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운증후군 환자의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

        김선미,양규호,최남기,오종석,강미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4

        다운증후군 환자는 치주질환의 진행이 빠르고 치주조직의 파괴가 심하다. 다운증후군 환자의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을 알아보고자 7~19세 다운증후군 환자 27명과 대조군으로 나이가 비슷한 정신지체자 27명을 대상으로 치태지수와 치은염 정도를 나타내는 치은지수를 측정하고 치은연하 치태에 존재하는 P. gingivalis, T. forsythia, T. denticola, F. nucleatum, A. actinomycetemcomitans균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 검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다운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의 치태지수와 치은지수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2.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F. nucleatum의 출현율이 96.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T. forsythia 74.1%, P. gingivalis는 63.0%였으며 A. actinomycetemcomitans는 55.6%, T. denticola는 40.7%로 출현하였다. 정신지체자는 다운증후군 환자와 비슷한 순서로 치주질환 원인균이 출현하였다. 다운증후군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T. denticola를 제외한 4종의 균에서 놓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치주질환 원인균 출현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3. 연령에 따른 연구에서 7~10세군에서 다운증후군환자의 P. gingivalis는 16.7%로 낮은 출현율을 보였으나 연령의 증가에 따라 출현율이 평균 63.0%로 높아졌다. 반면 A. actinomycetemcomitans균은 7~10세군부터 83.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5). 같은 연령대에서 다운증후군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A. actinomycetemcomitans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P. gingivalis, T. forsythia, T. denticola가 함께 나타난 경우는 다운증후군 환자와 대조군 모두 33%를 나타내었다. red complex에 A. actinomycetemcomitans까지가 나타난 경우는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22%, 대조군에서 14%로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운증후군 환자군과 정신지체자 대조군 모두에서 치주질환 원인균이 어린 시기부터 매우 높게 출현하였으나 전체적인 두 군간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질환 원인균 출현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A. actinomycetem comitans균은 7~10세군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It is widely known that individuals with Down's syndrome(DS) often develop early onset severe periodontal diseas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periodontopathic bacteria in DS patients to compare controls with mental disabilities(MD). The subjects were 27 DS patients (7 to 19 years old) and 27 age-matched controls with MD.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were measured. And 5 pathogen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Fusobacterium nucleatum, were surveyed in subgingival plaque sample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were observed between the DS and control group. The prevalence in DS was 96.3% for F. nucleatum, 74.1% for T. forsythia, 63.0% for P. gingivalis, 55.6% for A. actinomycetemcomitans, 40.7% for T. denticola.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revalence of periodontopathic bacterias between the DS and control. Prevalence of P.g(16.7) at age 7~10 is lower than other age group in DS, but its prevalence increased with age. Prevalence of A.a(83.3%) is peak at age 7~10 in 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periodontopathic pathogens can colo nize in the very early childhood of DS and MD patient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revalence of periodontopathic bacterias between the DS and control.

