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장암에서 신경주위 암 세포 침습의 임상적 의의

        이형욱(Hyung Wook Lee),안태성(Tae Sung Ahn),조성우(Sung Woo Cho),신응진(Eung Jin Shin),박내경(Nae Kyung Park),이문수(Moon Soo Lee),김창호(Chang Ho Kim),백무준(Moo Jun Baek)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1

        목적 : 신경주위 침윤(Perineural invasion, PNI)은 많은 악성종양에서 생존율과 좋지 않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에서 암 세포의 신경주위 침윤과 대장암 환자의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대장암 환자에서 암세포의 침윤과 다른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대장암에서 침윤이 대장암 환자의 또 다른 예후인자로서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OO에서 2007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대장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신경주위 침윤 여부와 대상 대장암 환자의 기타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비교하였고, 이들의 관계에 대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신경주위 침윤은 대상 환자 148명중 31명인 20.9%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암 조직에서의 신경주위 침습은 환자의 T병기와 무관하였다. (p=0.114) 반면에, 신경주위 침습이 있는 경우 대장암의 림프절 전이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01), 림프관 및 혈관침습이 더 많이 발견되었다(p=0.001). 그리고, 신경주위 침습 여부는 대장암 환자의 전체 병기와의 관련성을 보였다(p<0.001). 하지만 그 외, 암 세포의 분화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대장암의 원격전이가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는 신경주위 침습이 21%, 20%로 각각 발현되어 서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 대장암에서 암 세포의 신경주위 침습은 환자의 추적 관찰기간이 충분하지 않아 환자의 예후와의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다른 여러 중요 예후 인자들, 즉 림프절 전이 여부, 림프관 및 혈관 침습, 환자의 병기 등과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신경주위 침습이 대장암 환자에서 또 다른 예후인자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되며 이 결과가 대장암 환자의 보조 치료를 계획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erineural invasion (PNI) is widely known to be correlated with poor survival in many type of malignancy but the connection between perineural invasion of colorectal cancer and the prognosis has not yet been clearly confirmed. Therefore, we examined perineural invasion in colorectal cancers and investigated its relationship to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such as tumor staging, lymph node metastasis, vascular invasion, lymphatic invasion and patient’s prognosis in this study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8 colorect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in OOO. The pathologists who were not aware of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reexamined the existing biopsy results and reevaluated the perineural invasion. The presence of perineural invasion and the other clinicopathological factors were compar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was examined. Results : Perineural invasion was confirmed in less than 10% of the patients in the initial biopsy results. However, it was confirmed in 20.9% of the patients reevaluating the biopsy. Perineural invasion in colorectal cancer was found to be unrelated to the T stage of the patients (p=0.114). On the other hand, perineural invasion appeared to be strongly related to lymph node metastasis of colorectal cancer (p<0.001) and lymphatic and vascular invasion was more common in the patients with perineural invasion (p=0.001). Moreover, perineural invasion seemed to be related to the stage of cancer (p<0.001) and patient’s survival (p<0.05). Nevertheless, it was neither correlated to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nor to the distant metastasis since perineural invasion was expressed in 21% of the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and in 20% of the patients without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 The correlation of perineural invasion in colorectal cancer to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such as lymph node metastasis, lymphatic invasion, vascular invasion and the stage of disease were confirmed. And perineural inva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tient’s survival. This is thought to be that perineural invasion can be a prognostic factor of colorectal cancer and it should be utilized planning adjuvant therapy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 SCOPUSKCI등재

        대장 선종과 대장암에서 MMP-2, HIF-1α 및 VEGF의 발현

        신정은 ( Jeong Eun Shin ),정성애 ( Sung Ae Jung ),김성은 ( Seong Eun Kim ),주양희 ( Yang Hee Joo ),심기남 ( Ki Nam Shim ),김태헌 ( Tae Hun Kim ),유권 ( Kwon Yoo ),문일환 ( Il Hwan Moon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1

