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십 유형의 분류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박영기(朴榮基),정영윤(鄭煐錀,) 경인행정학회 2009 한국정책연구 Vol.9 No.3

        본 논문은 주요한 리더십 모형들이 제시하고 있는 유형들을 고찰하고 이를 노자의 리더십 유형에 비추어서 검토하였다. 기존의 리더십 모형들은 리더십 유형을 민주형, 권위형, 방임형의 3가지로 분류하여 생산, 상황성, 추종자들의 준비성 등의 변수를 중심으로 분류를 확대하였으나, 최근에 다시 거래형, 변혁형, 방임형의 3가지 분류로 회귀하고 있다. 기존의 리더십 이론들의 경우 적절한 리더십 유형을 결정할 때 지도자와 추종자의 변수들에 대한 행동분류에 있어서 지도자의 경우 이분적 또는 삼분적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추종자의 분류를 함께 논의하는 경우 변수도 달라지거나 또는 삼분적 또는 사분적으로 구분되어 리더십 유형을 제안하는 논리적인 모순이 발견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리더십이론의 지도자와 추종자 사이의 분류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고, 지도자와 추종자의 다양한 행동분류 및 통제에 대한 논리적인적용의 중요성을 위해 노자가 분류한 리더십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자의 리더십 이론도 통제의 필요와 정도에 따라 최상(最上), 상(上), 중(中), 하(下)의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고 있어 지도자와 추종자의 상황의 사분적 분류와 함께 유행하고 있는 리더십 이론과는 지도자와 추종자의 상황에 따른 최상의 리더십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위의 이론들을 통제의 정도에 따라서 리더십 유형을 분류한 것으로 간주하여, 최근에 유행하는 3유형에 중도형을 포함한 리더십 유형인 권위형, 중도형, 민주형, 방임형으로 분류한 리더십의 이론과 함께 노자의 리더십 이론을 비교분석하여 기존 리더십이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하고, 노자의 리더십 이론의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근로자의 행복 수준 차이

        조현정,이현민,이유진 한국지식경영학회 2022 지식경영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A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을 유형화하여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근로자의 행복 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목표로는 첫째, A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을 도출하고, 둘째, A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구성원의 행복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 석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십 유형은 다음의 4개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1) 자기관리, 과업관리, 사람관리, 조직관리 영역별로 모두 완벽한 능력을 보이고 있 는 엘리트 리더십 유형, 2) 사람관리능력이 상대적으로 다소 부족하지만 자기관리 능력이 뛰어나고 그 외 과업관리, 조직 관리능력이 우수한 유능한 리더십 유형, 3) 사람관리가 다소 낮으면서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인 자기중심적 리더십 유형, 4) 자기관리는 보통수준이나 과업관리, 조직관리능력이 다소 부족하고, 사람관리 능력이 취약한 소극적 리더십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근로자의 행복 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 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고, 행복과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 리더십의 유형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박연경,황혜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4

        This study classifies young children’s leadership into four types and defines their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ir mothers’ child rearing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5.0 program.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hierarchical clustering, K-means clustering, one-way ANOVA and the Tuke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dership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relational, coordinated, potential, and creat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types are as follows: First, ‘relational leadership’ is characterized by proper regulation of emotion, respecting what others say and think, as well as by acquiring a good relationship with adults. It has low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ctivation, and conversion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compared to other leadership types. The mothers in this type of relationship show warm-hearted and accepting child rearing behaviors. Second, ‘coordinated leadership’ is characterized by creative and unique leadership activity to achieve goals through regulating his/her and peers’ thoughts in various situations. This type has high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ctivation, and dur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of children demonstrating this type of leadership also show warm-hearted and accepting child rearing behaviors. Third, the ‘potential leadership’ type is a latent one so is unlikely to be exposed outside. It has low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nd dur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compared children demonstrating other leadership types. Mothers in this relationship show permissive and liberal rearing behaviors. Fourth, ‘creative leadership’ is characterized by planning and achieving creative and new activiti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excellent adaptability to new environments. It has high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nd dur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of children who demonstrate this leadership type show warm- hearted and accepting child rearing behaviors. 본 연구는 유아가 보이는 리더십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관련 변인(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차이를 고려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리더십이라는 광범위한 개념을 구체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629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 45명이었으며, 유아 리더십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과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유아 리더십 유형은 관계적인 리더십, 조화로운 리더십, 잠재적인 리더십, 창의적인 리더십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적인 리더십’ 유형은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고 다른 사람의 말과 생각을 존중하여 또래와 성인과의 관계가 원만한 유형이다. 둘째, ‘조화로운 리더십’ 유형은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과 친구들의 생각을 적절히 조절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활동을 이끌어가는 유형이다. 셋째, ‘잠재적인 리더십’은 리더십 능력이 잠재되어 있어 아직 외부로 잘 표현되지 않는 유형이다. 그리고 넷째, ‘창의적인 리더십’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며 유아가 주도적으로 창의적인 새로운 활동을 계획하고 완성하는 유형이다.

