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창작 동요의 수용과 동심의 재구성 -1920~30년대 동요의 교과서 수용을 중심으로-

        김수경 ( Soo Kyung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09 청람어문교육 Vol.40 No.-

        필자는 이른바 `동요 황금시대`라고 일컬어졌던 1920~30년대의 동요의 실상과 미학적 가치를 탐구해오던 바, 현재까지 즐겨 불리는 동요의 상당수가 해방 이후에 창작된 것보다는 오히려 근대 초기이자 아동문학의 초창기였던 1920~30년대에 창작된 것이 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20~30년대 동요 가운데 과연 얼마만큼의 작품이, 그리고 어떤 작품이 현재까지 면면히 수용되고 있는지 추적해본다면 근대 초기동요의 전통과 의의를 밝히는데 실증적으로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하였다. 대상으로는 1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국민학교)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고, 노랫말에 주목하여 음악적인 측면은 고려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그 결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노래 가운데는 창작 동요의 비중이 단연 높고, 창작 동요 가운데서는 1920~30년대, 이른바 동요황금시대라고 불렸던 시대에 창작된 작품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6차 교육과정까지는 창작 동요 가운데 1920~30년대 창작된 근대 동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의 작품이 소수 반영되어 있었다. 교과서 개편과정을 통해 이전에 수록되었던 창작 동요가 배제되고 새로운 동요가 등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같은 동요가 7차례의 개편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수록되는 경우도 있었다(예: 앞으로 앞으로, 고향의 봄, 퐁당퐁당, 구슬비, 고드름, 옥수수 하모니카, 눈꽃송이, 파란 마음 하얀 마음, 산바람 강바람, 무지개, 방울새, 반달, 오빠생각). 주제의 측면에서는 자연친화적인 세계관을 담은 것, 낙관적 정서를 반영한 것, 어린이가 화자인 것이 주로 선택되었고, 지나치게 애상적이거나 현실을 직접적으로 다룬 것, 교훈의 내용이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 등이 배제되었다. 표현의 측면에서는 맞춤법에 어긋나거나 표준어가 아닌 것, 문법에서 벗어난 표현들이 교과서에 적합하게 변화되었고, `담배`와 같이 어린아이에게 교육적으로 좋지 않은 대상 또한 교체되었다. 연의 배열을 통해서는 1920~3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사회적인 요소들이 탈락된 것을 볼 수 있었다. 1920~30년대 노래가 단순히 아름다움과 맑음, 낙천성이나 장난스러움에만 머물지 않고, 가족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과 감정 역시 지니고 있었음에도, 선택된 노래들은 철저하다 싶을 정도로 밝은 쪽에 치우쳐 있다. 이와 같은 선택의 기준에서 아이들에게는 사회의 어두운 현실을 보여줘서는 안 되고 맑고 깨끗하고 좋은 것만 보여주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의 일부를 엿볼 수 있으며, 그 생각의 바탕에는 아이들의 마음은 순수하고 천사와 같다는 이른바 `동심주의`를 발견하게 된다. 어린아이라고 해도 현실에 발을 딛고 사는 만큼 비극적인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갈등, 다양한 문제들을 비판적 거리를 두고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의 세계를 진공의 순진무구한 세계로만 바라보고 규정하려 하는 데는 아동의 순수한 마음을 보호하려는 의도 외에 아동기를 지나 순수함을 잃어버린 어른의 향수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rimary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how many famous children`s songs of the modern period(1920-30s) are existed in the elementary school`s textbook of music, and why they can be recepted in it. A lot of famous children`s songs are composed in that period(1920-30s) not in the present time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children`s songs of the modern period(1920-30s) are the most in the elementary school`s textbook of music through the first grade to the sixth grade from 1945 to 1990. Especially `The spring of hometown`, `To the front, to the future`, `With splash after splash`, `An icicle`, `A harmonica made by corn`, `Snowflake like blossom`, `The wind from the mountain, the wind from the river`, `The rainbow`, `A half-moon` are the best, most songs than ever in the elementary school`s textbook of music. They were composed, lyric in the modern period(1920-30s), most people in nowadays knew those songs. To take those songs in the elementary school`s textbook of music, 1) they chose the subject like nature, animal, season, flower and they prefer the bright side of the life to the miserable aspec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2) they left the moral songs out because they seemed anachronic. 3) they collected the wrong word and grammar and made the long song short. These changes mean that the person in charge thought that the children`s songs in the elementary school`s textbook of music had to be childlike, innocent, jolly and cute. And that is the common phrase what the grown-up thought the children`s mind.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시대의 한국 창작 동요에 관한 고찰-목일신을 중심으로-

