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내러티브로 성경 읽기: 신학적, 철학적, 교육적 이의 및 함의

        오경환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3 No.-

        All human beings are Homo narrans, whose lives are formed through stories in history and culture, and they are beings who create new stories while living. In the context of the narrative of concrete life. a person’s self and identity are formed and manifested. The foundation and source of shaping and embodying the Christian self and identity are the Bible. Today, the Bible should go beyond being read as a propositional statement or doctrine and read as a grand narrative, a coherent and unified story of God’s redeem- ing history. Distrust in meta-narrative, which has exerted absolute influence depending on science and reason, is a characteristic of the post-modern era, and distrust in meta-narrative has confused human direction, vision identity, self, and worldview. However, reading the Bible as a metanarrative provides Christians with a vision and worldview of the authentic, valid, and true world. Through the story of God’s faithfulness to the covenant and the history of redemption working in absolute sovereignty, one can discover calling and vocation in the circumstances and places of our re- spective lives, and shape a holistic identity and self by reinterpreting all experiences of life. This study examines establishing a biblical worldview by reading the Bible as a metanarrative in a post-modern society where identity and self are confused by doubting and distrusting meta-narrative, thereby forming a unified and consistent vision and calling for life. 모든 인간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인 호모 나렌스(homo narrans)로서 역사와 문화 속에서 이야기를 통해 삶이 형성되고, 그 안에 거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해 나가는 존재이다. 즉, 사람은 구체적 삶의 내러티브의 정황 가운데 자아와 정체성이 형성되며 발현된다. 기독교인의 자아와 정체성을 형성하고 구현하는 토대와 원천은 하나님의 계시로 쓰인 성경이다. 오늘날 성경은 하나의 명제적 진술서나 혹은 교리서로 읽히는 것을 넘어서서, 하나 님의 일관성 있고 통일성 있는 구속사적 이야기인 거대 서사, 즉 메타내러티 브로 읽혀져야 한다. 과학과 이성에 의존하여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해 왔던 메타내러티브의 대한 불신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이며, 메타내러티브에 대한 불신은 인간의 방향, 비전, 정체성, 자아, 세계관에 혼란을 초래했다. 그 런 면에서 메타내러티브로 성경 읽기는 기독교인에게 적실성 있고 유효하며 참된 세계에 대한 비전과 세계관을 제공한다.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 심과 절대 주권 가운데 역사하시는 구속사적 이야기를 통해 자신이 각자 위 치한 삶의 정황과 자리에서 소명과 부르심을 발견할 수 있으며 삶의 모든 경험을 재맥락화, 재해석함으로 온전한 삶의 정체성과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는 메타내러티브를 의심하고 불신하여 정체성과 자아의 혼란을 겪고 있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성경을 다시금 메타내러티브로 이해하여 읽 음으로서 성경적 세계관을 확립하고, 삶에 대한 통일성 있고 일관적인 비전 과 소명을 형성하여 발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메타내러티브와 동티모르의 로칼내러티브의 서술구조 비교

