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영역과 학업적 영역을 교차하여 유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적응의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대도시 소재의 2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학생 705명(남 341명,여 36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그리고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숙달목표를 추구 할수록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이었고,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수행회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 숙달목표는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지만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성취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 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of adolesc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play significant roles in the mediation of the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The participants were 705 first grade students(48, 4% boys) in high school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mastery goal,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econd, academic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whereas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Third, social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whereas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cademic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 pursue social mastery goal had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not only in academic domain but in social domai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both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social achievement goal were discussed for the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djustment of adolescents across the academic and social domain.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관계 변화신념, 사회적 성취목표,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성취목표 중 수행접근목표를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와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목표유형이 또래관계 변화신념과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중학생 613명(남 297명, 여 316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사회적 숙달목표는 절충전략 및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뿐만 아니라 공격성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절충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또래관계 증진신념은 사회적 숙달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높였으나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사회적 수행회피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낮추었다. 셋째,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여학생들의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에 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 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에 대한 신념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성취목표를 지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갈등해결전략의 선택과 사회적 적응 수준이 달라지며 성차에 따라 그 효과가 다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achievement goals wit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as antecedent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aggression as consequences. The participants were 613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297 males, 316 females) enrolled in six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mastery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whereas social approval-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lthough both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not only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nd aggression but also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s expected, peer relationship incremental beliefs posi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ies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mastery goals.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s nega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everal paths. The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 positively predicted the approval-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only for girls, whereas its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was significant only for boys.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only for boys. The present findings evidenced several mediating mechanisms through whic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had different effects on social adjustment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these mechanisms.

      •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공감과 정서표현성의 영향에 대한 고찰

        강유선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감과 정서표현성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한다. 청소년기의 또래로부터의 수용과 인정을 통한 관계형성은 자아감 발전과 건전한 학교생활 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반면 또래관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면 대립과 갈등, 부정적인 상호작용과 같은 적응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더욱이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또래관계는 성인 이후의 대인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여러 영역에서 또래의 영향력이 인식되면서 최근에는 또래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래관계가 질적으로 높다는 것은 또래 간에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고, 사회․정서적 지원을 받아 자기개념을 발달시키도록 영향을 주는 친밀한 관계를 의미한다. 이 같은 또래관계 질을 촉진시켜주는 요인들 가운데 공감과 정서표현성이 있으며, 이들의 양상에 따라 또래관계 질이 달라질 수 있겠다. 또한 공감과 또래관계 질을 매개할 수 있는 변인으로 정서표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감이 대인관계와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향상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원만한 대인관계의 핵심이 된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감,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의 관계와 공감이 정서표현성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adolescents' qality of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empathy and qality of peer relationship. By examining the variables between the empath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e tri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negative peer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nsidering the variables between empath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by organizing it systematically, we tried to understand the whole outlook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 KCI등재

        중학생의 공감과 또래관계 질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강유선(Kang, Yusun),박경(Park, 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공감,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의 차이와 공감이 정서표현성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총 450명(남자 224명, 여자 226명)의 검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공감과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이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과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공감과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게 나타나 각 변인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 공감이 또래관계 질로 가는 경로와 정서표현성으로 가는 경로, 그리고 정서표현성이 또래관계 질로 가는 경로 모두 유의미 하였다. 공감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서표현성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수준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성과 또래관계 질이 높았으며, 자신의 정서를 잘 표현하는 청소년이 또래관계 질도 좋았다. 그러나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학생의 경우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남학생에 한하여 공감이 정서표현성을 매개로 하여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iddle school Students-upon the quality of their pee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empathy and the quality of those peer relationships. By examining the variables between the empathy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e authors attempted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ho are suffering from negative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nsidering the variables between empathy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by organizing these systematically, the authors tried to better understand the broad picture when it comes to the subject of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 KCI등재