        문선아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3 No.-

        동요는 어린이들의 노래로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 삶이 어린이들의 사고와 감정에 알맞게 만든 시에 선율을 붙여 만든 노래이다. 동요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도 공감하며 애창된다. 동요는 각 나라의 언어와 음악, 문화가 결합되는 민족음악이다. 한국 동요도 한글의 시에 작곡가들이 곡을 만들어내는 우리의 고유한 민족 문화가 담긴 음악으로 우리 민족의 삶과 시대적 정서가 잘 반영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동요 중에서 창작 동요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작 동요의 시작인 1920년대와 전환기를 맞아 근대적 동요의 형태로 자리 잡는 1930년대의 흐름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1930년에 활동한 주요 작곡가와 주옥같은 동요가사를 쓴 인물들 중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애창이 되고 있는 <자전거>라는 곡의 가사를 쓴 목일신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전거>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부분이 알고 있는 동요이다. 그러나 이 동요의 유명함과 달리 목일신이라는 이름은 생소함을 준다. 목일신은 많은 동요의 가사를 썼고 아동문학사에서도 빠질 수 없는 인물이지만 그의 삶과 작품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목일신의 생애 중 창작동요와 관련해 주요한 시기라 사료되는 1920년대와 30년대 젊은 시절의 삶을 알아보고 그의 삶에 동요가 깊게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되새겨 보았다. 또한 그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1920년과 1930년대에 만들어졌다. 목일신의 창작 동요 작품에 대해 알아보고 그가 얼마나 한국 창작 동요와 관련하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 전래동요를 활용한 아동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7세∼10세를 중심으로 -

        임소연 한국아동미술학회 2016 아동미술교육 Vol.15 No.-

        현대 사회에서는 어느 때보다 창의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아동미술교육에 있어서도 아동들의 창 의적인 발상을 유도 할 수 있는 교육의 구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요와 아동미술활동을 연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동들의 창의력과 미술 표현능력의 개발 에 기여하는 데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여러 문헌을 통해 음악과 미술의 통합적 학습이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상상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의 다양한 분류 중에서도 전래동요는 한국의 정서와 가치관이 그대로 녹아있고 아동들의 생활모습이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미 술과 통합수업을 구성하였을 때 아동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달시켜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와 정서의 이해를 도울 수 있어 아동들의 정체성 교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와 같은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아동들의 창의성을 개발과 정서함양을 통한 전인교육 을 실천을 위해 전래동요와 미술을 통합하여 교육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래동요를 기능의 유 무에 따라 17가지의 종류로 분류하고 아동들에게 익숙하고 재미있는 곡을 분류별로 한곡씩 선정하였다. 선 정된 곡들은 다양한 미술프로그램과 각각 연계시켜 동요마다 각기 다른 미술의 표현기법을 활용하여 총 17개의 프로그램을 교육 계획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전래동요를 활용한 아동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아동들에게 흥미유발과 및 창의력의 신장과 인지력,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성한 전래동요를 활용한 아동미술교육 활동은 아동의 흥미유발과 구 상능력향상 및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교육에 전래동요의 활용이 매 우 적합함을 입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창의력과 표현능력을 신장시키는 학습 방법을 모 색하는데 전래동요를 활용한 아동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해 본다. The modern societ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more than ever and the educational method that can induce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is also quite important in the art education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and expressive skills in art through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ombines traditional songs and children’s artistic activities. The review of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s confirmed that the integrated learning combining music and art is effective for arousing children’s interest and enhancing their ability to think. Among many branches of music, traditional Korean songs which maintain Korean sentiment and sense of values and express children’s life humorously are considered to help children to develop their unlimited imagination and creativity when combined in the art class and also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sentiment, giving positive impact on learning their identity. This study intended to conduct a program which combines traditional songs and art with an aim to provide whole-person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and the cultivation of their emo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knowledge. For this, traditional songs were divided into 17 categories depending on their functionality and songs that are familiar to children and are fun to sing were selected, one from each category and incorporated into various art programs, respectively. Art programs used different expressive techniques for each song to give various experiences in each discipline of art such as painting, craft, printing, and design as proposed in the teaching plan. Through the program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the ar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traditional songs can arouse children’s interest, extend their creativity, and enhance their perception and thinking. In conclusion, the ar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traditional songs devis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for arousing children’s interest, enhancing their ability to think, and developing their creativity. This can be regarded as a proof that the use of traditional songs in children’s education is quite appropriate. Therefore, much is expected of the role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traditional songs in the search of learning methods aiming to enhance creativity and expressive skills

