear history of construction. Various record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ajang' and Jeongamsa Temple are reported in Samguk Yusa (三國遺事). The history of Jeongamsa Temple can be well studied through materials such as the 'Stupa Inscriptions' and 'Jeongamsa Historic Site' of 5 sheets found in the 'Sumano Pagoda'.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symbolizing the Buddhist temple status of Jeongamsa Temple, Sumano Pagoda was honored to be elevated from Treasure No. 410 to National Treasure No. 332 in 2020. Jeongseon-gun and Jeongam-sa have put a lot of effort into promoting Sumano Pagoda as a national treasure for over 10 years. In this process, academic research on Jeongamsa Temple and Sumano Pagoda was also able to make great progress. Based on these studies,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history of Jeongamsa Temple since its foundation and presenting its status as a Buddhist temple in its own way. The history of Jeongamsa Temple from its foundation to the 17th century is not known in detail. However, there are a lot of data related to the history of Jeongamsa Templ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this text, the contents of Buddhist work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were examined in detail. The Buddhist temple status of Jeongamsa Temple presented by the author is as follows: ① Status as one of the ‘Five Great Precious Palaces’ and a sacred site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② Status as ‘the place of nirvana’ of Jajang-yulsa, ③ Status as a ‘Munsu Holy Land’ that believes in the Munsu faith, ④ Status as a ‘Buddhist seminary for religious precepts’ that emphasizes religious precepts, ⑤ Status as 'Buddhist seminary of the revival of Buddhism'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⑥ Status as a ‘regional exemplary Buddhist seminary’ shown in the process of the promotion of national treasure.

      • 煩惱(論)의 實相과 그 展開

        전동혁(Dong-hyuk Chu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2 불교와 사회 Vol.4 No.-

        ‘煩權의 實相과 그 展開’란 主題를 가지고, 1) 煩權란 무엇이며, 또 어떻게 일어나는 것인지, 2) 除去하는 방법은 무엇이며, 3) 煩權가 제거된 結果로서의 解脫과 ;'呈築과 菩提란 무엇인지 등의 문제에 대해 初期·部派 → 大乘(中觀·推識·如來藏) → 密敎의 각 교단을 중심으로, 그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였고 어떤 해답을 내 놓았는지 展開 과정을 살펴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으로서, 이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초기불교를 이해하는데 핵심 논서인 『俱舍論』을 중심으로,衆生의 三要素이자 輪週의 三相인 業과 煩個와 苦의 相互 關係를 살펴보았으며, 뒤이어 공통 이념으로서 一切法無自性空을 부르짖던 大乘佛敎를 中觀·推識·如來藏 등의 순서로 나누어 그들이 주창한 번뇌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곧 공통 이념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전혀 다르게 전개된 이들 사상이 번뇌와 그것의 소멸을 어떻게 보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뒤이어 인도불교의 마지막을 장식한 밀교의 핵심 이론이자 독특한 이론인 卽身成佛 이론을 살펴보면서, 이들이 본 번뇌와 무명 그리고 해 탈을 향한 이들의 수행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었다. 번뇌는 衆生의 根據이자 解脫과 成佛을 향한 動刀因으로서,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槪念이나 分祈의 태도, 그리고 成佛의 과정 등이 서로 달라져 왔다는 것과, 나아가 이러한 차이가 나는 根本的 原因이 당시의 敎團事情, 곧 각 교단이 追究하는 目的과 理念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곧 初期 및 部派의 佛敎는 불교의 敎學과 實錢道를 樹立하는 과정의 불교였고, 또 여기에 당시 우파니샤드 시대 당시의 話頭이기도 했던 業과 輪廻와 解脫 등의 문제가 오버랩되면서 이들에 대한 解答을 찾기 위한 피나는 討論과 苦行과 禪定修行 풍조가 佛敎敎團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이러한 복합적인 영향이 초기 및 부파불교를 모든 면에서 철저히 分折하는 태도를 취하게 되었고, 여기에 이들의 교학 내지 실천행 등이 複雜하고 煩雜스러워진 원인이 있었다고 분석되었다. 곧 一 切法을 五位七十五法으로 구분[擇法]한 것이라든지, 또 煩權를 10가지로 區分한 후, 이를 다시 見道와 修道로 二分하고, 또 이것을 苦集滅道 四聖諸 각각으로 四分하고, 다시 三界(歌界·色界·無色界) 별로 분석하여 配屬시킨 것 등은 바로 이들이 처한 당시의 시대 및 교단 상항에서 비롯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精密한 分祈이 이루어진 뒤 출현하게 된 大乘佛敎는 자연히 앞의 部派人들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고, 따라서 이를 수용하여 더 細密히 가다듬은 불교가 推識學派였으며, 또 더 없이 복잡해진 이론들을 大乘敎學의 키워드인 <一切法無自性空> 이론에 준하여 簡單明諫히 다듬어 이를 새롭게 定理해 놓은 敎理가 소위 <煩惱卽菩提>와 <生死卽> 을 부르짖던 中親 思想과 如來藏 思想이었으며, 또 힌두 사상을 수용한 후 여기에 眞言陀羅尼와 瑜伽의 槪念을 가미하여 卽身成佛이란 독특 한 理論을 주창한 密敎가 말하는 번뇌란 자신을 佛로서가 아닌 衆生으로 보는데 기인한 것이라 보고, 따라서 일거수일투족의 평상시에 스스로를 佛로서 확신하면서 삶을 佛로서 살 때, 根本煩惱와 所知障과 煩惱障이란 三妄執은 순간적으로 없어지는 것임을 주창하고 이것이 다름 아닌 즉신성 불임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 및 敎團 상황과 더불어 또 하나 중요한 것이 宇宙眞理인 法을 바라보는 입장으로서, 相의 立場에 서서 법을 보는가, 아니면 性의 立場에 서서 보느냐의 문제도 교학과 실천행법이 달라지고 변화하게 된 또 하나의 척도가 됨도 알 수 있었다. 곧 多元論의 相의 입장에 서 있던 有部나 唯識學派의 敎理는 자연 복잡해져 分析的일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반해 一元論의 性의 입장에 서 있던 如來藏이나 禪敎와 密敎 등은 煩惱와 菩提 그리고 衆生과 佛을 하나로 보거나, 아예 한 걸음 더 나아가 煩惱 자체를 菩提 證得의 根源이자 에너지원으로 생각하는 적극적이고도 긍정 적인 사고로 轉用시켜, 反轉과 變身을 꾀하면서 그 어느 것에도 住하거나 집착하지 않는 소위 不住不着 任運自在의 불교로 탈바꿈하게 된 것임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교리의 전개 과정이 어떻게 변했든, 또 여러 煩惱對治 方法 중 어느 것을 택하든, 지금 이 순간에도 여전히 煩惱는 우리 곁에서 멤돌면 서 무리를 煩悶과 고통의 늪으로 끌고 가는 무서운 존재로 남아 있다. 곧 ‘煩惱無盡물願斷’이란 四弘誓願의 한 구절처럼,煩惱는 끊임없이 그것도 나의 平生의 同伴者로서 존재하는 現存의 문제이다. 곧 고질병에 걸린 환자가 그 병을 평생의 친구처럼 함께 살아가야 하듯이, 사바세계의 근원인 煩惱 역시 평생의 친구처럼 생각하며 함께 살OKH 하는 것으로서, 정말이지 煩惱 그것은 衆生의 根據가 되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解脫과 成佛을 향한 動力因인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로서, 衆生의 근거로서 그것에 얽매이며 끄달려 살 것인가, 아니면 成佛을 향한 動力으로서 昇華시킬 것인가는 우리들 각자에게 주어진 영원한 숙제, 곧 순간순간 주어지는 각자의 삶의 방식 여하에 달려 있음을 밝혔다. I researched the following : 1) What is klesa and how does it happen? 