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인정신(法認精神)과 ‘교강(敎綱)’ 선포 정신의 계승 -지구의 위기에 직면하여-

        원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6 No.-

        본 연구는 한계에 다다른 현대문명을 치유할 해법 모색을 위해 1세기 전에 행해진 원불교 교강(敎綱) 선포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한 것이다. 지금 이 순간 인류는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 인간 욕망의 폭주가 만들어낸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 태동의 이유 또한 이러한 인류의 정신을 개벽하고, 물질에 대한 참된 주인으로서 지구와 공존하면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1919년 법인성사(法認聖事)는 소태산과 그 제자들이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사무여한(死無餘恨)의 정신을 발휘하여 진리계로부터 교단을 인증 받은 사건이다. 이어 행해진 불법의 선언과 기본 교리의 제정인 교강선포는 원불교가 본격적으로 새로운 종교로서 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불교는 말법(末法)시대에 정법회상을 표방하고 나온 종교이다. 이는 대승불교의 시기상응(時機相應)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민중의 눈높이에서 시대에 적절한 불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강선포는 이를 위해 대승사상의 핵심인 반야사상을 통해 현대적인 대승경전을 창출하고자 했던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교강은 1935년 출판된 『조선불교혁신론』에서 보여주듯이 현대적으로 재구성된 불법인 것이다. 대승불교를 계승하고 있는 원불교야말로 보살사상 또는 보살정신을 현대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사무여한의 기도는 6바라밀을 종합한, 현대적 의미의 대승정신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불교는 민중불교, 대중불교, 참여불교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며, 현실 속에서 불법을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교단으로 볼 수 있다. 낙관할 수 없는 인류의 미래는 종교의 역할이 여전히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경을 넘는 인류 보편적인 사상이 자본주의에 대응할 수 있는 종교의 정신으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불교가 주장하는 불법의 사회화 또한 같은 길을 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that Won-Buddhism proclaimed Gyogang (敎綱) as a solution to cure modern civilization which reached the limit. At this moment, the human race is experiencing enormous suffering due to COVID-19. It can be a tragic made by a flood of human desire. Won-Buddhism was begun to reform the human spirit and make people live coexisting with substances as their true owners. Especially, in 1919, Beobin sacred affair (法認聖事) got certification of Sotaesan"s religious body from the wold of the truth as he and his students showed the spirit of being able to die without any regrets (死無餘恨). The declaration of the Buddha-dharma and proclamation of Gyogang, the enactment of the basic doctrines, followed by it mean that Won -Buddhism began in earnest as the new religion. Won -Buddhism appeared claiming to advocate the right dharma-assembly (正法會上) in the era of decline of the Buddha-dharma. This is because it inherits Mahayana Buddhism"s spirit of Sigisangung (時機相應). That is, it tried to realize the appropriate Buddha-dharma for those days at the people"s level. The proclamation of Gyogang is the important event to try to create modern Mahayana Scripture through the philosophy of Prajna or transcendent wisdom, the core of the idea of the Mahayana. Gyogang is the Buddhadharma modernly restructured as shown in Treatise on the Renovation of Joseon Buddhism (朝鮮佛敎革新論) published in 1935. Won - Buddhism that has inherited Mahayana Buddhism should realize the idea or myth of Bodhisattva modernly. It"s because prayers of being able to die without any regrets also claim to advocate the spirit of Mahayana of the modern meaning which aggregates sat-paramita (六波羅蜜). Therefore, Won - Buddhism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pirit of folk Buddhism, popular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and can be the religious body that actively realizes the Buddha-dharma. The pessimistic future of humankind is predicted to require religious roles. It"s because the cross-border and universal idea of humankind functions as the spirit of religions to be able to cope with capitalism. Socialization of the Buddha-dharma argued by Won – Buddhism means to go the way of it.

