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論孫悟空性格的來源

        肖大平(XIAO, DAPI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15 中語中文學 Vol.61 No.-

        손오공은 오승은의 《서유기》에서 심혈을 기울여 창조한 선명한 개성을 지닌 캐릭터이다. 《서유기》에서 묘사된 손오공은 개성이 강하고, 스스로의 탁월한 능력을 통해 만물을 부리며, 고집스럽고 사나운 성격을 가진 형상으로 나타난다. 손오공의 이런 성격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 바로 <大?天?> 이야기이다. 또한, 그의 성격 중에는 유머러스하고 골계미가 넘치며 익살스러운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서유기》에서 수 없이 보이는 손오공의 우스개와 다른 사람을 놀리거나 짖궂은 장난을 치는 대목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의 성격 중 총명하고 뛰어난 능력이 드러나는 부분도 있다. 요괴를 제압하는 취경 과정에서 손오공은 降妖除魔 의 책략과 전술을 항상 중시하고 또 많이 활용했는데, 여기서 그의 총명함과 능력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다. 학계에서 손오공에 대한 많은 연구성과가 있었으나, 손오공 인물 성격의 기원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주목을 받지 못한 상태인 것 같다. 필자의 의견으로는 손오공의 이런 성격은 물론 오승은의 소설 《서유기》가 나오기 전에 이미 나타났던 수 많은 취경고사의 텍스트에 등장한 ?行者(《대당삼장취경시화》)나 ?行者(양경현의 잡극 《서유기》)의 성격을 계승한 것도 있지만, 그의 성격의 두 가지 來源(즉 동방삭과 오승은)은 사람들이 주목하지 못한 것 같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손오공의 성격, 즉 강한 개성과 고집센 성격, 유머러스함과 골계미, 총명함과 기지가 넘치는 등의 성격은 동방삭과 오승은이 모두 가진 성격이다. 다시 말하면 손오공, 동방삭, 오승은 세 인물의 경력과 성격의 측면에서 볼 때 많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경력의 측면에서 볼 때 모두가 높은 재능을 가졌지만 重用를 못 받았으며, 성격의 측면에서 보면 탁월한 능력을 가졌기에 강한 개성과 함께 고집스러우며, 자유롭고 유머러스하며 조소를 좋아하는 성격이 이 세 인물에 모두 존재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인물들의 경력과 성격 측면의 유사점과 공통점은 우연한 것이 아니고 작가 오승은의 동방삭에 대한 심리적 기호와 관계가 있는 것이다. 소설《서유기》에서 오승은은 손오공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는 과정에서 동방삭과 관한 세 이야기를 활용하였다. 동방삭의 ?桃일화를 맨 처음에 차용한 취경이야기 텍스트는 《취경시화》이다. 하지만 “射覆 ”와 “小遺” 이야기는 오승은이 독창적으로 활용한 것이고 《서유기》에서만 볼 수 있는 줄거리이다. 오승은이 동방삭에 대한 기호를 가진 것, 그리고 《서유기》가 나오기 전에 등장한 다른 취경 고사 텍스트에서 ,?方朔의 ?桃 이야기를 이미 활용한 것 등으로 인해 저자 오승은이 《서유기》를 창작할 때 동방삭의 다른 이야기(“射覆 ”와 “小遺”)를 그의 작품 《서유기》에서 활용하는 것을 쉽게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오승은은 동방삭의 이야기를 《서유기》에서 활용하는 범위을 확장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심지어 동방삭의 성격도 손오공에게 융합하였다. 《서유기》에서만 등장한 동방삭은 소설의 줄거리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데 꼭 등장할 필요가 없는 인물인 동방삭이 소설에서 등장하는 것은 저자가 동방삭의 성격과 일화를 손오공 인물 형상 창조에 활용하며 남아있는 흔적이라고 본다. 뿐만 아니라 손오공의 형상에서 작가 오승은 본인의 성격도 투입되었다. 한마디로 손오공의 이미지에서 동방삭과 오승은 두 인물의 그림자를 엿볼 수 있다. 즉 어느 정도에서 말하자면 동방삭과 오승은의 성격은 손오공의 성격의 기원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관점이 학계의 손오공 성격의 문제에 대한 연구에 한 가지 참고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Sunwukong is a image with a distinct character in the novel《Journey to the west(西游?)》by Wu Chengen(?