      • KCI등재

        한․몽 전래동요의 비교 연구

        박소현 한국몽골학회 2010 몽골학 Vol.0 No.28

        This study is what compare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between Mongolia and Korea as a means for understanding Mongolian culture, which is nomadic society with escaping from ethnocentrism. Children's song is the origin of children's culture, and is the useful field that can observe the internal world of human instinct, which is formed in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dult. Accordingly,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between Mongolia and Korea, and then considered difference and sameness in musical culture of both countries. Mongolia started to use the terminology called ‘Xuxdiin duu(Хүүхдийн дуу),’ which is the meaning of children's song as the school education has been begun since the 1940s and as the composers for ‘Mongolian Musical Composers Association’ compose children's song in 1942. Korea was emerged the terminology called children's song as children's song is created with the center on members for ‘Saekdonghoe (색동회)’ in 1921. The terminology called traditional children´s song was us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journal『Hangeul(한글)』in 1941. Classification i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needs to be discussed more in both countries. In case of Mongolia, there is no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called traditional children´s song. However, it is what classified as Hasibajate(哈斯巴拉特), who is Inner Mongolia's scholar in China, is embodied in the title of work. Even in Korea, it has mainstream as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be embodied in the title of work like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Mongolia. However, there are additionally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erformer's standar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patial concept,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children's life. Third, there are more simple Korea'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an Mongolia. This is because Korea can be formed children-group culture, by which peer children are flocked together with the settlement-living method. Due to this, a song of children's play can be create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Mongolia, there are most cases that an adult creates and transmits to children. This is because of particularity, which is possessed by nomadic society of being lived by family unit. Consequently, due to difference in the living culture between Korea, which is settlement culture available for being formed the children-group culture, and Mongolia, which is nomadic culture in family unit, the difference in children's culture of traditional society could be confirmed through musical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of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자문화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유목사회인 몽골문화를 이해하기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몽골과 한국의 전래동요를 비교한 것이다. 동요는 아동문화의 근원이며,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인간본능의 내면세계를 관찰할 수 있는 유용한 분야이다. 따라서 한국과 몽골의 전래동요를 음악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양국 음악문화의 동이점(同異點)을 고찰하였다. 몽골은 1940년대 이후 학교교육이 시작되고, 1942년 ‘몽골음악 작곡가 협회’의 작곡가들이 동요를 작곡하면서, 동요란 의미인 ‘후흐딩 도’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1921년 ‘색동회’의 회원들이 중심이 되어 동요가 창작되면서 동요란 용어가 등장했고, 1941년『한글』지를 통해서 처음으로 전래동요란 용어가 사용되었다. 전래동요의 분류는 양국모두 좀 더 논의되어야 한다. 몽골의 경우 전래동요란 학문적 분류체계가 없으나, 중국의 내몽골 학자 哈斯巴拉特가 작품의 표제에서 체현되는 점에 따라 분류한 것이 있다. 한국에서도 몽골의 분류체계와 같이 작품의 표제에서 체현되는 점에 따른 분류가 주류이지만, 그 외에 연행자의 기준에 따른 분류, 공간 개념에 따른 분류, 아동생활의 특성에 따른 분류가 있다. 양국의 전래동요를 음악적으로 비교 분석하면 몽골보다는 한국에 더 단순한 것이 많다. 그 원인으로 한국은 정주생활방식으로 인하여 아동집단문화가 형성되기에 아동 스스로 놀이를 위한 유희요가 창작될 수 있다. 반면 몽골의 경우 성인이 창작하여 아동에게 전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가족단위로 생활하는 유목사회가 갖는 특수성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아동집단문화가 존재하는 정주문화인 한국과 가족단위의 유목문화인 몽골은 생활문화적 상이성(相異性)으로 인하여, 전통사회 속에서 아동문화의 차이를 양국의 전래동요의 음악적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전래동요와 와라베우타의 음악적 비교와 전래동요 전승 방안