      • KCI등재

        대혜종고 간화선에 나타난 대승정신과 간화선 대중화에 대한 小考

        吳容錫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대승불교는 불법을 통하여 자비로 널리 중생을 이익 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사상 안에는 나와 중생을 둘이 아닌 하나로 보는 깊은 자비심과 불법의 가르침을 통하여 이익을 나누고자 하는 구 체적인 개인적·사회적 실천정신이 늘 함께한다. 특히 선불교는 이러한 대승적인 정신을 ‘인간’이라는 活潑潑한 주체에 초점을 맞추고,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을 ‘사회’와의 긴밀한 관계를 통하여 풀어가고 자 수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대혜는 대승불교의 정신에 입각하여 “현실”이라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진리 추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는 진리 자체가 “진”과 “속”, “번뇌”와 “보리”, “중생”과 “부처”의 이원적 대립을 떠나있으며, 다시 그 떠난 무엇에도 속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둘째는 이러한 진리의 특성에 비추어 본다면 “世間相”, “煩惱” 등을 떠나지 않고도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는 “眞俗不二”의 중도실상이 무차별만을 강조하여 수행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행을 부정하기 쉬운 오해와 결점을 “번뇌”에 즉하여 수행해 나갈 것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간화선은 수행방법에 있어서 현실경계를 떠나 실상을 구하지 아니한다. 또한 서원, 발심, 자비심 등의 대승심은 “의정”을 일으키는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것은 간화선 수행이 단순히 개인적 번뇌로부터의 해탈만을 추구하지 않는, 보다 깊고 넓은 자비심과 서원이 바탕이 되지 아니하면 수행자 체가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화선도 지금의 한국이라는 구체적 인 현실세계를 직면하여 방편상의 변용과 수용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곧 ‘간 화선의 대중화’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는데, 특히 구체적인 수행방법에 있어서 간화선의 본질을 잃지 않으면서 대중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보다 자세하고 체계적인 수행법으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 내용을 제시하여 현대적 수용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첫째는 간화선 수 행을 위한 數息, 念佛 등 예비 수행이 필요한가에 대한 것이며, 둘째는 화두를 드는데 있어서 좀 더 구 체적 단계 즉 念話頭, 誦話頭, 問話頭, 參話頭 등이 제시될 수 있는가의 문제이며, 셋째는 깨달음 제일 주의를 지향하지 않는 간화선이 가능한가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안이 지금 시대의 현실적 요구에 부합된다면 간화선의 대중화를 위한 방편으로서 충분히 고민되고 제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간화선 자체가 대혜종고가 처한 남송시대 의 현실적 요구에 의하여 제창되었듯이, 현시대의 근기와 상황에 따라서 간화선의 수행방법을 창조적 으로 변용하는 것은 꼭 필요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사물을 둘러싼 談論은 끊임없이 변해가듯 간화선 의 본질을 버리지 않는 창조적 수용과 변용은 지금 한국불교가 직면한 또 다른 ‘화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Mahayana Buddhism is to benefit people broadly with mercy through Dharma. By this thought, detailed individual and social practicing mind always work together to share profits. This phenomenon is available by considering myself and others as one not as separated. Especially, Seon Buddhism has used lots of efforts to focus on “human being” as an active core by using the mind of Mahayana in order to explain the ways of living in relation to the human society. Dahui has pointed out that it is possible to chase the truth in “the actuality” as real life situations by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This phenomenon can be analyzed by three dimensions. First of all, the truth itself is staying away from dual oppositions of “truth” and “false”, “anguish” and “enlightenment”, “all living being” and “ Buddha”, also it is not limited by what the staying away from dual oppositions. Secondly, it is possible to practice without leaving “the mundane world” and “anguish” by reflecting the phenomenon. At last, “truth” is leading the practicing not by denying the practicing with non-discrimination but by combining “anguish” with misunderstanding and faults, which easily can lead to deny the practicing. Ganhwaseon does not look for the actuality by passing the end line of the reality in the method of the practicing. Also, the doctrine of Mahayana Buddhism, which includes vows, the heart of enlightenment, compassion, works as a direct factor to stimulate “Doubts.” And, this paradoxically shows that the Ganhwaseon practicing would be very difficult without greater compassion and vows, which are not chasing only to overcome personal anguish. However, this Ganhwaseon was not able to consider whether taking methodological changes and adaptation by facing the real situations in Korea today. In short, that means the “popularization of Ganhwaseon”. Especially, there has been a topic arose if the specific training method could be popularized by being more detailed and kind without losing the core value of Ganhwaseon . The author has reviewed the problem of modern adaptation of Ganhwaseon by suggesting three topics. First topic is about a question that whether pre-practice sessions such as counting a breath, chanting a name of Buddha for the main practice are necessary or not. Second topic is related to a problem that if there could be a suggestions for more detailed steps such as chanting a Hwadu, recite a Hwadu, doubting a Hwadu, entering a Hwadu for the introduction of Hwadu. The last topic is about that if non realization pursuit Kanhwaseon would be possible. The author considered the needs of more discussions over those newly suggested methods for the popularization of Kanhwaseon if it is required by the present time. And, this is considered as a necessary trial to transform the training method of Ganhwaseon creatively relying on the modern situations of Korea as Dahui was created by the needs of the period of the southern of Song Dynasty times. The creative adaptation and transformation of Kanhwaseon topic without losing its core value is a unique topic that Korean Buddhism is facing nowadays as the truth that the talk around things changes endlessly.