        송승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1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the metanarrative and East Timor's local narrative in Indonesia during the Suharto's regime. Although these history writings have different political goals, the patterns of writings are ironically similar. Both of the history writings show strong nationalistic history writing patterns. Yet, in the writings, these histories plac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historical events. In the metanarrative, local dynamics are seen through the diagrams of the nation and nationhood. This narrative finds the roots of the "ethnie" from some kingdoms in Java and Sumatra. These kingdoms, which throve based on the Hindu-Buddhist culture, achieved a territorial unity to a degree, covering some parts of Java and Sumatra. The glorious past disappeared with the advent of the colonial rule. The metanarrative then emphasizes the unity of the ethnic groups in the archipelago, which fiercely resisted against the colonial exploitation and oppression. By this, these ethnic groups were defined as "the masses," the collective identity, which had a same goal to achieve the national independence. In addition, some local histories, which took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uropean forces, were simply left out from the metanarrative. All the separatist movements taking place in the republic were also described as the anti-unifying forces. On the other hand, the goal of the history-writing in East Timor was to enhance the sense of nationalism and create the perception of the "East Timorese." The fundamental aim was the separation from Indonesia. In the narrative, the nationalist politicians overcame the problem of the non-existence of any memories of the glorious past with the awakening of the idea of "the imagined gloriousness of the past if there was no colonial rule." In addition, the narrative overemphasizes the memory of the colonial rule for 450 years under the Portuguese rule in order to stress the fact that it was the colony of Portugal, not of the Netherlands. Finally, the narrative shows how the East Timorese collectively fell to the status of slaves. By this, the political leaders of East Timor evoked the notion that it was recolonized by Indonesia, under which the East Timorese were demoted to the status of slaves. This notion of "slave-master" relationship then became the motives for the independence struggles in East Timor.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의 국민국가적 메타내러티브와 동티모르의 로칼내러티브의 서술 구조를 비교·분석한다. 이 두 내러티브는 모두 민족을 초역사한 민족주의적 역사서술 방식을 보여주고 있지만, 인도네시아와의 통합과 분리라는 각기 다른 정치적 지향점 속에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을 내리고 있다. 우선 메타내러티브에서는 로칼의 다양성을 민족의 도식 속에 흡수해서 바라본다. 이 내러티브에서는 원형민족의 상을 자바와 수마트라의 일부 왕국에서 찾는다. 마자빠힛과 스리위자야를 중심으로 한 이 왕국들은 힌두-불교문화를 중심으로 찬란한 과거 문명을 꽃피우고 영토적 통일성을 이룬 특징이 있다. 이러한 영광스러운 과거는 곧 식민시대의 도래와 함께 사라진다. 메타내러티브에서는 식민시기의 암울한 현실에서 종족들이 어떻게 일치단결하여 식민의 착취와 압제에 항거했는지를 부각시킨다. 그럼으로써 다양한 종족들은 “항쟁”이라는 공통의 목표로 가진 민족이라는 이름의 단일 정체성으로 규정된다. 이 과정에서 식민세력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한 로칼의 역사는 메타내러티브에서 누락되었고, 초국가적 역사서술 양상 속에서 로칼의 역사는 후진적인 것으로 은밀히 묘사되었다. 또한 다양한 분리주의 운동은 공산주의 등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반통합적 소요로만 그려졌다. 한편, 동티모르의 자주적 역사관 속에서 역사서술의 목표는 동티모르의 민족을 창출하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으로, 그 궁극적 목표는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분리독립이었다. 이 역사에서는 영광스러운 과거의 흔적을 찾아낼 수 없는 한계점을 “가상의 영광스러움”에 대한 인식의 환기로 극복하고, 포르투갈 식민기억을 의도적으로 과장하여 네덜란드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와의 단절을 강조한다. 또한 식민세력의 450년간의 수탈과 착취를 강조하고, 그 고통 속에서 동티모르 민족이 노예화되었음을 보여주며, 이와 같은 노예화가 인도네시아라는 또 다른 식민국에 의해 연속되고 있음을 상기시켜 이를 독립운동의 모티브로 삼고 있다.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황윤세 ( Hwang Yoons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수행된 질적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 실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실시한 9편을 선정하여, Noblit와 Hare(1988) 그리고 Soilemezi와 Linceviciute(2018)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내러티브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종합, 개념화, 범주화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교사와 유아 모두 긍정적 경험의 메시지, 상호 작용의 재발견의 의미가 담겨졌다. 둘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실제는 이야기나누기와 인성 교육으로 실제화 되고 있었다.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여전히 시범적인 실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므로 이후 유아교육과정의 다원화를 위한 대안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2019개정 누리과정의 실시와 관련하여 각각의 교실문화를 반영하는 교육과정에서 실제화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qualitative meta-synanalysis conducted on the topic of the narrative curriculum. The meaning of narrative was derived by conducting qualitative meta-synanalysis according to the steps suggested by Noblit and Hare (1988) and Soilemezi and Linceviciute (2018) by selecting 9 qualitative studies on the topic of narr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The work of synthesizing, conceptualizing, and categorizing both, and reality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urriculum contained a message of positive experiences and rediscovery of interactions for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econd,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curriculum was practiced through storytelling, character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narrative curriculum is still a pilot reality, it is necessary to seek alternatives for divers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

