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밀교종단 진각종의 교리형성과 소의경전

        한진희 ( Han Jin-heui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조선 초기 불교탄압으로 밀교종파가 한국에서 역사에서 사라진지 5백여 년이 지난 이래 한국 밀교를 중흥한 종단인 진각종이 회당 손규상 대종사(1902~1963)에 의해 창종되었다. 그는 육자진언 옴마니반메훔을 염송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이후 그는 불교 교리에 입각하여 그의 깨달음을 정립해 나가게 된다. 종단 초기에 대종사는 『금강경』, 『유마경』, 『법화경』 등과 같은 일반적인 대승경전의 교리에 입각하여 그의 깨달음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나, 육자진언과 관련한 밀교 교리와의 연관성을 발견하고 그는 자신의 깨달음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밀교의 교리에 입각하여 깨달음을 정립해 나갔다. 그러나 종단 초기에는 밀교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그 교리 형태가 미완성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차츰 더 많은 밀교의 경전과 교리적인 자료를 통하여 대종사는 진각종 특유의 밀교교리를 수립해 나가게 되었고, 1957년 11월에 이르러 그는 종단이 밀교종으로서의 교리를 완성하였음을 선언하게 된다. 이 과정은 철저히 경전에 입각하면서도 다양한 교리를 무조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자신의 수행체험과 증득을 통하여 취사선택하여 종단의 교리를 정립해 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종단은 최종적으로 밀교경전인 『대일경』, 『금강정경』, 『보리심론』, 『대승장엄보왕경』의 경전을 소의경전으로 채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종단의 밀교 교리를 정립하기에 이르게 된다. 본 논문은 대종사께서 종단의 교리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을 종단의 공식적인 역사서인 『교사(敎史)』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종단의 전적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채택된 종단의 소의경전(所依經典)에서 어떤 교리적 내용을 채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같은 시도를 통하여 진각종이 한국 밀교를 중흥한 종단으로서 어떤 교리적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After esoteric sects disappeared from history in Korea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ingak sect, a sect that revived Esoteric Buddhism in Korea after more than 500 years, was created by Hoidang Sohn Gyu-sang(1902-1963). He achieved enlightenment by chanting the six-syllable mantra, Om Mani Padme Hum and afterwards he organized his enlightenment based on Buddhist doctrine. In the early days, he tried to express his enlightenment based on the doctrines of general Mahayana sutras such as Diamond-sutra, Vimalakirti-sutra, Lotus-sutra, but after discovering a connection with the esoteric doctrine related to the Six Mantras, Hoi-dang can best understand your enlightenment. He established his enlightenment based on the doctrine of esotericism that could be expressed, but in the beginn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some esoteric materials, the doctrinal aspects were not completed. However, gradually through more and more esoteric scriptures and doctrinal materials, Hoi-dang began to establish the unique esoteric doctrine of the Jingak sect and in November 1957, he declared that the sect had completed the doctrine as an esoteric sect. This process is thoroughly based on the scriptures, but it is established through self-perceived experience and verification without simply following theoretically. In this process, the sect finally adopted the esoteric scriptures as the chief textbooks of Jingak sect such as Maha-vairocana sutra(大日經), Vajraśekhara-sūtra(金剛頂經), Kāraņḍa-vyūha sūtra(大乘莊嚴寶王經), Bodhicitta-śastra(菩提心論) and based on thi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ll the doctrines of the sect.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e great master completes the doctrine of the sect based on 『敎史』, the historical material of the sect, through the history of various sects. Also,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kind of doctrinal content is contained in the finally adopted the chief textbooks of Jingak sect. Through such an attempt,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what

