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수체의 기본단수계 생성 알고리즘과 H/W 구현에 관한 연구

        김용태(Yong Tae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6

        수체의 단수와 기본단수계는 RSA 암호계에서는 400자리 이상의 큰 수가 소수인지를 판별하는 소수판정법과 그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데에 사용되는 다양한 수체선별법에 사용되며, 복소이차체를 기반으로 하는 암호계에서는 이데알의 곱셈과정과 류수(class number)를 계산하는 과정 등 다양한 암호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단수계를 이용하는 암호계의 구현시간과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수체의 기본단수계의 존재성을 증명한 Dirichlet의 정리와 몇 가지 기본단수계의 성질을 중심으로 우리가 제안하는 기본단수계의 생성 과정을 소개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기본단수계의 H/W 구현의 시간과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본단수계의 생성알고리즘과 그 알고리즘을 H/W 상에서 구현한 결과를 제시한다. The unit and fundamental units of number fields are important to number field sieves testing primality of more than 400 digits integers and number field seive factoring the number in RSA cryptosystem, and multiplication of ideals and counting class number of the number field in imaginary quadratic cryptosystem. To minimize the time and space in H/W implementation of cryptosystems using fundamental uni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irichlet’s unit Theorem and propose our process of generating the fundamental units of the number field. And then we present the algorithm generating our fundamental units of the number field to minimize the time and space in H/W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results using the algorithm over the number field..

      • KCI등재

        단수가격 앞자리수가 가격할인지각에 미치는 효과:인지적 접근성에 따른 범주화 현상을 중심으로

        김재휘,경사로다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6 No.1

        ‘Odd pricing’ is a frequently utilized method for influencing consumer decision making. It makes the consumers feel that the merchandise is on sale with reduced prices. Because Odd pricing is used so much, consumers usually have to choose between several different odd pric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son of odd prices.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odd prices that end similarly (such as with -90 or -900) can be assumed to result from the difference of the first digits. In price information processing, consumers are known to focus more on first digits rather than latter digits. We speculated that as the first digits to be processed are in effect a reference point, these first digits would lead to differences in price perception. Because of the limited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consumers recode numerical information (including prices) into more manageable numbers of category. Since multiples of 10 or 5 have high cognitive accessibility in the decimal system, internal categories of numbers tend to be based on multiples of 5 or 10. Once categories are formed, the perceived distance between items of different categories is exaggerated. Our hypothesis is that when the first digits of price have higher cognitive accessibility, they are located along category boundaries, therefore having increased perceived distance from other categories. This would lead to greater price discount perception. To test our hypothesis, in Study 1 we examine price discount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odd prices with either high or low cognitive accessibility of the first digits. In Study 2, to attain more direct evidence of these effects of subjective categorization, we manipulate categorization, and examine how categorization and cognitive accessibility of the first digits of odd-price affects price discount perception. The results show that when cognitive accessibility of the first digits is high, people perceive greater price discount. Moreover since this effect is based on consumers’ subjective categorization, it can be moderated by other temporarily prevalent categorization schemes. These results propose an effective odd pricing method. 단수가격은 소비자들에게 할인된 느낌을 제공하기에 흔히 사용되는 가격책정방식으로, 오늘날에는 단수가격만으로 이루어진 제품 선택 상황 역시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수가격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할인 지각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 90, - 900과 같이 유사한 형태로 끝나는 단수가격들 사이에서 할인 지각의 차이는 앞자리 값의 차이와 관련이 있으며, 소비자가 가격 정보 처리에서 앞자리 값에 주목하는 경향은 준거점의 차이처럼 단수가격들 사이에서의 차이를 유발할 것이라 보았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들은 정보처리의 효율성 탓에 가격과 같은 숫자정보를 묶음 지어 해석하며, 특히 십진법 체계에 있어서는 10의 배수나 그 절반인 5에 대한 인지적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이 숫자를 경계로 하는 내적인 범주가 형성되어 있다. 범주가 형성되면 그룹 밖 항목과의 지각된 거리가 과장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범주의 경계가 되는 인지적 접근성이 높은 수가 가격의 앞자리에 올 때, 낮은 수일 때보다 지각된 거리가 과장되고, 따라서 할인지각이 크게 나타날 것을 예상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1에서는 단수가격 앞자리 수의 인지적 접근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할인지각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할인 지각의 차이가 내적 범주의 영향력이라는 것을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단수가격 앞자리 수의 인지적 접근성(고/저) x 범주억제여부(억제/비억제)의 설계로 할인 지각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들은 단수가격의 앞자리 수의 인지적 접근성이 높을 때 더 큰 할인 지각을 가지며, 이 차이는 내적으로 형성된 범주의 영향으로, 상황적으로 두드러지는 경쟁적인 범주방식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숫자정보처리방식이 소비자의 가격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실무적으로 효과적인 단수가격 책정 전략을 제안한다.

