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사에서의 독창성

        조인수(Cho, Inso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4 美術史學 Vol.- No.28

        미술사 연구에서 “독창성(originality)”은 오랫동안 중요한 문제로 여겨져왔다. 예술의 독창성에 대한 이론적 탐구는 미술사 보다는 미학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미학에서 독창성은 창의성(creativity)과 더불어 예술의 기본 특성으로 간주되기에 이에 대한 철학적이고 인식론적 접근이 시도되었다. 반면 미술사에서는 이를 본격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역사 속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하면서 개별 작가나 작품에 대하여 독창성을 언급하는 방식이었다. 이 글에서는 서양과 동양의 미술사에서 독창성이란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비교해 보고, 현재 전개되고 있는 미술의 경우를 예로 들면서 독창성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를 살펴본다. 미술에서 완전한 새로움을 기대하는 것은 모더니즘의 유산인데, 이를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서양 고대인들에게 예술은 창조성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예술가는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발견해 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모방을 뜻하는 그리스어 “미메시스”는 오랫동안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중세에는 무(無)의 상태에서 유(有)를 만들어내는 창조란 것은 신의 영역에 속하는 것을 가리키게 되었고, 인간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렇게 미술가는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모방하는 것이라는 관점은 르네상스 시대에도 지속되었고, 모방이론의 중요성은 정점에 도달했다. 창조와 독창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낭만주의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19세기에 이루어졌다. 고전주의와 달리 낭만주의는 기계적 모방에 의한 복제를 낮게 평가했고, 예술을 단순한 모방을 넘어서는 창조라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낭만주의에서는 자아만이 독창성의 근원이 된다. 낭만주의와 마찬가지로 모더니즘 역시 이미 존재하고 있는 관습을 반복하지 않고, 기존 위계질서를 전복시키려고 한다. 서양 미술의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았을 때 독창성이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제도적, 역사적, 성적 조건에 따라 독창성을 다르게 규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동양의 고대 화론을 살펴보면 독창성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처음에 중요했던 것은 “일격(逸格)”이라는 개념이다. 신품(神品), 묘품(妙品), 능품(能品)으로 그림의 품격을 나누었고, 그 밖에 통상적인 법에 구애받지 않는 것으로서 일격을 두었다.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요소를 별개의 범주로 구분한 것이다. 이후에 독창성에 해당하는 용어로 많이 사용된 것은 낯설다는 “괴(怪)”, 다르다는 “이(異)”, 기묘하다는 “기(奇)” 등이 있다. 특히 명말청초에 해당하는 17세기에는 기(奇)가 많이 사용되었다. 기(奇)는 기존의 분류에 속하지 않고, 이전과는 확연하게 다르며, 화가 자신만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는 의미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동기창(董其昌, 1555-1636)은 “정(正)”과 대비되는 것으로 “기(奇)”를 중요시했고, 기묘함의 예술적 가치에 대하여 긍정적이었다. 조선에서도 강세황(姜世晃, 1712-1791)이나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경우에 “기(奇)”를 강조했다. 21세기에 독창성의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드는 좋은 사례를 중국선전(深?)의 다펀유화촌(大芬油畵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연간 500만점 이상의 유화를 제작하여 수출하고 있다. 대부분이 서양미술사에서 유명한 작품들의 복제화로서 다펀유화촌의 사례는 독창성에 대한 오래된 고정관념을 깨준다. In the field of art history, “originality” has long been an important issue.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creativity of art has been taken mainly in aesthetics rather than in art history. Aestheticians considered originality together with creativity a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rt, and they attempted philosophical and epistemological approach. On the contrary, art historians have tried to explain specific cases about the originality of the individual artists and artworks. Searching for the newness in art is a crucial feature of modernism, and it is a significant task to rethink the myth of originality. This article based on a comparative point of view explores how the East and the West deal with the issue of originality in art history. The ancient Western people considered that art has nothing to do with creativity because they believed that artists are not to create but to find beauty. “Mimesis” meaning imitation in Greek was an important concept for a long time. In the Middle Ages, people believed that the creation which means making something from nothing is the realm of God. The idea that artists’ mission is not creating but imitating continued in the Renaissance period. The perception of originality and creativity began to change with the emergence of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Unlike Classicism, Romanticism devaluated a mechanical imitation as replication and recognized art as creation beyond mere imitation. Only the self is the source of creativity in Romanticism. Likewise, Modernism also refused customary repetition and tried to overthrow the hierarchy of art. The thorough examination of the ancient East Asian art theory reveals that the concept of originality has a long tradition. In the early period, the term of “untrammeled (yil 逸格)”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scourse of originality. The categories of inspired (sin 神品), excellent (myo 妙品) and capable (n?ng 能品) are established. Beside them, the “untrammeled” is listed. It is not placed blow but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category with its creative and innovative elements. In the later periods, originality is used in several different words that are “strange (koe 怪)”, “uncommon (yi 異)”, “original (ki 奇)” and so on. In the 17th century, ki (Ch. qi 奇) gained popularity. Ki does not belong to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and means evidently different with its own sense of strangeness. Dong Qichang (董其昌, 1555-1636) highly valued ki as contrasted with “proper (Ch?ng 正).” To him, ki was positive about the artistic creation. Korean literati painters, such as Kang Se-hwang (姜世晃, 1712-1791) and Kim Ch?ng-h?i (金正喜, 1786-1856), also emphasized ki. In the 21st century, Dafen Oil Painting Village in Shenzhen becomes a good case to think of originality. Most of the famous works of Western art history are copied here and exported to all over the world. More than five million paintings are produced every year. The Dafen case raises many important questions for creativity and breaks old stereotypes of copying. From the above examples, it is clear that creativity is being socially constructed, and originality is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escribed social, cultural, institutional and gender conditions.