2) How can one get rid of klesa? 3) What are the definitions of liberation, Nirvana and enlightenment (Bodhi) as a result of removing klesa, based on each denomination of Early Buddhist and Abhidharma → Mahāyanā Buddhism (Madhyamaka-vipāśyanā, Vijnānavāda, tathagatagarbha) → Esoteric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it, such as how they defined these questions and what answers they come out with. As a result, I was able to conclude the following, klesa is the basis of mankind and the efficient cause of attaining Buddha-hood. I was also able to confirm that the concept, attitude of analyzing and the process of attaining Buddha-hood chang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period. Moreover, I could see that the basic reason for this change is closely related to the circumstance of denomination of that time.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idea which each denomination pursues, the education and practice clause also transformed. Specifically, Early Buddhist and Abhidharma were Buddhism, which were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ducation and the way of practice. To this, the questions for karma, samsāra and liberation, which were the topics of the Upanisad period, were overlapped. Further, the strenuous discussion as well as the tendency for fulfillment, asceticism and Zen even influenced Buddhist denominations. Because of this complex influences, Early Buddhism and Abhidharma inevitably had attitudes of thoroughly analyzing things, and thus was the reason for their complicated and complex education and practice clause. Analyzing and dividing the law of the whole thing into laws of 5 groups and 75 kinds with too much detail, or dividing klesa, into 10 kinds, and then dividing these into two types, being free from closed-mindedness and practicing asceticism, and then dividing into four types, the Four Noble Truth, and then analyzing and assigning this into three worlds, the world of desire, the world of lust (rūpa) and the world of a-rūpa, which originated with the period of that time and along with the provisions of denominations. On the other hand, I think that Mahayānā Buddhism, which appeared after carrying out this precise analysis was inevitably influenced by the people in Abhidharma, and Buddhism, which accepted and braced this delicately, was Buddhism, Vijnānavāda. Furthermore, I believe that by simply bracing and newly arranging the most complicated theory into the keyword of Mahayana Buddhism, <the law of the whole thing: objects are not the truth : sarva-dharma-nihsvabhāva> theory is the ideology of Madhyamika and tathāgatagarbha, which exclaimed that defilements are enlightening and that life and death are defilements and further, nirvana is enlightening. Also, Buddhism, which acclaimed for the theory of being the Buddha as itself based on the notions of dhāranī, praying and yoga, accepting Hinduism, right after accomplishing Hinduism, which was the combination of Veda religion and śiva of the native people, is the new Buddhism, known as Esoteric Buddhism. And with these era and denomination situations, the question on the standpoint of looking at the law, which is another truth of the universe, whether it is from each other's point of view or from the view point of the characteristics, is another measure that changes education and the law of practice. Moreover, admitting all th£ existence and the theory, Vijnānavāda, which were on each other's view point of pluralism, became naturally complicated and analytical. On the contrary, Tathāgatagarbha, Zen and Esoteric Buddhism, from the view-point of monism, looked at kleśa, enlightening and mankind and Buddhism as one, and furthermore, attempted reverse and transform by positively diverting the klesa itself to the basis for attaining enli^itenment and energy. In addition, it is analyzed that it is 社ansformed into Buddhism of not residing and obsessi

      • 용수의『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남수영(Soo-young Na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2 불교와 사회 Vol.4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용수가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사성제와 삼보가 모두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이유와 그가 무자성론에 근거해서 설명하는 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송』및 그에 대한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해서 살펴보았다.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은 인연(因緣)을 기다리지 않고 결정되어 있으며,자성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유자성론에서 여러 법의 발생과 소멸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으며,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심으로 하는 사성제도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다. 또한 유자성론에서는 사성제가 성립하지 못하기 때문에 삼보도 성립하지 못한다. 