      • 한국 선(禪)의 역사와 특징

        박재현 ( Park Jae-hyeon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 선(禪)의 성격 규명 내지는 정체성 정립을 위해 그 역사와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에서 특히 고려시대 이후로 선(禪)의 역사는 불교의 역사와 다르지 않다. 한국 선에 대한 고찰은 한국불교의 역사와 특징을 규명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한국불교의 역사적 사실 관계 속에서 한국불교의 특징 내지는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노력은 여러 차례 있었다. 그리고 통불교, 호국(護國), 기복(祈福) 같은 개념들이 한국불교의 특징으로 자주 거론되었었지만 이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 역시 만만치 않았다. 현대 들어 한국 선은 이른바 ‘K-명상’이라는 이름으로 국내외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각종 ‘K-’시리즈로 나타나는 한류 현상의 일부일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K-명상’의 대두와 함께 한국 선의 특징과 정체성을 규명 내지는 정립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 역시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 선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조명하는 가운데 그 특징과 정체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 선에서는 동아시아 불교와 한국 불교에서 나타나는 현세 긍정적(this worldly character) 태도가 두드러진다. 이는 종교학 일반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세속화(secularization) 현상과도 관련된다. 통불교, 호국, 기복 같은 개념들 역시 현세 긍정적 태도가 시대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나타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현세 긍정적 태도는 종교적 가치의 훼손이라는 부정적 측면과 사회적 가치와 역할의 적극적 수용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 사이의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 향후 ‘K-명상’을 비롯한 한국 선의 정체성이 결정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eon(禪) in order to establish its identity. The history of Seon in Korea, especially since the Goryeo Dynasty, is not different from the history of Buddhism. The examination of Korean Seon i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and concepts such as ‘Unified Buddhism’, ‘Patriotism Buddhism’, and ‘Blessings Buddhism’ have been frequently invoked to characterize Korean Buddhism. However, there have also been a number of criticisms. In modern times, Korean Seon has seen a resurgence in popularity at home and abroad under the name of “K-meditation”. It is hard to deny that this phenomenon may be part of the Hallyu(韓流) phenomenon, which is manifested in various “K” serie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with the rise of ‘K-meditation’, we are faced with a situation where we ne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Se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Seon while outlining its history. In Korean Seon, this worldly character is prominent. This i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secular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topic in religious studies. Concepts such as ‘Unified Buddhism’, ‘Patriotism Buddhism’, and ‘Blessings Buddhism’ are also examples of temporal his worldly character manifested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The temporal positive attitude has both a negative aspect - the erosion of religious values - and a positive aspect - the acceptance of social values and roles. The shift in the center of gravity between these two aspects will determine the identity of Korean Seon, including K-Meditation, in the future.

      • 한국 밀교미술(密敎美術)의 형성과 전개

        김주미 ( Kim Joo-mi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밀교미술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특정 작품을 고찰하고 논의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다보니 밀교미술의 시대별 전개와 특징, 한국 밀교미술의 흐름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지를 전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밀교의 성립 배경과 밀교미술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고찰했다. 한편 불교계의 동향이 밀교미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고려하면서 한국의 밀교 수용과 밀교미술의 전개를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는 신라를 중심으로 신인비법(神人秘法)과 호국 관련 밀교미술, 신라적 만다라의 성립과 기존 존상의 밀교화, 사리탑 신앙과 탑에 봉안된 『다라니경』을 중심으로 밀교미술의 전개를 고찰했다. 고려시대의 밀교는 왕실의 밀교신앙, 총지종과 신인종의 성립, 밀교 의식 및 행사 등과 같은 불교계의 움직임을 통해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밀교미술의 전개는 고려불화, 라마교 양식의 불상, 『보협인다라니경(寶篋印陀羅尼經)』과 보협인탑(寶篋印塔), 밀교 의식구 등을 통해 살필 수 있었다. 조선시대는 국가의 숭유억불 정책에도 불구하고 조선 초에 왕실과 민간에서 밀교 관련 불사가 행해지고, 밀교 계통의 전적이 간행되면서 사리신앙과 사리장엄구의 조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밀교미술의 전개가 이루어졌다. 또한 19세기 이후에 조선불화에 새롭게 등장하는 밀교 존상과 그 출현 배경을 살펴보았다. 한국 밀교미술의 어제와 오늘을 고찰하고 그 정체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사실상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번에 진행된 다소의 연구 성과가 한국 밀교미술의 성격과 흐름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Existing studies and papers on esoteric art focused on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centering on specific works. As a result, it was not easy to grasp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by period and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se aspects and developed the thesis.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esotericism and the difference between esotericism and exoterism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of esoteric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were examined. On the other hand, while examining the acceptance of Esoteric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Esoteric art in Korea by age, I identified trends in the Buddhist world by period and focused on how they affected Esoteric art. Unified Silla centered on the Shinin technique(神人秘法) and esoteric arts related to national defense, the establishment of Silla-style mandalas(蔓茶羅) and the esotericism of existing statues(尊像), and the belief in stupas and the Darani Sutras(陀羅尼經) enshrined in the pagodas. It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esoteric art. In the Goryeo Dynasty, the royal family's esoteric beliefs and protective measures, the establishment of Chongjijong(摠持宗) and Shininjong(神印宗), and esoteric rituals and events were studied. In addition, based on this, I broadened my understanding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Lamaism Buddha statues, Bohyeopin Darani Sutra(寶篋印陀羅) and Bohyeopin Tower(寶篋印塔), and esoteric rituals that reflect esoteric beliefs and esoteric statues. In the Joseon Dynasty, even under the national policy of promo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ist affairs(佛事) related to Esoteric Buddhism were carried out in the royal family and the private sector, and books such as The Collection of Truths(眞言集) and Secret Buddhism(秘密敎) were published.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belief in sarira and the creation of a stele for relics, and also examined the relevance with esotericism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miracles(異蹟) and worldly oriented contents in the sarira stupa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tried to figure out the background of the esoteric Buddha newly appearing in Buddhist painting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from Goryeo Buddhist paintings. It is not easy to consider the past and present of Korean esoteric art, but I tried to 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flow of Korean esoteric art.