        목적: 대장암 발생 과정 중 초기 기저막 파괴에 관여하는 MMP-2와 신생혈관 형성에 관여하는 HIF-1α와 VEGF가 대장암 발생 및 각 진행단계에서 발현하는 양상 및 예후 관련 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장선종 32예, 조기 대장암 11예와 진행 대장암 36례의 대장내시경 생검 조직에서 MMP-2, HIF-1α와 VEGF의 mRNA 발현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주변의 정상 조직을 기준으로 반정량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이 중 암 수술 조직 11예에서 gelatin zymography와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활성형 MMP-2 단백과 HIF-1α 단백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MMP-2 mRNA 발현은 대장 선종에 비해 진행 대장암에서 증가하였고(p<0.001), 대장 선종에서 조기 대장암과 진행 대장암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p<0.05). 대장암에서 MMP-2 mRNA 발현은 림프관 침습이 있는 경우와 중등도와 저분화도일 때 및 병기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Gelatin zymography 결과, 11예 중 10예(91%)의 암조직에서 활성형 MMP-2 단백이 발현되었다. HIF-1α와 VEGF mRNA 발현은 대장 선종에 비해 조기 대장암과 진행 대장암에서 증가하였으나(p<0.05; p<0.001), 조기 대장암과 진행성 대장암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Western blot 결과, 11예 중 9예(82%)의 암조직에서 HIF-1α 단백이 발현되었다. HIF-1α mRNA 발현은 MMP-2 mRNA 및 VEGF mRNA 발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2, p< 0.001; r=0.76, p<0.001). 결론: 이번 연구는 대장암 발생 및 진행에 있어서 MMP-2, HIF-1α와 VEGF의 발현 및 상호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인자들의 발현이 대장 내 신생물의 악성화 단계 및 악성 병변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hypoxia-inducible factor (HIF)-1α,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colonic adenoma-carcinoma sequence. Methods: Thirty-two tissue samples of colon adenoma, 11 of early colon cancer and 36 of advanced colon cancer were collected by colonoscopic biopsy. Normal colonic tissues were also collected from the same subject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MMP-2, HIF-1α, and VEGF were quantitated using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s. The protein expressions of activated MMP-2 and HIF-1α were examined by gelatin zymography and by Western blot in surgically resected cases, respectively. Results: The expression level of MMP-2 mRNA showed a progressive increase in the advance of the colorectal adenoma-carcinoma sequence (p<0.05). In colon cancer tissues, the expression level of MMP-2 mRNA showed an increasing trend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lymphatic invasion and Dukes` stage (p<0.05). The protein expression of activated MMP-2 was observed in 10 of 11 (91%) cases of cancer tissue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HIF-1α and VEGF were greater in tissues of early and advanced colon cancer compared with colon adenoma (p<0.05; p<0.001). The protein expression of HIF-1α was observed in 9 of 11 (82%) cases of cancer tissue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HIF-1α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MP-2 and VEGF, respectively (r=0.52, p<0.001; r=0.76, p<0.001). Conclusions: MMP-2, HIF-1α, and VEGF may be useful in detecting early carcinogenesis and progression of colon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9-18)

      • SCOPUSKCI등재

        위암이 동반된 대장직장암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

        복현정 ( Hyun Jung Bok ),이진하 ( Jin Ha Lee ),신재국 ( Jae Kook Shin ),전승민 ( Soung Min Jeon ),박재준 ( Jae Jun Park ),문창모 ( Chang Mo Moon ),홍성필 ( Sung Pil Hong ),천재희 ( Jae Hee Cheon ),김태일 ( Tae Il Kim ),김원호 ( Wo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1

