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의 정보기술 역량과 기술혁신 양면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환경 동태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최도영,서영욱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4

        단기적 혁신을 추구하는 활용적 혁신활동과 장기적 혁신을 추구하는 탐험적 혁신활동을 동시에 추구하는 개념인 기술혁신 양면성은 기업의 혁신활동을 설명하는 중심개념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양면성과 관련된 요인 중 정보기술 역량과 환경 동태성에 초점을 두고 이들이 기술혁신 양면성 및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정보기술 역량 중 정보기술 인프라와 정보기술 활용능력이 기술혁신 양면성의 두 가지 측면인 활용적 기술혁신과 탐험적 기술혁신 각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 이들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환경 동태성의 정도에 따라 정보기술 역량이 기술혁신 양면성에 미치는 양상과 기술혁신 양면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기술 역량은 기술혁신 양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기술혁신 양면성 또한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동태성과 관련한 결과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동태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기술 역량 중 정보기술 활용능력의 중요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며, 또 동태성이 높아짐에 따라 활용적 기술혁신보다 탐험적 기술혁신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혁신 양면성의 추구에 있어서 정보기술의 역할이 무엇인지와 환경 동태성에 따라 정보기술의 역할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또 환경 동태성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기술혁신 양면성의 두 활동 간 자원배분과 비중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조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Ambidexterity is regarded as a central concept to explain the innovation mechanism of firms, which simultaneously pursues exploratory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long-term and disruptive innovation by creating new knowledge and exploitative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short-term and incremental innovation using existing knowledge. Although there exist several affecting factors on ambidexterity and firm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d on two – informa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dynamism. In view point of organizational resources anc capabilities, information technology is an essential means because ambidexterity basically conduct collec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inside and outside organization, and creating and sharing of new knowledge as well. Furthermore, dynamism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s an organizational response to the environmental uncertainties. In this study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was considered as two sub-dimensions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 and ambidexteiry was studied in two perspectives –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Specifically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innovation ambidexterity, and business performance.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causal relationships, we divided the whole sample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nvironmental dynamism – the group with high environmental dynamism and the group with low environmental dynamism –and compar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ausal path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nalysis result of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ambidexterity showed that both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Through these empirical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not onl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both exploitative innovation activities and expl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that constitute the two perspectiv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also ar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resources to achieve the two perspectiv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econdly, as an analysis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dexterity and business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both innovation activities –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 had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coefficien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exploitation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was higher than that of exploration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Since exploitation mainly refers to activities related to short-term innovation and exploration mainly means carrying out activities related to long-term innovation, th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seemed to be high in exploitation in this study. Therefore, when establishing a strategy in practice,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re is inevitably a difference in the type and duration of performance creation between exploitation activities and exploration activities, so performance type and criteria shoud be establish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novation activities. Thirdly, one of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was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that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ffect the ambidexter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environmental dynamism, and the effect of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low environmental dynamism, both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cted as factors influencing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However, only the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acted as a factor influencing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high environmental dynamism. These results are inferred to be a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the nature of dynamism. High dynamism means that the degree of instability and change in the market is large, such as shortening the product life cycle as customer demands change rapidly.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becomes more important for firms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sense and respond to the market. Next, according to the degree of environmental dynamism, the result investigat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wo perspectives of ambidexterity showed that the effect of explor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was relatively high in the group with high environmental dynamism and the effect of exploi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was relatively high in the group with low environmental dynam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what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in pursuing ambidexterity, how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can change according to environmental dynamism, and resource allocation between the two activities of innovation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dynamism.