      • KCI등재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 독창성 채점 기준분석

        손지유(Son Ji Yu),한기순(Han Ki-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의 다양한 독창성 채점 기준을 분석하여 가장 타당한 독창성 채점 기준을 찾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Wallach & Kogan의 가장 대표적인 독창성 측정 준거에 따라 산출된 4가지 독창성 점수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 한 채점 기준을 적용한 Wallach & Kogan 독창성 점수들이 창의적 아동을 어느 정도 판별하고 예 측하는지 비교 분석하기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천광역시 초등학생 4, 5, 6학년 265명을 대 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채점 기준을 적용한 독창성 중 표집 집단의 5%이하 응답에 모두 1점을 부여하고 1%이하 응답에 추가로 1점의 가산점을 주는 독 창성 채점 방식이 가장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독창성 채점 방식과 다른 창의성 검사들 간의 상관에서는 독창성 1(표집 집단의 5%이하의 응답을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1점을 주는 방법), 독창성 2(표집 집단의 5%이하 응답을 가중치를 두어 5%이하 2.5%초과인 응답은 1점, 2.5%이하 1%초과인 응답은 2점, 1% 이하인 응답은 3점을 주는 방법), 독창성 3(표집 집단의 5%이하 응답에 모두 1점을 부여하고 1%이하 응답에 추가로 1점 의 가산점을 주는 방법)이 거의 유사 한 수준의 상관을 나타냈다. 하지만 독창성 4(첫 번째 방법의 독창성 점수를 유창성 점수로 나누 는 방법)는 다양한 창의성 검사들 간의 상관이 현격하게 낮게 나타나서 독창성의 준거로 바람직하 지 않음을 보였다. 셋째, 창의성 집단(TTCT상위 20%와 하위20%)을 예측하는 판별분석에서는 독창 성 2, 1, 3, 4 방식 순으로 창의성 집단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창성 2와 1의 채점 방식 이 창의성 집단 예측율 70%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독창성의 다양한 채점 방식에 관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most reasonable originality grading system by analyzing various originality scoring mehtods of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Hence, this study evalua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4 most commonly used originality scoring methods. Discriminant analysis was operated to find out which of the 4 originality scoring methods predicts better the creative and non-creative groups of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4, 5, and 6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method 3 (1 point to responses less than 5%, and one additional point to those less than 1%) showed the most reliability.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other creativity tests and the 4 different originality scores suggest that three following originality scoring methods show correlation on a similar level: method 1 (less than 5% rated responses were considered to be creative and were given one point), method 2 (responses rated less than 5% were given a weighting on a scale of 1~3 as follows: 2.5~5% - 1 point, 1~2.5% - 2 points, 0~1% - 3 points.) and method 3 (1 point to responses less than 5%, and one additional point to those less than 1%). However, method 4 (dividing up the originality score on method 1 with fluency score) appeared to be inappropriate to be used for originality standard. Third, on discriminant analysis that speculates creativity group (TTCT highest 20% and lowest 20%), in order of method 2, 1, 3, 4 predicted the creativity group, and creativity group prediction rate adopting method 1 and 2 were over 70%, which was relatively high.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ce and the current limits of various originality scoring methods.