        박정경(Park, Jeong-gyeong)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전래동요는 전통사회에서 아동이 부르고 구전하여 온 아동의 노래이다. 근대 시기 외래문화의 유입과 함께 새로운 음악이 시장을 잠식하면서, 어린이들의 노래는 외래음악의 영향을 받게 되었으나, 어린이들이 부르는 동요의 왜색에 대한 정보와 인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전래동요와 일본 와라베우타에 대한 논점을 확인하고 이를 음악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전래동요와 와라베우타의 특징을 도출하여 일반화해보고, 우리 동요 중 외래 영향을 받은 동요와 와라베우타의 관련성을 비교 고찰해 보겠다. 다음으로는 전래동요를 올곧게 전승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그리고 구체적인 실현 방법은 무엇인지 제안하였다. 전래동요는 읊조리는 형태나 2음, 혹은 3음으로 된 단순한 음조직을 주로 사용한다. mi-la로 대표되는 완전4도 음정으로 된 동요가 많고, 선율형은 구성음이나 지역과 무관하게 대부분 하행종지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리듬형으로는 3소박 4박자가 주로 쓰이고, 노랫말의 표현 방법이나 속도에 따라 2소박과 3소박이 자연스럽게 전환되기도 한다. 전래동요의 음수율은 4·4조를 기반으로 한다는 데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였다. 한편, 일본 와라베우타의 특징은 다음 세 가지로 확인된다. 첫째, 2음과 3음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동요가 많고, 상행종지한다. 3음 이상의 노래에서는 민요 음계와 율 음계, 요나누키 음계가 주로 사용되며, 주요 특징으로는 do·mi·sol 중 하나로 시작하여 do로 끝난다. 둘째, 리듬은 2소박으로 되어 있다. 셋째, 7·5조의 음수율을 쓰며, 변형으로는 7·7조, 6·5조 등도 나타난다. 와라베우타와 관련이 깊은 한국의 근대 동요에 대해 음악적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음계와 선율진행, 그리고 박자는 와라베우타의 특징에 부합하였다. 선율이 일본의 동요와 정확히 일치하는 노래는 없었다. 일본에서 유입된 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도 일본 노래와 선율도, 가사도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바로 이점 때문에 근대 동요의 왜색 논란이 명쾌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그리고 일상에서 전래동요를 보급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립남도국악원에서 추진하는 “우리마을 노래할머니” 사업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지역에서 전승되는 고유한 전래동요와 놀이를 보급하기 위해 할머니들을 노래 교사로 양성해서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파견하는 내용이다. 지역 전통문화를 발굴하고 전승 기반을 강화하고, 노인 일자리를 창출하며, 유아·어린이들에게 전래놀이와 노래를 가르쳐 전통문화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사업으로 기대된다.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re songs that have been sung and handed down by children in traditional society. During the modern period, as foreign culture flowed in and new music encroached on Korean society, children"s songs were influenced by foreign music containing Japanese children’s songs. But informations and awareness about the Japanese color of children"s nursery rhymes are very insufficient. I attempted to confirm the issue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Japanese warabeuta, focusing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inspect them from a mus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 derived and gener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s songs and warabeuta,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ffected by foreign affects among our children"s songs. And then I suggested what efforts are needed to properly transmit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how to actualize them in detail. When it comes to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s, they mainly use simple phonetic structures in the form of reciting, two or three notes. There are many songs with a diatessaron represented by mi-la, and the melody mostly has downward termination regardless of region. In the rhythmic form, three small beats are mainly used, and two and three beats are naturally converted depending on the expression method or speed of the song. It was generally agreed that the structure of the lyrics are based on 4 and 4 syllables.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Warabeuta in Japan a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three. First, there are many simple songs consisting of two or three notes, and most of them end with a ascending note. Second, the rhythm consists of two small beats. Third, the structure of the lyrics are based on 7 and 5 syllables. As a result of inspection the musical content of modern Korean children’s songs deeply related to Warabeuta, the scale, melody, and rhythm were matched the characteristics of Warabeuta. However, there was no song whose melody exactly matched Japanese children"s songs. Even the songs sung when playing games accepted in Japan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songs, melodies, and lyrics. This seems to prevent a clear conclusion in the controversy over the Japanese style of modern children’s songs. Finally, as a way to sprea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daily life, I introduced the "My village"s singing grandmother" project promoted by Jindo National Gugak Center as an example. This is a project to train old women as singing teachers and dispatch them to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o sprea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playing games handed down in the region. Through this traditional children"s song education, we expect to discover local traditional culture, strengthen the foundation for transmission, create jobs for the elderly, and foster good emotions for infants and children.