      • KCI등재

        첨단산업의 환경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미치는 영향 - 유연성과 의존성의 역할

        김상덕(Kim Sang Deok),지성구(Seong Goo Ji) 한국마케팅과학회 2007 마케팅과학연구 Vol.17 No.2

          첨단산업의 기업들은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기업 성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첨단산업의 환경 동태성이 공급체인 구성원 간 관계 결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환경 변화에 효과적인 대응을 어렵게 하고 있다.<BR>  본 연구는 첨단산업에서 환경 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규명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첨단산업의 고객, 경쟁, 기술 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공급체인의 유연성과 의존성이 이러한 영향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 실증하고 있다.<BR>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가설검정 결과 첨단산업의 고객 동태성은 공급체인의 결속을 약화시켰지만 경쟁 동태성은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한편 유연성과 의존성은 고객과 경쟁 동태성에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가졌다.   The exchange between buyers and sellers in the industrial market is changing from short-term to long-term relationships. Long-term relationships are governed mainly by formal contracts or informal agreements, but many scholars are now asserting that controlling relationship by using formal contracts under environmental dynamism is inappropriate.<BR>  In this case, partners will depend on each other"s flexibility or interdependence. The former, flexibility, provides a general frame of reference, order, and standards against which to guide and assess appropriate behavior in dynamic and ambiguous situations, thus motivating the value-oriented performance goals shared between partners. It is based on social sacrifices, which can potentially minimize any opportunistic behaviors. The later, interdependence, means that each firm possesses a high level of dependence in an dynamic channel relationship. When interdependence is high in magnitude and symmetric, each firm enjoys a high level of power and the bonds between the firms should be reasonably strong. Strong shared power is likely to promote commitment because of the common interests, attention, and support found in such channel relationships.<BR>  This study deals with environmental dynamism in high-tech industry. Firms in the high-tech industry regard it as a key success factor to successfully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studies dealing with environmental dynamism and supply chain commitment in the high-tech industry,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effective strategies to cope with them.<BR>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dynamism and supply chain commitment in the high-tech industry. We examined the effects of consumer, competitor, and technological dynamism on supply chain commitment.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lexibility and dependence of supply chains.<BR>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type of high-tech industry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rapid technology change and short product lifecycle. Flexibility among the firms of this industry,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hard and fast growth, is more important here than among any other industry. Thus, a variety of environmental dynamism can affect a supply chain relationship. The industries targeted industries were electronic parts, metal product, computer, electric machine, automobile, and medical precision manufacturing industries.<BR>  Data was collected as follows. During the survey, the researchers managed to obtain the list of parts suppliers of 2 companies, N and L, with a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mobile phone manufacturing industry; and of the suppliers in a business relationship with S company,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urvey via telephone and e-mail. During the two month period of February-April 2006, we were able to collect data from 44 companies. The respondents were restricted to direct dealing authorities and subcontractor company (the supplier) staff with at least three months of dealing experience with a manufacture (an industrial material buyer).<BR>  The measurement validation procedures included scale reliability;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used to validate measures. Also, the reliability measurements traditionally employed, such as the Cronbach"s alpha, were used. All the reliabilities were greater than .70.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as conducted. W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o assess the validity of our measurements. A series of chi-square difference tests were conducted so that the discriminant validity could be ensured. For each pair, we estimated two models-an unconstrained model and a constrained model-and compared the two model fits. All these tests supported discriminant validity. Al

      • KCI등재

        환경의 동태성이 통제 메커니즘과 관료적 구조화를 매개로 기회주의에 미치는 영향

        설도원,오세조,성민 한국유통학회 2009 流通硏究 Vol.14 No.2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유통경로 구성원 간 동반자적 관계의 성공을 위해 기업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유통경로 관리에서 유통환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것이 유통경로 시스템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환경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기존의 유통경로 연구들은 환경이 유통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다루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차원 중 환경의 동태성이 중요한 관계의 질인 기회주의에 직ㆍ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간접적인 경로로는 환경의 동태성이 통제전략(통제 메커니즘)과 통제구조(관료적 구조화)를 통해 기회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형할인점과 거래하는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감시와 인센티브와 같은 통제전략을 증가시키는 환경의 동태성의 영향력은 나타난 반면, 참여화 같은 통제구조를 감소시키는 환경의 동태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공급업체의 기회주의를 증가시키는 환경의 동태성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급업체의 기회주의를 감소시키는 참여화의 영향력은 나타났으나 감시와 인센티브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요즘과 같이 환경의 동태성 수준이 높은 국내 유통시장, 특히 할인점에게 공급업체의 기회주의를 관리ㆍ통제하는 측면에서 어떠한 관리적 측면의 노력이 필요한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IT 벤처기업의 양면형 조직과 환경의 동태성 및 기업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정동섭(Chung, Dong Seop)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9 No.4