      • KCI등재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연구

        이윤정,Salusso, Carol J.,Lee, Jaeil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여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 즉,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윤리성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창의적 과정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면서 동시에 윤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의류학 관련 학과에서 패션디자인 과제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74부를 분석하였다.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요인으로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 및 인구통계적 특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피드백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구통계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추가 투입하였다. 그 결과 첫 단계에서는 과거 성과, 대리 경험, 생리적 피드백이 유의한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에 창의적·윤리적 패션디자인을 수행한 경험이 있거나, 다른 사람이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을 지켜본 경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이러한 작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경우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두 번째 단계에서 인구통계적 특성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변화가 없었다. 단계 2에서 추가 투입된 인구통계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만이 유의한 효과를 가졌는데, 여성보다 남성이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의 교육자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erformance outcomes, oral persuasion, vicarious experience, and physiological feedback on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In order to foster both creativity and ethics among apparel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sufficiently high self-efficacy to make sound ethical decisions while actively pursuing their creative processes.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from ten different universities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bsite. A total of 17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epwis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n the first stage,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was regressed on performance outcomes, oral persuasion, vicarious experience, and physiological feedback. On the second stage, the dependent variable was regres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gender, residenc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in addition to the four precedent variables entered on the first stage. The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outcomes and vicarious experience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physiological feedback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even when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for.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were added on the second stage, only gender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Specifically, men showed higher creativity and ethical fashion design self-efficacy than wome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educators at a higher education level.

