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맥진 가압 트레이닝 시스템 개발

        이전(Jeon Lee),이유정(Yu-Jung Lee),전영주(Young-Ju Jeon),우영제(Young-Jae Woo),김종열(Jong-Yeol Kim)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5 No.6

        맥진은 한의 진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나 맥진 교육에 있어서 수련자와 교육자 간에 언어적 표현 외에는 적절한 교육 정보 소통의 도구가 없어 정량적이며 과학적 교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맥진 시 한의사가 세 손가락을 통해 맥진 부위에 가하는 가압력 프로파일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이를 기반으로 맥진 동작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압력 프로파일 측정 하드웨어는 인조 팔 속 맥진 위치에 놓인 3개의 로드셀과 맥진 가압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용 A/D 변환 모듈인 NI-USB 6009로 구성하였으며, 3채널 가압력 신호는 200Hz로 샘플링하였다. 하드웨어 출력 신호를 질량 값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50~500g 범위의 8개 추를 인조 팔에 올려놓았을 때의 질량 대비 출력전압 테이블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을 통해 한방 전문의 3명의 맥진 가압 프로파일을 각 3회씩 측정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한의사의 맥진은 크게 3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고 최대 가압력이 약 500g?f인 것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맥진 가압트레이닝 프로그램은 LabView를 통해 구현하였으며, 수련자가 미리 저장된 목표 맥진 가압 프로파일과 유사하도록 인조 팔을 맥진할 때의 가압 프로파일이 목표 가압 프로파일과 유사한 정도를 평가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하고, 실습이 끝나면 목표 프로파일과 유사도 점수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유사도 점수의 추이를 통해 숙련 추이를 관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을 맥진 교육에 활용한다면 보다 정량적이며 과학적인 교육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교육의 효율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he pulse diagnosis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diagnostic process to traditional medical doctors, there is no proper communication tool between experts and trainee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indentation training system which consists of a hardware measuring indent pressure on artificial arm quantitatively and a software providing a indentation training program. The hardware for measurement of indent pressure profile includes 3 load cells embedded in the artificial arm, signal amplification part and digitization part, NI-USB 6009 with 200Hz sampling rate. For setting up a relationship table between weights and output voltages, 8 standard weights were used. To evaluate this hardware, 3 oriental medical specialists were involved and their indent pressure profile were recorded three times respectively. From these, it was found that pulse diagnosis process could be divided into 3 periods and the maximum load were 500g?f approximately while doctors perform a pulse diagnosis. The indentation training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LabView and designed to monit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sure profile of a expert and that of a trainee so to offer some visual feedback to the trainee. Also, this program could provide the trends of training performances. With this developed system, the education of pulse diagnosis is expected to be more quantitative and effective.

      • KCI등재

        对于中医实行的脉诊仪研究的需要调查

        김경철(金敬喆),김중한(金重漢),신순식(申舜植),김훈(金勳),이해웅(李海雄),김종환, 두승희(杜承禧),박주연(朴珠然),趙英日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0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2 No.3

