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독서성숙도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사례 및 효과 분석

        서영진 ( Seo Young-ji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독서 교육에서 독서성숙도를 신장하기 위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확산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대학 독서 교육은 지식 습득 목적의 독서에서 나아가 독서를 통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자아의 성숙을 추구하는 평생 독자로의 발달을 지원해야 하는바, 이를 위한 개념적 도구로 독서성숙도를 주목할 만하다. 독서성숙도는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자신의 삶에 적용하며 독서의 가치를 실천하는 것으로 평생독자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속성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능적 문식성과 비판적 문식성 실천 전략을 활용하여 한 권의 텍스트를 온전하고 깊이 있게 읽는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운영하고 독서성숙도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t-test를 통한 효과 분석 결과, 해당 프로그램은 독서성숙도 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독서를 통한 삶의 성찰과 변화 요인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독자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수업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독서 능력 및 독서성숙도 제고를 위한 교양 독서 교육에서 다각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lass program to enhance reading maturity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analyze its effects. Read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break away from functional literacy education and support college students to grow into lifelong reader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class program that reads a text in full and in depth based on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activities. Then, the class was operated, and its effect was analyzed focusing on reading maturity. As a result of t-test analysis, the class program had an effect on improving reading maturity. In particular, the class program showed many achievements in reflecting on life and seeking change through reading. Therefore, the class program desig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maturity and reading ability in the reading subject of the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 KCI등재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이향미,정혜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종단적 종단적 관계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 패널 데이터 4차년도(중1)부터 6차년도(중3)까지 3년 동안의 데이터에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활동과 진로성숙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성장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본 결과, 중1 시기의 독서활동과 진로성숙도가 중1 시기의 자기주도학습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1∼중3시기의 독서활동과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은 자기주도학습 수준의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청소년의 독서활동이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검증한 결과, 중1 시기의 독서활동이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자기주도학습 능력 수준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중1∼중3 기간 동안 독서활동의 변화율이 진로성숙도 변화율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변화율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성숙도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의 동시지연효과

        임효진 ( Lim Hyo Jin ),김정수 ( Kim Jung S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2~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이 각 시점에서의 진로성숙도를 어떻게 예측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성별과 사회경제적지위(SES)가 진로성숙도의 성장요인(초기값, 변화율)과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의 학생들이며, 잠재성장모형의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탐색하였다. 특히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이 시점별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동시지연효과를 검증하였는데, 분석결과 진로성숙도는 3년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또한 독서활동은 전 시점에 걸쳐 정적인 동시지연효과가 나타났고, 교육포부는 초5와 초6 시점에서는 동시효과가, 중1 시점에서는 지연효과가 나타나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교육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서태도가 긍정적이고 독서습관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 또한 높음을 의미한다. 성별은 진로성숙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한 관계가 없었던 것에 비해 SES는 초기값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career maturity from 5<sup>th</sup> to 7<sup>th</sup> graders and 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educational aspiration and reading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how gender and SES were related to growth factors (i.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of career maturity. In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we utilized a conditional Latent Growth Modeling (LGM) method.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hree years and students who were higher in career maturity from the beginning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faster. While reading activities had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n career maturity in three years, educational aspiration had only concurrent effects in 5<sup>th</sup> and 6<sup>th</sup> grades and lagged effects in 7<sup>th</sup> grade. In other words, students who had more educational aspiration and more reading activitie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areer maturity. Finally, gender did not predict growth factors significantly, however, SES did predict initial status of career maturity, meaning that students with higher SES background from the beginning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career matur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형 독서 성숙도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영진 ( Seo Youngjin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 맞은 독서 성숙도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homas(2001)의 Reading Maturity Survey를 번역 후 역번역하여 언어 문화적 차이를 최소하고, 문항의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검토 및 인지적 인터뷰를 실시한 후 수정·보완하였다. 이후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에 대해 최대우도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한국형 독서 성숙도 도구는 6요인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독서 성숙도 검사 도구는 ‘기초 독해력’(8문항), ‘독서를 통한 성찰과 삶의 변화’(8문항), ‘독서에 대한 관심과 태도’(4문항), ‘고급 독해력’(5문항), ‘인간과 삶을 이해하기 위한 독서’(3문항), ‘지식 습득과 확장을 위한 독서’(4문항) 6요인 32문항으로 구성되며, 32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α .950으로 나타났다. 모형적합도 지수 중 RMSEA 값은 .50이며, 그외 CFI, TLI, NFI, GFI 값도 .90이상으로 기준치를 충족하여, 모형은 측정변수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도 확보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reading maturity test tool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of Korea. This study translated and revised the Reading Maturity Survey by Thomas(2001). The questionnaire of Reading Maturity Surve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fter expert review of and cognitive interviews on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Thereafter, datas were collected from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conducted, which showed that the Korean reading maturity test tool has a six-factor structur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fit of the six-factor structure is superior. The Korean reading maturity test tool consists of 32 items with six factors: “basic reading skills”(eight items), “reflection and life changes through reading”(eight items),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reading”(four items), “advanced reading skills”(five items), “reading for understanding humanity and life”(three items), and “reading for knowledge acquisition and expansion”(four items).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32 items has Cronbach’s α of .950. The RMSEA value of the model fit index is .50; the CFI, TLI, NFI, and GFI values also met the criterion of being above .90. Therfore, the model effective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The model was verified to hav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 KCI등재

