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대중문화와 패션

        정주은,정현숙,김혜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3

        러시아는 체제전환으로 사회적·경제적 변화를 겪으면서 다양한 사회적 현상과 대립을 반영하는 대중문화가 형성되었다. 보편적인 문화 현상인 대중문화와 달리 러시아만의 독특한 사회적인 특성이 드러나는 러시아대중문화는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러시아 대중문화의 유형을 분석하고 같은 시기 러시아 패션에 나타나는 러시아 대중문화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러시아패션이 대중문화의 흐름과 유형변화에 영향이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기존의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혼합과 함께 국가적인 주도의 단일문화 시스템을 형성했던 스탈린 시기의 패션은 단일화된 문화적 유형의 특수성으로 개인적 욕구가 제한되었다. 그러나 대중들은 제한된 현실 속에서도 대중문화가 내포하는상업적인 의미와 자기표현 욕구를 패션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였다. 단일문화는 이후 서구의 고급 엘리트 문화와 대중문화가 합쳐지는 것과 같은 형식으로 공식과 비공식 문화의 이중구조로 형성된다. 러시아의 역사적특수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대중문화는 그것이 내포하는 이상적 추구, 계급적 구분의 철폐와 관계되었고 공식적인 가치로서 정부가 요구하는 세련된 스타일과 대중이 지향한 패션스타일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대중의 체제에 대한 불만을 저항을 바탕으로 한 하위문화를 통해 표현하였다. 문화적 다원주의 구도의 포스트소비에트 시기가 되면서 여성에게 패션은 가장 중대한 자아 표현의 한 부분이 되었고 이는 패션 소비 욕구로나타났다. 이들의 패션은 과거의 사회적 체제하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나타내는 현대적인 패션을 통해변화하고 있는 러시아를 표현하고, 러시아의 전통적인 가치들을 활용하여 서구적인 요소와의 결합을 통해문화다원주의가 표현하고자 하는 가치의 공존을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Russia, as the social economic changes were experienced due to the system transformation, the popular culture reflecting the various phenomena and conflicts was formed. Accordingly, by analyzing the types of Russian pop culture depending on the social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n pop culture appeared in Russian fashion at the same period of time, this study aims to specifically reveal that Russian fashion may affect the flow and type changes of pop culture. A single culture, later, was formed as the dual structure of formal and informal cultures in the same format as the western high-level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were merged. The popular culture, formed based on Russian historical distinctiveness, was associated with the abolition of ideal pursuit and class distinction which it contained; appeared differently as the government-required refined style as an official value and the public-oriented fashion style; and expressed the complaints of the public about system through the sub-culture based on resistance. Entering the post-Soviet period of the cultural pluralism structure, the fashion for women became the most significant part for self-expression, which appeared as the fashion consumption desires. We could recognize that their fashion represented Russia being changed through the modern fashion expressing the new values by getting out of the past social system, and was expressing, through fashion, the coexistence of the values which the cultural pluralism would try to express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western elemen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Russian traditional values.

      • KCI등재후보

        러시아에서의 한국 문화 수용 현황 연구

        이지연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9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3 No.2