        유아의 내러티브 능력 관련 변인 분석

        황윤세(Yoon Se Hw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 내러티브 능력에 대한 다면적 접근의 일환으로 내러티브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메타인지, 마음이해능력, 창의성 간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2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과 AMOS 4.0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내러티브 능력과 메타인지, 마음이해능력, 그리고 창의성 각각의 하위요인들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상호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내러티브 능력은 메타인지, 마음이해능력, 그리고 창의성이 모두 중요한 예측변수 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시사함과 더불어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내러티브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determine the effect of narrative ability and children’s meta-cognition, theory of mind, and creativ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8, 4 to 5 years old children in 13 preschools from Kyungbuk provide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7 and Amos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narrative ability and other variables, children’s meta-cognition and its sub factors, theory of mind, and creativity and its sub factors. Second, children’s meta-cognition, theory of mind, and creativity. were th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 young children’s narrative.

      • KCI등재

        메타픽션 그림책의 기법 분석과 그에 대한 유아의 이해- ‘그림책 속 그림책’ 구조를 중심으로 -

        서정숙,김정화,유은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2

        현대 유아는 다양한 그림책을 접하고 있고, 최근 들어서는 메타픽션 기법이 사용된 그림책들도 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외에서 유아가 메타픽션 그림책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히 취학 전 유아의 메타픽션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평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메타픽션 형식인 ‘그림책 속 그림책’의 구조를 지닌 다섯 권의 메타픽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그림책 속 그림책’ 구조를 지닌 다섯 권의 그림책에 나타난 메타픽션의 기법을 분석한 다음, 이들 기법에 대한 유아의 이해 정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속 그림책’ 구조의 그림책에 가장 많이 나타난 메타픽션 기법은 다중 내러티브 기법이었고, 그 다음은 전통적인 시․공간 관계의 붕괴 기법이었다. 그리고 만 5세 유아는 다섯 권의 메타픽션 그림책에 여러 이야기가 들어있다는 점에 대해 대체로 잘 이해하고 있었고, 각 메타픽션 기법에 대한 이해 정도는 그림책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Today’s young children read picturebooks of various kinds and are exposed to picturebooks with metafictive techniques. However, domestic investigations of pre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metafiction picturebooks are rare and, in fact, there is no research on the evaluation of preschool children's responses to metafiction picturebooks. To remedy this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s of preschool children to five metafiction picturebooks exhibiting the 'picturebooks-within- picturebooks' structure. The metafictive forms appearing in the selected picturebooks were analyzed and the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each metafictive technique was analyzed. Analyisis of the children’s responses reveals that the most popular metafictive technique appearing in the picturebooks of the 'picturebooks-within- picturebooks' structure is the technique of multiple narratives and the next most popular one is the disruptions of traditional time and space relations in the narratives. Analysis of the children's responses shows that young children of age 5 years of age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multiple narratives. However, the level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chnique differs from one picturebook to another.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에 나타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사례 연구