承恩). In the novel ,Sun Wukong is a proud, arrogant and unruly image. Sun Wukong’s this kind of character is described in the novle very distinctly. Besides,he is also very humorous and whimsy. In the novel,we can find so many evidences to prove this kind of character,such as his humorous discourse and whimsy behaviors. Additionally,Sun Wkong is also very wit and resourceful. On the way to the west,the success of surrenderring different kinds of devils depends on the his resourceful stratagems. Although up to now,the academia did so many studies on the image of Sun Wukong,including the study on Sun Wukong’s personalities, people paid no attention to the study on the source of Sun Wukong’s personalities In my opinion, when the writer of the novel 〈Journey to the west〉 wrote this novle ,of course he referred the characters which is from the text before Wu Chengen’s 〈Journey to the west〉, such as Hou xingzhe(?行者) from 〈qujing shihua(取???)〉 and Sun xingzhe(?行者)from Yuan drama〈Journey to the west〉. But besides this,the more important sources is Dong Fangshuo(?方朔) and the writer Wu Chengen’ characters. While up to now poeple didn’t pay attention to it. After figuring out Sun Wukong’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ocuments, the characters of Dong Fangshuo and Wu Chengen’s characters have also been summarized in the paper. By summarizing we find that there are so many common grounds among Sun Wukong, Dong Fangshuo and Wu Chengen. Firstly their experiences are the same. The three figures are all talented and conceit, but they did not get the recognition from the subordinates. Secondly, because of this kind of experiences, they are all wild and unconstraint. Additinally, all of them are humorous and like kidding others. The similarity among the three figures are not by chance, but there is something with Wu Chengen’s complex about Dong Fangshuo. In the novel 〈Journey to the west〉, three short stories about Dong Fangshuo are used for reference in the novel <Journey to the west> by Wu Chengen. One is the sotry of stealing peaches(?桃),one is the sotry of cover shooting(射覆),and the other is the story of urinating in the imperial palace(小?大殿).The sotry of stealing peachs(?桃)is firstly refered in 《Qujing Shihua (取???)》,but referring the sotry of cover shooting(射覆)and the story of urinating in the imperial palace can be found just in Wu Chengen’ 《Journey to the west》. Becauese of Wu Chengen’complex about Dong Fangshuo and the existence of Dong Fangshuo’s sotry of Stealing peachs (?桃)’s having been referred in the texts before Wu Chengen’《Journey to the west》,it’s easy to comprehend the referrence of Dong Fangshuo’s other sotries, such as the sotry of cover shooting(射覆)and the story of urinating in the imperial palace. When the writer Wu Chengen wrote this novel ,he not only referred Dong Fangshuo’s stories, but also referred Dong Fangshuo’s characters in shaping the image of Sun Wkong .All in all, we an find Dong Fangshuo and Wu Chengen’s shadows from Sun Wkong’S image. I wish this opinion could be a reference of comprehending the question of the source of Sun Wkong’s characters.