        This report investigates how Korean culture was embraced in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the context of cultural differentiation of Post-Soviet Russia. Especially, this report analyzes what made possible the wide spread of Korean home appliance, automobile, and IT industry goods, which were the most influencing in the formation of national brand image of Korea in Russia, based on Russian people's propensity to consume and economic condition and furthermore, traces the following infiltration process of cultural products including Korean movies into the Russian popular culture. Korean culture accepted in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s dominated by economic factors rather than exchange of cultural products itself, so it was visible mainly in the field of life culture or pop culture rather than high culture. In this period the process of recognition of Korea by Russians was not other than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Korean products such as home electronics goods, computer, cellular phone and automobile. Korean cultural products could take root in Russia in the result of enhancement of Korea's national image in the economic and industrial aspects. This report investigates such specificities in the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by Russians, focusing on three cultural fields - electronic goods, "digital Korean wave" and Korean movies and also diagnoses the perspectiv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in Russia in the cultural and psychological context of Russians. 이 논문에서는 수교 이후 러시아에서 한국문화가 수용되는 방식을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사회의 문화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고찰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러시아에서 한국이라는 국가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 분야라 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자동차, IT산업의 상품 파급의 과정을 러시아인들의 소비성향과 경제 상황을 바탕으로 분석하며, 더 나아가 러시아 대중문화의 새로운 흐름 속에서 한국 영화를 비롯한 문화상품들이 문화 층위 속으로 침투해 가는 과정을 추적한다. 러시아의 경우 수교 이전 한국과의 문화교류는 전적으로 북한문화로 한정되어 있었다. 철의 장막을 통과할 정도의 남한 문화란 러시아에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수교 이후 러시아에 수용된 한국문화는 문화 자체의 교류라기보다 경제적 교류의 결과 수반된 현상이 주를 이루며, 따라서 고급예술문화보다는 생활문화, 또는 일부 대중문화의 영역에서 보다 가시적으로 나타난다. 수교 이후 러시아가 한국이라는 나라를 인식하는 과정은 한국의 상품이 인정받는 과정에 다름 아니었다. 실제로 TV나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 컴퓨터, 핸드폰, 자동차 관련 한국 제품이 러시아 시장에서 얻은 인기는 ‘경제ㆍ산업적 측면에서의 한류’로 비유될 만하다. 오히려 한국의 문화상품은 이러한 경제적 산업적 측면을 통한 한국의 국가 이미지 개선을 바탕으로 러시아에서 뿌리내릴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러시아 내 한국문화 수용 과정의 특수성을 러시아에서의 전자제품, 자동차 및 디지털 한류, 영화를 비롯한 문화산업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러시아 내에서의 한국문화 수용 촉진을 위한 정책적 방향과 발전전략을 러시아인들의 문화적, 심리적 콘텍스트 속에서 진단한다.

      • KCI등재

        ‘모드’를 통해 본 프랑스-러시아 문화 비교

        문경자(Moon, Kyung-Ja),길윤미(Kil, Yoon-Mi)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4 동서인문 Vol.0 No.1

        루이 14세 시대 화려한 궁정문화를 전 유럽에 하나의 모델로 제시하며 의상뿐만 아니라 생활양식을 유행시킨 이래로 프랑스는 ‘아 라 모드’라는 프랑스어를 널리 퍼트릴 정도로 유행의 중심에 있는 나라가 되었다. 샤넬 등 현대적 디자이너들이 의상에 가져온 민주적 혁신 또한 프랑스의 모드를 세계화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그런 한편 프랑스에서는 집단적으로 어떤 스타일을 모방하는 현상으로서 유행을, 남의 환심을 사고 주목을 끌려는 동기와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속성 때문에, 불안정하고 경박하고 인간의 허영심을 부추기는 것으로 보는 부정적인 시각 또한 끊이지 않았다. 오늘날 프랑스 사람들만큼 무조건 유행을 따르는 것을 경멸하고 자기만의 스타일로 개성을 보여주려는 경향이 강한 사람들도 없다. 러시아 모드의 중심에도 프랑스 모드가 있었다. 18~19세기 러시아 귀족 사회에서는 옷차림뿐만 아니라 행동방식까지 ‘프랑스 식 모드에 맞게’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런 한편 세기 19후반까지 농노제가 유지되었던 러시아의 농민사회는 프랑스식 모드와 상관없이 전통 의상을 보존했다. 이로써 러시아 의상과 모드에 있어서도 러시아 문화의 전형적인 이중구조 귀족-농민 서구-러시아 신 구의 대립이 뚜렷이 드러난다. 러시아의 프랑스 모드 수용은 자연스러운 문화적 교류라기보다 정부 정책에 의해 상류층이 적극적으로 수용했던 만큼 하층계급에까지 파급되지는 못한 것이다. 러시아 문화의 발전이 서구 문화에 대한 모방에서 시작된 하나의 포스트 모던적 실험이라는 견해가 있을 만큼 러시아 문화의 형성에서 프랑스 문화가 갖는 영향력은 컸다. 그러나 일단 수용된 이후 아무리 적극적 모방의 시기를 거친다 하더라도 그것은 토착 문화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러시아 문화의 한 구성요소로서 제 정체성을 형성해가기 마련이다. 이런 측면에서 19세기 말, 20세기 초 혁명기와 소비에트 체제를 거치면서 프랑스 모드와 별개로 등장한 러시아 모드 특유의 성격에 주목할 수 있겠다. 이 시기 나타난, 유럽 스타일에 러시아적 전통 요소를 혼합하여 민족적 특성을 살린 러시아적 스타일에 대한 분석은 어떤 문화의 유입이 자국문화에 흔적을 남기는 양상에 대한 고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Ever since bringing its outfit as well as lifestyle suggesting splendid court culture of Louis XIV period as a model into the whole of Europe, France became a country at the center of trend disseminating French named ‘A la Mode’. Democratic innovation that modern designers like Chanel etc. brought to costume contributed greatly to globalization of the mode of France as well. Meanwhile, as a country that sets the trend, viewpoint that considers mode negatively as unstable, frivolous and the one that is related to human vanity as a phenomenon of emulation was also unceasing. Today, no other people despise of unconditionally following the trend and have a strong tendency to originality with one’s own style than French people do. There was also French mode at the center of Russian mode. During the period of 18th~19th century, the aristocratic circles in Russia gave considerable thought to ‘match the French mode’ not only in dress code but in the mode of behavior. On the other hand, farmers’ society of Russia that serfdom was maintaine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preserved their traditional outfit irrespective of French mode. With the above, a traditional dual structure in Russian culture, that is antagonism among aristocrat-farmers, the Western Europe-Russia and the old-the new appears distinctly in costume and mode of Russia. Russia’s acceptance of French mode was not able to be spread to the lower classes as the upper class actively accepted by the government policy rather than spontaneous cultural exchang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as even a point of view that development of Russian culture is a post modern experiment that started from emulation of western culture, French culture held great influence on formation of Russian culture. No matter how culture passes through positive period of emulation after it is accepted, however, culture is bound to form its own identity as one element of Russian culture by interacting with indigenous culture. In that respect, Russian mode’s own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going through the time of revolution and Soviet System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in isolation from French mode is worthy of notice. Analysis on the Russian style that made use of racial peculiarities by mixing Russian traditional elements with European style which appeared during the above time period would be the consideration on the aspect that influx of a certain culture leaves a trace on one’s native culture.