        목적: 위, 대장암 동반군과 대장암 단독군을 비교하여 위암 동반 대장암의 임상 및 병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에서 2009년까지의 대장암 수술 환자 5,288명 중에서, 위, 대장암 동반군 63예와 가장 가까운 수술일을 기준으로 2배수로 선택된 대장암 단독군 126예를 대상으로 임상 및 대장암의 특성을 비교하였고, 위암과 대장암의 진단순서에 따른 환자군 내의 세 군(위암 선행군, 동시성 중복암군, 대장암 선행군) 간에도 그 특성을 비교한 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이다. 결과: 위, 대장암 동반군은 대장암 단독군에 비해 대장암 진단 연령이 평균 4.3세 높았고, 체질량지수는 낮았으며, 전이성 대장암에서 복막 전이율이 높았다. 두 군 간에 전체 생존율 및 대장암 특이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장암에 동반된 위암의 병리소견에서 미분화성 위선암의 비율(55.6%)과 인환세포 위암의 비율(30.2%)이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 위암 동반 대장암은 연령, 비만도, 전이부위 등에서 대장암 단독군과 임상적 차이를 보였으며, 동반 위암은 인환세포암을 포함한 미분화 위선암의 비율이 높았다. Background/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double primary cancers of the stomach and colorectum, compared to colorectal cancer alone.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made of 5,288 patients who underwent colorectal cancer surgery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9 at Severance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were analyzed between 63 patients of double primary cancers and case-matched 126 patients of colorectal cancer alone. We classified double primary cancers into subgroups as premetachronous, synchronous and postmetachronous gastric cancer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subgroups also. Results: Double primary cancers group showed 4.3 year-older age, lower BMI, and higher percentage of peritoneal metastasis, compared to colorectal cancer alone group. Overall and colorectal cancer specific survival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ncer, a high percentage of un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55.6%) and signet ring cell carcinoma (30.2%) were noted. Conclusions: Double primary cancers of the stomach and colorectum had older-age onset, lower BMI and higher metastasis to peritoneum than colorectal cancer alone. Combined gastric cancer consisted of high percentage of undifferentiated and signet ring cell carcinomas. (Korean J Gastroenterol 2013; 62:27-32)

      • SCOPUSKCI등재

        Western Blot을 이용한 대장암과 대장선종의 Calreticulin 단백 발현 연구

        금보라 ( Bora Keum ),진윤태 ( Yoon Tae Jeen ),박상훈 ( Sanghoon Park ),서연석 ( Yeon Seok Seo ),김용식 ( Yong Sik Kim ),전훈재 ( Hoon Jai Chun ),이홍식 ( Hong Sik Lee ),엄순호 ( Soon Ho Um ),이상우 ( Sang Woo Lee ),최재현 ( Jai Hy 대한장연구학회 2006 Intestinal Research Vol.4 No.1

        목적: 대장암 발생에 여러 유전자 변이가 관여하여 이에 대한 표지자의 검색을 위해 유전자의 최종 발현산물인 단백질을 연구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고 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의 표지자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alreticulin은 대장암에서 정상 대장 점막에 비해 특이하게 발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calreticulin을 이용하여 정상조직과 대장선종 및 대장암에서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대장암 및 동시성 대장선종 각 예에서 선종, 대장암과 정상점막의 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조직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여 western blot을 시행하였고 항 calreticulin 항체를 사용하여 표지한 후 화학 발광 염색방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각 예에서 정상 대장 점막의 발현정도를 ‘1’로 하여 선종과 대장암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결과: Calreticulin의 발현 정도는 정상 대장 점막에 비해 대장선종이 평균 1.69±0.37, 대장암이 평균 2.78±1.12였다. 각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정상점막과 대장암, 정상점막과 선종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장선종보다 대장암에서 calreticulin이 많이 발현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대장암뿐만 아니라 전구 병변인 선종에서도 calreticulin이 정상조직에 비해 높게 발현되어 대장암 및 대장 선종을 예측하는 선별 검사 표지자 연구에서 calreticulin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대장암 발생과 calreticulin의 연관성 및 검사 실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Colon cancer has a multistep process of molecular changes on the way of carcinogenesis. The detection of gene mutations associated with those molecular changes is expected to be able to predict or diagnose colon cancer. Calreticulin is one of the protein which has being investigated as a biomarker of colorectal cancer.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xpression of calreticulin in normal colon mucosa, colonic tubular adenoma and colorectal cancer of each patient,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m. Methods: 8 patients who have colorectal adenocarcinoma and more than 10 mm sized tubular adenoma synchronously were enrolled. Colorectal adenocarcinoma, tubular adenoma and normal colon tissue were taken from each patient. After proteins isolation and separation, western blot assay were performed to demonstrate calreticuli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Calreticulin was more expressed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ma significantly compared with normal mucosa. Also, calreticulin was more expressed in adenocarcinoma than in adenoma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nc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reticulin may be available for an early diagnostic biomarker for colorectal cancer or advanced colon adenoma. (Intestinal Research 2006;4:7-11)