      • KCI등재

        오칭(誤稱)된 그림 제목의 위력: 양해(梁楷) 필 〈이백행음도(李白行吟圖)〉 재고(再考)

        장진성 ( Chang Chin-su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8 No.-

        현재 토쿄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는 양해(梁楷, 13세기 초에 활동)의 〈이백행음도(李白行吟圖)〉는 시를 읊으며 천천히 걸어가는 이백(李白, 701-762)을 감필체(減筆體)로 그린 작품이다. 〈이백행음도〉는 현존하는 양해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그림이다. 그런데 〈이백행음도〉의 주제가 과연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본래 〈이백행음도〉에는 그림 제목이 적혀 있지 않다. 중국의 회화 작품 대부분에는 제목이 쓰여 있지 않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개별 그림의 제목은 모두 후대에 편의적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백행음도〉도 마찬가지로 후대에 붙여진 그림 제목이다. 현재 남아 있는 이백을 주제로 한 대부분의 작품들은 술을 마시고 있는 또는 술에 취한 이백을 그린 그림들이다. 이백을 주제로 한 그림의 화제(畵題) 중 술에 취한 상태에서 시를 읊는 모습인 ‘취음(醉吟)’, 즉 ‘이백취음(李白醉吟)’은 존재한다. 그러나 ‘이백행음(李白行吟)’은 존재하지 않는다. 토쿄국립박물관에는 에도시대(江戶時代, 1615-1868)에 카노파(狩野派) 화가가 임모(臨摹)한 〈양해이백행음도모본(梁楷李白行吟圖模本)〉과 〈양해동방삭도모본(梁楷東方朔圖模本)〉이 소장되어 있다. 이 두 그림은 본래 대폭(對幅)으로 한 세트를 이루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동방삭(東方朔, 기원전 154-93)의 상대가 되는 인물은 이백이었을까? 동방삭과 이백은 역사적으로 아무런 연관이 없다. 동방삭은 굴원(屈原, 대략 기원전 343년경-277년경)의 추종자였다. 그는 굴원과 마찬가지로 충직(忠直)한 관료로 서한(西漢)의 무제(武帝, 재위 기원전 141-87)에게 조정의 시책에 대해 간언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는 정치적으로 불우했던 인물이다. 동방삭은 『초사(楚辭)』에 들어 있는 시인 「칠간(七諫)」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칠간」은 굴원의 『이소(離騷)』를 모델로 한 시이다. 굴원은 ‘물가를 거닐면서 읊조리는(行吟澤畔)’ 인물로 그림과 판화에 주로 그려졌다. 따라서 〈이백행음도〉에 그려진 인물은 이백이라기보다는 굴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Li Bai Chanting a Poem by Liang Kai (active early 13th century)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is an imaginary portrait of the eminent poet Li Bai (701-706) walking with head raised and reciting. Simple and abbreviated brushwork is employed to portray the poet. The drawing is extremely simplified. Li Bai Chanting a Poem is his best known work. But, the identity of the figure in the painting has not yet been fully scrutinized. The painting has no original title.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figure in the painting is Li Bai. The title of the painting was given later, most probably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Most of the extant paintings portraying Li Bai show him drinking wine or being heavily drunken. Li Bai Chanting a Poem and Dongfang Shuo, a set of two hanging scrolls, currently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are Edo-period (1615-1868) close copies of the originals by Liang Kai. They are known to have been created by an unidentified painter of the Kano school.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i Bai and Dongfang Shuo (154-93 BCE)? There is no clue to illuminating their relationship. Dongfang Shuo was an admirer of Qu Yuan (approximately 343 BCE-approximately 277 BCE), a Chinese poet and politician in the state of Chu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475-221 BCE). Passionately concerned with the fate of his state, he argued for an alliance with Qi. He was slandered by rivals and banished to the Miluo River region, where he wandered about in great distress of mind through mountains, plains, and marshes and finally drowned himself. Like Qu, Dongfang Shuo was an unsuccessful politician. He periodically offered admonitions to the emperor Wu (r. 141-87 BCE) of the Western Han dynasty. But they were never accepted. He is credited with a poem in the Chuci (Songs of Chu or Songs of the South) titled “Qijian (Seven Admonitions)” that is modeled on the long poem “Lisao (Encountering Sorrow)” by Qu Yuan. Qu is often depicted as a solitary man strolling by a marshy bank in paintings and woodblock print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figure in Li Bai Chanting a Poem is not Li Bai but Qu Yuan.