      • KCI등재

        일탈행위를 한 교사를 둔 학교장의 개성에 따른 조직의 효율성 연구

        주종진(Ju, Jung Jin),이상직(Lee, Sang Jik),유경근(Yoo, Keoung Keun) 한국부패학회 2015 한국부패학회보 Vol.20 No.4

        본 연구는 일탈행위를 한 기관장이 가지고 있는 개인의 인성에 따라 조직의 효율성은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는데 착안한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지각하는 교사를 둔 학교장의 성격과 리더십을 파악하고, 학교조직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교조직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과 효과적인 학교조직의 운영을 위한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장의 성격유형별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장의 리더십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장의 성격유형과 리더십유형이 학교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장의 성격 및 리더십유형과 학교조직의 효과성 간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분석을 위해 서울․경기지역 소재 초등학교 교사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선행연구 결과와 상이한 부분도 있지만 성격유형과 리더십유형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격 유형별로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성격유형별 감각감정형, 감각사고형, 직관사고형, 직관감정형 4개의 성격유형 모두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에서 학교조직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제언으로 첫째, 자기기입식의 조사방법은 초등학교장의 성격유형과 리더십에 대한 평가가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계량화 또는 객관적인 성과변수를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장의 성격과 리더십, 학교조직 효과성을 교사가 지각하는 바에만 의존하면 결과가 과장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교장과 교사 간의 상 호작용 및 현장 관찰, 심층면담 등의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MBTI 외의 다른 성격 유형, 서번트․변혁적 리더십 외의 다른 리더십유형 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접인 인과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실증연구와 학교조직 효과성의 준거로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도, 학교운영위원회의 참여도 등을 포함시켜 연구의 범위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pose necessary measures to improve the school administration efficiency by examining a principal’s personality and leadership identified by fellow teachers and analyzing the two elements’ effects on the efficiency. In an effort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raises three major questions; how do elementary-school teachers identify leadership styles of their principals with each personality type?; what effects do their personality types and leadership styles have on the school management efficiency; how are the two factors related to the efficienc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mail to 470 elementary-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i Province. 422 of the collected data were eventual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below.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and leadership types relate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Leadership by characteristic types affects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as well. In other words, sense feeling type, sense thinking type, intuition thinking type, intuition feeling was a positive influence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By suggestion, that needs to be analysed in a quantification and consider to objective outcome variables. There needs to be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rincipal and teachers, field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etc. It is necessary that we consider other leadership type and include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chievement, school steering committee participation rate in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 한국형 도형심리유형과 리더십의 상관관계 연구

        곽용기(Yong Kee Kwak),윤천성(Chun Sung Yo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5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도형심리유형 검사로 도형심리유형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형심리유형과 리더십간의 상관관계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형은 한국도형심리교육연구소에서 표준화해서 개발한 한국형 도형심리유형 검사지 1(Korean Geometry Psychology Type IndicatorⅠ)(윤천성, 김재진, 김수자, 2014)을 사용하고 리더십은 상황적 리더십유형 분류 + 측정도구 LPC 척도검사를 통해 한국형 도형심리유형과 리더십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한국형 도형심리유형에 따른 리더십 유형은 대체적으로 후원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원형리더가 50명(32.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위임형리더 44명(28.6%), 코치형리더 42명(27.2%), 지시형리더 18명(11.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성격검사 결과 동그라미 87명(56.5%)로 가장 많았으며 네모 32명(20.8%), 에스 19명(12.3%), 세모 16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한국형 도형심리 성격유형과 리더십유형간의 유의수준 *p<0.05 에서 유의미한 결과값이 도출되어 차이분석에서 이론적 배경 연구결과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 한국형 도형심리유형과 리더십에 의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군 장병의 병영생활에 적용하여 지도 한다면 군의 사고예방과 활기찬 병영생활 지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ersonality type using the Korean Geometry Psychology Type Indicator. Based on the results, i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leadership. The Geometry Psychology Type Indicator used in this study is Korean Geometry Psychology Type Indicator 1(Chen-Seung Yoon, Jae-Jin Kim, Soo-Ja Kim, 2014) developed by Korean Geometry Psychology Education Institution. In addition, combined with situational leadership style classification, LPC scale examination (measurement instrument) is adapted to conduct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Geometry Psychology Type and leadership. According to the research, 50(32.5%)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of supportive leader, 44(28.6%) of delegating leader, 42(27.2%) of coaching leader, and 11.7% of directing leader, so the supportive leader was the most frequ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rsonality type test on subjects, 87(56.5%) of the subjects were 'circle' type, 32(20.8%) of 'square', 19(12.3%) of 's', and 16(10.4%) of 'triangle' so the circle type was the most frequ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eaningful result values were derived from a significance level *p<0.05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leadership sty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it is found out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personality type. It is believed that considering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adapting it to an barrack life would be strongly supportive to guide an barrack life towards more energetic and to reduce military accidents.