        한중 맥진기 관련 학술 교류와 맥진기 수출을 위한 전략으로 중국의 광주중의약대학 중의사를 대상으로 맥진과 맥진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임상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활용도가 높은 전통적인 병증으로 장부병증과 팔강병증으로 나타났으며, 한방 진단방법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활용하는 방법으로 문진과 맥진으로서, 그 이유는 진단 효율성과 환자와의 상담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에서 한방 진단기기의 중요한 이유로는 측정기술과 데이터의 신뢰를 들었으며,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측정기술과 데이터의 신뢰성 부족과 전통적인 진단법을 보조하기엔 적합하지 못함을 들었다. 진단방법 중에서 맥진의 중요도와 활용도는 7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맥진법 중에서 가장 잘 활용하는 부위는 촌구맥진법으로 나타났다. 촌구 맥진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환자의 자세와 손목 높이와 촌관척 부위였으며, 單按과 總按의 순서는 總按후 單按이 단연 우수하였다. 임상의 중요 맥상으로는 浮沈을 들었으며, 맥상 형성 기전과 표준화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론은 위수형세론에 입각한 문헌 연구와 병증별 맥상에 대한 임상 데이터 구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표적인 노인 특유의 맥상은 미세약맥이었으며, 그 이유는 노화로 인한 체력저하와 기혈부족을 들었다. 그리고 맥진기와 연계하는 만성 생활습관병 병증지표 연구개발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병증체계는 장부병증이었으며, 질병은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에서의 활용도와 유의성이 높은 맥진기로써의 주된 기능으로는 오장육부 상태 진단을 들었으며, 맥진기의 임상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현대적인 임상 분야는 심혈관 질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맥진기 개발에 선행되어야 할 기반연구로는 촌관척 부위 찾기의 기준 확립과 임상 변증과의 관계 확립으로 나타났으며, 제공 받고자 하는 맥상 정보구성은 환자의 맥상명과 맥상 정도와 환자의 맥상에 따른 병증명 제시로 나타났으며, 제공되는 병증 서비스로는 장부병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脈診器를 이용한 中風患者의 臨床的 考察

        李始炯,申秉澈 대한동의병리학회 1999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3 No.2

        中風에 대한 객관적 진단방법 및 初期 腦卒中 患者(發病後 7日 以內)에 있어서 韓方의 四診중 脈診을 보다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脈診器(희수식)에 의한 脈診法을 임상적으로 硏究하고자 본 硏究를 시행하였다. 1998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圓光大學校 附屬 益山韓方病院 6內料에 入院하여 腦卒中으로 診斷받은 43名의 患者를 대상으로 脈診器(희수식)를 이용하여 맥파를 측정한 후, 뇌졸중 初期患者(發病後 7日 이내)에 있어서 측정된 脈診檢査 結果를 分類하고 考察하여 본 바, 虛證은 11名(25.6%), 實證은 32名(74.4%)으로 나타나 腦卒中 初期患者의 경우 實證이 虛證보다 2.9배 정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Stroke, which generally is known as Zhong feng(中風) is one three fatal diseases all over the world. Stroke which comes from the problem of circulation system such as blast or closure of brain vessels causes neurotic symptom such as abrupt unconsciousness, motor disorder or sensory disorder.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ulse wave by electro-pulse graph, which can express the pulse diagnosis among four diagnosis methods more objectively. And I analyzed the pulse wave for the electro-pulse graph by examining 43 early stoke patients(within 7 days after stoke onset), who were hospitalized in lk-San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Wonkwang university through the electro-pulse graph from January 1. 1998 to December 31, 1998. The study shows that patients classified Deficiency syndrome(虛證) are 11(25.6%) cases and patients classified Sufficiency syndrome(實證) are 32(74.4%) cases. And Sufficiency syndrome(實證) cases exceed 2.9 times than those of Deficiency syndrome(虛證) in early stroke patients. This implies that the electro-pulse graph is useful to diagnose stroke. More specified and continuous studies in this area are required to develop this method.

      • KCI등재

        맥진기를 위한 동잡음 검출 시스템

        이전(Jeon Lee),우영재(Young-Jae Woo),전영주(Young-Ju Jeon),이유정(Yu-Jung Lee),김종열(Jong-Yeol Kim)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5 No.5