      • KCI등재

        法認精神과 원불교 신앙의 사회적 실천 방향

        원영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1 No.-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triggered by humankind has driven human civilization toward a critical situation. In anomie of human society, the religious world’s roles are important. Especially, Won Buddhism which was created to break through the limi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a great responsibility. The spirit of prayers for the dharma authentication (法認祈禱) that calling was certified by heaven by building great vows (誓願) for saving mankind more than 100 years ago needs to be more expanded toward mankind of despair today and the direction of social practice needs to be newly sought. For this, great vows of Mahāyāna (大乘) should be established again. Won Buddhism is the religious movement which saves mankind with the spirit established through collective sacrificial rites. The origin of the great vows is the Four Great Vows (四弘誓願) of Mahāyāna Buddhism which practices the Way of Bodhisattva. There are several specific vows (別願) in the scriptures based on this Four Great Vows, the universal vow (總願). The spirit of Beobin inherited these vows modernistically. Innovation of Won Buddhism belief which inherited the spirit of Mahāyāna Buddhism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belief from the viewpoint of panentheism (汎在神論). The ultimate point of Won Buddhism belief is to make the world the Utmost Bliss of the Pure Land by a conviction about Buddhist nature, belief in the truth of cause and effect, and a ceremonial offering to Buddha about all beings through Dharma-kāya Buddha as One Circle (法身佛 一圓相), the The Fourfold Grace (四恩) belief, and Cheocheobul (處處佛). Socialization of belief should be done through this. The methods are to recover the original nature of belief based on the Buddha-dharma and build justice and peace for rebuilding unstable modern civilization. Won Buddhists should do samyag-dṛṣṭi (正見) of the unequal, unjust, and irrational structure of mankind and correct wrong reality. Like this, the meaning of Won Buddhism’s existence today is to realize the spirit of Beobin to solve problems of modern society. 인간이 촉발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계적 확산은 현대문명을 한계 상황 으로 몰아가고 있다. 아노미 상태에 처한 인류의 위기에 종교계의 역할이 중요 해지고 있다. 특히 물질문명의 한계를 돌파하고자 나온 원불교야말로 큰 책임 을 지고 있다. 한 세기 전에 인류 구제의 서원(誓願)을 세워 하늘로부터 그 사명 을 인증 받은 법인기도(法認祈禱)의 정신을 오늘날 절망의 인류를 향해 더욱 확 장시키고, 사회적 실천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원불교 구성원들은 대승(大乘)의 서원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 다. 법인정신은 희생제의를 통해 확립된 정신이며, 이에 따라 원불교는 인류 를 구제하는 종교운동을 표방한 것이다. 그 기원은 보살도를 실천하는 대승불 교의 사홍서원(四弘誓願)이다. 총원(總願)인 이 사홍서원에 의거, 다양한 별원(別 願)이 경전에 나타난다. 법인정신은 이러한 서원을 현대적으로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불교 신앙의 혁신성은 범재신론(汎在神論, panentheism)적 신앙과도 상통한다.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 신앙과 사은(四恩) 신앙, 그리고 처처불 (處處佛) 신앙을 통해 우리 안의 불성에 대한 확신, 인과의 진리에 대한 믿음, 모 든 존재에 대한 불공으로 세계를 극락정토로 만들자는 것이 원불교 신앙의 궁 극적인 지점이다. 이를 통해 신앙의 사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핵심은 불법에 기반한 신앙의 원초성을 회복하는 것, 불안한 현대 문명을 구제하기 위한 정의와 평화의 구축이다. 인류의 불평등, 불의, 부조리의 구조를 정견(正見)하 고, 잘못된 현실을 바루기 위한 적극적인 사회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 날 원불교의 존재 의미는 현대 사회의 병맥을 치유하기 위한 법인정신을 재현 하는 것에 있다.