        현대기업은 환경의 동태성이 증가되면서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특성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업혁신역량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IT 벤처기업에서도 탐험이나 활용의 특정한 한 가지 혁신전략이 아닌 두 가지 혁신전략을 적절하게 균형을 윤지하며 동시에 추구하는 양면성 조직을 선택해야 하고 이러한 양면성 조직에 적합한 경영관리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IT벤처기업과 같은 기술혁신형 조직에서 양면성 혁신과 기업성과 및 이의 조절변수로소 환경의 동태성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IT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양면성조직과 이의 중요한 상황요인인 환경의 동태성을 통해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면성 조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양면성조직과 환경의 동태성의 상호작용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는 국내 IT 벤처기업 10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양면성조직과 환경의 동태성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양면성조직과 환경 동태성의 적합성은 기업성과를 더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daptation of a company to continuous changes is a subject that the company should always worry to survive in the infinite competition era. Companies always want to lead the market and always make efforts to efficiently achieve their goal. Researchers have applied the tensions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o a wide range of organizational phenomena, including environmental dynamism.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represent two fundamentally different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learning, recent literature has increasingly indicated the need for firm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 two. This balanced view is embedded in the concept of firm's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little direct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 of fit of ambidexterity and environmental dynamism on firm performance. This paper seeks to test the hypothesis by examining how ambidexterity innovation can jointly influence firm's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dynamism. Based on a sample of 108 IT venture firms, this paper find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by showing that (1) direct effect of ambidexterity innovation on firm's performance and (2) the interaction between ambidexterity innovation and environmental dynamism is positively related to firm's performance.

      • KCI등재

        공급사슬 관계의 질이 공급업체의 유연성과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환경동태성의 조절효과

        김도헌,김상덕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공급 체인 관계의 질이 공급 체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 공급 체인 관계의 질이 공급 체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환경 동태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공급 사슬 관계의 질로써 신뢰, 의사소통, 협력, 분위기, 적응을 원인 변수로 선정하여 각 변수들에 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였다. 한편, 공급사슬관리의 성과는 크게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재무적 성과 변수로 유연성을 매개변수로 설정 하였고, 재무적 성과 변수로 수익성을 결과 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조절하는 변수로 환경 동태성을 설정하였다. 첫째 공급사슬 관계의 질이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을 제외하고 모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이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負의 영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구매업체가 협력을 하더라도 더 큰 요구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공급업체의 유연성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正의 영향을 주어서 공급업체에 대한 유연성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급체인 관계의 질이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과 분위기의 경우 경쟁 동태성이 동태적일 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급체인 관계의 질이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신뢰의 경우 기술 동태성이 동태적일 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객 동태성의 경우는 공급체인 관계의 질과 유연성 간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There is a considerable body of scholarly work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arious dimensions of supply chain relationships but far less on the impact of supply chain relationships on performance. This paper investigates if supply chain relationship quality has an impact on flexibility and profitability. And whether or not the environment dynamism moderates between supply chain relationship quality and flexibility. We suppose that supply chain relationship quality will affect supplier's flexibility. Then supplier's flexibility will affect supplier's profitability. And competitive dynamism, technological dynamism, and customer dynamism will moderate the link between supply chain relationship quality and supplier's flexibility. The object industry is electronic parts manufacture company. We tested our model using SPSS 12.0 and LISREL 8.5. To pass measurement validation, we tested by purifying measure, test of unidimensionality, test of reliability and test of validity. For hypothesis analysis, we do path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by using LISREL 8.5. First, trust, atmosphere and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pplier's flexibility. Secondly, cooper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upplier's flexibility. The reason is that we suppose that buyer request more burden, although they cooperate supplier. Thirdly, supplier's flex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upplier's profitability. Fourthly, communication and atmospher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supplier's flexibility when competitive dynamism is strong. Fifthly, trus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supplier's flexibility when technological dynamism is strong. Sixthly, supply chain relationship quality had no moderating effect on supplier's flexibility under customer dynamism.