      • 일본 천태불교의 수행법

        지혜경 ( Lucy Hyekyung J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본 논문은 일본 천태종의 수행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의 천태종은 태밀이라고 하는데, 태밀이란 천태종과 밀교의 수행이 함께 결합한 천태종이라는 의미이다. 천태종을 처음 일본에 전한 사이초(766-822)는 『법화경』과 밀교의 가르침이 일치한다고 보는 “원밀일치(圓密一致)”를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생각에서 『법화경』의 일승사상을 바탕으로 후학들에게 지관업(止觀業)과 차나업(遮那業)의 두 과정을 가르쳤다. 지관업에서는 지의의 『마하지관』의 이론과 수행을 가르쳤으며, 차나업에서는 『대일경』의 사상과 수행을 가르쳤다. 사이초의 후계자들은 당나라에 가서 밀교를 배워와서 태밀을 정립하게 된다. 태밀의 수행은 크게 현교와 밀교의 수행으로 나눈다. 현교의 수행이란 좀 더 많은 이들에게 개방되어 있는 수행법을 말하며, 밀교의 수행은 자격이 되는 수행자들에게만 특별히 전수되는 밀교의례와 관련된 수행을 말한다. 현교의 수행에는 천태지의의 수행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수행법과 여러 수행법이 결합된 수행법이 있다. 지의의 수행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수행법에는 사종삼매와 지관수행법 등이 있으며, 여러 수행법이 접목된 다양한 수행법들에는 일상근행(日常勤行)이 있다. 대부분의 수행은 출가자 중심이지만, 일상근행은 출가자와 일반신도들이 행하는 수행이다. 밀교의 수행에는 밀교의 전통수행인 사도가행(四度加行)과 신토의 자연숭배 사상이 결합된 카이호교[回峰行]가 있다. 이처럼 일본 천태종은 중국 천태종의 수행을 당시 유행했던 밀교와 결합하고, 나아가 다른 수행법들을 흡수하면서 수행법을 변화시켜왔다. 이러한 일본불교의 수행법은 다양한 불교의 가르침을 하나로 통합시켜보려는 사이초의 철학을 잘 계승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모든 수행법을 단순히 모아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적으로 볼 수도 있다. This article introduces Japanese Tendai practice. Japanese Tendai is also called Tamitsu because it combines esoteric Buddhist practice into its practice system. Saicho, the founder of Japanese Tendai argues that Esoteric Buddhist teaching and the teaching of lotus sutra are not so different and tried to synthesize other Buddhist teachings into the one vehicle philosophy. Therefore, he taught both Zhiyi’s philosophy and Vairocanābhisaṃbodhi Sūtra, an esoteric Buddhist scripture. Tamitsu’s practice consists of exoteric practice and esoteric practice. Exoteric practice is for ordinary people and contains Zhiyi’s four samadhi practices and daily practices called Gongyo. Esoteric practice is Shido-kegyō and kaihōgyō. Japanese Tendai practice has developed by combining various Buddhist school’s teachings, for example, using mantra and Amita buddha’s nembutsu. That shows those practices have succeeded well in Saicho’s idea of embracing all Buddhist teaching in one system. However, it can be criticized as an incomplete mixture.