      • SCOPUSKCI등재

        조기대장암의 임상 양상 및 치료 결과

        권광안 ( Kwang An Kwon ),김유경 ( Yu Kyung Kim ),정문기 ( Moon Gi Chung ),박동균 ( Dong Kyun Park ),권오상 ( Oh Sang Kwon ),김선숙 ( Sun Suk Kim ),김연석 ( Yeon Suk Kim ),권소영 ( So Young Kwon ),구양서 ( Yang Suh Ku ),최덕주 ( Du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최근 조기대장암의 내시경 치료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대장암의 임상양상 및 치료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969명 중 117명(120병소)의 조기대장암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대장암 중 조기대장암의 빈도는 12.1%였고 점막암이 80예, 점막하층암이 40예였다. 조기대장암에서 병변의 평균크기는 1.8 cm, 암조직의 평균크기는 1.1 cm였다. 병변의 평균크기는 점막하층암이 2.2 cm로 점막암의 1.7 cm보다 컸다(p=0.03). 육안적 분류로 편평형에서 점막하층암이 30%로 점막암의 15%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 조직학적 분화도는 고분화선암이 77.5%였으며, 중등도 분화를 보인 경우는 점막하층암에서 63%로 점막암의 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조기대장암에 대한 치료는 점막암 80예중 초치료로 10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70예에서 내시경 절제를 하였으며, 이 중 2예에서 추가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점막하층암 40예에서는 초치료로 19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1예가 내시경 절제를 받았고 이 중 13예에서 추가 수술적 절제를 받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조기대장암의 빈도는 12.1%로 국내 과거 보고보다 증가하고 있으며, 조기대장암에서 내시경 치료를 고려하는 경우 크기가 2 cm 이상이며 중등도 분화도를 보이는 편평형 조기대장암에서는 점막하층암일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Recently, it has been more interested in the early colorectal cancer (ECC) with possibility of endoscopic treatment. We evaluat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results of the ECC. Methods: 120 cases of ECC from 969 patients with colon cancer were analyzed. The cases of concomitant advanced colon cancer were excluded. Results: 12.1% of total colon cancer was ECC. 80 and 40 cases were mucosal (M) and submucosal (SM) cancer, respectively. The size of lesion and cancer tissue of SM cancer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M cancer (lesion size, 2.2 vs. 1.7 cm, p=0.03; cancer size, 1.7 vs. 0.7 cm, p<0.001). The prevalence of flat type in SM cancer was higher than that of M cancer (30% vs. 15%, p=0.07). Moderately-differentiated type was more common in SM cancer than M cancer (63% vs. 3%, p<0.001). 15 cases received the additional operation (M cancer; 2, SM cancer; 13). The metastasis of lymph nodes was verified in 2 cases of SM cancer. Conclusions: The ECC with flat type, more than 2 cm in size and moderately-differentiated type had the possibility of SM cancer. Therefore endoscop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tho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Intestinal Research 2005;3:133-139)

      • KCI등재

        한국인 중간암의 유병률,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예측인자

        김창준,박동일,김홍주,박정호,정윤숙,조용균,손정일,전우규,김병익,이신영,김화목,이대성,방기배 대한장연구학회 2013 Intestinal Research Vol.11 No.3