      • 문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의 독창성

        김병기(金炳基) 한국서예학회 2008 서예학연구 Vol.13 No.-

        本稿是通过对隶属古代金石文的廣開土太王碑文·百濟武寧王誌石文·朝鲜后期的書藝家蒼巖李三晩的書藝作品与書論文章的分析研究,完成了关于韩国書藝的独创性初步考察。考察的要略如下:➀ 统一新羅之后,即在对中国的事大之前的原始的韓民族書藝時期,韩民族所特有的书藝与中国的书法有着较大区别,即独创性。这种独创性可以简单的概括成为‘无意图性’。所谓的’无意图性‘包含了自由性,自然性,豪放性,質朴性等深意。我们的民族从书法流入的初期开始便形成了一种非纯粹模仿 中国书法的模式,与有意图的临摹相比,我们更注重无意图性的自由书写。我们民族的这种性急的卓越创意性可以用‘卽創性’来加以形容。所谓‘卽創’中的‘學卽創’即在学习的同时进行思考并进行创造。➁ 从朝鲜后期完成朝鲜眞體的李三晩的作品,廣開土太王碑,百濟武寧王誌石,新羅的冷水里碑及赤城碑中也可以寻找到韩民族式書藝的無意圖性。➂ 廣開土太王的諡號被封为‘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意为将国家建立在丘陵之上并广泛开阔国土,造福百姓的好太王。这个諡號与后来受中国影响被称为‘眞平王’,‘武烈王’,‘文武王’的这些諡號在结构上完全不同,因此通过这个諡號也可以窥探出高句丽在文化上的独立以及其文化的独创性。➃ 廣開土太王碑文中所涉及的:"掃加城, 敦拔城, 婁賣城, 牟婁城, 于婁城,....."等虽是借助汉字来记录的,但也只是对纯粹高句丽语言的音译。由此可以看出廣開土太王碑中所体现的独创性。➄ 在廣開土太王碑中出现的‘屬民’一词在中国的许多典籍中无法找到。在『魏書』,『晉書』, 『宋書』,『梁書』等典籍中则未出现过‘屬民’一词。儒家的經典『周禮』中曾出现的‘屬民’一词也与廣開土太王碑中的‘屬民’之意不同。这又一次证明了高句丽文化的独自性。以上➂➃➄点通过廣開土太王碑的独自性可以看出廣開土太王碑的書藝与中国的书法相比具有自己的独创性。➅ 百濟武寧王誌石中‘百濟斯麻王’, ‘登冠大墓’, ‘立志如左’, ‘錢一万文, 右一件’, ‘故立券爲明’等是百濟人使用的独特的表现方法。由此可以推测百濟的書藝与中国的书法有着明显的差异。➆ 李三晚的书法作品自作文与他编写的書論文章也与中国的書論及文章有所差异,具有独特的内容及特别的文章形式。因此,独特的文章构成方式造就了与中国书法不同的朝鲜真体。 본고는 고대 금석문인 광개토태왕비문과 백제무령왕 지석문, 그리고 조선 후기의 서예가인 창암 이삼만의 서예작품과 서론문장을 중심으로 문학적 견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한국서예의 독창성에 대해서 초보적인 고찰을 하였다. 고찰하고 증명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➀ 신라가 통일을 이룬 후, 중국에 대해 事大를 하기 이전인 삼국시대, 즉 원형 적 한민족 서예시기에는 우리 민족만이 구사한 중국과는 판이한 독창성이 분명히존재하였는데 그 독창성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무의도성’이다. 이 ‘무의도성’이라는 말 안에는 자유성, 자연성, 호방성, 질박성 등의 의미가 포함됨은 물론이다. 우리 민족은 서예가 유입된 초기부터 중국의 서예를 의도적으로 모방하여 중국 서예와 닮게 잘 써보고자 하기보다는 오히려 아무런 의도가 없이 그저 ‘우리 식’으로자유스럽게 쓰고자 하였다. 우리 만족의 이러한 성급하면서도 탁월한 창의성은 ‘卽創性’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다. ‘卽創’이란 ‘學卽創’, 즉 배움과 동시에 창작을생각한다는 뜻이다.➁ 조선 후기에 자각적 조선진체를 완성한 이삼만의 작품에도 원형적 한민족 서예시기의 광개토태왕비나 백제 무령왕 지석, 신라의 냉수리비나 봉평비, 적성비에서 느낄 수 있는 무의도성을 느낄 수 있다.➂ 광개토태왕의 시호인 ‘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은 “나라의 언덕 위에(國岡上) 묻히신 나라의 경계를 널리 넓히시고(廣開土境) 백성들을 평안하게 한(平安)좋고 위대한 왕(好太王)”이라는 뜻인데 이 시호를 통해서도 고구려의 독자적 문화와 문학의 독창성을 발견할 수 있다. 후대에 중국의 영향을 받아 부르게 된 ‘眞平王’이니 ‘武烈王’이니 ‘文武王’이니 하는 시호와는 완전히 다르다.➃ 비록 한자를 빌어 기록했지만 掃加城, 敦拔城, 婁賣城, 牟婁城, 于婁城 등은순수 고구려 말이란 점을 통해서 볼 때 광개토태왕비문은 중국과 다른 문학적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➄ 광개토태왕비 이외에 중국의 다른 典籍에서는 광개토태왕비에서 사용한 의미와 같은 의 ‘屬民’이라는 단어는 보이지 않는다.『魏書』,『晉書』,『宋書』,『梁書』등에는 아예 ‘屬民’이라는 단어는 한 번도 등장하지 않고 儒家의 경전인『주례(周禮)』에서 더러 ‘屬民’이라는 말이 보이나 그 뜻은 광개토태왕비문의 그것과는완전히 다르다. 고구려 문학의 독자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증거이다. 이상 ➂, ➃, ➄와 같은 광개토태왕비의 독자성을 통해서 볼 때 광개토태왕비의 서예도 중국서예와는 다른 독창적인 서예를 구사했다는 점을 간접 증명할 수 있다.➅ 백제 무령왕 지석에는 ‘百濟斯麻王’, ‘登冠大墓’, ‘立志如左’, ‘錢一万文, 右一件’, ‘故立券爲明’등 백제인들만이 구사한 독특한 문장 표현법이 있다. 이를 통하여백제의 서예 또한 중국의 서예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을 것이라는 짐작을 할 수 있다.➆ 이삼만의 自作文 서예작품과 그가 지은 書論문장에도 중국의 문장이나 중국의 서론과는 다른 독특한 내용과 특이한 형식의 문장이 들어있다. 이처럼 독특한문장을 구사한 그였기 때문에 중국서예와는 다른 자각적 조선진체를 완성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영국 저작권법상 창작성(originality) 개념의 진화