      • KCI등재

        CEO의 리더십스타일에 따른 위기관리 대비정도에 관한 연구 : 1997년∼2000년 국내 100대 기업을 중심으로

        유종숙 한국PR학회 2007 홍보학연구 Vol.10 No.3

        급격히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은 위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위기관리에 대한 최고 경영자(CEO)의 리더십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한국 기업의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과거에 위기관리와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별개로 진행되어 왔고, 외국에서는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진행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전무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첫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경험했던 위기유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각 위기유형에 따른 위기 대비 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각 위기관리 단계별 위기 대비 정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했다. 본 연구는 CEO의 리더십 스타일과 기업의 위기관리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첫 번째 실증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100대 기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100대 기업이 경험한 위기의 유형을 살펴보면 ‘경제적 위기유형’과 ‘정보관련 위기유형’이 ‘생산 및 판매 과정의 위기유형’과 ‘정신병리학적 위기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를 분류 항목 별로 살펴보면 경제적 위기의 경우에는 ‘경영 자금 부족 및 자금 순환의 어려움’이, 정보관련 위기의 경우에는 ‘기업의 이미지 손상이나 악성 루머’가, 제품 생산 및 판매 과정상의 위기의 경우에는 ‘운영 미숙’이 그리고 정신 병리학적 위기 유형의 경우에는 ‘노동 쟁의로 인한 위기’가 가장 많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각 위기 유형별 위기 대비 정도는 거래적 리더십 스타일이 가장 대비가 잘 되어 있으며,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과 카리스마적 리더십 스타일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생산 및 판매 과정’에 대한 위기 대비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위기관리 단계별 위기 대비 정도는 전체적으로 거래적 리더십 스타일이 가장 잘 되어 있으며, 다음으로는 항목별로 카리스마적 리더십 스타일과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의 순으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In today’s world, it is no longer a question of whether a major crisis will strike any organization. It’s only a matter of when, which type and how. Therefore a Chief Executive Officer (CEO)’s role related to crisis management becomes more important.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of companies are few in Korea and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done separately in the past. The studies of the correlation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partially done in the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crisis preparednes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tudy objectives are (1)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crisis types experienced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2)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crisis typ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3)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each crisis phas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urvey had been done on the Korean major compan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economical crisis type’ and ‘informational crisis type’ are higher than ‘production/sales crisis type’ and ‘psychopathic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shortage of money and money flow’ is high in case of ‘economic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disgrace of company image and bad rumor’ is high in case of ‘information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unskilled operation’ is high in case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labour dispute’ is high in case of ‘psychopathic crisis type.’ 2.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is higher than the other leadership styles.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formational and the charismatic are almost same. Meanwhile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is higher than of any other crises. 3.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o the crisis management phases is higher than other leadership styles. The prepared level of the charismatic leadership is slightly higher than the transformational.