        목적: 중간암은 대장내시경 후 관찰되지 않았던 대장암이 단기간에 발생하는 경우를 일컫는 것으로 암의 빠른 생물학적 성장속도나 대장내시경 시술자의 기술적인 한계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간암에 대해 서양에서는 많은 연구들이 시행된 반면에, 동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한국인 대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간암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중간암은 기준 대장내시경 시행 후 대장암이 발견되지 않았다가 5년 이내에 시행한 추적 대장내시경에서 대장암이 발견된 경우로 정의하였고, 중간암이 아닌 경우를 산발암으로 정의하였다. 2007년 1월부터 2012년 4월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대장암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간암군과 산발암군 간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785명 중 482명이 전화통화에 응답하였다. 이들 중 30명(6.2%)에서 중간암이 발생되었다. 최종적으로 중간암 28명과 산발암 415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중간암군이 산발암군보다 유의하게 평균 나이가 더 젊었으며, 우측 대장암의 빈도가 높았다. 다변량 분석 결과 젊은 나이와 우측 대장암이 중간암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한국 환자들에서 무시할 수 없는 비율의 중간암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중간암은 젊은 연령, 우측 대장에서 호발하였다. Background/Aims: A subset of patients may develop colorectal cancer after a colonoscopy that was negative for carcinoma. These missed or de novo developed lesions were termed as interval cancers. Many studies regarding interval cancer have been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whereas very limited data are available in Asian popul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valenc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predictors of interval colorectal cancer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Interval cancer was defined as a cancer that is diagnosed within 5 years of a negative colonoscopy result. Among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colorectal cancers at Kangbuk Samsung Hospital from January 2007 to April 2012,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interval canc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poradic cancers. Results: Among the 785 patients, 482 responded to telephone calls. Of these, 30 (6.2%) developed interval cancers. Finally, 28 patients who had interval cancers were compared with 415 patients who had sporadic cancers. Interval cancer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and more frequent in the right side colon than sporadic cancer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s in sex, tumor size, differentiation, and staging between two groups. In multivariate analysis, young age and right side colon cancer were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an interval cancer. Conclusion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Korean patients developed interval colorectal cancer, especially at the young age and in the proximal colon. (Intest Res 2013;11:178-183)

      • SCOPUSKCI등재

        원저 : 위장관 ; 조기 대장암의 내시경 절제 후 추적 결과 분석 -진행신생물의 발견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중심으로

        권순하 ( Soon Ha Kwon ),추진우 ( Jin Woo Choo ),김현건 ( Hyun Gun Kim ),전성란 ( Seong Ran Jeon ),이병후 ( Byung Hoo Lee ),이태희 ( Tae Hee Lee ),김완중 ( Wan Jung Kim ),고봉민 ( Bong Min Ko ),김진오 ( Jin-oh Kim ),조주영 ( Joo Yo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4

        목적: 대장암의 예방에 있어서 대장내시경 검사는 가장 효과적인 검사법이지만 적절한 질 관리와 추적 관찰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즉 조기 대장암을 진단하고 내시경으로 완전 절제 하였던 경우에도 추적검사에서 조기 대장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어 적절한 추적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조기 대장암 내시경 절제 후 대장내시경 추적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진행 샘종과 점막암의 발견율 및 발견율과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고 대장 폴립을 내시경으로 절제한 후 조직검사에서 조기 대장암으로 진단된 환자 중에 1회 이상 대장내시경 추적검사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추적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술을 받은 경우와 추적 관찰이 되지 않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조기 대장암은 림프절 전이에 관계없이 암세포가 점막 또는 점막하층까지만 침범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진행 샘종과 점막암을 통칭하여 진행 신생물로 정의하였다. 조기 대장암 내시경 절제 후 첫 번째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진행 신생물의 발견율을 알아보고, 지표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진행 신생물 발견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05명의 조기 대장암 환자 중에 추적 관찰이 불가한 환자 50명, 내시경 절제 후 수술을 받은 환자 44명을 제외하고 2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211명의 환자 중에 첫 번째 대장내시경 추적검사에서 진행 신생물은 15명(7.1%)에서 발견되었다. 1년 이내 첫 번째 대장내시경 추적검사를 하였던 경우는 198명(93.8%)이었고, 진행 신생물은 14명(7.0%)에서 발견되었다. 1년 이내 첫 번째 대장내시경 추적 검사에서 진행 신생물이 발견된 군과 발견되지 않는 군 사이에서 지표 대장내시경 검사 당시 부적절한 대장 청결도(OR, 18.237; 95% CI, 3.741- 88.895; p<0.001)와 대장 폴립이 3개 이상인 경우(OR, 9.479; 95% CI, 1.103-81.452; p=0.040)가 대장내시경 추적검사에서 진행 신생물 발견율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1년 이내 대장내시경 추적검사에서 대부분의 진행 신생물이 발견된 점을 생각할 때, 조기 대장암을 내시경 절제 후 대장내시경 추적검사를 1년 이내에 시행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최적의 추적검사의 시기는 장 정결도와 폴립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특히 조기 대장암 진단 당시 대장 청결도가 부적절한 경우 및 대장 폴립이 3개 이상인 경우에는 1년 이내 대장내시경 추적검사를 시행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Early colon cancer can be effectively diagnosed and treated by colonoscopy, and surveillance colonoscopy is necessary to detect precursor lesions or new early colon cancer. We analyzed the surveillance results of patients with endoscopically resected early colon cancer to evaluate the detection rate of advanced neoplasia and its associated factor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at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from May 2003 to December 2011.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resection for early colon cancer, showed mucosal and submucosal invasion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ceived surveillance colonoscopy at least once were enrolled in the current study.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and those who were lost during surveillance period were excluded. Results: Among a total of 305 patients diagnosed with early colon cancer, 211 patients met our inclusion criteria. Of these patients, 15 (7.1%) advanced neoplasias were detected at first colonoscopy. One hundred ninety-eight patients (93.8%) underwent surveillance colonoscopy within one year and 14 (7.0%) advanced neoplasias were detected in this group of patients. Wh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dvanced neoplasia at first surveillance colonoscopy performed within one year were compared, inadequate bowel preparation (OR, 18.237; 95% CI, 3.741-88.895; p<0.001) and three or more colon polyps (OR, 9.479; 95% CI, 1.103-81.452; p=0.040)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tecting advanced neoplasia. Conclusions: Considering the high detection rate of advanced neoplasia at first surveillance colonoscopy in patients with endoscopically resected early colon cancer, surveillance interval should be within one year, especially when the bowel preparation has been inadequate and three or more colon polyps have been detected. (Korean J Gastroenterol 2013;62:219-226)