      • 러시아 문화 지형에 나타난 문화코드로서의 ‘결혼’ 연구

        이승억(Seung Eok Lee)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2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8 No.-

        인간의 가장 중요한 관계 형성의 출발점이 되는 ‘결혼’ 의식과 그 의미는 러시아 문화 지형에서 다양한 형태로 의미화되어 발현된다. 특히, 러시아의 경우 슬라브 전통, 유럽화, 1917년 혁명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시대별로 결혼의 의미가 동시대 유럽과는 사뭇 다른 형태로 표출되곤 하였다. 러시아의 결혼문화는 18세기 표트르 대제의 서구화 정책 이전까지는 슬라브 민간 신앙과 러시아 정교의 독특한 혼합 속에서‘축제와 잔치’라는 개념으로 진행되었다. 서구화 이후 러시아의 결혼 문화는 복잡한 양상을 지녔지만, 기본적으로는 가족과 가족, 가문과 가문의 결합이라는 사회관계망 속에서 출세와 입신의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이후 전통 유산과의 단절을 기치로 내세운 혁명 정부에 의해 전통적인 결혼 문화는 지양되었고, 작스(결혼등록소)에서 간략한 예식과 신고를 하는 것으로 대치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소련 시대에는 더욱 자유로워진 성 의식과 향상된 여성의 지위로 인해 전통적인 가정과 결혼의 의미가 변화하였다.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에 러시아에서는 서구 자본주의 영향으로 간소한 결혼의식과 화려한 결혼피로연이 정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문화지형에서 다양한 시기에 발현된 ‘결혼’을 ‘문화 코드(culture code)’의 개념을 통해 문화적 의미화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문화 코드는 개개인, 한 국가나 민족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고 행동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의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유의미한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문화지형에서 ‘결혼’의 의미를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하여 ‘결혼’의 기원과 개념을 살펴본 후, ‘결혼’의 문화적 의미가 시대를 변화하면서 어떠한 형태로 변모되는지를 문학 작품 등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고찰해볼 것이다. The ritual of 'marriage' and its meaning,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forming the most important human relationship, is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the Russian cultural landscap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ussia, the meaning of marriage was expressed in a form th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contemporaneous Europe as it went through the processes of Slavic tradition, Europeanization, and the 1917 revolution. Until the westernization policy of Peter the Great in the 18th century, Russian marriage culture was conducted under the concept of ‘festival and feast’ in a unique mixture of Slavic folk beliefs and Russian Orthodox religion. After westernization, the Russian marriage culture had a complex aspect, but it was basically recognized as a means of success and advancement in the social network of family and family, family and family union. Afterwards, the traditional marriage culture was abolished by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which set the banner of severance from traditional heritage, and was replaced with a brief ceremony and declaration at the Jax (marriage registry). In addition, during the Soviet era, the meaning of traditional family and marriage changed due to a more liberal sexual consciousness and improved status of women.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simple wedding ceremonies and splendid wedding receptions were established in Russia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capitalism. In this paper, we try to make cultural meaning through the concept of 'culture code' of 'marriage' that appeared at various times in the Russian cultural landscape. The cultural code acts as a meaningful mean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living and acting of an individual, a country, or a nation.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origin and concept of 'marriage' by focusing on the cultural code of the meaning of 'marriage' in the Russian cultural landscape, and then examines how the cultural meaning of 'marriage' changes over time as a literary work. We will consider it through concrete examples.