      • KCI등재

        동요에 대한 아동과 성인 음악치료사의 미적반응 연구

        최병철,문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09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1 No.1

        이 논문은 동요를 들을 때에 나타내는 아동의 미적반응을 성인, 특별히 아동을 위한 노래를 만드는 음악치료사들의 반응과 비교 연구한 것이다. 대상은 서울시내 소재하는 OO초등학교 6학년생 30명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생 30명이었다. 연구자는 동요를 감상하며 나타내는 미적반응을 CRDI를 통해 1초 간격의 실시간 데이터로 수집하였으며 이를 시각적인 그래프로 변환시켜 동요를 감상하는 전체시간에 걸친 반응 양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동요에 대한 아동과 음악치료사의 미적반응에서 아동은 경쾌하고 리듬적인 특성을 가진 동요에, 반면 음악치료사는 서정적이며 선율적 특성을 가진 동요에 더 높은 미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적반응의 양상에서는 경쾌하고 리듬적인 특성을 가진 동요에서 아동은 별다른 변화 없는 한쪽 방향의 반응이었으나 음악치료사에게는 방향의 전환이 있었으며, 서정적이고 선율적인 특성을 가진 동요에서는 아동과 음악치료사 모두 한쪽 방향의 반응이었으나 반응의 범위와 폭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aesthetic responses between children and adult music therapists towards children's song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hirty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irt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usic therapy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searchers used a CRDI to collect the sample respondents' reactions to the music with real time data. The data was then graphically formated to show a more macroscopic view of the total research sample results. Researchers found that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aesthetic responses to cheerful and rhythmical types of songs while adult music therapists exhibited favorable responses to more melodious songs. In their directional responses, children maintained their responses to one side while adult music therapists showed a directional change while listening to cheerful and rhythmic songs. Although both the children and the adults showed one directional response while listening to melodious songs, there was also a noticeable difference in range between their responses.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동요 수용에 관한 연구

        김은주 ( Kim Eun J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동요는 어린이가 부르는 노래, 즉 아동 가요의 줄임말로써 한국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과 정서를 바탕으로 한 동심을 어린이의 감각과 표현에 알맞도록 직접적이고 강렬하게 담은 음악적 양식이다. 동요는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미적ㆍ정서 교육적 가치, 시민 교육적 가치, 사회 교육적 가치등의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해방 이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제정되고 이에 따른 교과서가 만들어지면서 동요는 학교 교육의 범주에 포함되기 시작하였고,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은 역사ㆍ사회ㆍ시대적 맥락 속에서 뚜렷하게 변화해 왔다. 동요의 교과서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 것은 앞으로의 교과서 동요 수용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용된 동요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동요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동요의 분류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동요의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시기별 동요의 교과서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관점을 정립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시기별 동요의 교과서 수용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학교 음악 교육에서 동요의 의미를 탐색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Korean children’s song is a musical form that directly and strongly contains Korean children’s minds based on their life feelings and emotions so that the song can correspond to the children’s sentiments and expressions. The songs can be classified variously according to purpose and form. They have educational values, such as aesthetic, emotional, citizenship-education and social values.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songs began to be incorporated into school education, as education curricula and ensuing textbooks were established on a national basis, and their adoption in text books distinctly changed in the context of history, society and times, depending on curriculum period. For this reason, it deems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s for children’s song adoption in textbook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adoption. This study targeted the children’s song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by curriculum period. First, the concept was clearly presented,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arranged, and viewpoints were established to examine how children’s songs were included in text books by curriculum period on the basis of their educational values. Based on th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seek the significances and directions of a children’s song by contemplating the inclusion of children’s songs in textbooks and arr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 KCI등재