      • 의례율조 명칭 ‘쇼묘’와 일본불교의 특성

        윤소희 ( Yoon Soh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중국과 한국에서는 불교의례율조를 ‘범패’라고 하는데 비해 일본에서는 ‘쇼묘(声明)’라고 한다. 본고에서 이에 대한 원인과 현상을 조사해 보니, 일본에서도 헤이안시기 초기까지는 의례율조를 ‘범패’라고 했음을 확인하였다. 飛鳥, 奈良 그리고 平安 초기까지는 진언이나 다라니에 관한 범어학을 ‘쇼묘’라고 하다가 헤이안 말기와 가마쿠라 초기에 이르러 모든 의례 율조를 ‘쇼묘’로 통칭하게 된 데에는 사이쵸와 구카이의 귀국 이후 일본 불교의례와 신행이 밀교화 된 것이 주요인이었다. 한국과 중국에서 주로 한문 가사를 늘여 지으며 ‘범패’라고 하는 것과 달리 일본의 쇼묘는 한문 뿐 아니라 범음도 늘여 짓는데 더하여 ‘밀의 작법의 음’이라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사이쵸 이후 천태밀교와 쇼묘는 엔닌(円仁)·엔친(円珍)·안넨(安然)을 통해 완성되었다. 특히 안넨의 悉曇學은 쇼묘 선율이론의 기반이 되었고, 悉曇聲調에서 ‘呂·律’ 음계와 樂理를 성립시켰다. 료닌(良源)은 이를 기반하여 梵音을 가사로 하는 讃을 지었고, 교넨(凝然)은 『声明源流記』에서 찬불율조를 모두 ‘쇼묘’로 통칭하였다. 덴다이쇼묘는 궁중 舞樂과 器樂이 수반되는 의례로 음악적 예술화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設壇과 행법은 밀의 작법 성격이 많고, 특정 악곡은 인가를 받아야만 唱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진언종도 황실과 관계가 있었지만 천태종에 비해서 종교적 의례에 더 충실했다. 신곤쇼묘의 실질적 개창자 간쵸(寛朝)는 쇼묘 학습과 설행에 삼중의 인증 제도를 두어 천태종 보다 더 엄격한 밀교전법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도 인가받은 승려만이 진언을 주(呪)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에는 應酬僧, 한국에는 바깥채비와 같은 예승(藝僧)이 있는데 비해 일본에는 이러한 전문직승이 없다. 예승에 의한 범패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에도 師資相承에 의한 밀법 전승의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In China and Korea, Buddhist chants are called ‘Beompae(梵唄)’, but in Japan it is called ‘Shomyo(声明)’.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difference through Japanese Buddhist history and ancient literature. As the result, I found that until the early Heian period, the Buddhist chant’s was called Beompae(梵唄), Shomyo was referring to pan-linguistics for learning the Shingon and Dharani in Sanskrit Siddhaṃ. But as time passed, the whole ritual music and Buddhist chanting was referred to as 'Shomyo'. the main factor in this was that Japanese Buddhism became Esotericization after the return of Saicho and Kukai who learned Esoteric Buddhism in China. Annen(安然), a disciple of Ennin(円仁), the progenitor of Tendai Shomyo, explained 'Lye(呂)' and '律(Ritsu)' in the tones of Sittan, and this became the basis for the theory of tone scale on shomyo and the royal court music.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nnen's teaching was the shomyo, and that the name ‘shomyo’ was influenced Annen's phonology of Sanskrit siddhaṃ on the Buddhist ritual and music. The actual progenitor of Shingonshomyo is Kancho(寛朝 916~998). Kancho placed a three-fold certification system in the shomyo learning process, so that even today, only authorized monks can practice the mantra. As the Tendai Shomyo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royal ceremonies, many artistic music melodies were made. Therefore, there are ceremonies accompanied by royal court music and dancing. In contrast, Shingon shomyo was more faithful to Esoteric ceremonies. so a strict accreditation system was placed on those who practice shomyo chanting and Buddhist ceremonies. As a result of this, there are not the acts as professional monks who popular Buddhist chanting singer as like the Yingchousēng(應酬僧) of China or the Bagattchaebi(바깥채비) of Kore in today’s Japanese Buddhism.