      • KCI등재

        단수가격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고찰: "Magnitude"의 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철 ( Jong Chul Park ),이은영 ( Eun Young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단수가격과 관련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상황을 고려한 단수가격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와 다르게 ‘제품 가격대에 대한 크기’와 ‘번들에 대한 크기’에 따라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단수가격의 효과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네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먼저,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라운드 가격보다는 단수가격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 1>과 <실험 2>의 상호작용 결과에 의하면, 단수가격의 효과는 가격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단수가격의 경우 천원대 제품보다 만원대 제품에서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 3>과 <실험 4>의 결과에 의하면, 단수가격의 효과는 제품의 번들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번들의 크기가 커질수록 단수가격으로 제시된 제품을 더 저렴하다고 지각하였으며(<실험 3>), 구매의도 또한 더 높게 지각하였다 (<실험 4>). Most of the research in odd prices were about prices in dollar amou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odd price on purchase intentions in domestic situations(won amount, □). Odd price is defined as a little amount smaller than round price(ex. $5 → $4.99) and is also referred as ‘nine-ending price``. In this research, for example, we regard odd price as □990 for □1,000 round price and □9,900 for □10,000 round price. Numerous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dd price on price recall, price perception, purchase intentions, etc. Most of them revealed that odd prices have positive effect on marketing related dependent variables. Specifically odd price does have an impact on sales increase according to perceiving or remembering of left most digits or regarding those odd prices as sale price. Some have suggested that product category or exposure of information(sales cue) play a moderating role on odd price effect. Another stream of research suggests several psychological mechanisms supporting the effect of odd prices. First, odd prices draw attention of the illusion that the price might be cheap. Second, odd price delivers the signal that the price is sale price or the price might be lower than usual. Third, drop-off effect is occurred because consumers might just ignore or round down the right most digits of odd price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we postulate that the price level(magnitude) and bundle size (magnitude) play an essential moder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odd price and purchase intentions. We conducted four studies to support our hypothesis. First, study 1 & 2 revealed that as price level increases, consumers tend to evaluate in a more positive manner to the product with odd price than with round or even price. But these positive effects were weakened when the price level was low. In study 3, though we hypothesized moderating role of bundle size on odd price effect, we found no interaction of odd price and bundle size. But we found interaction of odd price and bundle size in study 4.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effect of odd pric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ndle(marginally sig.).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 product with odd price lower when the size of the bundle grew larger. We may draw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heoretically, we developed a step further in research in odd price and its related studies. Also,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we proposed a new moderating variable such as price level and bundle size into odd price research. Empirically, we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firms about their pricing strategy. Specifically, firms can apply their nine-ending price strateg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price level. We provide evidence that it is not effective to apply odd price strategy to every level of prices of their product or services. Also, it is effective to apply odd pricing strategy to new product when its pronouncing is not in close future. For bundled product, it is better to present in larger bundle size in odd price each (total price: □9,900 > unit price: □990Ⅹ10EA) since customers would perceive its price as low.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고추 단수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패널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중심으로