        조선동요연구협회의 동요운동 연구

        강영미(Kang, Young-Mi)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3 No.-

        이 연구는 조선동요연구협회가 동요운동의 차원에서 발간한 『조선동요선집-1928년판』이 식민지 시기 동요 정전 형성의 계기가 됐음을 밝히는 데 목표를 두고, 조선동요연구협회의 결성 취지 및 구성원의 면면, 『조선동요선집-1928년판』의 구성 방식 및 수록곡의 특징을 살폈다. 1927년 9월 결성된 조선동요연구협회는 전국에서 투고한 작품을 선별하여 1929년 1월 1일 『조선동요선집』을 출간하는 기획력과 실천력을 보였다. 운동의 이념과 관념적인 슬로건을 앞세우는 방식이 아니라 창작동요 선집을 발간하는 구체적 실천을 통해 당대의 계몽적, 관념적인 창가와는 다른 창작 동요를 보급했다. 조선의 어린이가 우리말과 글의 리듬, 동요와 동시의 감각을 익히며 성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실천적 활동 방식이 조선동요연구협회가 전개한 조선소년문화운동이었다. 『조선동요선집』에 수록된 작품은 이후 악곡이 붙은 노래로 만들어져 대중적으로 향유되며 식민지 시기 동요 정전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Chosun Children s Song Anthology” published by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Children s Song Movement was an opportunity for the formation of the children’s song can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e formation of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the aspects of its members,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Chosun Children s Songs Anth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included were examined.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founded in 1927, planned and published the “Chosun Children s Song Anthology” the following year using works submitted from around the nation. Through the concrete practice of creating children s rhymes, rather than putting the ideology and ideological slogan of the movement ahead, they created and distributed creative children s rhymes that differed from pre-existing slogans based on enlightenment and ideologies. This was to help the children of Chosun grow by learning the rhythm of Korean words and writing in addition to a sense of children s song and poetry. This practical method of activity was the Chosun Boys Cultural Movement developed by the Chosun Children s Song Research Association. The works listed in the “Chosun Children s Song Anthology” were later made into songs enjoyed by the public,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 formation of the can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 방향

        김혜정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1

        전래동요(傳來童謠)란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아이들의 노래’를 말한다.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즐 거운 생활 교과서에 전래동요가 다수 게재되면서 전래동요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그런데 전래 동요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전래동요의 본질적인 특성을 간과하고 예술음악의 일반적인 연구방 법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발견된다. 또한 교과서의 전래동요는 고착화 현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전래동요의 존재양상을 살펴 그 본질적 특성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고, 전 래동요를 전래동요답게 교육하기 위해 어떤 교육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전 래동요의 존재양상을 통해 전래동요의 교육적 가치와 한국 음악 문화에서의 위상을 점검해 보았다. 전래동요는 말과 노래의 중간에 위치하며, 어린 시절에 누구나 부르는 것으로서 그 영향이 평생 에 걸쳐 남게 되며, 창의적 표현으로 다양하게 전승되며, 놀이와 함께 함으로써 몸으로 체득되며, 공동체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아울러 전래동요에서 체득한 음악어법은 한국 음악의 다른 장르를 향유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공동체가 같은 정서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것이다. 이제 전래동요의 특성을 그대로 지켜서 교육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말과 가까운 것을 굳 이 노래로 고착화시키지 말아야 하며 오히려 말처럼 즐기도록 도와야 한다. 다양한 말 붙임새를 활 용하여 진정한 한국의 리듬이 어떤 것인지 느끼도록 해야 한다. 누구나 부담 없는 자연스런 발성으 로 노래하고, 놀이를 통해 몸으로 익히고, 가사를 마음대로 바꾸어 부를 수 있어야 한다. 그 과정에 서 우리의 음악 어법을 자연스럽게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Children’s folk songs are those that have been transmitted from the past. Interest in children’s folk songs has increased as more of them have been included in the ‘polite life’ sec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However, the research on children’s folk songs tends to focus on general music qualities, while overlook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children’s folk songs. In addition, the children’s folk songs in the textbook show fixation.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folk songs and determines their essential features. In addition, educational methods for teaching these features are analyzed. Finally, their educational value and status in Korean music culture are reviewed. Some essential features of folk songs are that they are sung by everyone in childhood and are remembered throughout life. They are transmitted through creative expression, imprinted with plays, and used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rough community plays. The musical grammar learned through children’s folk songs serves as the foundation on which to enjoy other genres of Korean music and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Music educators bear an important responsibility to teach the features of children’s folk songs the way they are. What is close to words should not be fixed to the music. Rather,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enjoy it as words. Various added‐on words should be employed to allow them to feel what the genuine Korean rhythm sounds like. Everybody should be allowed to sing naturally; songs should be taught through plays; and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lay with lyrics. Through these processes, we allow our students to play with our musical grammar naturally.