      • 즉신성불(卽身成佛)의 의미와 원리에 대한 고찰 - 『대일경』과 『대일경소』를 중심으로 -

        이중석 ( Lee Jung-seok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일반적으로 성불은 업장이 두터운 중생들로서는 지극히 어려운 일로서 삼겁이 지나야 성불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말은 곧 평범한 중생이 도달하기에는 불가능한 것이 성불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밀교에서는 이러한 생각은 중생들의 잘못된 생각임을 지적하면서 깨달음이 무엇인지에 대한 원초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즉신성불을 내세운다. 즉신성불은 진리의 상징이며 법계의 상징인 대일여래의 가지를 통하여 삼밀행을 완성할 때에 이루어진다. 말하자면 보리심을 발하고 삼밀행을 통하여 우리의 마음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들여다 볼 때에[여실지자심] 우주 법계의 본질을 통찰하게 되고 그 순간 즉신성불이 이루어진다고 설하고 있다. 중생의 자심의 실상이 보리이고 일체지지이며 아눗다라삼먁삼보리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중생의 마음의 실상이 법계이고 그것은 본불생인 법신의 세계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밀교에서는 수행의 궁극을 삼밀가지에 의한 대일여래와의 합일에 두고 있다. 즉 삼밀가지에 의하여 대일여래의 지혜를 획득할 때 그것이 곧 성불이며 보리를 완성하는 것이 된다. 대일여래, 즉 비로자나불의 법신과 합일하여 무상의 진리를 체득하고 성불에 이르기 위하여 밀교에서는 여러 가지 구체적인 수행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그것도 수겁에 걸치는 난행, 고행을 통한 성불이 아니라 진언문에 의한 삼밀행의 완성으로 비로자나불과 일체가 됨으로써 즉신성불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즉신성불에 이르는 구체적인 수행체계를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또한 밀교의 특색이며 수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수행체계를 나타내는 것이 법신세계를 축약한 만다라의 관상법이며, 진언과 종자, 삼매야형의 상징성에 의지하여 법신의 세계를 파악하려는 삼밀행이다. 그 중에서도 밀교의 수행체계의 기본을 이루며, 또한 그 요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아자관과 오자엄신관, 그리고 오상성신관 등이 있다. 이러한 수행법은 곧 비로자나불의 법신세계를 즉각적으로, 그리고 전신적(全身的)으로 체득하여 즉신성불에 이르기 위한 밀교 독자의 수행법이다. 물론 밀교의 수행체계상에서는 이러한 관법을 행하기 위한 예비절차가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삼겁성불을 시간적 개념이 아니라 우리 마음의 무명의 두께로 파악하여 일시에 타파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본 것은 밀교 만의 파격적인 통찰이며 그것을 타파하기 위한 방편이 대일여래의 가지에 의한 삼밀수행의 구체적인 수행법으로 설정되어 있다. 밀교의 삼밀수행을 통하여 100%의 즉신성불은 어렵더라도 몇 %의 즉신성불이라도 달성될 수 있다면 큰 성공이 아니겠는가? 밀교는 이론만이 아닌 실 수행을 통한 전신적인 체험을 중요시한다. 삼밀수행에 의하여 완벽한 성불은 아닐지라도 체험을 통하여 우주 법계의 비밀의 한 자락을 엿본 밀교가들은 즉신성불의 의미에 대해 더욱 공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 강조하는 것도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성불은 삼겁성불이 아니라 즉신성불이어야 하며 그것은 자력과 타력을 아우르는 삼밀가지 수행에 의하여 마음의 비밀을 깨트림으로써 조속히 도달되어 질 수 있다. Becoming a buddha is a very difficult task for people with thick karma,and so it is said that they can only do attaining buddhahood after 3 kalpas. This means that becoming a buddha is impossible for ordinary people to achieve. However, Esoteric Buddhists points out that these ideas are people's wrong ideas, and advocate the possibility of attaining Buddhahood while one is alive while asking a primal question of what enlightenment is. They say that attaining Buddhahood while still alive or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with this body is achieved when Tri-guhyani practice are completed with adhiṣṭhāna of Mahā Vairocana, a symbol of truth as well as Dharma dhātu itself. In other words, when we have a perfect insight into what our mind is by Tri-guhyani practice after swearing to complete bodhi, we get an insight into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dharma dhātu, and at that moment,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takes place. The actual image of one's mind is bodhicitta, wisdom of wisdom, and also anuttarasamyak-saṁbodhi. The reality of the mind of the people is Dharmadhātu itself and at the same time it is dharmakaya's dhātu without creation and extinction. But the foolish beings don't know this. Therefore, Esoteric Buddhism sets the final goal of practice asceticism to homogenize with Mahā Vairocana by Tri-guhyani practice with adhiṣṭhāna. In other words, when the wisdom of Mahā Vairocana is acquired by Tri-guhyani practice with adhiṣṭhāna to a practitioner, bodhi can be completed and Buddhahood can be attained immidately to him. In order to complete the anuttarasamyaksaṁbodhi in homogenization with Dharma kaya of Mahā Vairocana and achieve buddhahood, the Esoteric Budhism has prepared several specific systems of practice. Attaining buddhahood is a difficult thing that can be achieved after a very long time, but an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with this body can be achieved by homogenizing with Mahā Vairocana through completing Tri-guhyani practice. This is an unique method of esoteric buddhism for attaining buddhahood. In addition, it is also a characteristic and excellent point of Esoteric Buddhism that various and specific practice systems for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are presented. Representing such a practice system is many kinds of esoteric meditation using Mandala, which abbreviates Dharmakaya's dhātu, and the Tri-guhyani practice to grasp Dharma kaya's dhātu by relying on the symbolism of mantra, secret seed characters, and samaya symbols. Among them, secret practices such as Ah-meditation, meditation of magnifying body with 5 characters and meditation of changing 5 jṅāna kayas form the basis of the practice system of Esoteric Buddhism, and are also key to it. These practices are the unrivaled practices of Esoteric Buddhism for immi-diate achieving buddhahood through immediate and whole-body experiencing the Dharmakaya dhātu of Mahā Vairocana. Of course, various preliminary procedures for performing such meditation are set in the practice system of Esoteric Buddhism. However, it is the perspective of Esoteric Buddhists to grasp attaining buddhood after 3 kalpas as the thickness of the stupidity in our minds and see it as an object that can be broken at once. It is an unconventional insight only by Esoteric Buddhism, and the method to break it down is set to the Tri-guhyani practice by adhiṣṭhāna of Mahā Vairocana. Wouldn't it be a great success if you could achieve a few % of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while one is still alive through Esoteric Buddhism's Tri-guhyani practice? Although 100% of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is difficult. Esoteric Buddhism values the experience of the body and mind through actual practice as well as theor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be a perfect buddha by the Tri-guhyani practice, the Esoteric Buddhists, who have peeked at the secret of Dharmadhātu through experience, will be able to sympathize more with the meaning of immidate attaining buddahood while one is still alive. What I emphasize in this paper is that the buddhood we want to achieve is not obtained after 3 kalpas, but immidate ataining Buddhood while one is still alive. It can be reached quickly by breaking the secret of the mind by performing the Triguhyani practice with adhiṣṭhāna of Mahā Vairocana.