      • KCI등재

        불교의 효사상에 대한 고찰

        원영상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동양에서의 효는 유교의 전유물로만 이해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불교의 효 논리와 더불어 양자가 상보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초기불교로부터 동양사회에 불교의 효사상이 토착화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부처님은 출가 후에도 부모님을 효로써 공대하였으며, 이후 본생담에서는 효행이 부처가 될 기연이 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은 첫째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은혜, 즉 지은보은의 정신을 알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둘째로는 불성론에 바탕한 평등사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대승불교의 발전지인 중국에 불교가 들어와서는 효가 부모와 자식 간에 맹목적인 헌신이 아닌 수평적 윤리를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불논쟁을 통해 대승정신의 핵심인 보살정신을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부모은, 중생은, 국왕은, 삼보은의 사은은 부모은을 매개로 설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상은 동아시아 불교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대승정신의 발로이자 시기상응의 교설을 띤 위경에 있어서는 유교의 아버지에 대한 효행에 대해 어머니에 대한 효행을 강조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윤리의 바탕 위에 효정신의 전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은 대승적인 출가주의와 보살행의 차원에서 중시되고 있다. 이는 곧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보다 차원높은 세계의 대효(大孝)를 설파함으로서, 비록 국가의 질서에 예속된 면이 있긴 하지만 가(家)의 구조로부터 벗어난 차원으로 효의 정신이 승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총체적으로 볼 때, 대승불교에서는 불교의 보편적인 윤리 내지는 불교의 핵심적인 교리를 확대하는데 효행이 중심적인 역할을 해 왔으며 민중들의 교화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We can see that the filial piety, though one understands it the thought of Confucianism, as a matter of fact, has intimate rel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eastern society.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rocess in which the filial conduct of the Buddhism has come to stay in east from early Buddhism. Buddha respected his parents with the filial piety, after his death, the jātaka describes that the filial conduct of Buddha was the karma to be Buddha. This thought clearly shows us, that firstly, children are to lie under an obligation to parents, and they have to know a debt of gratitude to their parents and to return that, and secondly, we can make sense of equality in human society on the base of a doctrine of buddhahood. The thought of filial conduct in china where Mahayana Buddhism developed, indicates not blind self-sacrifice but lateral moral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t gives concrete expression the thought of bodhisattva as the core of Mahayana Buddhism through the dispute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 grace of parents, the one of sentient beings, the one of king, and the one of Triratna are preached through the one of parents in the Sutras, and this thought has greatly an influence over buddhist society in east asia. Furthermore, the false scriptures to bring the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before the public and to answer to the request of the times, play an important role to spread the thought of filial conduct of Buddhism on real ethics through the one to mother in Buddhism with the one to father in Confucianism. This idea puts great stress on the priesthood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consciousness of bodhisattva. This sublimated the thought of filial conduct as great one in even higher dimension rising above system on family, although this was subjugated to the system of nation. In conclusion, the practice of filial conduct had main role to spread universal ethics and the core doctrine of Buddhism in Mahayana Buddhism, and had an influence on missionary work to people in general.