        형제자매 괴롭힘 경험과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질에 의해 조절된 또래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김진구,김은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Given siblings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sibling interactions are often carried into peer contexts, this study examined sibling bullying and peer bullying.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peer bullying experi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in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experi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among Korean children. In addition, the role of friendship quality to serve as a moderator between sibling bullying experience and peer bullying experience was investigated. Among a sample of 536 Korean children in grades 3∼6, mediated moderation analyses using SPSS Macro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eer bullying perpetr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perpetr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friendship qua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perpetration and peer bullying perpetration, and the interaction of sibling bullying perpetration and friendship quality influenced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peer bullying perpetration, which supported the mediated moderation Such findings indicate that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friendship quality to be low are vulnerable to internalizing problems because they are likely to bully their peers if they bullied their siblings, whereas those children with high friendship quality are not vulnerable to internalizing problems because they tend not to bully their peers even if they bullied their siblings. Second, peer bullying victimiz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However, friendship quality did not moderate the association between sibl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peer bullying victimization, suggesting that children who were bullied by their siblings are at a great risk for peer bulling victimization regardless of their friendship quality.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hat suggests that sibling bullying influences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peer bullying and that friendship quality can prevent children who experienced sbiling bullying from experiencing peer bully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회발달에 있어 형제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형제자매간의 상호작용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정 내와 학교에서 발생하는 형제자매 괴롭힘과 또래 괴롭힘을 함께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이 인식한 형제자매 괴롭힘 경험(가해, 피해)과 또래가 인식한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질을 통한 또래 괴롭힘 경험(가해, 피해)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536명의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형제자매 괴롭힘 경험, 친구관계의 질, 또래 괴롭힘 경험, 내면화 문제를 측정하였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이 형제자매 괴롭힘 가해 경험과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친구관계의 질이 형제자매 괴롭힘 가해 경험과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형제자매 괴롭힘 가해 경험이 내면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관계의 질에 의해 조절된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친구관계의 질이 낮은 아동은 형제자매를 괴롭힌 경험이 있으면 또래를 괴롭힐 가능성이 높아 내면화 문제에 취약하지만, 친구관계의 질이 높은 아동은 형제자매를 괴롭힌 경험이 있어도 또래를 괴롭힐 가능성이 낮아 내면화 문제에 덜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은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 경험과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친구관계의 질은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 경험과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형제자매에게 괴롭힘을 당한 아동은 친구관계의 질이 높아도 또래에게 괴롭힘을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형제자매 괴롭힘이 또래 괴롭힘을 매개로 내면화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증명했다는 점 그리고, 친구관계의 질이 형제자매 괴롭힘을 경험한 아동의 또래 괴롭힘과 내면화 문제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학령후기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김시라,김지신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For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total 35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girls was higher than boy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ut rejection sensitivity was not correlation with experienti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case of boys. Thir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ut experiential emotion strategy w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case of boy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identifying gender difference about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본 연구는 학령후기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의 5, 6학년 남녀 아동 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정서조절방략, 또래관계의 질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정서조절방략과 또래관계의 질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남아의 경우 거부민감성과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인지적, 행동적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남아의 경우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의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성별을 고려하여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수줍음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송지윤 ( Song Ji-yun ),김미숙 ( Kim Mi-su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또래관계의 질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3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수줍음 척도, 또래관계의 질 척도, 사회적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변인 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검증절차를 활용하였다. 또한 매개검증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수줍음과 또래관계의 질, 사회적 유능성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수줍음은 또래관계의 질, 사회적 유능성과 서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또래관계의 질과 사회적 유능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질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수줍음과 사회적 유능성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질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수줍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향상을 위해서는 또래관계의 질과의 상호작용 양상을 고려해야함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수줍은 기질의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향상을 위한 촉진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아동상담 및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qua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hyness and social competence. Two hundred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year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South Korea,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Baron and Kenny`s(1986) model was applied together with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Sobel`s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shynes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social competence, whereas peer relationship qual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peer relationship qualit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hyness and social competen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eking to improve the social competence of shy children.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show greater interest in strategic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 KCI등재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

        최미은,남숙경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in adolescents. Two hundred and sixty-on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That is, peer relationship quality was only indirectly affected b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rough self-acceptance. Second, self-accep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eer relationship quality in the group with low self-acceptance, but it did in the group with high self-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improve adolescents self-acceptance by verifying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i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수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완벽주의 자기제시는 자기수용을 통해서만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수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 질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기수용 향상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정지혜 ( Ji-hye Chung ),오인수 ( In-soo Oh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G와 I지역의 중학생 530명에게 설문을 실시한 후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청소년의 공감은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방관행동, 방어행동, 가해동조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공감이 높을수록 또래관계의 질은 높았으며 또래관계의 질이 높은 경우 또래동조성은 낮았다. 또한 또래동조성이 높을 경우 방관과 가해동조행동의 정도는 높았으나 방어행동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방관·가해행동을 줄이고 피해자를 돕는 방어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공감, 또래관계의 질, 또래동조성을 함께 고려하는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peer conform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ympathy and peer bullying bystander behaviors. 530 middle school students in G and I regions were surveyed, and then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It was found that the adolescent sympath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ystander’s behaviors (e.g., outsider, defender, and assistant) by sequentially mediating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peer conformity. The higher empathy was, the highe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In case of high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quality, the peer conformity was low. It was revealed that in case of higher peer conformity, the degree of tendency of outsider’s and assistant’s behavior was high, while the degree of defending tendency was low.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variables related to bystander’s reactions in terms of empathy,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peer conformity.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a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수영,이형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of peer relationship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psychology and family variables on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444 students of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reside in Seoul and 1,397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adolescents in peer relationships. Female adolescents' friendship quality was higher than male adolescents', and male adolescents' peer victimization was higher than female adolescents'. Second, higher self-esteem, positive parenting behavior, higher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and lower level of interparental conflict predicted higher level of friendship quality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Higher depression, lower self-esteem, positive parenting behavior, lower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and higher level of interparental conflict predicted higher peer victimization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또래관계의 양상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개인심리 및 가족요인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친구관계의 질, 또래괴롭힘, 자아존중감, 우울,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부부갈등의 척도를 구성하여, 서울시내 11개의 지역교육청에서 각각 한 개의 남녀공학 중학교를 선정하고, 2, 3학년 학생 1,4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1,397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관계 즉, 친구관계의 질과 또래괴롭힘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친구관계의 질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또래괴롭힘에는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개인심리요인과 가족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먼저 남자 청소년의 친구관계의 질에는 부모의 감독, 자아존중감, 부모의 양육태도, 부부갈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의 친구관계의 질에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또래괴롭힘에는 우울,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의 또래괴롭힘에는 우울,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부모의 감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