      • 대구 보성선원 삼존좌상의 조성사찰과 복장전적의 불교사적 의미

        이종수 ( Lee Jong-su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대구 보성선원 석가여래삼존좌상에서 2008년에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그 복장 발원문을 통해 이 불상이 1647년(인조 25) 거창 우두산 견암사에서 수화원 현욱에 의해 제작되었음이 밝혀졌다. 이 논문은 거창 견암사에서 조성된 삼존좌상이 어떤 인연으로 보성선원에 왔는지, 견암사는 어떤 사찰이었는지, 삼존좌상 복장물에서 발견된 불교 전적의 종류와 불교사적 의미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견암사는 19세기 이래 고견암 내지 고견사라고 불렸던 사찰이다. 조선 전기에는 고려 왕씨의 영령을 위해 국행수륙재가 설행되었으며, 조선 후기 유물로 천보가 도대장으로 참여하여 1630년(인조 8)에 제작한 범종이 전해온다. 그런데 한국전쟁으로 사찰이 소실되면서 삼존좌상이 다른 곳으로 이안된 후 현재 대구 보성선원에 봉안되었다. 그리고 삼존좌상에서 발견된 불교 전적은 대부분 15~16세기 간행 전적으로서, 왕실 및 간경도감 간행의 귀중본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조선 전기 견암사의 위상이 반영되어 삼존좌상에 불서가 복장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In 2008, Pokchang objects placed inside the body of the Seated Buddha Triad Statue at Boseong Buddhist Monastery in Daegu have been found. The votive letter found among the excavated materials revealed that this Buddhist statue was produced by the chief artisan Hyun-wook at Gyeonamsa Temple in Udusan Mountain, Geochang, in 1647.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why the Buddhist statue, made at Gyeonamsa Temple in Geochang, came to Boseongsa Temple and to clarify the feature and the status of Gyeonamsa Temple. An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types of Buddhist documents found inside the statue and analyzes their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Gyeonamsa Temple has been called Gogyeonsa Temple or Gogyeonam Hermitage since the 19th centur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 state ritual of the Land and Water Assembly was held for the spirits of the Goryeo dynasty's Wang Clan. As a relic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is a Buddhist bell produced by Cheonbo as the chief craftsman in 1630. However, as the temple was destroyed due to the Korean War, the Seated Buddha Triad Statue was moved to another place and is now enshrined in Boseongsa Buddhist Monastery in Daegu. In addition, most of the Buddhist documents excavated from the statue were published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ncluding valuable books published by the royal family or the Directorate of the Buddhist Writings. From the gathered information, it can be assumed that Buddhist books were placed inside the statue, reflecting the status of Gyeonamsa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소리명상의 불교적 기반과 적용