        최근까지 맥진기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 요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재현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재현성을 평가하는 중요 파라미터 중 하나는 맥압의 크기이다. 그러나 맥압은 동잡음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잡음에 강한 맥진기 개발을 위하여 동잡음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맥 측정구간에서 동잡음이 있는 구간을 제외함으로써 맥진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잡음 검출 시스템은 3축 가속도 센서, 근전도, 2축 기울기 센서로 구성하였으며, 시스템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신장, 굴곡, 회전의 세 가지 동작에 대한 센서별 출력 신호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맥진 센서를 맥진 위치에 적용한 상태에서 고주파 동잡음 및 저주파 동잡음을 유발하여 각 센서별 출력 신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저주파 동잡음은 근전도, 가속도 신호, 기울기 신호 순으로 동잡음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정된 맥파 신호는 고주파 동잡음과 비슷하게 근 수축이 중단된 뒤 약 2초가 경과한 후에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동잡음 검출 규칙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구현한 동잡음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Despite recent studies on development of pulse diagnosis systems and needs for commercializing them, the reproducibility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as ever. Because the pulse pressure value,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parameters to evaluate reproducibility, is very vulnerable to moving artifacts, the reproducibility can not be obtained easily.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moving artefacts detection system for a pulse diagnosis system so that a pulse diagnosis system can be robust to theses kinds of artefacts by excluding the contaminated parts from the pulse wave signal to be analyzed. This moving artifacts detection system was designed to consist of a three-axis accelerometer, an electromyography amplifier and a two-axis tilt sensor.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system,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nsor’s output signals with regard to the three specific motions such as extension, flexion and rotation. And, we also examined the each sensor's response to the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moving artifacts while the pulse wave signal was acquired from a pressure sensor for the pulse diagnosis. From these results, we could find that the response to subject's motions would be reflected in electromyography signal first, in accelerometer signals and in tilt sensor sequently. And, the facts that a stable pulse wave can be acquired in two seconds after high frequency or low frequency motions ended, were also found. Consequently, based on these findings, we set up some rules on the moving artifacts detection and designed an algorithm which is fit for our moving artifacts detection system.

      • KCI등재

        팔체질의학 맥진의 신뢰성 연구

        이향숙 ( Hyang Sook Lee ),이용범 ( Yong Bum Lee ),신용섭 ( Yong Sup Shin ),김희주 ( Hee Ju Kim ),서정철 ( Jung Chul Seo ),이준무 ( Joon Moo Lee ),이혜정 ( Hye Jung Lee ),최선미 ( Sun Mi Choi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2 No.4

        배경: 체질의학에서 진단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팔체질의학의 맥진의 신뢰성에 대한 과거 연구가 거의 없었다. 목적: 본 예비연구는 팔체질의학의 맥진에 대한 진단자 간의 신뢰성 및 진단자 내의 신뢰성을 검사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팔체질의학을 이용한 진료 경력이 3년 내지 5년 되는 한의사 두 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31명의 건강한 대학생들의 팔체질을 맥진을 통해 진단하고 그 결과를 확신도와 함께 각각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이 중 5명은 각각 진단자로부터 3회씩 진단을 받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진단자 간의 신뢰성과 진단자 내의 신뢰성을 검사하였다. 아울러 진단에 대한 확신도와 결과와의 상관성이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대상자와 진단자는 서로를 알 수 없도록 가리개를 하고 실험을 진행 하였다. 결과: 진단자 간의 일치도는 35.7%였으며 카파 계수는 0.232로 보통 이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자 내 일치도는 진단자 별로 각각 89%, 66.83%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진단자 사이의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불일치하는 경우보다 진단자의 확신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팔체질의학의 맥진의 진단자 간, 진단자 내의 신뢰성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단의 변수가 많고 진단자의 숙련도나 대표성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소들로 인한 결과로 파악된다. 팔체질의학의 진단자 간, 진단자 내의 신뢰성에 대한 향후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불순의 철학: 얽힘-교차와 상관작용의 동아시아 존재론