      • KCI등재
      • KCI등재

        사령형(使令型) 인물의 형상화 양상 및 전형성

        송미경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2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aspect of Saryeong(使令) character's imagery in Korean classical works and its typicality. Saryeong who transports a prisoner is an extra but highly individual character seen widely in various Korean classical narration like novel, fable, pansori, shaman song, shaman play, prose-poetry, etc. This character group is composed of the Gunnosaryeong (軍奴使令), the lower servant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Jeoseungchasa(-差使), the messenger of death. The three types of Saryeong charact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type who serves faithfully, second, the type who is shaken with bribe, third, the type who is in two extremes of sacred and profane. The first type in Janghwa Hongnyeon-jeon, Lee Chunpoong-jeon, and Hoesimgok is characterized as violent and cold hearted person transports a prisoner in a hurry. This temperament stems from his position need to obey the order of the superior. And, this type has little personality because his own narration is too short to express his personality. Next, the second type in Pansori Chunhyang-jeon, Fable Seodongji-jeon, Hwaraengi’s shaman song about The Record of a Journey Gunung-nojeonggi, shaman song in epic about the life extension Maenggam-bonpuri·Hwangcheonhonsi ·Jangja-puri, folktale about same theme The Grandfather Saved His Grandchild through Serving the Messenger of Death·Dongbangsak Extended His Life Span through Serving the Messenger of Death, and shaman play about sending on the spirits Sajaesamseong·Saja-gut features a shake-up with bribe and a disloyal. This type can show his tendency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criminal-detective by money or food makes new scenes. Most of Saryeong characters are included in this second type and they have their own colors by their genres or works. The third type in comedy song Gullosaryeong Suljujeong and shaman song in epic Chasa-bonpuri place the extremes sacred and profane respectively. One is too ridiculous and funny character and the other is deified man with his sacred myth. The most typical Saryeong character among three types is the second has the majority. They have a military spirit and are wild. Because of poor conditions, they get an undue desire for bribe and is easy to fall into temptation of money or food. And, they are capricious, expecially if they are just people not gods. Saryeong characters as gods have faith that offers reword bribes. 본고에서는 고전 서사에 두루 포착되는 개성적인 군소 인물형으로서의 사령형 인물이 개별 작품에 형상화된 양상을 고찰하고 그 전형성을 규정하여 보았다. 우선 사령이라는 인물 유형이 성립될 수 있었던 근거에 대해서는 군로사령과 저승차사의 두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역사문헌으로부터는 군로사령의 성격과 복색, 그리고 포권 악용의 행태 및 불안정한 경제적 처지 등을 확인하였다. 종교경전에는 저승차사가 망자를 저승으로 데려가기 전에 반드시 생전의 공덕을 살펴 저승행의 방식을 정하였고, 그를 융숭하게 잘 대접하면 죽음에 문턱에서도 생사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다. 작품에 등장하는 사령형 인물은 첫째, 직무를 충실히 이행하는 유형, 둘째, 뇌물의 유혹에 동요하는 유형, 셋째, 통속과 신성 양극단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형에는 <장화홍련전>, <이춘풍전>, <선심가(회심곡)>의 사령이 포함되며, 이들은 사납고 몰인정한 태도로 주어진 직무를 급히 서둘러 수행한다. 이러한 성향은 하급 관졸이라는 현실적인 처지에 기인하는 측면이 크다. 또한 첫째 유형은 여타 유형에 비해 등장인물로서의 개성 표출이 상당히 제한적인데, 이것은 죄인의 호송 이후에는 사령의 역할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다음 서사로 장면이 급전환되기 때문이다. 둘째 유형에 속하는 사령의 특징은 뇌물의 유혹에 동요하여, 죄인을 즉시 호송하라는 상관의 명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 중에 뇌물을 매개로 한 죄인-사령 간의 관계가 새로운 이야기 대목을 파생시키면서 사령형 인물의 개성이 보다 확실히 부각된다. 판소리·판소리계 소설 <춘향전>, 우화소설 <서동지전>, 노정기형 화랭이 무가 <군웅노정기>, 연명설화형 서사무가 <맹감본풀이>·<황천혼시(혼쉬굿)>·<장자풀이>, 연명형 민담 <저승사자 대접하여 손자 구한 조부>·<저승차사 대접하여 명 이은 동방삭>, 망자천도형 무극 <사재삼성>·<사자굿> 등 대부분의 사령형 인물이 이 둘째 유형에 포함되며, 이들은 장르적 성격 및 작품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색을 드러낸다. 마지막 셋째 유형에 속하는 사령형 인물은 통속성과 신성성의 양극단에 위치하는 만곡 <군로사령 술주정>의 김번수·박번수, 그리고 서사무가 <차사본풀이>의 강림이다. 전자의 인물 형상화는 지나치게 희극적이고 해학적인 데로 치우친 통속성의 극단에 해당하며, 후자의 사례에서는 독립적인 신격의 좌정담에 내재하는 신성성의 극치를 엿볼 수 있다. 이중 이른바 ‘전형적인’ 사령형 인물에 해당하는 것은 가장 많은 인물군이 포착되는 둘째 유형이다. 호기롭고 우악스러우며, 평소의 열악한 처지 때문에 뇌물에 대한 탐심이 크고 그 유혹도 쉽게 이기지 못한다. 또 환대와 뇌물에 태도가 급변하는 다소 변덕스러운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인간격의 사령일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편 신격의 사령은 받은 뇌물에 대한 보상을 확실히 하여주는, 신의 두터운 인물인 경우가 많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한문학 속의 동방삭 담론 : 선비의 복잡한 내면, 인간의 평범한 감정

