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 분야를 대상으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 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7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편마비’, ‘단일대상연구’, ‘단일사례연구’, ‘응용행동분석’ 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선별과정을 거쳐 총 24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ABA설계가 가장 많았다. 1명이 12(50.0%)으로 가장 많았고, 3명이 8(33.3%)으로 두 번째 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으로는 상상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상지기능과 편측무시가 가장 많았다. 또한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연하 곤란’, ‘시각-운동 협응’, ‘균형능력’, ‘일상생활활동’, ‘부종’ 등의 다양한 목표행동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모든 종속 변인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수준은 1개 연구를 제외한 연구들이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수행 시 갖추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분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의의가 있고, 후속연구에 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나 임상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미약하나마 근거중심 설계를 확립하여 양질의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characterize and determine the qualitative level of a single target study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DBpia (DBpia), RISS (Rad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Research Information (K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s original case study from 2002 to 2017. A total of 24 single target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to analyze the quality level of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esign. Results : ABA design was th most common study design method. One person was the most with 12(50%). and three were the second with 8(33.3%). Imagination was the most used as an independent lawyer. Dependent variables had the highest level of situability and one-sidedness.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with a variety of target behaviors, including 'memory', 'visual attention', 'dysphagia', 'visual-motor coordination', 'balance', 'activity of daily life' and 'edema' behaviors. It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ative level was found to be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except for one study. Conclusion : It is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analyzes the items to be prepared for in the performance of a single target study and further studies may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a weak but good-quality single target study for researchers conducting research in local communities and clinical sites.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국내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권용화(Kown, Yonghwa),이영옥(Lee, Youngok),이숙정(Rhie, Sukjeo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국내 감각통합중재를 단일대상연구로 실시한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참여자 특성 및 중재구성 요소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증거기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다. 연구방법: 감각통합중재가 국내에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2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의 효과크기는 연구대상자 변인 및 중재구성 변인으로 구분하여 비중복비율(PND)과 개선율차이(IRD)지표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 결과 감각통합중재는 4세 이하와 5-6세인 학령기 이전 아동 연령대에서 효과크기가 매우 높았으며, 진단명과 관련하여 자폐성장애, 중도중복장애,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갖는 아동, 뇌성마비, 발달지체 등 대부분의 장애영역에서 매우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둘째, 감각통합중재 구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중재회기가 10회기 미만이거나, 16-20회기, 21회기 이상일 경우 매우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고, 연구설계 유형에서는 ABA 설계를 제외한 모든 설계 유형에서 효과크기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PND는 행동, 구강, 감각처리, 작업수행, 운동, 학업(기초학업기술) 모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산출되었는데, 이는 국내 감각통합중재가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중재목표 달성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의 증거기반 실제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세부 요소를 검토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에 따른 후속연구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sensory integration(SI) intervention as evidence-based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components of the SI-intervention, targeting the preceding studies conducted as a single subject study in the domestic SI-intervention. Method: From 2000 to 2019, when SI-intervention began to be activated in Korea, 24 single subject studies on SI-intervention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These studies were collectively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methodology of each variable. The effect size was classified into the subject and the intervention composition variables, and calculated and analyzed as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and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 indicators. Result: First, the SI-intervention was very highly effective in the before-school age group of children. It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most areas of disability, including autism, severe disabilities,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when the intervention involved less than 10, 16-20, or more than 21 sessions. In the study design type, the effect size was very high in all designs except the ABA design. The effect size PND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was calculated to be effective in behavior, oral cavity, sensory processing, work performance, exercise, and study (basic academic skills), which meant that domestic SI-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achiev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 goals of the children. Conclusion: Detailed factors to improve the evidence-based actual level were reviewed an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김유리 ( Yu Ree Kim ),노진아 ( Jin 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들의 연구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단일대상연구 방법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10년 까지 발간된 유아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 실린 단일대상 연구물 35편을 개발된 분석틀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 연구들 중 절반 정도는 대상자의 특성과 선정 기준을 기술하고 있었으며, 소수의 연구만인 진단 도구 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었다. 