        백도수 ( Paek Do-su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3 No.-

        본 논문은 불교경전을 통해 제법관계, 소리종류 그리고 소리복합어를 파악하여 소리명상 토대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소리는 구업 관련 계율, 바른 말과 그릇된 말, 나와 세계에 관한 귀, 소리, 청각의식, 초월적인 귀, 듣는 수행, 이구지, 염불, 구밀, 예경, 범패 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리의 종류는 생명체와 사물 이외에도 시간, 장소, 가르침, 구업에 관련된 다양한 소리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불교와 관련된 사성제, 팔정도, 사념처의 소리 등이 있음이 일반소리의 종류와 차이를 엿볼 수 있었다. 소리의 토대는 해로움을 주지 않아야 하고, 무상, 공, 치유, 치병의 기능, 수행의 도구, 깨달음이나 극락으로 인도하는 것으로서의 사상을 포함하고 있기에 이런 맥락에서 소리명상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소리명상의 적용에서는 듣기명상과 소리 내기명상으로 구분하고 가능한 방법과 밀교적인 프로그램 구성과 실질적 가능 사례를 제시하였다. 소리명상은 진언명상 등의 다른 명상과 융합해서 소리통합명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with dharmas, types of sounds, and sound compounds in the Buddhist scriptures to provide a foundation and application for sound meditation. It was found that sound is related to the precepts of verbal karma, right speech and wrong speech, the ear, sound, auditory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self and the world, transcendental hearing, the practice of listening, ground of freedom from defilement, chanting, esoteric speech, precepts, and Buddhist hymn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of sounds related to time, place, teaching, and karma, in addition to living beings and objects. In particular, there are sounds related to Buddhism,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Eightfold Path, and Mindfulness, which are different from general sounds. Since the foundations of sound include the ideas of non-harmfulness, impermanence, emptiness, healing, curative functions, tools of practice, and leading to enlightenment or paradise, it is reasonable to set the goals of sound meditation in this context. In the application of sound meditation, we have divided it into listening meditation and sound making meditation, and presented possible methods, esoteric programmes, and practical example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mes to combine sound meditation with other meditations, such as mantra meditation, and to develop it into sound integrated meditation.