        평생 독자의 성장과 교육적 지원

        정옥년 ( Jung Ok-ryun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평생 독자의 개념과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생애 동안 계속해서 독자들의 독서 역량이 발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평생 독자가 되기 위해서는 생산적인 삶에 필수적인 독서 활동에 열심히, 독립적으로,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능과 태도, 관심사와 배경 지식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평생 독자는 독서 태도와 흥미, 독서 목적, 읽기 능력, 독자 반응과 아이디어 활용, 읽은 자료의 종류, 전환적 독서에 대한 적응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성숙한 사람들이다. 독자의 총체적 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독서성숙도 검사는 특정한 독자나 독자 집단이 계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모색 할 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평생 독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서 평생 학습의 관점에서 독서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사람들은 독자들의 성장과정을 꾸준히 모니터링 하면서 필요할 때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고, 이들이 보다 나은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평생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ttributes of lifetime readers and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the growth of lifelong literacy. Lifetime readers have the effective skills, knowledge, and dispositions for engaging in life-span and life-space literacy. So they are mature readers who have several attributes that are necessary to survive in multiple environments. The reading maturity survey can be used to measure the attributes of readers such as interest in reading, purpose for reading, the recognition and reconstruction of meaning, reaction to and use of ideas to apprehend, kinds of materials read, personal adjustment to reading. The support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lifetime readers` literacy should be designed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And the persons who are to operate and implement the reading programs across the diverse life sectors should be qualified to continually monitor and intervene the growth of developing readers.

      •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진로 비전도서와 진로 탐색도서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박정애 ( Jung-ae Park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6 디지틀 도서관 Vol.83 No.-

        진로 비전도서와 진로 탐색도서가 진로발달에 어떻게 적용되고,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독서자료를 활용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중학생의 자아성취지향 가치관, 수업만족도 그리고 진로탐색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진로 비전도서와 진로 탐색도서 중 어느 도서가 진로성숙도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각 변수별 교육 전과 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the career vision and career search books are applied to career development, and the elements affec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For effective explanation and prediction of the impacts of the career reading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career maturi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in this study. Preliminary and post investigation into the career reading program using reading material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how reading for career affect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pursuing self-fulfillment, satisfaction with class, career search activities and career maturity. Moreover, it was analyzed which books among the career vision ones and career search ones exerted more impact on the subjects` career maturity, and the effects of the career reading program were analyzed by making an analysis into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before and after reading depending on each variable.