      • KCI등재

        수술 전 Carbohydrate Antigen 19-9 검사는 대장암 환자의 병기와 생존율을 예측할 수있다

        문수영,차재명,이정일,주광로,신현필,박재준,전정원,임준욱,전승정,서윤종,이치훈 대한장연구학회 2013 Intestinal Research Vol.11 No.3

        Background/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reoperative carbohydrate antigen 19-9 (CA 19-9) levels can predict the stage of diseases or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resectable colorectal cancer (CRC). Methods: A total of 247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s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between 2006 and 2011 were enrolled.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of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CA19-9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CRC. Receiver operative curve was constructed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the serum CA 19-9 levels in the stratifying stage of CRC.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Kaplan-Meire method and log-rank test.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multivariate analysis for survival. Results: Abnormal level of serum CA 19-9 (>37 IU/mL) were associated with advanced T stage (P<0.001), N stage (P=0.002) and TNM stage (P<0.001) in patients with resectable CRC. Furthermore, abnormal level of serum CA 19-9 were related with vascular invasion (P=0.002) and lymphatic invasion (P=0.026). The area under the curve was 0.75 (95% confidence interval [CI] 0.67-0.83) for T4 stage CRC and 0.680 (95% CI 0.61-0.75) for TNM stage III CRC. In patients with TNM stage III CRC, a preoperative CA 19-9 higher than 60 IU/mL (P=0.033) and presence of vascular invasion (P=0.002)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survival rate o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resectable CRC, preoperative CA 19-9 correlates with T stage, N stage and TNM stage of disease. Serum CA 19-9 >60 U/mL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TNM stage III CRC. (Intest Res 2013;11:184-190) 목적: 대장암에 대한 혈청 carbohydrate antigen 19-9 (CA 19-9)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CA 19-9과 대장암의 임상 병리학적인 연관성 및 예후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이번 연구는 단일기관에서 대장암으로 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혈청 CA19-9과 임상병리학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예후인자로서 혈청 CA 19-9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6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강동경희대학교병원에서 대장암으로 진단되어 수술 전 혈청 CA 19-9을 측정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 혈청 CA 19-9와 대장암의 임상병리학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혈청 CA 19-9 수치가 진행성 대장암을 진단할 수 있는지 receiver operative curve 분석을 시행하였고, TNM III 병기 대장암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7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T 병기, N 병기와 TNM 병기가 각각 높아질수록 혈청 CA 19-9 수치가 비정상(>37 U/mL)인 환자들의 빈도가 증가하였고, 혈청 CA 19-9 수치가 비정상인 환자군에서 림프관 침범과 혈관 침범의 빈도가 더 높았다. T4 병기의 대장암 진단에 대한 area under the curve (AUC)는 0.75 (95% confidence interval [CI] 0.67-0.83)였으며, TNM III 병기의 대장암 진단에 대한AUC는 0.680 (95% CI 0.61-0.75)였다. TNM III 병기 대장암 환자에서 혈관 침범과 혈청 CA 19-9 (>60 U/mL)은 5년 생존율에 영향을미치는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판명되었다. 결론: 수술 전 혈청 CA 19-9을 측정하여 진행성 대장암의 병기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청 CA 19-9은 TNM III 병기 대장암에서 수술 후의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인자이다. 향후, 대장암 환자에 대한 CA 19-9의 예후적인 역할을 규명할 수 있는전향적인 대규모 생존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대장암 환자에서 선암종과 선종성 용종의 Leptin 발현