      • KCI등재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 척도 개발

        신재한(Jae-Han SHI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2

        본 연구는 좌뇌와 우뇌의 수평적 뇌 차원과 대뇌피질-변연계-뇌간의 수직적 뇌 차원을 고려한 6개 유형으로 구분함으로써 리더십 유형을 진단할 수 있는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예비조사와 본 조사 과정을 거쳐서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512명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의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항 분석, 문항-전체 상관 분석 방법,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은 분석가 유형 11개 문항, 실험가 유형 9개 문항, 운영자 유형 11개 문항, 조정자 유형 14개 문항, 개혁가 유형 14개 문항, 봉사자 유형 12개 문항 등 6개 영역 71개 문항을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 검사를 통해서 두뇌 성향과 특성을 고려한 리더십 유형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전뇌(whole-brain) 통합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rain-friendly leadership type scale that can diagnose leadership type by dividing them into six types, considering the horizontal brain dimensions of the left and right brain and the vertical brain dimensions of the cerebral cortex, limbic system, and brain ste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512 research subject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rough preliminary and main investigation processes from June to December 2017. In particular, question analysis, question-total correlation analysis method,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guration feasi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velop brain-friendly leadership type scale. As a result of this study, 71 questions in 6 areas were developed, including 11 questions of analyst type, 9 questions of experimenter type, 11 questions of operator type, 14 questions of mediator type, 14 questions of reformer type, and 12 questions of volunteer type. The brain-friendly leadership typ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identif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eadership types considering brain propensity and characteristic, as well as develop a program that can demonstrate whole-brain integrated leadership.

      • KCI등재

        학교장의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 분석

        박세훈,이정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통해 그 가설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값이 88.901(df=37, p=.000), RMSEA=.059, GFI=.963, AGFI=.933, RMR=.017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수용할 만한 권장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가설적 인과관계 모형은 수용할 만한 좋은 모형으로 판단 내릴 수 있다. 특히, 구조모형에 나타난 잠재변인간의 검정통계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변혁적 리더십관료적 결합(CR=-4.516), 변혁적 리더십문화적 결합(CR=18.949), 변혁적 리더십이완적 결합(CR=17.945), 거래적 리더십관료적 결합(CR=43.000) 간의 인과계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학교조직의 결합력 형성에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조직의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 형성에 실증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즉, 학교장의 감화동기, 지적자극, 개별배려 등의 변혁적 행동들은 학교조직의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을 더 견고히 해 줄 것이다. 따라서 학교장은 학교조직의 효과성 증진을 위해 관료적 결합보다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을 결속시키는 결합기제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배드민턴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운동몰입 및 선수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동수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2019년 기준 국내대회 참가 경험이 있는 대학부 배드민턴 선수를 대상으로 배드민턴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운동몰입 및 선수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지도자 유형, 운동몰입, 선수생활만족을 분석한 결과 훈련과 지시 유형, 민주적 유형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목에 구분에 따라서 는 민주적 유형, 운동몰입의 행위몰입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 지도자 리더십 유형과 운동 몰입, 선수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요인 간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배드민턴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운동몰입 및 선수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훈련과 지시 유형, 긍정적 보상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긍정적 보상 유형, 민주적 행동 유형으로 나타났다. 선수생활만족의 과제수행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사회적 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 배드민턴 선수의 효과적인 훈련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민주적 행동을 토대로 선수들이 긍정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지지하는 형태의 리더십 유형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ership leadership type on athletic commitment and player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playing badminton who have participated in domestic competitions as of 2019.The data collected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der type, sports commitment, and athletes'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leadership type's training, instruction type, and democratic typ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havioral commitment of exercise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adminton leader leadership type, exercise commitment, and player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correlation between factors.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style of badminton leaders influenced sports commitment and player life satisfaction. Accordingly, in order to build an effective training system for college badminton player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ype of leadership that supports players to feel positive emotions based on democratic behavior.

      • KCI등재

        현대적 리더십 유형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육군 지휘관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이삼주,박상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본 연구는 군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 감성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이 부대유형별 특수부대, 상비부대, 향토ž동 원부대, GOPž해안 독립부대, 교육기관ž훈련소 부대가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얼마나 영향이 있는가와 그 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주안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 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 두 가지 연구를 활용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설계에 필또한, 지금까지의 주요 리더십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신세대 장병에 대한 이해, 새로운 리더십 이론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특징 및 변혁적 리더십과 감성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이론의 주요내 용(개념, 구성요인, 측정자료)과 조절변수에서 조직효과성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정한다. 실증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감성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이 부대유형과 조직효과성에 미치 는 영향과 부대유형이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을 조절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out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o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in military organizations affect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mmission satisfaction,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by special forces, standing forces, GTO, independent units on the coas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raining unit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 intend to utilize two studies, the literature and the empirical studies, in this paper.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e also set up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major leadership theory so far, understand the soldiers of the new generation, set up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leadership theory,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and set up and study the hypothesis fo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main contents (concepts, components, measurement data) and variables. Empirical research is aimed at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emo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on sub-typ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whether sub-type controls leadership typ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