      • KCI등재

        디지털 플랫폼과 동태적 경쟁에 관한 연구 -배달앱의 수평적 기업결합 사건을 중심으로-

        박경미 법제처 2021 법제 Vol.692 No.-

        디지털 플랫폼은 동태적 시장이라고 한다. 혁신시장에서 경쟁은 ‘시장 내부에서 점유율을 높이는 경쟁(competition in the market)’이 아닌 ‘시장 전체를 확보하고자 순차적으로 경쟁해나가는(competition for the market)’ 것이므로 경쟁법상 보호법익에 대한 이해가 기존과 결을 달리한다. 따라서, 혁신경쟁 촉진을 위한 경쟁법 집행 필요성과 방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경쟁당국들도 디지털 플랫폼의 동태성을 염두에 둔 실효성 있는 규제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플랫폼의 동태성을 간과하여 과잉 규제 시 법 집행 오류 가능성은 물론 혁신기술 저해로 산업 발전에 폐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태적 경쟁은 기존 정태적 경쟁에 의한 과도한 법 집행 가능성을 억지하고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는데 정작 디지털 플랫폼 시장에서 동태적 경쟁과 경쟁법적 함의를 비중있게 다룬 선행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배달앱 사업자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 간 기업결합에 대하여 양면시장인 배달앱 플랫폼에서의 경쟁제한성 우려를 이유로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렸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동 사건이 과연 디지털 플랫폼의 역동성과 시장환경을 고려한 조치였는지 동태성 관점에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동태적 시장에서의 법 집행 오류 최소화를 위한 경쟁법적 접근과 고민을 끌어내고자 한다. 논의를 위한 전제로 배달앱 시장 대상으로 디지털 플랫폼의 동태성과 독점력의 특성, 동태적 경쟁의 본질과 양상을 검토 후 이번 배달앱 수평적 기업결합 사건에서 시장획정과 경쟁제한성 심사결과를 동태적 경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의의, 평가를 재조명한다. 동 사건에서 혁신 시장의 경쟁력 원천인 정보자산과 관련된 경쟁제한성 판단을 시도하여 동태적 관점의 경쟁제한성 검토에 향후 준거점을 제시한 부분은 의의가 있어 보이지만 과거 이베이와 지마켓 기업결합 사건과 비교할 때 플랫폼 양면시장에서 상호 대체가능성을 감안한 적절한 시장획정이었는지, 근본적으로는 배달앱 서비스 시장이라는 범위로 관련시장을 획정하는 순간 동태성을 간과한 것은 아닌지, 잠재적 경쟁압력 등 경쟁제한성 판단에서 실제 동태적 경쟁이 가능한 상태를 제대로 판단한 것인지 등 종전 정태적 접근방식에 머무른 한계점은 없는지 검토하였다. 유관 인접산업 간 융복합화 확산 등 혁신시장의 상황을 감안할 때 향후 동태적 차원의 경쟁법적 접근을 강화한 현명한 법 집행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 KCI등재