그리고 분석 연구들 중 절반 정도는 관찰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종속변인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있었으며, 85%의 연구에서 관찰자간 신뢰도를 산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내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는 연구도 71%에 달하고 있었으나 소수의 연구만이 중재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를 점검한 것으로 들어났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연구는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와 목표행동 간에 기능적 관계를 밝히고 있었지만, 자료 분석과 해석에 있어서의 진정성과 체계성이 더욱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가 갖추어야 할 지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ative levels of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Korea in order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with high qualities. For these purposes, a total of 35 single-subject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1998 to 2010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results, approximately half of the articles mentioned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criteria, and few mentioned assessment tools. In addition, although about half of the articles described specific methods to observe target behaviors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arget behaviors, 85% articles included inter-rater reliability. Also, 71% articles described the intervention in detail but only few monitored fidelity treatment and social validity regarding intervention. Furthermore, multiple baseline designs were applied in most articles in order to identify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intervention and target behaviors. However, trustworthiness and system in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hould be expanded in futur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directions for high quality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유아 중재 연구 동향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이미애,권회연,전병운,한성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se the quality of single-subject design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to find a effectiv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at risk in inclusive setting from 1994 to 2007. For this, 28 research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that published from 1994 to 2007 were analyzed at the pont of general features, cri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ed developmen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researches using single-subject-design were published from 2001 except the only one(1998), the most of the participants' ages were 4-5 years(72%), and the primary participants' disability was developmental delays. And multiple baseline 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at 68% among the all cases. Second, to examine the quality of experimental case studies, 93% of the all studies measured the agreement of external observer and maintenance. Third, practices with well-established evidence of effectiveness were structured social setting(35.7%), functional behavior analysi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28.6%), and the development areas that the strategies targeted were social-emotional abilities(64.3%) and communication(31.0%). Based on the results,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 연구를 토대로 통합 환경에서의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애유아들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논문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의 논문 28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징, 주요 중재전략, 발달영역에 따라 적용된 중재전략을 분석하였다. 논문 분석 결과, 첫째,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98년 1편을 제외하고는 2001년 이후부터 단일대상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대상유아는 4-5세가 가장 많아 72%에 달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장애유형은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6.2%로 가장 많았다. 연구설계 방법으로는 약 68%가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둘째, 실험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만족하는 요소에서 관찰자간 신뢰도나 중재 효과의 유지를 측정한 연구가 93%였다. 셋째, 중재전략부분에 있어서는 사회적 환경 구조화가 10편으로(35.7%)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음으로 기능평가와 긍정적 행동지원이 8편(28.6%)에서 사용되었다. 통합 환경에서 효과를 보고자 한 발달영역은 사회성·정서 영역에 대한 중재가 2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의사소통이 13편으로 31.0%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들에게 적용한 연구결과의 적용가능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또래 중재 관련 단일대상 연구 동향과WWC 지표에 의한 분석

        노진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2

        Peer-mediated interventions have been conducted to establish positive socialrelationships and improve social interactions. The trend of peer-mediated intervention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owever, has not been studied. Furthermore,there have been no reported evaluations on whether intervention can be consideredas evidence-based practice.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researchtrends in peer-mediated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analyzes study rigor and evidence strength through the WWC standards to proposefuture directions of peer-mediated intervention studies. For this purpose, peerreviewedjournal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via research databases,and a total of 19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and source,participants, setting, intervention type, outcomes, research design, peer trainingprogram, treatment fidelity, and the WWC standards. The results revealed thatpeer-mediated intervention stud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mostly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over 36 months at inclusivepreschools to examine the effect on social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Also,most studies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s but did not measure maintenance andgeneralization effects. In addition, strategies such as explanation, modeling, prompting,practice, and performance-based feedback were used for peer training, and about half of the studies mentioned and reported on treatment fidelity. However, onlyone study met the WWC standar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researchtrends in peer-mediated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identifi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directions for peer-mediated interventionstudies have been presen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장애 유아가 또래 간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도록 돕는또래 중재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실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장애 유아를 위한 또래 중재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최근 동향은 분석되지 않았으며 또래 중재가 증거기반의 실제로인식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자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진장애 유아를 위한 또래 중재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방법의질적 수준과 증거 강도의 크기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유아 특수교육 분야에서 또래중재의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 이후에 발표된 논문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여 논문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맞는 총 19편의 연구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발표 연도 및 연구 출처, 연구 대상, 중재 장소, 독립변인, 종속변인,설계, 또래 훈련 프로그램, 중재 충실도, WWC(What Works Clearinghouse) 지표에 따라 분석되었다. 