        田娟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8

        Dongfang Shuo is a legendary figure that is both real and illusory. His deeds and works were spread eastward to the Korean Peninsula as far back as during the Silla period. So far, the story of " Dongfang Shuo had lived a long life of 3,000 years" continues to be well known to the Korean people. The paper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Dongfang Shuo in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classics. It makes it clear at the beginning that texts related to Dongfang Shuo are spread far and wide with an extensive audience in Korea, followed by a specific investigation with three keywords including "funny", "self-effacing courtier" and "stealing peaches of immortality in Chinese mythology".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two keywords is closely related to the identity and survival strategy of the scholar group which upholds Confucianism and is committed to social progress. The interpretation of "funny" mainly focuses on the judgment of pantomime-related intellectuals; that of the "self-effacing courtier" reflects the deliberation on "elevated to a higher position" and "reclusion" of scholars and the rationalization of their own way of life;while that of "stealing peaches of immortality in Chinese mythology" expresses a person's daily life, desires and feelings.

      • KCI등재
      • KCI등재

        东方朔人物形象演变研究

        GUAN MEI,최영준 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語文學誌 Vol.0 No.68

        汉代的东方朔不仅是一个诙谐幽默,机智善辩的滑稽狂人,更是一位博学多才、满怀政治抱负却无力施展的文人臣子。但随着时代的演进,道教兴起与佛教东传,更多的杂传杂记和民间传说相继出现,受佛道两教思想的浸染和借用,东方朔形象也被不断演变,逐渐被幻化为一位超凡脱俗、飘逸洒脱的神仙异人,极大地丰富了东方朔的形象。在汉文化圈文化传播和交流的背景下,东方朔的独特形象也通过口耳相传或文献记载方式传入韩国,韩国文人根据自己的领悟进行了再接受和再诠释,并引发一系列具有韩国特色的东方朔传说。人们在后世东方朔形象再塑造时,融入更多自己的主观感受,求得心灵寄托和心理慰藉,因为社会各阶层的人,在东方朔身上都能找到自己的心理需求和满足。借助宗教的神秘和百姓的追捧,东方朔在从历史形象到传说形象的演变过程中,逐渐摆脱了专制皇权的桎梏,以逍遥人间的形象寄托了人们对自由和永恒的向往。 The DongfangShuo of the Han Dynasty were not only a humorous, witty and ridiculous madman, but also a literary courtier who was versatile and politically motivated but unable to perform. However, with the evolution of the times, more miscellaneous miscellaneous stories and folklore have appeared one after another. Influenced by the thoughts of Buddhism and Taoism, the image of DongfangShuo is constantly evolving and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dignified god. Under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Han culture circle, the unique image of DongfangShuo was also introduced to South Korea through word of mouth or documentary. The Korean literati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ir own comprehension and triggered the legend of the DongfangShuo. In the later generations, when the image of the DongfangShuo is reshaped, it incorporates more of its own subjective feelings, in order to obtain the sustenance and comfort of the soul, because people of all walks of life can find their own psychological needs and satisfaction in the DongfangShuo. With the influence of religion and the pursuit of the people, DongfangShuo’s evolution from the historical image to the legendary image gradually got rid of the embarrassment of the autocratic imperial power, and pinned the people’s longing for freedom and eternity with the image of the happy world.