      • KCI등재

        20세기로의 전환기 영국에 불어온 러시아 바람: 디스토피아의 역설인가?

        이민경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6

        This paper focuses on the spread of enthusiasm for Russian culture in British Society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when immigration regulations, foreign violences & chaos, and revolutions & exiles have shaken the times. Until the first half of the Victorian era, Russia was regarded as an underdeveloped country ruled by the autocracy. However, this negative thinking on Russia has become encountered the phase of change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here examines the proliferation of Russian culture in Britain following the British pro-Russian paths from the viewpoint of political interests and cultural diplomacy. In this process, this study shows that the British passion for Russian culture was, at the first hand, a result of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tensions that the two countries have had. And it confirms that the pro–Russian cultural intention was based on the purpose of ‘to know about Russia,' first and on the intention to emphasize the ally Russia with cultural heritage next to Germany. In addition to this, it discovers Russian culture recognized to be represented 'barbarism' and 'wil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century British society,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ceive a source of more influential progressive modernism with more power than just ‘Orientalism.’ Thus the uniqueness of Russian culture and art, which has a "primitive", "pure", and "future-oriented" and radical experimental spirit, apart from political movements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made sustain the Russomania in the free climate of the British Society. And it emphasizes that it is a unique path of cultural politics that the political diplomatic context does not easily overturn the cultural foundation that is the will of the people together and supports.(Korea University) 본고는 20세기 전환기 영국에서 이민 규제 등의 상황, 혁명과 망명이 시대를 뒤 흔들던 때, 러시아문화에 대한 열기가 함께 확산되었음을 주목하고 있다. 정치적 이해관계 및 문화외교라는 관점에서 영국의 친러시아적 행보에 따른 영국내 러시아문화의 확산을 관찰한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영국의 러시아 문화에 대한 열정은 일차적으로 두 나라가 가졌던 정치 · 외교적인 긴장 속의 산물이었다는 것, ‘러시아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목적성, 독일에 버금가는 문화유산 소재국으로서 동맹국 러시아를 강조할 목적성이 내포되었음을 확인한다. 이와 더불어 러시아문화가 영국 문화계에 진보지향적 모더니즘의 원천을 전수받는 기회를 제공했음을 발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러시아 문화예술의 독특함이 영국의 자유로운 풍토에서 ‘러시아 열기’를 이어가도록 했고, 모더니즘예술의 자생력과 함께 대중이 지지하는 문화를 정치외교 문맥이 쉽사리 전복시키지 못한다는 문화정치학의 행보를 강조한다.

      • KCI등재

        러시아 문화산업 정책의 현황과 과제

        송정수(Song, Jung S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노어노문학 Vol.29 No.1