또래 중재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한 결과, 장애 유아를위한 또래 중재는 대부분 36개월 이상의 자폐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 기관에서 이루어졌으며, 유아의 사회성과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 활용되었다. 또래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위해 중다 기초선 설계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나 유지와 일반화는 제한적으로 측정되고 있었다. 또래 훈련을 위해 설명, 시범 및 촉진, 연습, 실행에 기초한 피드백 제공하기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중재충실도를 언급한 논문은 절반 정도에 그쳤다. WWC 지표에 의해 논문을 분석한 결과 WWC 준거를 만족한 논문은 19편 중 1편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국내외 장애 유아를 위한 또래 중재 관련 단일대상연구의 최근 동향과 단일대상 연구 방법의 질적 수준과 증거 강도 크기를 가늠해 보았으며, 후속 연구자들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언어행동분석 관련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김대용 한국행동분석학회 2022 행동분석․지원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single subject research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For this purpose, 636 research papers were searched, and 30 papers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based on Skinner's Verbal Behavior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 papers according to the PRISMA procedure. Analysis target papers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journal name, research participant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earch environment, and experimental desig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ies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studies related to verbal behavior analysi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verbal operant behaviors such as mand and tact, and higher verbal operant behaviors such as naming,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act. Most of the research environment of the thesis analyzed in this study was a treatment room,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among research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tudy of verbal behavior analysis in Korea is at a relatively early stage,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언어행동분석과 관련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36개의 연구 논문을 검색하여, PRISMA 절차에 따라 Skinner의 Verbal Behavior를 근간으로 하는 언어행동분석(verbal behavior analysis)와 관련된 30편의 단일대상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논문의 발행연도, 학술지명, 연구대상자, 종속변인, 독립변인, 연구 환경, 실험설계 등을 분석하였다. 언어행동분석 관련 단일대상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언어행동분석 관련 단일대상연구는 지속적으로 발간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은 맨드 및 택트 등과 같은 언어작동행동과 함께, 네이밍과 같은 고등언어작동행동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었고, 독립변인은 택트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이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의 연구 환경은 대부분 치료실 환경이었고, 연구 참여자의 장애 유형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국내 언어행동분석 연구는 비교적 초기 단계라고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효과성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이예다나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중재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고찰해봄으로서 최근 10년간 실시된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 연구의 효과크기는 종속변인별로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 10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후보포함)에 출판된 24편의 단일대상 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Get Data Graph Digitizer 2.26 웹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기초선과 중재구간의 종속변인 점수를 대조하여 분석하였으며, Tau-U(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값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의 경우 24편의 논문 중 연구들의 약 67%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지적장애와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환경은 특수학교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대부분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였다. 둘째, 종속변인별로 분석한 결과 전 영역에 걸쳐 효과크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 대부분은 의사소통기능의 향상을 보고 있었으나 행동 수정의 기능 뿐 아니라 수업 참여나 교과 활동에서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경우 특수교육 영역 전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장애학생들의 개별화된 학습지원의 형태로 접근될 수 있는 노력이 이뤄져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the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case research studies implementing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does the effect size vary by the type of 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analyzed 24 articles with single-case research designs publish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lis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Get Data Graph Digitizer 2.26 web program, and the Tau-U (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value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scores between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hases.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CEC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최미진(Choi Mijin),김유리(Kim Yu-R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연구 중에서 단일대상연구만을 선정하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CEC(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14)에서 제시한 단일대상연구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각 논문의 질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연구 동향은 발표연도, 연구 참여자, 실험설계 및 절차, 독립변인,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하였고, 질적 수준은 특수교육 분야의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CEC 지표 중 단일대상연구 질적지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관련 단일대상연구는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다양한 세부전략(인지전략 교수, 구체물 활용, 보조공학 활용)을 활용하여 수학 영역 변인(수감각,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문제해결) 및 수학 외 영역 변인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질적지표를 적용한 결과는 모든 질적지표를 충족한 연구가 1편 있었으며, 질적지표의 80% 이상을 충족한 연구가 6편 있었다. 