        이승인(Lee, Seung-In),조용빈(Cho, Yongbeen),이혜진(Lee, Hye Jin)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건고추를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건고추 단수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요인과 생산비 요인을 분석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건고추 단수에 대한 기상 요인과 건고추 농약비의 논리적이고 명확한 인과관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 9개 지역의 건고추 단수와 지역별 기상 요인(강수량, 일조시간합, 평균기온, 평균상대습도), 건고추 생산비 요인(비료비, 농약비, 노동비)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통계분석과 패널회귀모형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위하여 STATA 14.0과 AMOS 18.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ausman 검정 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채택되었다.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상 요인으로는 3월 강수량(+), 4월 일조시간합(+), 5월 강수량(+), 6월 평균기온(-), 7월 평균상대습도(-), 8월 일조시간합(+), 9월 평균기온(+)이 건고추 단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비 요인으로는 농약비(+), 노동비(+)가 건고추 단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분석 결과, 4월 일조시간합(-), 5월 강수량(-), 6월 평균기온(+), 7월 평균상대습도(+), 8월 일조시간합(-) 등 기상 요인이 건고추 농약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건고추 관련 농약비는 건고추 단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월 일조시간합은 건고추 단수와 정적인(+) 관계가, 7월 평균상대습도는 건고추 단수와 부적인(-)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and production cost on the red pepper yields in Korea, with employing a panel regression analysis and to analyz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agricultural medicines cost on red pepper yield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anel data from 1991 to 2018 were gathered to conduct this study. More specifically we used the panel data of the regional meteorological factors by month (cumulative precipitation,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verage relative humidity, average temperature), the red pepper production cost factors (the cost of fertilizer, agricultural medicines cost, labor cost), and red pepper yields of the nine regions in the Korea. This study used STATA 14.0 and AMOS 18.0 for descriptive analysis, panel regression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xed effect model was chosen by the Hausman test. The results using a fixed effect model confirm that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March, +),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pril, +),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May, +), the average temperature (June, -),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July, -),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ugust, +), the average temperature (September, +) and the agricultural medicines cost (+), and labor cost (+) were chosen among the variables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model.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pril, -),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May, -), the average temperature (June, +),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July, +), and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ugust, -)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gricultural medicines cost. Also, the agricultural medicines cost (+)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d pepper yields, and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pril, +) and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July, -)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d pepper yields. At the end of the pape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三國遺事』 所載 단군 神話의 原典에 關한 한 가지 疑問

        이종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Two representative literatures that record Dangun Myth are Samgukyusa by Ilyeon(一然) and Jewangungi(帝王韻紀) by Lee Seung-hyu(李承休). However, comparison of the two books shows slight difference not only in contents but also in notation. In brief, Dangun(壇君), Sindansu(神壇樹), Dansusin(壇樹神) in Samgukyusa are recorded as Dangun(檀君, Sindansu(神檀樹), Dansusin(檀樹神). The difference may look to be insignificant but it can be profound in meaning enough to change the interpretation of the myth. By the way, what is truly strange is that the oldest one among available versions of Samgukyusa, which was published in 1512, used 壇君 to refer to Dangun while a large number of various types of literatures published before the version all used 檀君. What is more striking is that not a few literatures that seem to quote directly from Samgukyusa also use 檀君 without exception. These facts are enough to incur doubt if 壇君 in Samgukyusa is a misspelling of 檀君. Thus, study on Dangun Myth must start again from the task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壇君 in Samgukyusa is a misspelling of 檀君. 단군신화가 수록된 대표적인 문헌으로는 一然의 ꡔ三國遺事ꡕ와 李承休의 ꡔ帝王韻紀ꡕ가 있다. 그런데 이 두 문헌을 비교해보면 전체적인 내용은 물론이고 表記上에 있어서도 약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요컨대 ꡔ삼국유사ꡕ의 ‘壇君’(‘神壇樹’, ‘壇樹神’)이 ꡔ제왕운기ꡕ에는 ‘檀君’(‘神檀樹’, ‘檀樹神’)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이는 얼핏보면 사소한 차이에 불과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군 신화해석을 크게 달리하지 않을 수 없는 의미심장한 차이일 수도 있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 것은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ꡔ삼국유사ꡕ, 그러니까 단군이 ‘壇君’으로 표기되어 있는 壬申本(1512년 간행) ꡔ삼국유사ꡕ가 간행되기 이전까지 각종 문헌에 무수하게 나오는 단군이 모두 ‘檀君’으로 표기되어 있다는 점이다. 더구나 놀랍게도 ꡔ삼국유사ꡕ를 직접 인용한 것으로 보이는 결코 적지 않은 문헌들에서도 단 한번의 예외조차도 없이 모두 ‘檀君’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것은 결국 오늘날 우리가 보고 있는 ꡔ삼국유사ꡕ의 ‘壇君’이 ‘檀君’의 오기가 아닐까 하는 의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아무런 부족함이 없는 것 같다. 그러므로 단군신화에 대한 연구는 이제 ꡔ삼국유사ꡕ의 ‘壇君’이 ‘檀君’의 오기가 아닌지의 여부를 진지하게 확인하는 작업에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할 것이다.