        김태우 한국현상학회 202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94 N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discuss East Asian thought drawing on an anthropological fieldwork on East Asian medicine. This work follows the genealogy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and implements “empirical philosophy”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field. The tendency of East Asian thought to keep a certain distance from linguistic representation encourages the potential of philosophical discussions on practice in the field. Specifically, this article discusses medical practice related to pulse diagnosis and herb-nature of East Asian medicine. Pulse diagnostic practice provides a meaningful fiel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thers, activity and passivity. Herb-nature makes it possible to discuss the East Asi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e examination of the pulse and herb-nature of East Asian medicine summons Merleau-Ponty's concept of flesh a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And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deepens the discussion of East Asian ontology. Through the empirical philosophy of the practice of pulse and herb-nature, and the connection with Merleau-Ponty, what this article focuses on is the ontology of East Asia, that is a relational ontology of entanglement. East Asian thought can be considered the philosophy of non-purity that is different from Western philosophy, which emphasizes pure, individual and separate things and beings. 본 논문은 동아시아의학에 대한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사유에 관해 논해보려는 시도이다. 이것은 철학적 인류학의 계보를 이으며, 현장에서의 참여관찰을 통한 경험철학(empirical philosophy)을 수행하는 작업이다. 언어적 재현에 일정 거리를 두고자 하는 동아시아 사유의 경향성은, 현지에서의 실천(practice)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가능성을 고무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의학의 맥진(脈診)과 본초(약재)의 약성(藥性) 관련 의료실천을 주로 논의한다. 맥진의 진단 실천은 동아시아 사유가 기반하는 주체와 타자, 능동과 수동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현지를 제공한다. 또한, 약성은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에 대한 동아시아의 이해를 논의 가능하게 한다. 동아시아 의학의 맥진과 약성에 대한 고찰은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을 소환하면서 동서 사유의 대화 가능성도 열어놓는다. 이에 캐런 버라드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을 연결하여 동아시아 존재론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고자 한다. 맥진과 약성의 실천에 관한 경험철학, 그리고 메를로-퐁티와의 연결을 통해 본 논문이 주목하는 것은, 동아시아의 존재론이다. 몸, 타자, 자연에 대한 존재론적 기저 위에서 실천되는 동아시아의학은, 얽힘의 관계적 존재론을 제시한다. 이는 순수한, 개별적 토대를 강조하는 서구철학의 사유 지평과 차이가 있는, 불순(non-purity)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맥진의 형이상학: 동아시아 사유의 인류학

        김태우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2 비교문화연구 Vol.28 No.1

        화들의 사유방식은, 각 문화에서 호명하고, 관계를 맺는 “것들” 을 차이나게 한다. 한 문화에서 중요한 “것들”이 다른 문화에서는 주목받지 못한다. 그 “것들”과 “것들”에 연결된 실천들이 그 문화의 세계를 이룬다. 최근 인류학의 형이상학에 대한 관심은 이러한 사유의틀과의 관계 속에서 사회문화적 실천을 논의하려는 방향성을 가진다. 각 문화의 형이상학에 관한 인류학적 논의가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동아시아의 형이상학과 그에 연결된 실천에 관한 논의는 매우제한적으로 진행되어왔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의학의 맥진 실천을 통해, 동아시아의학의 실재와 실재성의 체계를 논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맥진을 강조하는 현동학당에서의 현지조사를 중심으로논의를 전개한다. 맥진에서는 진단하는 몸도 진단받는 몸도, 모두 목소리를 낸다. 고정된 대상을 측정하기보다는 손과 손이 얽힌다. 그 얽힘의 회절 무늬가 맥으로 드러난다. 관계성을 강조하는 맥의 실재와실천 속에서, 피할 수 없는 애매성은 타자와 관계에 대한 의미 있는 토론의 장을 제공한다. 이 논문은 실재들과 그에 대한 실천이 구성하는 세계를 가운데 둘 때 열리는 인류학 논의의 가능성을 예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속 측정한 양손 요골동맥 맥진파형의 수축기 시간과 혈압 특성 연구