질적지표 전체 평균 중 연구 참여자 기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질적 수준을, 중재자 기술 항목에서 가장 낮은 질적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수학학습장애 관련 중재 연구에 대한 논의와 단일대상연구 연구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 single-case research on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study reviewed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that have been published from 2001 to 2020. Sixteen single-case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regarding publication year,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CEC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single-case research on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aged students. The math interventions employed to improve mathematics skills (i.e., number sense, calculation, problem solving) were a variety of specific strategies such as cognitive strategy, utilization of concrete objects, and assistive technology. According to an analysis of research based on CEC quality indicators, there was only one research which met all the 22 quality indicators. Six studies met more than 80 percent of CEC quality indicators. On a closer examination of individual quality indicators, participants description items obtained the highest rating scores and instructor description items obtained the lowest rating scores. Based on the synthesis of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김진호,차재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experimental studies that target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rty studi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that published during last 10 yea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5 analytical variables: general features, quality indicators for evidence-based practice, critical intervention and strategies, objective skills and methods of measurement, and results(effectiveness of each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research used 3 participants in the studies, and participants' ages were 4~5 years. As a test for diagno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ehavior/sociality measure tests were used in most of studies. 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both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s interventions settings. The research studies primarily employed multiple baseline experimental designs. Second, in analysis through quality indicators for research participants the studies were satisfied with indicators about participants,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observer’s reliability, but they were unsatisfied with indicators about intervention fidelity and quality of implementation. Third, the independent variable of most studies were reaction prompt, structured social setting, reinforcement. Most moderators were researchers 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intervention duration were usually about 3 months. Fourth, dependent variables of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sociality and several kinds of behaviors. And many studies largely used partial-interval recording as a measurement method. Finally, interventions effects of the studies were largely eff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terms of implementing research studies targe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본 연구는 발달지체 아동들에게 단일대상 연구방법을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개괄적인 특성, 근거기반을 위한 질적 지표, 그리고 중재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30편의 선행연구를 최종 선정하고 다섯 가지의 분석 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개괄적 특성에서 연구대상은 세 명을 대상으로 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령은 만 4~5세 연령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진단도구로는 행동 및 사회성 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사회성숙도 검사와 포테이지 발달검사를 주로 사용하였고, 실험장소는 대부분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실시되었다. 실험설계로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거기반 실제를 위한 질적 지표와 관련하여 많은 논문들이 연구대상 정보, 독립변인, 관찰자간 신뢰도에 대한 질적 지표 지표는 많이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와 관련된 질적 지표 요건은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으로는 반응촉진, 사회적 환경 구조화 전략, 강화 전략을 가장 많이 적용하였고, 중재는 주로 연구자와 교사에 의해 교수되었으며, 중재기간은 약 3개월 정도 실시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인은 사회성이나 행동과 관련된 변인을 주로 설정하였으며, 측정방법은 부분간격기록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중재효과는 대부분의 논문들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연구들이 유지에 대한 측정은 하였지만 일반화를 살펴본 연구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이성용(Seong-Yong Yi) 한국발달장애학회 2019 발달장애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특수교육에서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를 실시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교수를 위한 프로그램 관련 참고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지적장애학생 대상 수학 교수 관련 실험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13개의 실험연구(단일대상연구)를 최종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그러고 나서 7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목표기술, 중재방법, 중재효과, 질적지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연구대상은 대부분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들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대상논문들은 대부분 교육기관을 실험환경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연구설계는 대부분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였다. 넷째, 분석대상논문들은 수와 연산을 목표기술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중재방법은 자기교수 훈련, Touchmath 전략 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중재효과는 중간~큰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대부분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대상논문들은 80%이상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3 to 2018 revealed 13 experimental studies(single-subject design)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3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ype of intervention, effect size(PND), quality indica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of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etting of studies were school(classroom). Third, Most of the research design of studies were a multiple(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Fourth, Most of the target skills of studies were numbers and operations. Fifth, Most of the intervention of studies were self-instruction training and touchmath program. Sixth, The results of studies indicated a moderate and large positive effects for interventions. Lastly, Most of the studies have met more than 80% of quality indicators.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