      • KCI등재

        중국 고대동요의 언어적 특성

        권혁석 영남중국어문학회 2002 중국어문학 Vol.0 No.40

        古代童謠也應該是有音樂性文學, 而且其音樂性比文學性更强. 在古代童謠收集與記錄以前, ??們己經是口頭傳承的歌曲了. 但是, 流傳到現在的古代童謠有歌辭, 沒有曲譜, 所以關於古代童謠的硏究, 我們不可避免地採取了偏重一面的態度. 關於音樂方面的硏究, 因爲沒留下的曲譜, 實不加能. 在這方面, 本論文也不例外. 但是, 在這論文上, 我試圖通過對歌辭的硏究去探索那些音樂諸方面的問題. 試圖揭示古代童謠的某些實質. 古代童謠與現代童謠最大的差異就在於其歌辭的內容. 現代童謠大多表現兒童們純眞無垢和天眞爛漫的感情, 而古代童謠的內容則大多以預言爲主. 也就是說, 古代童謠, 但看其內容, 我們흔不容易認出是兒童們的歌謠. 古代童謠是口頭文學, 所以以聲音爲主, 由此, 在歌辭方面, 構有以下一些特色. 首先, 不少的歌辭在相似的聲音之間, 互相通用, 其次, 常用雙關語. 雙關語就是利用同音字或近音字的諧音法. 童謠在口頭上唱的時候, 其意義흔難指實, 一般有表面的與隱含的意思. 用雙關語的例子흔多, 不勝枚擧. 古代童謠大都有預言性和象懲性, 瞭解較難. 可是, 영一方面, ??又有簡易性的特色. 對其簡易性, 說明如下. 首先, 用平凡的語詞. 第二, 刻書具體的形象. 例如動物與植物, 可以흔容易看到的周圍事物. 那些語詞幷非抽象的或觀念的. 第三, 用比較簡單的修辭法. 例如對比法·反復法·設問法·誇張法等等. 最後, 古代童謠大部分帶有易於背誦·傳唱的短小特色和篇幅. 卽一首童謠只有一句的不少的, 絶對多數都是四句以下. 영外, 還有用較容易的字的特色, 這些特色都可以看做是其簡易性的表現. 古代童謠근現代童謠的最大差距就在是否有預言的內容. 再說, 明代以前的童謠大都具有預言性. 由此, 其預言性使童謠的歌辭具有神秘性. 而且, 其神秘性幷不顯露, 由此産生了其謎語性, 把預言神秘化. 試擧衆所周知的<後漢獻帝初京都童謠>爲例, 「千里草, 何靑靑. 十日卜, 不得生.」 這短小的歌辭里, 由折字·謎語·文字遊戱·雙關語等等. 在歌辭上, 古代童謠大體上與此相類. 歌辭的這個特色근童謠具有的娛樂性關係흔密切. 對於具有這個特色的童謠, 兒童們更感興趣. 綜上所述, 古代童謠的歌辭在個體上雖然比較容易, 可是在整體上却又흔難瞭解其意味. 其內容的預言性使我們難以看透童謠, 但是, 在其體制和歌辭上, 又鮮明地具有童謠的特色. 因此, 我們不可不說古代童謠還是童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