        혁신형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환경의 동태성이 조직 양면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동섭,이희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1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특성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혁신역 량이 수반되어야 한다. 기업의 혁신역량은 어떠한 환경의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탐험이나 활용의 특정한 한 가지 혁신전략이 아닌 두 가지 혁신역량 전략을 적절하게 균형을 유지하 며 동시에 추구하는 양면성 혁신을 선택하게끔 하고 있다. 이것이 요즘 기업경영의 화두로 작용하고 있는 조직의 양면성(ambidexterity)이며 조직에 경영관리방식에 새로운 혁신적인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조직 양면성에 대한 연구는 March(1991)의 연구이후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들에 많은 후속 연구가 있 어왔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직양면성의 선행요인들과 경영성과 및 이들의 매개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조직 양면성의 중요한 상황요인으로 환경의 동태성과 혁신성을 고려하고자 한다. 그리고 조직 양면성의 선행요인인 환경동태성과 혁신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조직 양면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혁신형 중소기업 10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분석한 결과 환경의 동태성과 혁신성은 조직의 양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또한 조직 양면성은 환경의 동태성과 혁신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echnology-based industries, firms have become increasingly reliant on product development to compete in the constantly evolving global marketplace Many inno-biz technology firms are particularly motivated to develop diverse portfolios of products with multiple features and variants to increase sales growth and competitiveness To flourish over the long run, most companies need to maintain a variety of innovation efforts They must constantly pursue incremental innovations, small improvements in their existing products and operations that let them operate more efficiently and deliver ever greater value to customers. The construct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has attracted the growing attention of organizational theorists The general agreement in this literature is that an ambidextrous firm is one that is capable of both exploiting existing competencies as well as exploring new opportunities, and also that achieving ambidexterity enables a firm to enhance its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environmental dynamism and corporate innovativeness had influence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the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t partially mediate the direct influence of corporate performance. Hence, this paer extends prior literature that emphasizes a positiv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incorporating a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perspective Second, this study contributes to ambidexterity literature through integrating strategic contingency theory.

      • 양면형 혁신과 환경의 동태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실증연구

        정동섭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특성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혁신역량이 수반되어야 한다. 기업의 혁신역량은 어떠한 환경의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탐험이나 활용의 특정한 한 가지 혁신전략이 아닌 두 가지 혁신역량 전략을 적절하게 균형을 유지하며 동시에 추구하는 양면성 혁신을 선택하게끔 하고 있다. 이것이 요즘 기업경영의 화두로 작용하고 있는 조직의 양면성(ambidexterity)이며 조직에 경영관리방식에 새로운 혁신적인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양면성 혁신에 대한 연구는 March(1991)의 연구이후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들에 많은 후속 연구가 있어왔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양면성 혁신과 경영성과 및 환경의 동태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양면성 혁신의 중요한 상황요인으로 환경의 동태성을 고려하고자 한다. 그리고 양면성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양면성조직과 환경의 동태성의 상호 작용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서 본 연구는 국내 IT 벤처기업 10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양면성 조직과 환경의 동태성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양면성조직과 환경 동태성의 적합성은 기업성과를 더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도시동태성 분석과 정책지렛대 탐색: 인과순환구조와 시스템 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최남희 ( Choe Nam Hui ) 한국행정학회 2003 韓國行政學報 Vol.37 No.4