        정예경,조성환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has become natural for us, where the metaverse platform has become commonplace, to access the brand online rather than offline, and the brand image narrative perspective is emerging as a way to immerse it in the brand. The cas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by the global brand consulting group ‘Interbrand’, which is recognized around the world, from the top 100 best global brands in 2021.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synthesized the cases, it was found that 'descriptiveness' and 'interactionality' were the most emphasiz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 of 'subjectivity' was the most insuffici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It was found that this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users can more actively manipulate, create, and create on the metaverse platform. It can be seen that this result is because the brand must be recognized and the brand experience must be delivered through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is brand experience can induce sustainable participation and immersion, and it can help realize virtuous communication so that the brand can maintain its value and culture and form different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the basic steps on how to apply and utilize brand image narratives when performing brand communica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메타버스 플랫폼이 일상화 된 우리들에게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으로 브랜드를 접하는 것이 당연시 되었고 더욱 브랜드에 몰입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 관점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접근방법이 대두되고 있어 사례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에 나타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례 선정 기준은 전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그룹 ‘인터브랜드(Interbrand)’가 2021년 베스트 글로벌 브랜드 100순위에서 선정하였고, 구축한 사례분석 특성과 요소의 틀을 통해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를 종합한 연구 결과에서는 ‘서사성’과 ‘상호작용성’을 가장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공동창조성’ 특성에서 ‘주체성’ 요소가 가장 미흡하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사용자들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조작, 생성, 창조 등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를 인지시키고 브랜드 경험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브랜드 경험으로 지속가능한 참여와 몰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그 가치와 문화를 유지하고 또 다르게 형성할 수 있게 선순화된 소통을 실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를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기초 단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추후 본 연구를 통해 적합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NBI(narrative based instruction) 모형 개발 연구

        고요한(Goh, Yo Ha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기반 일반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핵심은 수업이다. 따라서 광범위한 교육학 연구 분야 중에서 수업방법에 대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많다. 이러한 교육학 연구는 관점의 다양성, 방법의 복수주의에 기인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특성인 다양성과 복수주의 원칙에 따라 새로운 수업모형을 구안하게 되었다. 새롭게 구안된 내러티브기반 수업(NBI)모형은 다음의 절차와 내용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첫째, 기존 수업모델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둘째, 연구주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아이디어 마이닝, 셋째, 연구주제 관련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한 텍스트 마이닝, 넷째, 학생 대상의 양적/질적 자료수집 분석을 통한 데이터 마이닝, 다섯째, 모형개발을 위한 근거모델들에 대한 검토, 여섯째, 연구주제 관련 심리학, 철학이론 등에 대한 검토 등이다. 이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종의 시안(試案)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비판적 검토결과의 핵심은 ‘리더십, 어프로치, 모델, 내러티브’ 등의 개념들을 교수학적으로 유용하게 차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감안하여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수업모형은 각각 나름대로 특장(特長)이 있으나 메타-이론적 성격의 모형이 부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NBI모형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새로운 모형개발의 또 다른 근거모델로서 의미가 있다. 둘째, 향후 지속될 수업모형 개선 혹은 개발과정에서 내러티브 적용의 필요성과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내러티브기반 수업모형이 내포하는 강점·약점 등에 대한 비판적 검토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제시한 모형의 현장적합도 및 교수학적 의미가 향상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ation for developing narrative based instruction module. As all knowing, a core of curriculum is instruction(or teaching & learning). So, investigative survey on instructional contents, article on method are more than any other fields in educational research. In general, educational research conducted on the base of diversity, methodological pluralism. By this principle,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new model on instruction. Making the NBI(narrative based instruction) module which is projected as a renewal model was conducted as followings. Firstly, critical review on existing instructional model, secondly, idea mining by interviewing with education experts for getting their thinking, thirdly, data mining for analysing quantitative/qualitative sources which collected by surveying for school student and academic journal, fourthly, critical review on ground theory/model for developing new module, fifthly, consideration on psychology and philosophy concerned with this study. Through above process, researcher suggests an draft model. The result of critical review on concerned multi resources is the method of borrowing the idea(leadership, approach, model, narrative) for developing new model by effect, A drawn result performed by this consideration is as followings. Firstly, existing instructional models have a merit and uniqueness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re are not meta model on general instruction, so this study purposed the solution on that problem, going forward in educational research. Secondly, the necessity and potentiality on progressing instruction theory or developing narrative concerned instruction model is verified by this study.