      • KCI등재후보

        Holland 진로유형을 기반으로 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정세영,김효정,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reading program based on Holland's career code on career maturity. The reading program was planned to classify career books by RIASECand for students to read career books which conforms with their Holland's code. The program helped them(students) explore, decide and plan their care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ading process in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pre-reading, in-reading, and post-reading. The study was examined with a pre-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2 students, while there were 12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read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4 weeks. Holland's career development test was conducted by all subjects as the pre-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COVA was adop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areer maturity score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reading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from the controlled group. 본 연구는 Holland 진로유형을 기반으로 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러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진로유형(RIASEC)을 기반으로 진로도서를 분류한 다음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유형에 맞는 진로도서를 읽고 자신의 진로를 탐색, 결정, 계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그리고) 본 프로그램은 독서의 과정을 전·중·후로 나누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부산시 연제구 소재 G학교의 학생들 24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으로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4주 동안 매주 1회 40분씩 총 14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반면, 통제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처치를 받지 않았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 두 집단에게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의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Holland 진로유형을 기반으로 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독서성숙도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독서코칭의 조절효과 검증

        기노경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5

        It has become *universal common sense that reading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kills and is effective in building up knowledge in life. I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 in which he worked, as well as personal growth.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factors in the organization fiel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eading effect, which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e existing humanities and education field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limitation that reading management techniques or programs that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since the 2000s have not been strictly verified the reading effect. To this end, this study expanded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literacy and utilized reading maturity factor including concepts such as growth and maturity of readers as a representative indicator of the reading competency. With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reading maturity, it has become possible to expand the perception that reading can flexibly respond to situations and contribute to achieving social outcomes in a complex and changing society. In this study,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as used as the main theoretical argument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 between variables.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purely explains the motivation of an individual’s voluntary expression as an 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refers to the highest level of motivation as a state in which autonomous motivation is satisfied.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is being used as a useful theory to explain the motivation for reading. In this study, factors explaining self-determination’s intrinsic motivation were viewed and investigated from two aspects. First, the concept of reading maturity comprehensively includes the source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secondly, a separate variable acting as the source of intrinsic motivation was assum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job-related factors. Based on this,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6 army battalion-level soldiers. A structural path model analysis using SmartPLS was perform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prov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maturity and job engagemen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ness and self-efficacy were completely mediated.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maturity, self-directedness, and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reading coaching did not secure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the concept of intrinsic motivation i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considered that mature readers are full of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it was predicted that through various experience factors, they would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changing situation and devote themself passionately to the task entrusted to them. Through this study, the unique effect factors of reading on job factors was proved, and reading coaching and related programs suitable f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ould be designed.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opics.

      • KCI등재

        독서기반 진로 탐색 보고서 쓰기가 여고생의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하혜란,송기호,Ha, Hye-Ran,Song, Gi-H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를 기반으로 운영한 진로 탐색 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여학생의 진로 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23명의 고등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주 2회 100분씩 총 6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비교 분석 결과 진로 탐색 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은 진로 성숙도를 구성하는 8개 하위 요소 중에서 5개 요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5개 요소는 계획성, 자기 이해, 정보 탐색,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 탐색 및 준비 행동 등이다. 특히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의 의미 있는 변화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직업 태도, 독립성, 합리적 의사결정 요인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탐색 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fluenced by career exploration report writing program based on reading activities. This program was operated for a total of six weeks, and it took 100 minutes for two sessions per week with 23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pre-post test comparative analysis, 5 out of 8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showed significant change. The 5 Factors are planning, self understanding, information search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actions. Above all the factor of knowledge on desired job especially showed a very considerable effect. But 3 factors such as attitude for occupation, independence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ult. Based on these, authors proposed some improvement plans of the career exploration report writing program.

      • KCI등재후보

        학교도서관 진로독서 북큐레이션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수연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y conducting a school library career reading book cur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tage of specific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choice. For 50 first and second graders of Gyeonggi-do A comprehensive high school, 25 students in the group applying the career reading book curation program and the other 25 students in the group applying the book report activity, and were executed 8 sessions of reading education and were and their effects were confirm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p homogeneity test for the pre-programming sc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so homogeneity was secur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chool library career reading book curation program on information literacy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search and use, search execution and information interpretation, integration and utilization, information need recogni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process evaluation All of the sub-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chool library career reading book cur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such as career planning, independence, attitude and self-understanding, and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