      • 시각단서에 따른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패턴 변화

        변준호,김기홍 용인대학교 2011 특수체육연구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walking patterns of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and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visual cues on changes of walking pattern of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The subjects were one child with Down syndrome of Trisomy and fiv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efore the experiment, seven real-time infrared rays cameras (Vicon I.R., Strobe & Pus, MX13) were established in front, rear,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During walking by children, five movements appropriate were chosen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To calculat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ll data, Vicon System’s Polygon was used. The results from this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walking speed per minute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was slower than that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econd, stride length of child with Down syndrome and stride length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creased in normal walking and in red lighted condition and decreased in line walking condition. Third, the change of walking speed of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showed bigger differences than that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Fourth, flexion-extension angle of hip joint of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showed similar changes comapring to those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over the progress of normal, red, and line walking. Fifth, the average of changes in flexion-extension angle of hip joint of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showed decrease in angles than those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all events over the progress of normal, red, and line walking conditions. Sixth, the average of angle changes in ankle joint of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showed decreasing differences comparing that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over the progress of normal, red, and line walking. In the case of line walking, the closest result to range of motion exercise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as shown. 본 연구는 시각단서에 따라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아동의 보행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시각단서가 다운증후군 아동 보행 패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삼염색체 다운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아동 1명과 일반 아동 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 운동학적 변인분석을 위하여 전, 후, 좌, 우, 대각선 방향으로 리얼타임 적외선 카메라(Vicon I.R., Strobe & Pus, MX13) 7대를 설치하였다. 실험 실시 전, 연구대상들에게 동작수행에 적합한 타이즈로 환복 하도록 하였으며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응기를 거친 뒤 전신에 39개의 반사마커를 부착한 후, 전·후 6m의 보행주로를 시각과제 유형에 따라 각각 10회 씩 걷도록 하였다. 시각단서에 따른 다운 증후군 아동과 일반아동들의 보행 중 실험 목적에 적합한 총 5회의 동작을 선별하여 보행 패턴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이 때, 모든 데이터의 산출 및 평균과 표준편차는 Vicon System의 Polygon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운증후군 아동의 분당 걸음속도는 일반아동의 분당 걸음속도에 비해 느리다. 둘째, 다운증후군 아동의 활보장과 일반아동의 활보장 모두 Normal 보행과 Red 보행 시 커졌다가 Line 보행 시에는 다시 줄어든다. 셋째,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 속도 변화는 일반 아동의 보행속도 변화 보다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넷째, 다운증후군 아동에 엉덩관절의 굴곡·신전각도는 Normal, Red, Line 으로 진행되어감에 따라 일반 아동집단에 엉덩관절의 굴곡·신전각도 변화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다섯째, 다운증후군 아동의 무릎관절에 굴곡·신전각도 변화의 평균은 Normal, Red, Line 으로 진행되어감에 따라 모든 이벤트에서 일반아동집단과의 각도 차이가 줄어든다. 여섯째, 다운증후군 아동의 발목관절에 각도 변화의 평균은 Normal, Red, Line 으로 진행되어감에 따라 모든 이벤트에서 일반아동집단과의 각도 차이가 줄어들며, Line 보행 시 일반아동집단의 관절가동범위에 가장 가까운 결과가 나타난다.

      • KCI등재

        다운증후군 아동의 평지 보행과 장애물 보행의 운동학 및 지면반력의 차이 규명

        임비오 ( Bee Oh L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4

        장애물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장애물을 넘은 후 자세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넘어지는 것은 위험한데, 지금까지 다운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장애물 보행에 관한 연구는 보고 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운증후군 아동의 평지 보행과 장애물 보행 시 나타나는 운동학 및 지면반력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운증후군 아동 1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지만, 장애물 보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7명의 자료만 분석하였다. 10.0×1.3m 크기의 보행로를 제작하였으며, 보행로의 5m 지점에 높이 0(H0, 평지보행), 2.5(H1), 5.2(H2), 15.2cm(H3)의 장애물을 설치하였다. 장애물을 넘은 오른발이 착지하는 지점에 지면반력기 1대를 보행로에 설치하였다. 보행로를 기준으로 총 6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장애물 보행 동작을 촬영하였다. 4가지 장애물 높이에서 얻은 운동학적 변인과 운동역학적(지면반력)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운증후군 아동은 각 장애물별로 접근 속도와 넘는 속도가 일정하고, 발과 장애물과의 수직거리, 장애물을 넘기 전 왼발 앞꿈치와 장애물과의 수평거리, 장애물과 장애물을 넘은 오른발 뒤꿈치와의 수평거리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특성이 다운증후군 아동이 장애물을 넘는 일반적인 전략이다. 다운증후군 아동은 장애물 높이가 높아질수록 무릎을 더 많이 굽혀서 장애물을 넘었으며, 장애물 높이 5.2cm와 15.2cm에서 대퇴를 외전 시키면서 장애물을 넘었다. 다운증후군 아동이 장애물을 넘을 때 나타나는 지면반력의 패턴은 높이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장애물을 넘을 때, 장애물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충격량을 증가시키는데, 충격량의 증가는 평균충격력보다 지지시간의 증가를 통하여 증가시켰다. 다운증후군 아동의 장애물 보행을 평지 보행과 비교해 볼 때 장애물로부터 장애물 넘는 발 사이의 수직거리, 장애물로부터 발뒤꿈치 사이의 거리, 활보장에 대한 장애물로부터 발앞꿈치 사이의 거리 비율, 활보장에 대한 장애물로부터 발뒤꿈치 사이의 거리 비율, 무릎 각도, 엉덩 내·외전 각도, 엉덩관절 운동범위, 무릎 관절 운동범위, 충격량, 지지시간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다운증후군 아동의 장애물 보행은 평지 보행과 다른 특성을 보였다. Falls associated with tripping over an obstacle can be dangerous, yet little is known about the strategies used for stepping over obstacles by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epping over ga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bstacle height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e gait of 13 children with Down syndrome was examined during a 5.0 m approach to, and while stepping over, obstacles of 0, 2.5, 5.2, and 15.2 cm. Only seven children were able to clear all obstacles successfully; as such, only their data were analyzed. A one-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 was employed for selected kinematic and ground reaction force variable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height of four obstacles.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bstacle height and: approach speed (AS), crossing speed (CS), foot clearance (FC), toe distance (TD), and heel distance (HD). This strategy tends to reduce the risk of toe contact with the obstacle. As obstacle height increased, foot strike impulse following obstacle clearance increased; this was a result of increased support time and was not attributed to greater ground reaction forces. The patterns of ground reaction force showed very differently. The difference between level walking and stepping over gait are FC, HD, TD ratio, HD ratio, KA, HAA, HROM, KROM, IWP, and Stance Time. In conclusion, stepping over gait characteristics differ from the level walking.