        이동진,김수희,정재한,지종옥,이상석 한국물리학회 2017 새물리 Vol.67 No.9

        요골동맥 맥진파형의 수축기 시간(systolic time, S.time)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임상 실험 대상자의 상완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SBP)을 상승시켜 연속 측정 양손 맥진 실험을 수행하였다. 왼손과 오른손 상완에서 측정된 수축기 혈압과 손목에서 측정된 맥진파형의 수축기 시간을 서로 비교 분석한 결과 혈관 탄성도의 반대 개념인 동맥운동에 따른 혈관의 유순도에 매우 의존적이라 할 수 있었다. 왼손 수축기 시간 크기가 오른손 수축기 시간 크기 보다 큰 경우는 오른손잡이이며, 오른손 수축기 시간의 크기가 왼손 수축기 시간 크기보다 큰 경우는 왼손잡이였다. 양손잡이인 경우에서는 왼손과 오른손의 수축기 혈압과 수축기 시간이 서로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나 상관된 경향성을 알 수 없었다. The property of the systolic time (S.time) for the radial artery pulse wave with an enhancement of the brachial systolic blood pressure (SBP) was investigated by using continuous pulse measurements on four clinical participants.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pulse waveforms showed that the SBP and the S.time intimated a relation with the blood vessel’s compliance, contrary to the concept of one’s elasticity. In the case of a right hander, the S.time of the left pulse was always longer than that of the right pulse, and the right SBP was lower than the left SBP. In the case of a left hander, the S.time of the left pulse was always shorter than that of the right pulse. In the case of ambidexterity, the SBP and the S.time of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we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no relation between the two was recognized.

      • KCI등재

        영구자석과 홀소자로 구비된 집게형 맥진기를 이용한 맥진파형 측정과 분석

        손일호(Il-Ho Son),이상석(Sang-Suk Lee) 한국자기학회 2011 韓國磁氣學會誌 Vol.21 No.3

        We measured signals at the “Guan” region of a radially arterial pulse using the prototype of a clamping pulsimeter equipped with a Hall effect device, which is passed signals through the voltage detecting hard ware system. The important four different measuring times of the period, systolic, reflective, and notch peaks for a temporally pulse signal are obtained and compared each other from the analysis for an arbitrary pulse wave of one position of small size permanent magne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producible pulse rate and blood pressure by using the cuffless clip type pulsimeter without an unpleasant oppressive feeling due to the use of pressurization.

      • KCI등재

        奇經八脈의 脈診法인 氣口九道脈에 關한 硏究

        황정일,이준범,황민섭,윤종화 대한침구의학회 2005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2 No.4

        Objective : In this thesis we researched Qikooujiudaomai(氣口九道脈) which is one of pulse diagnosis method recorded in Maijing(脈經). Methods : We studied relativity of Shierjingmai(十二經脈) & Qijingbamai(奇經八脈), and different assignment of Shierjingmai(十二經脈) & Anzhenfa(按診法) of Qikoumai(氣口脈), Liubuding-weimaizhenfa(六部定位脈診法) and Qikoujiudaomai(氣口九道脈), Shierjingmai(十二經脈) for the principle of Qijingbamai(奇經八脈) pulse diagnosis method, Qikooujiudaomai(氣口九道脈).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Qikoujiudaomai(氣口九道脈) applied Qikoumai(氣口脈), Sambujiuhoujin(三部九候診) of <<Nanjing․Shiebanan(難經․券十八難)>>. 2. Interpreting the diagnostic sense of "Nei(內)․Wai(外)" word in Qikoujiudaomai (氣口九道脈) recored in <<Maijing(脈經)․Juanshi(卷十)․Shoujiantu(手檢圖)>> as Fuan(浮按)․Chenan(沈按)corresponds with Qikoumai(氣口脈), Sanbujiuhouzhen(三部九候診) which accepeted Sanbujiuhouzhen(三部九候診) of <<Su Wen(素問)․San Bu Jiu Hou Lun(三部九候論)>>. 3. The pulse shape of Qikoujiudaomai(氣口九道脈) does not appear independently unless the disease at Qijingbamai(奇經八脈) exist, and when one disease take sick, the pulse shape apears as Qishi(氣實).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