        윤권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集 Vol.22 No.2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cept of ‘originality’ of Britain in the 18th century has evolved since the 19th century. Under the U.K Copyright Act, the concept of ‘original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as follows. First, it is the period from the birth of the law of 1710 until the creation of a law explicitly demanding ‘originality’ in 1911. At this time, the concept of ‘originality’ is formed by the court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uthor’ or ‘work’. The concept of ‘originality’ based on labor, which was formed in the 18th century, continued through the court decis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From the mid-nineteenth century, legal books on copyright appeared, and a book published in 1870 state that originality is required for copyright protection. At that time, the court was discussing copyrighted works in the view of rejecting free rides on works. Second, it is the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1911 Act until the formation of the European Directive in the 1990s. In 1911 the concept of originality was provisionized in the law, and the concept of originality became established in the U.K. copyright world. Since then, the judiciary has been working to elaborate the concept of originality for adapting reality. The subsequent case law has established the concept of originality in the UK as ‘the work must not be copied from another work’ and ‘the results of a skill, judgment or labour’. In addition, doctrine of a minimum standard of originality, that is, ‘a substantial degree of skill, judgment or labour should be imposed’ has established. As a result, the court finds lack of originality in mechanical copying. Third, it is the period that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of the European Directive in the 1990s, the Judiciary has interpreted the originality concept in the European Directive and reflected it in the case law. The European Directive stipulated that the standards of originality for computer programs, databases and photographs are ‘author’s own intellectual creation’ and in 2009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nfopaq) stated that these standards apply to all categories of works. To date, the U.K Court has taken the position that the concept of originality of the European Directive an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does not contradict the concept of originality of the United Kingdom. 이 논문은 18세기에 싹튼 영국의 전통적 ‘독창성(originality)’ 개념이, 19세기 이후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영국 저작권법상 ‘독창성’ 개념사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1710년 앤 법이 탄생한 이래, 1911년 ‘독창성’을 명시적으로 요구하는 법률이 생성될 때까지의 시기이다. 이때는 ‘저자’ 또는 ‘저작물’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법원에 의해 ‘독창성’개념이 형성되게 된다. 18세기에 형성된 노동에 기반 한 ‘독창성’ 개념은, 19세기에 들어서서도 판례를 통해 지속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저작권에 대한 법률 서적이 등장하게 되었고, 1870년 발간된 서적은 저작권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독창성이 요구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당시 법원은 저작물에 대한 무임승차를 거부하는 입장에서 저작물성을 논하고 있다. 둘째, 1911년 법이 만들어진 이후 1990년대 유럽지침이 제정되기 전까지의 시기이다. 1911년 법률에 독창성 개념이 조문화됨으로서, 영국 저작권 세계에 정착되게 되며, 법원은 독창성 개념을 현실에 맞게 정교화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이어진 판례는 ‘기술, 판단, 노동이 투여되었다는 의미에서, 베끼지 않은’ 이라는 현재까지 이어져오는 영국의 독창성 개념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창작성의 최소의 수준 즉, ‘상당한 수준’의 ‘기술, 판단, 노동’이 투입 되어야 한다는 법리가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법원은 기계적 복제에 대해서는 창작성이 결여되었다고 보게 된다. 셋째, 1990년대 유럽지침의 제정에 따라, 법원이 유럽지침상 독창성 개념을 해석하고, 판례에 반영해 오고 있는 시기이다. 유럽 지침은 컴퓨터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사진에 대한 창작성 기준을 ‘저자 자신의 지적 창작물’이라고 규정하고 있고, 2009년 유럽사법재판소 판례(Infopaq)는 이러한 기준이 모든 저작물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게 된다. 현재까지 영국법원은 유럽지침 및 유럽사법재판소의 창작성 개념이 영국의 독창성 개념과 모순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 KCI등재