        본 논문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내에서 문화산업 지원 및 발전을 위해 제정, 실행된 다양한 정책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시에 ‘문화’ 및 ‘문화산업’이라는 개념이 서구유럽의 문화현장과 러시아인들의 전통적인 사고방식 속에서 어떤 식으로 다르게 작동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러시아적으로 특화된 ‘문화’의 개념을 짚어보고, 그것이 문화산업 발전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분석해본다. 이와 함께 현재 과도기적 과정을 겪고 있는 러시아 문화산업의 현주소를 말해주는 일련의 현상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문화에 대한 관점의 전환, 즉 ‘순수 예술’과 ‘창작’의 영역에서 ‘산업’과 ‘경제’의 영역으로, ‘향유’의 영역에서 ‘투자’의 영역으로 문화를 바라보려는 관점의 변화는 매우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문화에 대한 관점 전환의 결과, 러시아 문화계 내에 다양한 문화수행 주체가 생겨나는 상황을 관련 정책과 법령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본다. 이와 더불어 ‘문화자본 투자’ 및 ‘예술후원’에 관한 새로운 시각과 요구가 조성되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조명해본다. 더 나아가 러시아 문화산업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로서, 서구식 ‘문화 클러스트’를 모방한 ‘아트 플랫폼’ 사례를 분석하며, 러시아 문화산업의 차별화 지점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해본다. 이처럼 서구와 다소 다른 방식으로 발전해 나가는 러시아 문화산업 및 관련 문화정책의 현주소를 추적해보는 일련의 작업을 통해, 러시아 문화산업 발전을 위해 보완되어야 할 사항들을 점검해보고, 향후 전망을 가늠해본다.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the various policies that have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for the support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n Russia in the post-Soviet period. At the same time, we examine how the concepts of ‘culture’ and ‘cultural industry’ work differently in the Western European cultural scene and in the traditional Russian way of thinking.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 of ‘culture’ that has developed in Russia, and analyze how it has had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its cultural industry. To this end, we will focus on a series of phenomena that reveal the present status of the Russian cultural industry that is currently in a state of transition. It has become a very noticeable phenomenon, especially in the 21st century, to transfer the perspective on culture from the field of fine arts and creativity to the field of industry and economy, and from the field of enjoyment to the field of investment. In this article, we will analyze the changed situations in which various cultural performers in Russia find themselves due to the change in perspectives on culture arising from the related policies and laws. In addition, we will focus on the process of creating new perspectives and demands on ‘cultural capital investment’ and ‘art sponsorship’.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status of the Russian cultural industry, we will analyze the case of an ‘art platform’ imitating the Western style of ‘culture clusters’, and clarify the differentiation points in the Russian cultural industry. Through this series of work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Russian cultural industry, and the related cultural policies in Russia that have developed in a somewhat different way from the West, we will review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the Russian cultural industry in future, and also evaluate the prospects of this industry.