      • 단전, 단수조치와 업무방해죄의 성립 여부

        서보학 대한변호사협회 200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58

        임대차관계에서 임대인이 우월한 지위를 이용하여 일방적으로 행한 단전․단수조치는 그 목적이나 동기의 정당성, 수단이나 방법의 상당성을 인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기와 물이 현대인의 삶에서 일상생활 또는 영업활동의 필수적인 조건인 점을 감안할 때 법익균형성을 인정하기 어렵고, 다른 법적 절차를 통해 권리구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긴급성이나 보충성의 관점에서도 정당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임대차관계에서 임대인에 의한 단전․단수조치는 그의 우월한 지위나 권세를 이용하여 임차인의 업무를 방해하는 위력의 행사로 볼 수 있다. 반면 공동주택의 경우 관리단이 전기․수돗물공급업자와 위 수탁계약을 맺고 전기․수돗물의 공급 관리 및 요금징수를 대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전․단수업무까지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어 관리규약에 기초해 전기료․수도료의 미납을 이유로 하는 단전․단수조치 그리고 공동관리의 필수경비인 관리비의 징수를 목적으로 하는 단전․단수조치를 취할 수는 있지만, 그 밖의 다른 관리상의 목적을 이유로 하는 단전․단수조치에 대한 규정은 허용될 수 없다. 한편 공동주택 이외의 집합건물이나 상가에서도전기료․수도료 및 관리비 연체의 경우 단전․단수를 취할 수 있다는 내용의 자치규약을 둘 수 있고 이에 기초한 행위 역시 적법한 행위로서 업무방해죄를 구성하지 않는다.

      • KCI등재

        단수구역 해석을 이용한 상수관망시스템 내 최적 밸브위치 결정

        임갑율,강두선 한국수자원학회 201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2 No.4

        If pipes are damaged in a water distribution network (WDN), adjacent valves are closed to isolate the pipes for repair. Due to the closed valves, parts of WDN are isolated from water supply sources. The isolated area is divided into Intended Isolation Area (IIA) and Unintended Isolation Area (UIA). The IIA occurs by intention to isolate the damaged pipe, while UIA is unintentionally disconnected from the sources due to IIA. Thus, the extension of isolated area and suspended flows are mainly affected by number and location of installed valves in WDN. In this study, optimization models were developed to determine optimal valve locations in WDN. In a single-objective model, total water supply suspension is minimized, while a multi-objective model intends to simultaneously minimize the suspended flow and valve installation cost. Optimal valve placement results obtained from both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 sample application network. 상수관망시스템 내 관로가 파손될 경우, 수리를 위해 파손 관로와 인접한 밸브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밸브 차폐로 인해 관망의 일부분이 고립되어 용수공급이 차단되는 단수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단수구역은 파손 관을 포함한 직접고립지역과 직접고립지역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수원으로부터 물 공급이 차단되는 간접고립지역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관 파손에 의한 단수구역 및 단수용량은 시스템 내 설치된 밸브의 개수와 위치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시스템 내 최적의 밸브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예시 관망을 대상으로 단수용량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설정한 단목적 최적화와 단수용량과 밸브 설치비용을 동시에 최소화하는 다목적 최적화를 각각 수행하였으며, 두 가지 모형을 통해 도출된 최적 밸브설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KCI등재

        단수가격의 효과

        조윤희(Jo, Yunhee),이원제(Lee, Won Jae),이성근(Yi, Seong Keun)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3