      • KCI등재

        역동적 평가를 통한 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 연구

        구지혜(Ji-Hye Ku),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동적 평가를 통해 어휘 연령 4∼6세에 해당하는 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을 어휘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경기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어휘연령이 4∼6세에 해당하는다운증후군 아동 15명과 어휘 연령을 일치시킨 서울․경기지역의 15명의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역동적 이야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역동적 이야기 평가는 1차 평가, 단기학습 3회기, 2차평가로 구성되었으며 평가는 구문복잡성(이야기단위(communication unit: C-unit) 당 평균낱말 길이), 이야기요소 점수, 일화구조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1차 평가와 2차 평가 결과 차이를 통해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을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첫째,어휘 연령을 일치시킨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의 1차 평가 비교 결과, 두 집단 간 이야기 단위 당 평균 낱말 길이(mean length of communication for word: MLC-w, 이하 MLC-w),이야기요소, 일화구조에 있어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다운증후군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이야기 표현 능력을 나타냈다. 둘째, 단기학습 3회기 후에 이루어진 2차평가와 1차 평가 비교 결과, 다운증후군 아동은 MLC-w에 있어서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야기요소와 일화구조 표현능력에 있어서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셋째,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학습 잠재력을 비교한 결과, 이야기요소 학습 잠재력에 있어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MLC-w와 일화구조 학습 잠재력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표현능력이 어휘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에 비해 떨어지지만 이야기 구조 학습 잠재력에 있어 일반 아동과유사한 잠재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역동적 평가 결과는 추후 다운증후군 아동의이야기 능력 평가와 중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otential for narrative learning using dynamic assessment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Methods: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15 school-age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whose linguistic ages (LA) were between 4 and 6 years. We also included 15 normal children with linguistic abilities equal to those of the Down children. The dynamic assessment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first evaluation, which included three sessions of short-term learning through MLE (mediated learning experience), and also a second evaluation. Results: First, children with Down Syndrome showed significantly lower abilities in syntactic complexity using MLC-w, story components and episode structure than did normal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narrative learning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e potential for syntactic learning did not show meaningful results, while story components and episode structure did. Third, when the narrative learning potentials for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normal children were compared, potential for syntactic learning using MLC-w and episode structur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the potential for story components learning did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Discussion & Conclusion: Although children with Down Syndrome lack narrative expression abilitie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our study found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for narrative learning. Our results provided an important reference for evaluating the narrative abilitie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suggest possible future interventions for these children