      • KCI등재

        21세기 러시아 문화정책 차원에서 바라본 메가 스포츠이벤트

        송정수 ( Jung Soo S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3 No.-

        현대 러시아의 대내외정책 차원에서 ``소프트 파워`` 전략은 국가정책 실현을 위한 중요한 동인 중 하나로, 새로운 형태와 실현 방식을 모색해 나가면서 더욱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러시아 정부는 ``소프트 파워``의 적극적 활용에 기대어,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러시아의 문화정책 역시 크게 두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양상이다.현재 푸틴 대통령을 중심으로 구성된 크렘린 권력 수뇌부는 대내적으로 ‘애국심’, ‘문화적자긍심’을 바탕으로 단합과 단결을 추구하고, 대외적으로는 ‘강한 러시아’의 위상을 회복시킴과 동시에 과거 소비에트와 차별화 된 ‘새로운 러시아’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양상이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메가 스포츠이벤트’라는 핫 이슈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이러한 대내/대외 정책 노선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이에 본 글에서는 러시아 소치 올림픽을 중심으로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은닉된 정치적 메커니즘을 러시아 대내/대외 문화정책 차원에서 분석해본다. 동시에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그 이후의 행보를 추적해봄으로써 단기적으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경제적손실을 충분히 보상하고, 국가 브랜딩 기법을 통한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 구축 및 전파전략에 상응하며, 동시에 러시아의 대내/대외 문화정책을 만족시키는 훌륭한 ‘소프트파워’의 일환으로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주요 기능 및 정치적 차원에서 발휘되는 영향력을 짚어본다.또한 메가 스포츠이벤트 효과에 대한 자국민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2014년 소치 올림픽 대회 전후로 ‘전러시아 여론정보센터(ВЦИОМ)’에서 실시한 다양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적용해 본다. 동시에 앤홀트의 ‘국가브랜드 지수(NBI)’ 및 영국의‘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에서 실시한 국가 브랜드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계기로 러시아의 대외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 실제 크렘린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대내외 정책 노선이 현실 차원에서 어느 정도까지 그 성과를 이룩했는지 추적해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가현 러시아 정부의 문화 정책적 관점에서 지니는 의의를 규명하고, 러시아 문화정책 기본 방향에 관한 지형도를 그려보는 동시에, 세계무대에서 러시아의 위상과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의 향방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strategy of "soft power" in the foreign and internal policies of modern Russia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ies,and the influence of soft power is increasingly becoming stronger and gaining new for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The Russian government exerts efforts to form a positive image of Russia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based on active use of "soft power."Currently, Russian cultural policy is developing in two main directions. In the internal policy sphere, the Russian government emphasizes national unity and civic solidarity, and fosters a sense of patriotism and national pride. In the sphere of foreign policy, the Russian government is attempting to regain its status as a great power and to create a new image of Russia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Soviet Russia.In this article, we examine and analyze various aspects of the hidden political mechanisms involved in mega-sporting events, in particular the Sochi Olympics,from the viewpoint of Russian internal and foreign policy. We address the major functions of mega-sporting events and their influence in the political realm.The political impact of mega-sports projects can even compensate for economic losses incurred during the preparation and hosting of the Olympic games. In this respect, we can define mega-sporting events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soft power; such events reflect the basic directions of internal and foreign policy in post-Soviet Russia, which are to form and promote an image of Russia using national branding.In order to fairly and objectively analyze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held by Russians of the significance of mega-sporting events, in this work, we carefully studied the results of various surveys conducted by the Russian research organizationVCIOM (Russian Public Opinion Research Center) before and after Russia hostedthe Winter Olympic games in Sochi (2014) and the Summer Olympic games in Kazan (2013).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national brands by Simon Anholt (Anholt Nation Brands Index - NBI), and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100 national brands conducted by the British consulting company "Brand Finance"(Brand Finance Nation Brands 100), we minutely trace the development and qualitative change in Russia``s image and the role of the mega-sporting projects.This article also examines the Kremlin``s internal and foreign policies that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in practical terms.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mega-sporting ev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policy of the current ruling party of Russia.This standpoint allows us to outline the main directions of Russian cultural policy and to suggest perspectives on the branding strategy of modern Russia, including strategies related to consolidating Russia``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 KCI등재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러시아 대중문화 - 개념과 구조의 재형성

        이문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8 중소연구 Vol.32 No.1

        대중문화의 지위 향상과 그 기능의 확대는 현재 전 세계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러시아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자본주의와 발생적 연관을 갖는 서구적 의미의 대중문화는 70여 년의 사회주의 역사를 경험한 러시아에 있어서는 매우 최근의 현상이다. 사회주의 러시아에 존재한 대중문화는 높은 이념적 포텐셜과 비상업적 성격으로 인하여 서구적 대중문화와 질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소련의 대중문화에서의 ‘대중’은 상품의 소비자로서의 대중이 아니라, 계급차별이 철폐된 사회의 대표자로서의 대중이어야 했다. 1990년대 이후 체제전환과 지구화에 직면한 러시아에 있어, 대중문화는 이러한 내외적 대격변을 보다 첨예하게 반영하는 문화영역이 되었다. 따라서 러시아 대중문화는 보편문화현상으로 대두한 대중문화의 특성을 러시아만의 특수한 문화사적 차원에서 조명함으로써, 현대 러시아를 효과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먼저 러시아 대중문화에 대한 기존 연구동향을 소개하고, 이후 스탈린 시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러시아 대중문화의 역사를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단일문화-이중문화-다문화 패러다임)에 따라 세 시기로 분류하여 이 패러다임의 특징을 집중적으로 반영하는 장르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현대 러시아 대중문화 고유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 KCI등재