      • KCI등재

        중국 年畵의 욕망 코드와 解讀의 상호 관계

        권석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2 中國學論叢 Vol.37 No.-

        中國年畵如<一品當朝>、<滿載而歸>、<財源聚寶>、<麒麟送子>、<張仙送子>、<福祿壽星>、<珍寶財神>、<和合二仙>、<天官賜福>等作品具有固有的象徵內蘊,也有‘辟邪、進慶、吉祥、鑑戒’的功能.到了明代時期有了年畵的象徵內蘊産生變化,其變化是由消費者的解讀(decoding)引起的. 例如民間年畵中對於東方朔、二將軍、竈王神的象徵, 都是隨著消費者的解讀加上新的象徵. 在明代以前, 東方朔只不過是長壽的神仙. 到了明代, 東方朔跟蟠桃、鹿、三星、如意、蝙蝠、八仙、松鶴等象徵結合起來, 在人民的認識中, 東方朔不僅能夠長壽, 而且還能爲人們帶來的吉祥, 也增添了新的象徵. 二將軍是防鬼辟邪的. 到了明代, 二將軍跟童子紫金冠、元寶、暗八仙、橫笛、葫蘆、拍板、漁鼓等結合起來, 增添了連生貴子、五子登科的含義. 竈王神是管人間的善惡的. 明代後成了財神’ 天下財源主、人間富貴神、福祿財神. 總之, 到了明代, 中國年畵對中國人的慾望系統的形成給了至大的影向, 中國人的慾望成了年畵生産的原動力.

      • KCI등재

        중국 연화(年畵)의 욕망 코드와 해독(解讀)의 상호 관계

        권석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2 中國學論叢 Vol.37 No.-

        中國年畵如<一品當朝>,<滿載而歸>,<財源聚寶>,<麒麟送子>,<張仙送子>,<福祿壽星>,<珍寶財神>,<和合二仙>,<天官賜福>等作品具有固有的象徵內蘊,也有``避邪,進慶,吉祥,鑑戒``的功能.到了明代時期有了年畵的象徵內蘊産生變化,其變化是由消費者的解讀(decoding)引起的. 例如民間年畵中對於東方朔,二將軍,조王神的象徵, 都是隨著消費者的解讀加上新的象徵. 在明代以前, 東方朔只不過是長壽的神仙. 到了明代, 東方朔근蟠桃,鹿,三星,如意,편복,八仙,松鶴等象徵結合起來, 在人民的認識中,東方朔不僅能구長壽, 而且還能爲人們帶來的吉祥, 也增添了新的象徵.二將軍是防鬼避邪的. 到了明代, 二將軍근童子紫金冠,元寶,暗八仙,橫笛,葫蘆,拍板,漁鼓等結合起來, 增添了連生貴子,五子登科的含義. 조王神是管人間的善惡的. 明代後成了財神`` 天下財源主,人間富貴神,福祿財神.總之, 到了明代, 中國年畵對中國人的慾望系統的形成給了至大的影向, 中國人的慾望成了年畵生産的原動力.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