      • KCI등재

        옛이야기의 시각적 재화 -Charles Perrault의「푸른 수염」을 중심으로-

        이성엽 ( Sung Yup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옛이야기가 시각적으로 재화될 때 그 해석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지를 세권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랑스 작가 Perrault의 옛이야기「푸른 수염」을 선텍스트로 삼아서, 시각적 차원에서만 재화된 프랑스 그림책 세 권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각적 재화는 내러티브 차원과 메타내러티브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내러티브는 차원에서는, 시각적 표현들이 서사 전개 및 리듬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메타내러티브 차원에서는 시각적 재해석을 통해 선텍스트인 옛이야기의 기저를 이루는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재화 당시의 지배적 담론의 차이를 보여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국, 시각적 재화는 단지 텍스트 내용을 시각적 기호를 통해 복제(reproduction)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 작가의 시선으로 선텍스트를 재해석(reversion)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visual retelling of fairy tales when they are adapted to picturebooks. Fairy tales are often used as an initial text, a pre-text for retelling stories like myths, biblical stories and classic works of literature: they have survived for hundreds of years through adaptations into various forms of art. This study in particular analyzed three French fairytale picturebooks of which the pre-text is Perrault`s Bluebeard. The story is not rewritten but illustrations are added to the initial text in order to form iconotexts, that is, are telling in terms of pictures. Fairy tales are retold visually in iconotexts with the two following dimensions: the first is the narrative, namely the organization of double-page spreads and the use of colors; the second is the metanarrative which is defined as the values and ideals of a given cultural and linguistic community. In terms of double-page spreads, one of the important episodes of Bluebeard is di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llustrators. In other words, the same episode can be visually represented in a double-page spread or more than two double-page spreads. This has an effect on the narrative rhythm: the more a given episode is divided, the more double-page spreads there are and the stronger the suspense becomes. This makes readers turn pages more rapidly with a burning curiosity about the next pages. The organization of double-spread pages can function as a "cliffhanger". Colors can also create a new narrative flow: for instance, the French illustrator Claverie inserted some black-and-white sketches in his color picturebook. Monochromatic pictures foreshadow events to occur, which are colorfully depicted later in the picturebook. When it comes to metanarrative, the dynamics between Bluebeard and his wife can be reconsidered with a gender-oriented perspective.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is "domination - obedience" in the initial text, its visual interpretation depicts this relationship as "duel" or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In addition to this metanarrative aspect, one of the postmodern strategies, metafiction, is applied graphically. For instance, Claverie created a totally new character in his picturebook, who does not exist in the original text. This character is a portrait painter who looks like the illustrator`s alter ego. In the iconotext, he opens and wraps up the story: it seems that he exists between the fictional universe (narrative) and the real world which readers belong to. The portrait painter himself functions as a metafictional strategy. Through this study, illustrations are revealed not as simple visual reproductions of fairy tales but as an interpretation. They shed new light on an original text, which results in a new iconotext even without any textual adaptations. Therefore, illustrators can be considered as "visual" storytellers who thus contribute to the survival of fairy tales. As for the child reader, the visual reversion provides the child with the opportunity to look over tales from a new point of view.