        푸틴 시기 러시아 문화 권력의 변화 - 문화페스티벌의 기능과 역할을 중심으로 -

        장한 ( Jang Han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3

        ‘강한 러시아’의 기치를 걸고 러시아 국가정체성에 호소하여 높은 지지율을 유지해가는 푸틴 정부는 러시아 국가성에 부합하는 문화 예술적 흐름에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러시아 문화 예술이 갖는 소프트파워의 가치를 키워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정한 문화 권력이 형성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해외 문화 시장과 자유로운 교류를 허용하고 러시아 문화계가 주최하는 각종 문화페스티벌을 장려하여 러시아 내 문화 환경에서 문화 권력의 위계질서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푸틴 시기 러시아 문화 권력의 변화 양상을 분석, 고찰하여 러시아의 문화 권력이 국가 주도의 문화 정책에 의해 행사되고 있으며, 이는 문화부가 펼치는 각종 문화예술 프로그램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국가 예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국가 주도의 문화 정책의 이면에는 푸틴 3기 이후 러시아의 보수주의 국가 이념이 반영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The Putin government has maintained a high approval rating by setting the goal of a “strong Russia” and appealing to Russian national identity. In addition, the Russian government is increasing the value of the soft power of Russian culture by providing incentives for cultural arts that conform to Russian nationalism. In this process, the Russian government is implementing a state-led cultural policy similar to the former Soviet period.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Russian cultural power during the Putin period and shows that Russia’s cultural power is exercised by state-led cultural policies, and that this is being done by various cultural arts program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state budget to support them. And behind the state-led cultural policy, Russia’s conservative nationalist ideology after Putin’s third period is strongly reflected.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tin regime’s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power are state initiative and resilience. As the state emerges as a subject of cultural power as well as a host of active cultural policy that manages and controls everything in culture and art, it is demonstrating the flexibilit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cultural policy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the state and society are facing.

      • KCI등재

        러시아 축제 문화와 언어 연구 -고골의 “이반 꾸빨라 전야”와 “크리스마스 이브” 분석을 중심으로

        전혜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7 슬라브어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Russian festival, a characteristic phenomenon of Russian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Gogol's literary works, “St. John’s Eve” and “Christmas Eve”, and also to study the various forms and expressions, reflected in the Russian festival culture. The tasks to achieve it are as follows: 1) Consider the overall nature and changes in the Russian festivals and their position and role in Russian culture. 2) Study in detail the major festivals of Russia, Ivan kupala (St. John’day) and Svjatki (Christmas week) 3) Analyze how the festival culture is reflected in Gogol's works through analyzing his works. Ultimately,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Russian festival culture as an expression of language in literary work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festival culture, language, and literary works. The reasons for selecting Gogol's works for the analysis are that the titles of the works are borrowed from the festival and that they clearly show the contradictory combination of Christian and pagan elements. 본고에서는 언어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문화 현상들 가운데 축제 문화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러시아문화 속에서 차지하는 축제일의 위상과 성격을 살펴보면서, 축제 문화와 관련된 언어 표현 연구와 축제일을 모티프로 한 문학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러시아 축제 문화를 재조명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첫째로, 러시아의 축제의 모습과 시기 별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 보았으며, 둘째, 러시아인들이 축제일을 보내는모습을 이반 꾸빨라와 스뱌뜨끼 축제를 통해서 조명하고, 언어 생활 속에 반영된 축제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셋째, 러시아 축제와 관련된 러시아 어휘, 속담과 격언 등 언어표현을 살펴보았다. 넷째, 러시아 축제일의 모티프들이 문학 작품 속에서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고골의 작품 분석을 토대로 연구해 보았다. «이반 꾸빨라 전야»와 «크리스마스 이브»는 축제일을 제목으로 하면서 축제의 모티프들이작품 전체의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작품 모두 기독교적인 요소와 설화적이고 이교도적인 성격이 혼합된 축제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었음을 작품 전체의 분석을 통하여 증명할 수 있었다. 그와 함께 축제 모티프들이 고골 작품 속에서 어떻게 예술적인 언어로 재탄생 하는 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고골은 이승과 저승, 선과 악, 현실과 환상, 역사적 사실과 설화, 기독교와 이교의 경계를 지우려는 시도를 축제일의 모티프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축제일이란 인간 삶의 상반된 요소들의 경계가 가장 희미해지는 특별한 시공간으로 인간 삶의 가장 본질적인 모습을 상호 교차시켜 표현해내는 적절한 예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축제일이 러시아 민중 문화 속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축제 문화와 관련된 러시아 어휘, 관용어구, 속담과 격언, 그리고 문학 작품까지 언어에 끼친 영향이지대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러시아 축제에 대한 연구는 단지 러시아 문화의 일반적인 현상으로서가 아니라, 러시아의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