        단수가격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미국의 화폐 단위는 달러($)와 센트(¢), 두 가지로 표시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원(\) 단위가 유일하며, 1원 단위는 일반적인 현금 거래에서 통용되지 않는 화폐단위이다. 이처럼 기본적인 화폐 단위에 대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미국의 단수가격의 효과에 관한 실험 결과를 우리나라의 가격 연구에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 또한 단수가격의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관여도가 낮은 저가격 제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저가격 제품일 때 소비자의 가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지에 관한 연구와, 저가격 제품과 비교해 고가격 제품에서 단수가격을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달라지는지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저가격 제품에서는 선행 연구에서처럼 단수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정수 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보다 긍정적이었지만, 고가격 제품에서는 단수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정수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보다 부정적으로 나타남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브랜드 인지도와 소비자의 가격에 대한 태도는 서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Odd-price effect has been mainly applied to the goods with lower level price because consumers do not process the price information elaborately in the low involvement situation. Additionally as consumers have a tendency to process the price information from the left to the right digit, they perceive the goods with odd-price as much cheaper. The meaning of odd-price has some difference between U.S. and Korea. Usually odd-price in U.S. means 9-ending price. In Korea, odd-price should not be 9-ending price because unit "won" in price is perceived as a very small amount, the price strategy with 9-ending can not used. Thus, the odd-price should be the price ending at least 10 won. For that reason we can't apply the same concept used in U.S. to the Korean marke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 was concerned that odd-price policy still had an effect on the consumer attitude in Korean currency and that it could be applied to the good sith high level price. Additionally I checked how the brand moderates the effect of odd-price because brand could give some trust for the justification of the strategy.

      • KCI등재

        가격할인 상황에서 단수가격의 효과

        이은평, 박유식, 이종학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18 기술경영 Vol.3 No.4

        이 연구는 가격할인 상황에서 단수가격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할인 전 가격(정규가격)과 할인가격이 라운드가격(Round pricing, R) 또는 단수가격(Odd pricing, O)으로 책정하였을 때 소비자들의 반응차이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 다. 단수가격전략과 준거가격광고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 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할인지각에 대한 분석결과 정규가격이 라운드가격(R)이고 할인가격이 단수가격 (O)일 때 가장 많이 할인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둘째, 소비자들은 정규가격과 할인가 격이 모두 라운드가격(RR)일때 단수가격(OO)의 가격전략보다 유의하게 품질을 높게 평가하였다. 셋째, 구매의도에 대한 분석결과 ‘RR’, ‘RO’, ‘OR’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세 유형 모두 ‘OO’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 정규가격과 할 인가격을 모두 표시하는 가격할인에서 정규가격과 할인가격을 모두 단수가격으로 표 시하는 ‘OO’전략은 할인지각, 품질지각, 구매의도 모두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다.

      • KCI등재

        『註解 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朴秉喆(Park Byeong-cherl)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本稿는 『註解 千字文』에 單數字釋만을 보여주는 항목을 연구 대상으로 심었다. 이들 單數字釋과 『石峰 千字文』의 훈을 比較, 檢討하여 『註解 千字文』의 字釋이 지닌 특징을 탐구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註解 千字文』에는 1000자의 한자 중 418자에 單數字釋이 달려 있으며 『石峰 千字文』의 새김과 형태론적 관점에서 同一語로 볼 수 있는 것은 345개다. 이들 항목에 보이는 새김은 대부분 文脈之釋이면서 동시에 常用之釋이다. 『石峰 千字文』과 『註解 千字文』의 새김이 同一語가 아닌 항목은 72개인데 類義關係에 있는 것이 54항목이며 그렇지 않은 것이 18항목이다. 類義關係에 있는 항목들은 『石峰 千字文』의 訓에 비해 『註解 千字文』의 字釋이 표제한자의 意味를 보다 정밀하고 具體的으로 표현할 수 있는 語彙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石峰 千字文』과 『註解 千字文』의 새김이 類義語가 아닌 항목들을 통하여 文脈之釋을 반영한 『註解 千字文』의 편찬 태도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studies the list of the Simple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單數字釋) in Juhae Cheonjamun[註解 千字文].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 based on its actual meaning(字釋) in Juhae Cheonjamun[註解 千字文] is analyzed by comparing this list with Conventional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Seokbong Cheonjamun[石峰 千字文]. Among 1000 Chinese characters in Juhae Cheonjamun[註解 千字文], 418 characters have its Simple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單數字釋) of which 345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Saegim) can be regarded as synonyms in morphological terms with those of Seokbong Cheonjamun[石峰 千字文]. These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Saegim) mostly are the contextual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文脈之釋) and commonly used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常用之釋) simultaneously. Among 72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Saegim) which are not synonyms, 54 can be regarded to have synonymy.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 based on its actual meaning(字釋) in Juhae Cheonjamun[註解 千字文] is organized in more accurate and concrete lexicons compared to Conventional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Hun) in Seokbong Cheonjamun[石峰 千字文]. In this, it is distinctively recognized that the editors of Juhae Cheonjamun[註解 千字文] utilized and reflected contextual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文脈之釋) in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