      •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에 관한 의미 고찰

        김희 ( Kim H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본 논문은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에 관한 의미를 당시대의 중국사회 내부의 요인과 외부의 대외정세와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과 함께 하는 중국의 대승불교 형성에 관한 논의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인도와 다른 중국사회의 문화적 특수성이다. 이것은 비실체적인 정신의 개념을 강조하는 불교와 달리 중국사회는 사실의 세계에 기능할 수 있는 인간의 행위론에 관한 가치론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현실 중심적 가치의 세계관을 인간행위의 윤리의식으로 사회화하고 있는 중국사회에서 불교는 유교적 세계관에 대립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세계관을 지향하는 유교와 불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중국사회에서 불교가 공인된 이후 불교는 중국사회에서 새로운 층위의 정신세계를 창출하는 인간의 행위론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중국사회 내부에서 불교의 이질성을 상쇄하기 위한 문화교섭의 과정이 의지적인 형태로 일어났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 과정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다각적이고 다층적인 해석과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다른 사회의 정체성이 전제되어 있는 문화교류 사이에 소통을 가능하게 만든 공통 인자에 대한 의미를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인도불교의 전래와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 과정에서 강조되는 구원의식을 사회적인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구원성을 인간사회의 보편의 가치로 실재화한 중국불교의 특징을 해명하는 과정이 된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Mahayana Buddhism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relating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within the Chinese society. When it comes to the sinicization of Indian Buddhism in China, priority consideration is given to cultural distinctiveness between the Indian and Chinese society. It, in other words, means that the Chinese society considers axiology of human behavior affecting on the ontic world to be important, while Buddhism emphasizes spirit, that is immaterial. Therefore, Buddhism becomes recognized as the opposite against Confucianism in the China society where the realistic world view is socialized as sense of ethics for people. In the teeth of different point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uddhism functions as a theory of human behavior to yield a new vein of the spiritual world in the Chinese society after it became approved officially. And this proposes that a process of cultural interaction was intentionally developed within the society in order to counterbalance inhomogeniety of Buddhism. In this context, it is required that diverse and multi-layered approach be consider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sinicized process of Indian Buddhism in China. Such the approach also refers to emphasizing a meaning of common factors able to communicate between two different socio-cultural environments. Therefore, a consideration of salvation, in terms of the social dimension, emphasized in a process of sinicization of Indian Buddhism involves with an explanation clarify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Buddhism that substantializes salvation not for specified, but for unspecified individuals as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society.