        영국 저작권법상 ‘창작성(originality)’ 개념의 역사적 기원

        윤권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7 지식재산연구 Vol.12 No.3

        Under the U.K. Copyright Act, the origin of the originality concept dates back to the Ann Act(1710). The Act grants rights to authors and others without mentioning originality. The concept of originality develop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author’ in the court until the copyright law explicitly required originality in 1911. Burnett v Chetwood (1720) and Gyles v Wilcox (1740) ruled that labor was important, and that translations and abbreviations could be viewed as new works, respectively. In this way, the concept of ‘originality’, which means ‘not copied’, is born, different from the creativity of genius or novelty in patent law. In addition, through the judgments of the late 18th century, the notion of ‘originality of expression’ is formed. Thus, in the 18th century, the British judiciary created the concept of ‘originality’, which is ‘not copied’ and ‘original in expression.’ The concept of ‘creative genius’ in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 concept of ‘aesthetic originality’ in the late 18th century romanticism had little impact on the British legal system. This is different from European continent(France, Germany) which enacted modern copyright Act in the late 18th century or early 19th century. 영국 저작권법상 독창성 개념의 기원은 1710년 제정된 앤법까지 거슬러올라간다. 동법은 독창성에 대한 언급 없이, 저자 등에게 권리를 부여하고있다. 독창성 개념은 1911년 저작권법이 명시적으로 독창성을 요구하기 전까지, ‘저자’ 개념을 법원에서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전하였다. Burnett v. Chetwood(1720) 판결과 Gyles v. Wilcox(1740) 판결은 노동을 중시하여, 각각 번역본과 축약본을 새로운 작품으로 볼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이로써천재의 독창성, 특허법상의 신규성이 아니라, ‘베끼지 않음’을 의미하는 ‘독창성’ 개념이 싹트게 된다. 또한 Tonson v. Collins(1760) 등의 판례를 거치면서 ‘표현의 독창성’이라는 개념이 형성된다. 이같이 18세기 영국 사법부는‘베끼지 않은, 표현에 존재하는’이라는 ‘독창성’ 개념을 만들었고, 이는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 18세기 문학계에서의 ‘독창적 천재’ 논의와 18 세기 후반 낭만주의 시대 도입에 따른 ‘미적 독창성’ 개념은 영국 법조계에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는 근대적 저작권법의 입법이 늦은 유럽대륙(프랑스, 독일)과 다른 점이다.

      • KCI등재후보

        중등 수학 영재의 독창성에 관한 고찰

        강주영(Kang, Joo Young),김동화(Kim, Dong Hwa)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This study analyzed what form the originality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gifted student was represented, and what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high-original middle school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re generally shown. And we tried to find ways to enhance originality through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long-term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receiving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seven characteristics, 1) mathematical ability, 2)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3) meta-cognition, 4) self-directed learning, 5) flexibility of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6) mathematical tendency, and 7) learning habits were found from the highly original(novel) middle school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originality in gifted education.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carry out rich open-ended problems or challenging tasks in new fields such as convergence tasks, we can support the development and representation of originality. In addition, in-depth research and investigating practical methods are neede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classroom, school, parents) and teachers teaching methods to cultivate originality. Lastly, the same efforts are necessary so that general students can cultivate originality in school math classes, not just in gifted classes.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영재의 독창성은 어떠한 형태로 발현되고, 독창성이 높은 중등 수학 영재는 전반적으로 어떠한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여 수학 영재 교육 등을 통하여 독창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학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관찰과 심층 면담을 활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독창성이 높은 중등 수학 영재로부터 7가지의 특성(수학적 능력, 수학적 의사소통능력, 메타인지, 자기주도학습, 수학적 사고 과정의 융통성, 수학적 성향, 학습 습관)을 찾을 수 있고, 영재 교육에서 독창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융복합과제와 같은 새로운 분야의 도전적인 과제나 우수한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들을 수행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독창성을 계발하고 발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독창성 함양을 위해 교육환경(교실, 학교, 학부모)과 교사의 교수 방법 등에서 심도 있는 연구와 실천적인 방법 모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영재수업이 아닌 일반 수학 교실에서도 독창성 함양을 위해 같은 노력이 적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高麗時代佛敎香爐의 傳統性과 獨創性