        손원 ( Won Sohn ),전대원 ( Dae Won Jun ),이오영 ( Oh Young Lee ),이학현 ( Hak Hyun Lee ),백유흠 ( Yoo Hum Baek ),이강녕 ( Kang Yeoung Lee ),이상표 ( Sang Pyo Lee ),이항락 ( Hang Lak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4

        목적: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인 leptin은 비만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위장관암을 포함한 일부 악성 종양에서 성장 인자로써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에서 leptin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질환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장암으로 진단받고 장절제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장절제 표본에 정상 대장 점막, 선종성 용종, 선암종을 동시에 동반하고 있는 환자를 선별하여 면역조직화학적으로 leptin 발현을 조사함으로써 대장 선종-암종 연속성에 따른 발현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대장암으로 진단받고 장절제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장절제 표본에 정상 대장 점막, 선종성 용종을 동시에 동반하고 있는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24개의 표본에서 각각 정상 대장 점막, 선종성 용종, 선암종 조직에서의 leptin 발현을 면역조직염색으로 알아보았다. 결과는 반정량적으로 판독하였으며, 염색 강도는 음성인 경우를 0, 양성이면서 약한 경우를 1+, 중등도인 경우를 2+, 강한 경우를 3+으로 하였다. 결과: Leptin 발현은 정상 대장 점막에서 4.2% (1명/24명)인 반면에 선종성 용종에서 33.3% (8명/24명), 선암종에서 50.0% (12명/24명)로 선종성 용종에서의 leptin 발현이 정상 대장 점막에서보다 더 높았으며(p<0.05), 선암종에서도 정상 대장 점막보다 더 높았다(p<0.05). 그러나 선종성 용종과 선암종 군간에 leptin 발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대장암 조직에서의 Leptin 발현 유무와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 암병기, 임파선 전이 여부등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양의 크기는 leptin 발현 음성인 군이 3.9±1.4 cm, leptin 발현 양성인 군이 5.6±2.2 cm으로 leptin 발현 양성인 군이 음성인 군에 비하여 종양 크기가 더 컸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동일 환자에서 선종성 용종이나 선암종에서 정상 대장 점막 보다 leptin 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높았고, leptin 발현 양성인 군이 음성인 군보다 대장암의 크기가 더 컸다는 결과로 보아 leptin이 대장에서 선종성 용종과 선암종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선종성 용종과 선암종에서의 leptin 발현은 차이가 없었기에 leptin과 선종성 용종에서 선암종으로의 진행과의 상관성은 찾지 못하였다. 따라서 추후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ough leptin, the adipocytes-derived hormo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obesity, it can act as a growth factor for several cancers including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Based on this background, we investigated whether leptin expression correlated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r disease outcome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We immunohistochemically analyzed the expression of leptin in a colon adenoma-carcinoma sequence in the normal colon mucosa, an adenomatous polyp and adenocarcinoma tissue, from a surgical resection for each patient. Methods: We collected samples from 24 patients with a colorectal adenocarcinoma that was removed in either a total colectomy or hemicolectomy, and who presented with an adenomoatous polyp and an adenocarcinoma in the same surgical specimen. Leptin expression was assessed using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nd was evaluated by grading the staining intensity as 0, +1, +2, +3. Results: Whereas leptin expression was observed in 4.2% (1/24) of the normal colon mucosa, adenomatous polyps and adenocarcinomas showed 33.3% (8/24) and 50.0% (12/24) expression of leptin, respectively (p<0.05), suggesting that leptin expression in the adenomatous polyps and adenocarcinomas was higher than in the normal colon mucosa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ptin expression between the adenomatous polyps and adenocarcinomas, statisticall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leptin expression and patients age, sex, BMI (body mass index), cancer stage, and lymph node metastasis. However, the tumor size in the positive leptin expression group was larger than in the negative leptin expression group (5.6±2.2 cm vs 3.9±1.4 cm; p<0.05). Conclusions: Since leptin expression in adenomatous polyps and adenocarcinomas was higher than in the normal colon mucosa and leptin expression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umor size, leptin might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an adenomatous polyp and an adenocarcinoma in the colon. However, leptin does not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colon adenoma, and further evaluation studies will be required. (Korean J Med 72:352-359, 2007)