      • KCI등재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대한 대승 보살 사상

        권성훈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entence is to clarify that the bodhisattva idea of Great Buddhism forms Han Yongun's literary worldview. The Bodhisattva thought that appeared in ≪The Silence of Love≫ was construct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Paramita without going through the Buddhist idea as Man Hae’s central thought. In addition, the Boshi(布施) of the Six Brahmi(六波羅蜜) is the source of his privately owned practical enlightenment as the true words and deeds that humankind must have in Man Hae’s Psalms. It unconsciously embodied Great Bodhisattva thought in Man Hae's ≪The Silence of Love≫, and worked as a firm belief in freedom, national liberation, and theistic thought. Man Hae's literature did not follow the trajectory of modern literary history, but became a spiritual foundation for the activities of religious reformers, independence activists, and national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Great Bodhisattva Thought provided justification that could lead the great social change on Man Hae consciousness’s basis. It should be noted that Man Hae was able to expand his position as a literary figure and independence activist because of his status as a monk. Today, the fundamental thing that kept Man Hae alive in history is religion, and the Buddhist thought he pursued is reflected in his literature. In this way, Man Hae, as a monk, had Buddhist convictions, and with his undying will, he became the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times. As a mediator capable of reconciling divided ideologies and sects on a pan-social level, Great Bodhisattva thought permeated Man Hae's original life. In order to investigate Man Hae's poetic consciousness in terms of Great Bodhisattva thought, I used the first Boshi in Six Brahmi, which prominently appeared in this collection of poems, as a research method. It is a fact that the Boshi that forms Six Brahmi is the central axis of Great Bodhisattva thought and is manifested in Man Hae's Psalms. I looked into the bodhisattva thought built up in Man Hae's Psalms by looking at the three types mentioned in Boshi. In short, Jaesi(財施), Beopsi(法施), Muuisi(無依施) and Non-Seeing are the three types of Boshi, in Man Hae's psalms, which will be discussed, along with the Buddhist doctrines of theistic thought, selflessness thought, and relationship thought, form the literary backbon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Great Bodhisattva Thought works concretely and practically as Man Hae's firm world view. 이 글은 대승불교 보살 사상이 한용운의 문학적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님의 침묵≫에 나타난 보살 사상은 만해의 중심사상으로서 불교적 관념에서 거치지 않고 바라밀의 실현으로 구축된다. 거기에 육바라밀행의 보시행은 만해의 시편에서 중생이 가져야 할 진정한 언행으로서 그가 사유했던 실천적 깨달음의 원천이 되고 있다. 그것은 만해의 ≪님의 침묵≫에서 대승 보살 사상이 무의식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자유와 민족 해방 그리고 유신사상의 확고한 신념으로 작용했다. 만해의 문학은 현대문학사의 궤적으로 거치는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종교개혁가, 독립운동가, 민족주의자 등으로 활동하는데 정신적 토대가 되었다. 이에 대승 보살 사상이 만해 의식의 기저에서 대사회적 변혁을 주도할 수 있는 당위성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이같이 만해가 문인으로서 독립운동가로서 위상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신분이 승려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만해가 역사 속에서 살아있게 한 근본적인 것이 종교이며 그가 추구했던 불교 사상이 그의 문학 속에 반영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만해가 승려로서 불교적 신념이 있었기에 불후의 의지로 당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것은 분열된 이념과 종파를 범사회적 차원에서 화합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대승 보살사상이 만해의 전 생애를 관통한다. 만해의 시의식을 대승 보살 사상으로 살피기 위해 이 시집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육바라밀 중에서 첫 번째인 보시행을 연구방법으로 했다. 육바라밀을 형성하고 있는 보시행은 대승 보살 사상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으며 만해 시편에서 현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보시행에서 말하는 세 가지 유형으로 만해 시편이 구축하고 있는 보살 사상을 들여다보았다. 요컨대 재시와 법시 그리고 무외시는 보시의 세 가지 유형이며 논의할 만해의 시편에서 이와 함께 불교의 유심설과 무아설 그리고 인연설이 문학적 근간을 이룬다. 이로써 만해의 확고한 세계관으로서 대승 보살 사상이 구체적이고 실천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 김동리의 『등신불』에 반영된 불교적 대승정신

        김영수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5 중한언어문화연구 Vol.9 No.-

        ‘等身佛’是金東里的代表作之一,是帶有?厚的佛敎色彩的作品。此作品作爲?架性結構小說,通過一個被日本强制參戰的韓國學徒兵的出家經歷,又引出了?一個人物故事,卽万寂成爲‘等身佛’的過程。本文主要敍述了‘等身佛’作品所體現出的大乘佛敎精神。具體通過作品中万寂的佛敎六度万行,從而描?了佛家的无緣同體大悲精神。因此本文一一剖析了作品人物體現出的六度万行,逐步說明了作品是如何體現着慈悲觀,幷闡明了看似帶有極端行爲的燒身供養,具有其存在意義的合理性。在這一点上,筆者否定了以往學者們的觀点,從?一個角度卽佛家的哲學和經典出發,重新給出了一個新的觀点。