      • KCI등재

        메타이야기로서의 성경과 연극적 접근의 신학적 이해

        서민정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As meta story, the Bible is a transcendental and authoritative revelation consisting of various narratives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the author, who is God. The various narratives, which contain various circumstances of life, are closely connected within the history of God and reflect his unified and consistent message flowing in them. The dramatic analysis method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plot and narratives of the Bible containing God’s consistent objective and message. This paper provides a theological direction in the attitude of dramatic approach to the Bible as meta story. The Trinitarian communication behavior of Vanhoozer and the central concepts of Stanislavski’s acting method are combined for this.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Trinitarian communication we could find the author, God’s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Bible and the super-objective of the main action in the Son of God’s ministry. We also rely on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God to find God’s will and accept the meaning of the text. Through this dramatic reading we could understand the plot of the Bible and analyze the desire of the characters in the text and experience accidents through the embodiment of action. A drama is an effective tool for interpreting the Bible that requires ration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메타이야기로서 성경은 하나님이신 저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내러티브로 구성된 초월적, 권위적 계시이다. 다양한 삶의 정황을 담은 내러티브들은 하나님의 역사 안에서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그 속에 흐르는 그분의 통일되고 일관된 메시지를 반영한다. 성경이 다양한 내러티브를 관통하는 하나님의 일관된 목표와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연극적 분석 방식은 메타이야기로서의 성경의 구성(plot)과 내러티브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본고는 메타이야기로서의 성경을 연극적으로 접근하는 태도에 신학적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밴후저의 삼위일체적 소통방식과 스타니슬랍스키의 메소드 연기의 중심 개념들을 접목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삼위일체 소통원리를 통해 저자이신 성부 하나님의 발화(發話)에서 텍스트의 목적과 의도를 찾으며, 성자 하나님의 사역에서 텍스트를 관통하는 행동의 초목표를 찾는다. 또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용하기 위한 하나님의 뜻을 찾기 위해 성령 하나님의 이끄심을 의지한다. 이러한 연극적 읽기를 통해 우리는 성경의 전체 플롯을 이해하며 성경 속 인물의 욕구를 분석하고 행동의 구현을 통해 사건을 경험할 수 있다. 연극이란 매체는 이성적 이해와 전인적 실천을 요구하는 성경 텍스트를 해석하는 데에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 특히 성경에서 인물 행동의 동기를 찾는 과정은, 텍스트의 의미를 발견하는 이성적인 해석 과정이자 자신의 욕망을 분별하고 하나님의 의도에 맞게 반응하도록 훈련하는 데에 기여하는 실천적 해석의 장(場)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내러티브의 종교적 차원

        곽은혜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narrative’ as an epistemological concept. In a contemporary studies, this concept is treated as s kind of literature theory or methodology like ‘narrative inquiry’. But narrative merely is not a kind of story but a fundamental origin of experience itself. Ricoeur tried to reveal that human cannot experience anything without narrative through combining Augustine’s theory of time and Aristotle’s theory of narrative. In his theory, narrative is elucidated by muthos and mimesis and human experience only can occur when ‘muthos’ organize the events and ‘mimesis’ represents human action. In this point of view, narrative cannot be understood a certain kind of story or plot. It is a form of experience. Obviously, this is derived from Kantian concept ‘scheme’, i.e. an ability of integration in human mind.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tells us that experience can occur when scheme integrates the intuitions of objects. And this scheme only can be interpreted as a transcendental form of knowledge. Based on this idea, Ricoeur founded his text theory which shows the way of experience through interpretation of text. This interpretation of narrative shows us it must be thought as a crucial concept of epistemology. Narrative is a story which can occur human experience itself and it can lead us a transcendental aspect of human mind, i. e. a religious aspect of mind. 이야기 또는 이야기하는 행위를 뜻하는 내러티브는 오늘날 흔히 문학이론이나 질적연구 방법론의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그것은 인간의 경험 그 자체를 드러내는 이론적 개념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리쾨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내러티브 이론을 결합하여 내러티브가 경험의 근본적인 원천이 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더 나아가 칸트의 도식론에 비추어 보면, 내러티브는 인간 경험과 사실상 분리되어 존재하면서 이미 일어난 경험을 사후에 기술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에게 경험이라는 것이 일어나려고 하면 인간 내면에 갖추어져 있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경험의 논리적 형식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이야기이다. 이 때, 내러티브는 경험의 사상에 종합적 통일성을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전체로서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순수주관성의 역할을 의미하며, 이와 같이 내러티브가 나타내는 선험적 차원은 우리에게 인식의 신적, 종교적 차원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내러티브의 개념을 이해할 때, 그것은 이런저런 이야기가 아닌 인식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진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것은 경험적 차원을 넘어서는 형이상학적 차원으로서의 인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