      • 대장암 환자에서 Survivin mRNA의 발현과 간 전이와의 연관성

        최종순,장희경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1

        연구배경 및 목적 Survivin은 새로이 고사(아포프토시스)-억제 유전자군에 추가된 유전자이다. Survivin 발현이 대장암에서 보고는 되고 있으나, 상이한 결과들로 논란이 많으며, 임상적 의의에 대해서도 불명확하다. 더욱이 이 유전자는 암 치료나 예방적 항암치료의 표적으로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장암 survivin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고 임상 및 예후 인자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대장암의 발생과 임상 측면에서이들 유전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예방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양한 병기의 37예의 신선한 대장암 수술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암 조직과 주위 비종양성 조직에서 전체 mRNA를 분리하여 역전사-연쇄중합효소반응으로 survivin mRNA를 검출하였다. PCR 산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클로닝후에 DNA 염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대장에서 Survivin의 발현율은 대장암 조직에서는 94.6%였고, 비종양성 조직에서는 51.4%으로, 대장암 조직에서 survivin의 발현이 높았으나, 비종양성 조직에서의 경계성 영역의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0.05<p=0.065< 0.1). 연령, 성별,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혈관과 신경 침범, 간으로의 전이 등의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들과 관련성은 없었다. 결 론 survivin은 대장암에서 암특이적으로 발현되지 않았다 (0.05<p=0.065< 0.1). 대장암의 치료나 chemoprevention에서 SSX(synovial sarcoma on X chromosome gene)와 survivin의 이용은 가능하나 제한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SSX와 survivin 발현의 상관성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대장암에서 SSX은 survivin-관련 항아포토시스 경로와는 무관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urvivin is a novel member of the inhibitors of apoptosis proteins (IAP) gene family. Although survivin expression has been reported in colon cancer, the results are still controversial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including chemoprevention remains unclear. Some reports described thegene as a potential target in anticancer or chemopreventive therapy.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survivin in the colon cancer, the clinicopathological significance was investigated with the expression of survivin. Methods : Surgical specimen were obtained from a total 37 cases of consecutive patients with various stages of colorectal carcinoma who had undergone a resection. To determine survivin mRNA in colorectal carcinomas and adjacent normal colorectal tissue samples, total RNA was isolated from each of the samples after lysis in quanidinium isothiocyanate and phenol extraction and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done. The PCR products were confirmed by DNA sequencing after subcloning. Results : The positive rate of survivin in cancer tissue was 94.6%(35/37) and that of non-neoplastic colorectal tissue was 51.4%(19/37). S urvivin expression t ended to i ncrease in c ancer tissue, but h as s tatistically m arginal significance(0.05<p=0.065< 0.1). The correlation of survivin expressions to age, gender, invasion depth, lymph node metastasis, vessel and perineural invasions, and liver metastasis was not found. Conclusions : The expression of survivin appears not to be eligible to differentiate malignant from benign lesions in colon, even though it has marginal significance(0.05<p=0.065< 0.1). The role of survivin-associated apoptosis may be unnoticeable, in the light of insignificant correlation of gene expression to the other prognostic factors in colon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