      • KCI등재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원영상(Won, Yong-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본 논문은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을 논한 것이다. 최근 공공철학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종교에 대한 공공성 연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공공성 연구는 종교, 국가, 기업, 학계 등을 망라한 시각에서, 한국사회는 물론 지구 전체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하는 지적 활동이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은 연구의 연대 속에서 이를 주도하고 있다. 제국주의의 고통을 극복하고자 했던 한국의 종교들은 이러한 점에서 공공성 연구의 적절한 영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 연구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근대 한국종교의 활동 영역은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시민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민족주의, 반자본주의, 계몽운동, 공동체, 이념의 공존, 시민적 자유의식, 사회참여, 사회적 다양성의 조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자본주의에 대한 대응, 공공적 시민의식 운동, 독립운동 및 국권회복, 신문화운동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공공성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 이러한 연구 범주에 기반, 한 세기 동안 원불교가 어떠한 공공성의 역사를 구현해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공공종교로서의 구체적인 자기규정을 해가는 개혁불교의 이념 차원과, 실천적 차원의 민중구제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다. 전자는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法認), 박중빈의 『조선불교혁신론』과『불교정전』편찬을, 후자는 저축조합운동과 영산방언역사, 전재동포구호사업, 항일운동, 송규의 「건국론」 발표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종교적 공공성의 성격을 대승정신의 계승과 참여불교의 정신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고 있다. 전자는 제생의세론 및 회통사상으로 보고 각각, 개벽사상 및 보편윤리와 연동되고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원불교는 아시아의 근현대 개혁불교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대 한국종교의 정신적 축인 개벽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여불교의 입장에서 회통정신의 구현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교의로써 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방 후, 원불교 공공성 발현의 한 측면인 종교연대운동을 부기했다. 결국, 원불교는 스스로 천명한 세계평화운동, 평등한 질서 건립, 세계적 정신운동 실천, 국제적 종교연합기구의 구현에 매진함으로써 공공종교로서의 객관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s a religion and the publicness of Won-Buddhism, one of the modern Korean religions. Recently while the public philosophy i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discussion is expanding to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The research of publicness is an intellectual to urg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bout the solution to the whole global issues as well as Korean society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s covering religion, state, enterprise, and academies. Especially in East Asia Korea and Japan is leading a research among solidarity of these researches. The Korean religions which had tried to overcome sufferings from imperialism are appropriate aspects for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from these points. To do it, first, I tried to set a categories of publicness research into modern Korean religions. The activity scope of modern Korean religions covers variety of scope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civil movement, and it took as core tasks nationalism, anticapitalism, enlightenment movement, community, coexistence of ideology, civil awareness for freedom, social engagement, and harmony of social diversity. From these perspectives,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ness research through four aspects such as response to the capitalism, public movement of civil awareness, independence struggle and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new culture movement. Continuously, I studied how Won-Buddhism realized the history of public concern during it’s first century. Comprehensively, I arranged the ideological aspect of reformed Buddhism in which it define itself concretely as a public religion, and arranged it’s history of delivering people from the aspect of practice. I arranged the former’s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dharma authentication of ‘the seal of blood from bare fingers,’ Park Jung-bin’s compilation of The Reformation Theory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Chosŏn pulgyo hyŏksin non) an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Pulgyo chŏngjŏn), and arranged the latter’s through movement of the savings union, levee project at Yeongsan, anti-Japan movement, Song Gyu’s declaration of On Founding a State (Kŏn’guk non). Based on the history, I treat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as a religion from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Mahayana spirit and the spirit of engaged Buddhism. I saw the former as the theory of delivering sentient beings and curing the world, and the thought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and examined they ar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and universal ethics respectively. Won-Buddhism shares the context with modern reformed Buddhism in Asia, and it succeeded to the bodhisattvas spirit in Mahayana Buddhism. And it also accepted the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which was a spiritual axis in modern Korean religions. Won-Buddhism, as an engaged Buddhism, established as its doctrine the universal values that modern society requir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thought. Last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 added a solidarity movement of religions as one aspect of realizing the public concern by Won-Buddhism. After all, I saw Won-Buddhism can secure objectivity as a public religion by reflecting how it could realize in daily life the religious spirit through the world peace movement, establishment of equal order, practice of globalized spiritual movement and glob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Religions that it declared itself.