        李溶振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고려시대 불교향로는 전통성과 독창성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두 가지 성격은 상반되는 속성일 수도 있지만 전통을 바탕으로 독창성이 발휘되는 것도 있고, 고려인들만의 창조적인 독창성이 표현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 불교향로 중에는 통일신라부터 사용된 기형을 그대로 계승하여 고려화 한 것과 통일신라시대의 향로를 바탕으로 발전시킨 향로가 있다. 고려시대의 獅子鎭柄香爐가 전자에 해당하고, 香이 후자에 해당한다. 통일신라시대의 기형을 그대로 계승한 獅子鎭柄香爐는 제작기법과 사자의 모습 등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시기는 12세기에서 13세기경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불교향로인 香은 통일신라의 불교향로를 바탕으로 점진적인 변화와 발전 속에서 완성된 것이고, 조선으로 계승되어 또 다른 전통이 되었다. 고려시대 불교향로의 독창성은 懸爐와 香에 은입사 된 문양을 통해 볼 수 있다. 懸爐는 柄香爐와 居香爐와는 다르게 경전적인 근거가 없는 고려인들의 독창성이 발현된 것으로 彌陀會와 같은 특정의례에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에 나타나는 문양은 단계적으로 체계를 갖추었고, 1218년 제작된 貞祐6年社福寺銘청동은입사향완에 이르러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문양이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梵字를 장엄하기 위해 사용된 如意頭文의 원권은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의 가장 특징적인 문양일 뿐만 아니라 고려와 조선시대의 靑銅銀入絲香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양식적 지표이다. 梵字를 香에 은입사 하는 것은 고려만의 독창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梵字는 뜻을 이루기도 하지만 최상의 찬탄어구로 이루어진 것도 있었고, 元代불교의 경향을 반영한 것도 있었다. 또한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범자가 高麗大藏經의 悉曇字를 근간으로 했던 것을 서체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시대 불교향로에 보이는 전통성과 독자성은 통일신라 향로의 계승과 조선시대 향로를 연결하는 중요한 성격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시기 주변국의 불교향로에서는 볼 수 없는 가장 불교적이고 한국적 불교향로를 완성했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라 할 수 있다.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traditionality and originality, in Buddhist incense burners of Goryeo period. Of all incense burners in Goryeo period, what inherited incense burner of Unified Silla period is the incense burner with having lion weight. What developed incense burner on the basis of Unified Silla period is Hwangwan. The incense burner with having lion weight of Goryeo period was changed in technique and appearance of lion between 12th and 13th century. Hwangwan representing Goryeo incense burner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Buddhist incense burner of Unified Silla, and Hwangwan succeeded by the Joseon became another tradition. The originality of the Buddhist incense burners of Goryeo period is the Hyeonro(hanging incense burner) and silver inlaid pattern on the Hwangwan. The Hyeonro(hanging incense burner) that has no scriptures basis is to show the originality of Goryeo’s people. Also this incense burner was used Amitabha ritual ceremony. The round frame of Ruyi head pattern for decorating Sanskrit characters i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ilver inlaid Hwangwan of Goryeo period but also the stylistic indicator to distinguish 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Silver inlaid pattern on the Hwangwan was equipped with the pattern system step by step. Silver inlaid Hwangwan with inscription Saboksa temple made in 1218 the first work equipped with the completed pattern system. Silver inlaid sanskrit characters on Hwangwan is the creative representation technique.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in sanskrit characters on silver inlaid Hwangwan such as om. ma n.i pad me hu -m. , a om. hri-h. hu-m., a a- am. ah, and admiration phrase. In addition the font of silver inlaid sanskrit characters on Hwangwan is on the basis of Tripitaka Koreana. The traditionality and originality of the Buddhist incense burners of Goryeo perio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necting Unified Silla and Joseon.