한편 용수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은 공성의 비자각 → 희론의 발생 → 분별의 발생 → 번뇌의 발생 → 업의 발생 → 고통의 발생으로 설명되고 ,고통의 소멸은 공성의 자각 → 희론의 소멸 → 분별의 소멸 → 번뇌의 소멸 → 업의 소멸 → 고통의 소멸로 설명된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과 용수의 무자성 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의 개념은 인연의 부정,인과의 부정,생멸의 부정을 내포하기 때문에,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이 모두 힘들어지지만, 용수의 무자성론에서는 일체법이 비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발생을 설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소멸을 설명하는 것도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에게 일체법의 무자성성과 공성을 자각하는 것은 고통을 소멸하고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그리고 무자성성과 공성에 대한 자각은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얻어진다. 즉 연기인 사물은 무자성이고, 공이고, 가명이고, 중도인 것이기 때문에, 존재성과 비존재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일체법이 연기의 결과물이라고 하는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모든 사물들이 마치 석녀의 딸처럼 무자성이고 공인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자각에 의해서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차례로 소멸하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송』에서 발견되는 세 종류의 연기설과 공성의 자각, 그리고 열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세속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12연기설과 상호의존적 연기설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고 공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또한 수행자는 승의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팔불연기설을 통해서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런 깨달음을 통하여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소멸하고, 윤회의 고통도 소멸한 ‘길상(吉i洋)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present writer has examined the reason as to why Nāgārjuna asserts that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hree jewels are destroyed in the self nature theory of Sarvāstivāda, Nāgārjuna's explanation of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ased on the no-self nature theoty centered on Mūlamadhyarnaka-kārikā as well as in the commentaries of Candraldrti and Pirigala of this article. I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The Sarvāstivāda says that the self nature of dharma is determined to not wait for a cause and condition, and never change. Therefore, the self nature theoty of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dharmas and the four noble truths, which are the explan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If the four noble truths can not be established, the three jewels also can no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the non awareness of emptiness → the 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appearance of action → the appearance of suffering.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 awareness of emptiness → the dis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dis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dis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disappearance of action →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n Mūlamadhyarnaka-kārikā of Nāgārjuna. The comparison of the two explanations of Sarvāstivāda and Nāgārjuna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shows the following facts. The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the conception of self nature contains the negation of cause and condition, the negation of cause and effect, and the neg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However, Nāgārjuna can explain the 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non-being to all dharmas, but can explain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being to all dharmas. Therefore,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and for the achievement of nirvāna. Further,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obtained by the awarenes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ll of the dependent originated things can not have self nature of being or non being, because they are non self nature, emptiness, provisional name, and the middle way. The disciplinant becomes aware that all things are non self nature and empty, similar to a barren woman's daughter by the awareness that all things are output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nd through that awareness, the amplification cation, the mistaken idea, the affliction, the action disappear one by one; his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s last. The relation of the three kinds of theories on dependent origination, the awareness of emptiness, and nirvana is as follows. The highest truth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become known b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 which are suggested by the mundane truth. Also, the disciplinant becomes more clearly aware of the highest truth by the eightfold negation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suggested by the highest truth. Finally, he obtains auspicious nirvana by clear awareness, in which amplification, mistaken idea, affliction, action, and the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