      • KCI등재

        사이초(最澄)의 법화사상-그가 평생 추구하고자 한 것-

        원영상 ( Won¸ Yong-sang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8

        일본 고대 후반에 유입된 천태종은 중세 신불교 탄생의 요람이 된다. 천태종의 역할은 사실상 근현대 다양한 불교계 신종교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일본불교의 저변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종합불교로서 신앙과 수행의 폭넓은 세계를 갖고 있음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본 천태종은 사이초(最澄, 766~822)에 의해 확립되었다. 그는 중국에 유학하여 원ㆍ선ㆍ계ㆍ밀(圓禪戒密)의 4종(宗)을 계승했다. 귀국해서는 밀교를 도입하여 완전한 종합불교를 만들고자 했다. 또한 국가로부터 독립된 독자적 대승교단 구축을 위해 평생을 노력했다. 천태종을 일본에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사이초는 많은 난관에 봉착했다. 대표적인 사건이 나라(奈良)를 중심으로 한 남도불교(南都佛敎)의 대표주자인 도쿠이츠(德一)와의 논쟁이다. 불성론(佛性論)을 둘러싼 논쟁에서 사이초는 심혈을 기울여『법화경』의 정신에 의거한 일승(一乘)사상을 주장했다. 말년에 나온 많은 저술은 이러한 법화사상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다. 핵심은 모두가 성불할 수 있다는 개성불도(皆成佛道) 사상이다. 일본 불교의 역사를 놓고 본다면, 결국 사이초가 주장한 법화사상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사후이기는 하지만, 기성불교계와 국가불교로부터 독립을 성취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밀교와 더불어 종합불교의 양축을 건설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사이초는 법화사상에 기반한 수행체계를 통해 대승불교의 정신을 확산시키고자 했다. 그가 「산가학생식(山家學生式)」에서 “나라의 보물을 무엇인가. 그 보물은 도심(道心)이다. 도심 있는 사람을 국보라고 한다”라고 한 것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도심은 바로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드러내고 있다. 이를 위해 비예산(比叡山)에 학당(學堂)을 세우고 대승의 계율을 확립했다. 후대에 사이초의 법화종단은 그가 대립했던 기성불교계와 마찬가지로 왕권과 밀착하고 마침내 분열되기는 했지만, 여러 조사들에 의해 시대를 따라 늘 새롭게 해석되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일본 불교의 사상적 저수지 역할을 해내고 있다. The Tientai Sect introduced to Japan in the latter half of the ancient Japanese times became the cradle of the medieval New Buddhism. In fact, the role of the Tientai Sect has been very strong in the base of Japanese Buddhism until various new religions of the Buddhist world have appeared in recent and modern times. It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m because it has the wide world of religious belief and asceticism as organized Buddhism. This Japanese Tientai Sect was established by Saichō (最澄). He studied in China and inherited 4 religions (宗) of Won, Seon, Gye, and Mil (圓禪戒密). After returning to Japan, he tried to create complete organized Buddhism by introducing Esoteric Buddhism. He also made efforts to build an independent religious body from the state during life. Saichō was up against many brick walls in the process to settle the Tientai Sect in Japan. A representative event is a dispute with Dokuits (德一) who was a leader of Namdo Buddhism (南都佛敎) which focused on Nara (奈良). In the dispute surrounding the Buddha-nature Treatise in four volumes (佛性論), Saichō was devoted to argue thought of One-Vehicle (一乘) based on the spirit of 『Lotus Sutra』. A lot of writing published in his later years advocated this thought of lotus blossom. The key point is thought of Gaeseongbuldo (皆成佛道) that everybody can attain the Buddhahood. Considering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it can eventually be thought to be a victory of thought of lotus blossom argued by Saichō. In the end, he could achieved independence from the existing Buddhist world and the state and formed both axes of organized Buddhism with Esoteric Buddhism even though they were done after his death. Above all, Saichō tried to spread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through the discipline system based on thought of lotus blossom. This is well expressed through 「Sangahaksaengsik (山家學生式)」 that he said, "What is a treasure of the state? The treasure is mind of the way (道心). The person with mind of the way are called the treasure." This mind of the way well shows the spirit of Mahayana Bodhisattva. For this, he found a school (學堂) in Mount Hiei (比叡山) and established Mahayana precepts. Saichō's religious body of lotus blossom was later close to royal authority like the existing Buddhist world that he had opposed and was eventually divided. However, it has played a role of a reservoir of Japanese Buddhism until today as it was always and newly interpreted by several investigations according to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