      • KCI등재

        디자인을 활용한 아동 창의교육 연구

        노승관(Seung Kwan No),안종혁(Jong Hyeck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디자인은 "창의적 문제 해결의 프로세스"로 발전되어 융합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최근 아동교육의 화두로 떠오른 ‘창의’의 실천적 방안으로 교육과정에 디자인을 포함시키려는 시도는 이러한 맥락에서 자연스러운 것이다. 현재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교육은 영재교육의 일환처럼 다루어지고 있으며 교육의 실제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디자인을 이용한 창의교육이 이에 대한 하나의 답을 제시할 수 있다. 디자인프로세스는 시각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피교육자에게 즉각적인 시각적 피드백과 재미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의 어떤 요소들에 디자인적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 그 요소들을 활용한 창의 디자인과제를 제작하여 그 효용성을 알아 보았다. 먼저 디자인과정과 창의성 교육의 관계를 고찰하고, 창의와 디자인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제시된 단서를 표현하는 능력인 유창성과 주관적으로 상상해내는 능력인 독창성의 요소를 도출해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두 개의 창의 디자인과제 유형을 제작하였다. 다음, 두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5문항의 설문형태로 변경하여 초등학교 1∼3학년 아동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창성 평가에서 두 유형 모두 유창성에서 학년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유창성을 보였다. 독창성에서는 1번 문항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독창성점수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독창성 평가점수가 더 높았다. 유창성과 독창성의 상호 수행정도에서는 낮은 유창성-낮은 독창성 4%, 높은 유창성-높은 독창성3.8%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창의교육에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입함으로서 감성 위주의 미술교육에서 종합적인 창의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본 연구의 한계와 유창성과 독창성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Design, a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has expanded it`s boundary and has become an integral part in convergence. It is natural to include design in practicing creativity education which has become the focal point in children education. But, what`s practiced in the field today titled as ``creative education`` could not fulfill it`s original purpose and narrowed it`s scope as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Creative education integrating design could give an answer for this problem. As a visual problem solving paradigm, design process offers learner an instant feedback and fun. This article studied that what areas in creativity could be enhanced with design process and created creative design tasks based on the study and tested it`s usefulness through task test method. First, the articl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rocess and creativity education, then identified two key elements of fluency, ability to express based on given cues, and originality, ability to express based on imagination. From various creative design theories, we created two creative design task types. Based on two task types, we created five question test, applied it to 159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first grade to third grade and analysed the test. Result showed that in fluency assessment, no grade difference was found in grades in both types and female showed better scores than male participants. In originality, scores were lowered as grade goes up in question 1 and female showed better scores than male. In fluency-originality relation, 4% showed low fluency-low originality and 3.8% showed high fluency-high originality. In conclusion, limitation of this article which tried to find possibility of total creativity education with converging design process in creativity education of children were discussed and we addressed the need of detailed study of interaction between fluency and originality in creativity education.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서 아트 인퓨전의 확산과 독창성의 의미 : 에드 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확산 사례와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이동환 한국광고학회 2020 광고학연구 Vol.31 No.4

        This study examines the diffusion of art infusion through the case of Edward Hopper. In addition, the originality of art infusion strategy was explored through the originality of technology, art, and advertising. Hopper's infusion, which has spread worldwide, has also been introduced into Korea. The difference with the global phenomenon is that the Hopper did not stand out. It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domestic public recognition is somewhat lower than Hopper's global reputation. Nevertheless, ssg.com's first infusion of hoppers in the case became the Präatexte of many other commercials. Such a resul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lection of materials was valid, and the picture of the Hopper itself was easy to use as an advertisement. Next, the meaning of originality in the art infusion strategy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ive product and the intertextuality. As a resul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criteria and processe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prior meaning in determining the originality of Art Infusion. After all, the ingenuity of Art Infusion can be said to be the originality of the limited meaning that appears in the wider process of creation. 본 연구는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사례를 통해 아트 인퓨전이 확산되는 과정을살펴보았다. 이어서 특허를 통한 기술, 예술, 그리고 광고 등이 말하는 독창성을 통해 아트 인퓨전 전략의 독창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세계적으로 확산된 호퍼의 인퓨전은 국내에도 전이되었는데 국외의 현상과의 차이는 호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것은호퍼의 세계적인 명성보다 국내의 대중적인 인지도가 다소 낮거나, 혹은 광고의 다른 흥미 요소에 가려졌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례 내에서 최초로 호퍼를 인퓨전한 ssg닷컴의 광고는 다수 다른 광고의 전 텍스트(Präatexte)로 작용하여 이차적인 호퍼 인퓨전의 원작이되었다. 그러한 결과는 기본적으로 소재 선택이 유효했다고 볼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기존 아트의 인지도 외에 적절한 메시지를 비롯한 다른 크리에이티브 요소들이 광고에 대한 호응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어서 아트 인퓨전 전략에서 나타나는 독창성의 의미를 집합적 산물이라는 해석과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아트 인퓨전의 독창성 판단에는 사전적 의미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기준과 과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한 것들을 고려할 때 기존 요소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아트 인퓨전의 독창성은 기존 요소를 차용하는 최초 발상의 시점이 아닌, 보다 통합적으로 창작과정을 넓게 살펴 볼 때 드러나는 제한적의미의 독창성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