      • 『현밀원통성불심요집(顯密圓通成佛心要集)』에 나타난 진언다라니 연구 - 『공불이생의(供佛利生儀)』를 포함하여 -

        강대현 ( Kang Dae-hyun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현밀원통성불심요집』에는 현교와 밀교의 요의를 화엄학을 기준으로 파악하였다. 현교의 원교는 『화엄경』의 교학이고, 밀교의 원교는 『대일경』, 『금강정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현밀원통성불심요집』은 부록으로 『공불이생의』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에는 현교심요, 밀교심요, 현밀쌍변, 경우술회 등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밀교심요에 정법계진언, 호신진언, 관세음보살본심미묘육자대명왕진언, 준제진언이 나타나고 있고, 후자에는 보례진언, 정법계진언, 무량위덕자재광명승묘력변식진언, 출생공양진언, 감로주, 파지옥진언, 비로자나불대관정진언, 성관자재보살감로진언, 대보광박누각선주비밀다라니가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진언에 대한 정확한 발음표기와 경전적 근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들 진언의 대부분이 불공(不空, 705~774)의 밀교경궤에 전거를 두고 있었고,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와 보리류지(菩提流志, 562~727)의 역경본도 각각 한 편씩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총 13종의 진언다라니 중 1종을 제외하고 12종에 대한 정확한 발음표기를 『신편대장전주』(임광명 편수, 2001)를 통해서 찾아볼 수 있었다.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Buddhism is understood based on Huayan studies in Collection of Essentials for Becoming a Buddha Through the Perfect Penetration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The complete teachings of the Exoteric are the teachings of Buddhâvataṃsaka-sūtra, and the complete teachings of the Esoteric Buddhism are Mahāvairocana-sūtra and the Vajraśekhara Tantra. This Collection of Essentials for Becoming a Buddha Through the Perfect Penetration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includes Commentary of offer to Buddha and giving benefit to all sentient beings as an appendix. The former consists of four parts: ‘Core of the Exoteric Buddhism’, ‘Core of the Esoteric Buddhism’, ‘Discussing the Exoteric and Esoteric together’, and ‘An article written with joy because the meeting between the Exoteric and Esoteric was auspicious’. Among these parts, the pure dharma-realm of reality mantra, the self-protection mantra,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s six syllables mantra, and the Mahā-cundī Mantra appears in the ‘Core of Esoteric Buddhism’. In the latter, the universal obeisance Mantra, the pure dharma-realm of reality Mantra, the mantra that changes food, the mantra in honor of birth, the soma mantra, the mantra that break open the gates of hell, Mahāvairocana's greater baptism light Mantra,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s soma mantra, and the great jewel broads on tower secret mantra appear.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accurate pronunciation and scriptural basis for these mantras. Most of these mantras were based on the esoteric Buddhist sutras of Amoghavajr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lso one version each of Śikṣānanda and Bodhiruci. In addition, out of a total of 13 types of mantra and dhāraṇī, the accurate pronunciation of 12 types except for 1 type could be found through Sinpyeondaejangjeonju(edited by Im, Gwang-myeong, 2001).

      • 화랑도(花郞道): 풍류(風流)와 불교(佛敎)의 융합

        권상우 ( Kwon Sang-woo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논문에서는 화랑도의 전개 과정을 논하면서 한국불교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진흥왕은 ‘화랑’이라고 칭하는 민간 청소년 단체에 불교의 교리를 적용해서 인재를 선발하고 양성할 목적으로 화랑제를 창설하였다. 논문에서는 풍류도와 불교를 본체(體)와 작용(用)의 관계로 논의하면서, 민족의 고유신앙인 풍류도를 본체로 삼고 불교를 풍류도를 실현하는 방법 또는 수단으로 논하였다. 풍류도와 불교를 융합한 주체로 ‘승려낭도(僧侶郎徒)’를 소개하였다. 승려낭도는 화랑 단체에서 활동하는 스님을 말한다. 그들은 대중에게 불교를 전파하기 위해서 화랑도에 참여하였다. 그들이 화랑 단체를 운영하면서 국선을 보좌하고 아래로는 낭도를 지도하면서 불교 교리를 가르쳤다. 진흥왕은 미륵신앙을 화랑도에 주입하면서 화랑을 미륵의 화신으로 보았다. 그들은 개인의 종교적 구원이나 극락왕생과 같은 종교적 목적이나 현실에서 불국정토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국왕도 성불하기보다는 화랑이 되어서 목숨을 바쳐 국가에 보답하고자 하였다. 신라의 미륵신앙에는 현실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다. 이는 중국의 미륵신앙과도 구별되는 특징임을 논의하였다. 풍류도와 불교의 융합을 승려낭도를 통해서 논의해 보았다. The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while discus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Hwarangdo. King Jinheung(眞興王) established the ‘Hwarang’ Festival to select and cultivate Buddhist doctrines by applying them to a private youth organization called Hwarang. While discussing Pungryudo(風流徒) and Buddhism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tance(體) and the function(用), I argued that Buddhism should be used as a method or means of realizing Pungryudo, which is the unique faith of the people. Seungryunangdo(僧侶郎徒) was introduced as the subject of fusion of Pungryudo and Buddhism. Seungryunangdo refers to a monk who works in a gallery organization. They participated in Hwarangdo to spread Buddhism to the public. They ran a gallery organization and taught Buddhist doctrines. King Jinheung injected Maitreya's faith into Hwarangdo and viewed Hwarang as Maitreya's incarnation. They tried to realize the state of Buddha in religious purposes or reality, such as individual religious salvation or life in paradise. Therefore, the king also tried to repay the nation by sacrificing his life as a gallery rather than making a holy Buddha. The realistic aspect of Silla's Maitreya faith is very strong. It was discussed that this is a characteristic distinct from the Maitreya faith in China. The fusion of Pungryudo and Buddhism was discussed through the Buddhist nang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