        이 논문은 인구, 주택, 경제, 교통, 환경 등 여러 가지 하위 시스템간의 다중적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도시 시스템의 동태성을 인과순환구조와 시스템의 비선형적 변화 행태를 통해 분석하고, 정책지렛대를 탐색하고자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도시동태성의 원인과 변화 행태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계적기법들과는 달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인과순환적 피드백 관계로 구조화하고,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모델을 통해 분석하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이용하였다. 서울시를 사례로한 이 논문의 분석결과는 첫째, 서울시를 구성하는 다수의 하위 시스템들 간에는 인과순환적 상호작용의 피드백구조들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들 피드백 구조들로 인해서 서울시의 인구 주택, 산업 지방재정, 교통, 환경 변수들의 변화가 동태적으로 나타난다는 것, 둘째, 서울시의 동태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과순환구조에는 서울시 하위 시스템과 수도권 시스템과의 피드백 구조가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 셋째, 서울시의 도시 동태성을 볼 때 현재의 시스템 상태가 결코 균형수준(인구정체)이 아니며 향후에도 얼마든지 관련 정책에 따라 150만명 내외의 인구변화(감소)가 예상된다는 것 등이다. The urban dynamics research has focused on analyzing the long-term process of urban growth and decay on the basis of System Dynamics. System Dynamics is a methodology for studying and managing complex feedback systems, such as business and other social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dynamics of Seoul metropolitan and to investigate policy leverages for urban growth and equilibrium. Focusing on the urban dynamics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constructs a causal loop diagram that explains interactions among urban subsystems with feedback loops and further attempts to build a causal loop model with stock/flow diagram for computer simulation. For this study, the urban subsystems integrate six major sectors, thereby modeling population, housing, economy,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other sector. The major finding is that these six urban subsystems are highly interconnected and networked with feedback trade-off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that the population of Seoul metropolitan starts to decrease at the level of 7.5 Million from the baseline simulation, caused by immigration to Kyounggi & Inchon regions, but to increase at the level of 11 Million from the policy simul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urban dynamics of Seoul metropolitan is unstable.

      • KCI등재

        경영환경, 조직문화가 HACCP의 경영혁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류태모 ( Tae Mo Ryu ),김광수 ( Kwang Soo Kim ),정동섭 ( Dong Seop Chung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오늘날 기업들은 환경의 동태성이 증가되면서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특성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영혁신이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급변하는 시장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경영환경, 경쟁전략, 조직문화에 의한 인과관계를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식품산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식품업계에서는 식품의 안전과 위생에 대한 관심은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단순히 먹고사는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삶의 질을 추구하게 되는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하여 업계에서는 최근의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로 지속적인 경영성과 창출이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한국의 식품산업을 대상으로 경영혁신의 도구인 HACCP와 이들의 중요한 결정요인인 환경의 동태성과 조직문화를 통해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영혁신의 도구인 HACCP를 통해 추구하는 한국의 식품기업들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환경의 동태성과 조직문화와의 매개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는 국내 식품산업에 속한 기업들 176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경영혁신의 도구인 HACCP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그들의 결정요인들인 환경의 동태성과 조직문화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독립변수인 조직문화와 환경의 동태성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경영혁신의 도구인 HACCP의 매개효과를 찾아낼 수 있었다. Innovation works primarily at the firm level, though some innovations have industry-wide effects. The incentive for an individual firm to innovate is through the increase in profits that can occur through new process innovations that lower costs through increased revenues resulting from new product innovations increasing demand for the final product. The paper seeks to focus on the concept of HACCP as management innovation in the food industry sect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actorize the HACCP concept by analyzing the HACCP practices implemented and the results achieved from implementing such practices. It also aims to determine the means by which the management innovation results are optimized. This research scrutinizes impacts of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on the firm`s performance in food industry.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explain whether degrees of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xtual variable (ie: the environmental dynamism,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siness performance. To achieve the goals, this study developed conceptual measurements of environmental dynamism, competitive strategy organizational culture, degrees of HACCP implem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proposed hypotheses and conducted surveys with 176 sets of questionnaire from executive officers of food industry. The study hypotheses are tested through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dynamism, organizational culture had affected degrees of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It had been proved that determinants of management innov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management innovation consisting of HACCP implementation. Secondly, the test proved that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influences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the HACCP implementation in the food industry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profit indicator, which verifies the outcome of previous research. Third, the hypothesis that environmental dynamism, organizational culture(hierarchy and innovation) has an positive influence on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is fully accept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mediates between environmental dynamism and business performance is accepted as partially mediation. Fifth, the hypothesis that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mediates between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siness performance is accepted as partially mediation. Sixth, the hypothesis that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mediates between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siness performance is accepted as fully media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some theoretical contributions for HACCP implement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research subject with its try for theory`s generalization. And they are also expected to give some helps for management of food industry sector, especially its HACCP resourc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