      • KCI등재

        GAITRite 보행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특성 분석

        최범권 ( Bum Kwon Choi ),김미영 ( Mi Young Kim ),임비오 ( Bee Oh L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GAITRite 보행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만8세~10세의 다운증후군 아동 18명(실험집단)과 이와 연령대가 동일한 비장애아동 18명(대조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다운증후군 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시-공간적인 보행변인 및 발의 압력분포 변인들 상호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운증후군 아동은 비장애아동과 비교하여 시간적 변인인 속도(velocity), 표준화된 보행속도(normalized velocity) 및 스윙 시간(swing time)에서 더 느리게 나타났다. 둘째, 다운증후군 아동은 비장애아동에 비해 공간적 보행변인 중 보폭(step length), 활보장(stride length), 보폭을 다리 길이로 나눈 비율(step/extremity ratio) 등은 짧게 나타났고, 보간(step width) 및 보각(toe out angle)은 더 넓게 나타났다. 셋째, 다운증후군 아동은 비장애아동에 비해 내측(medial footptint) 중앙 8, 9, 10구역(trapezoids)에서 최대압력이 나타난 시간(peak time)이 더 늦게 나타났다. 또한, 발의활성지역(active area)에서 후족(hind-foot)부위의 압력의 양은 적게 나타났으며, 중족(mid-foot)부위의 압력의양은 더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운증후군 아동은 비장애아동과 비교하여 독특한 보행특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ait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using the GaitRite System. Eighteen subjects(age: 8-10 years) with Down Syndrome(experimental group) and age matched normal children(control group) were recruited. Independent t-test was applied to compare the gait variabl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velocity, normalized velocity, step length, stride length, step/extremity ratio and swing tim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teps width and toe out angl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midfoot(8, 9 and 10 trapezoids) in the peak time and at hindfoot in active are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midfoot in P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showed abnormal gai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 KCI등재

        다운증후군 자녀 얼굴수술 실태 및 수술의향을 통한 부모의 인식조사

        김요섭 ( Kim¸ Yo-seob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다운증후군 자녀가 얼굴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부모들을 통해 얼굴수술 실태 및 이유와 수술효과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지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다운증후군 자녀가 얼굴수술을 받은 적이 없는 부모들을 통해 얼굴수술을 시킬 의향이 있는지의 여부와 각각에 대한 이유는 무엇인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서 다운증후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자녀가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가 17.5%, 수술을 시킬 의향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각각 34.9%, 47.6%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얼굴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자녀의 수술실태의 경우 수술 당시 나이는 4세에서 11세였고, 수술부위는 사시교정을 비롯하여 6군데였다. 수술이유는 시력, 언어, 섭식, 학습 등의 기능발달 및 건강 향상을 위한 측면과 용모의 변화를 통한 사회적 수용증진을 포함하는 사회·심리적 측면의 혜택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결과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만족스러우며 다른 부모에게 권유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얼굴수술을 시킬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부모들은 수술시기로 절반 정도가 아동기를 원했으며, 수술부위는 코 세우기를 포함하여 모두 11군데였고, 수술을 시키고자 하는 이유는 앞서 살펴본 자녀가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부모들이 수술을 시킨 이유와 유사하였다. 셋째, 얼굴수술을 시킬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부모들이 밝힌 주요 이유는 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를 원하므로, 수술 고려의 이유가 부모의 마음이 편해지기 위해서라고 생각되므로, 수술 후 다운인의 특징이 감소되거나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므로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운증후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에게 얼굴수술을 선호하는 견해와 그렇지 않은 견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 의료적 중재로서의 얼굴수술 활용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wofold; First one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reasons and effects of facial plastic surgery for a child with Down syndrome via parents whose children experienced the surgery. Second one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y had intention of the surgery, and the reasons why they had or had not, via parents whose children did not experience the surger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ty-three parents with a child having Down syndrome, and parent survey was used to gather data. Among sixty-three parents, 17.5% had child who experienced the surgery, 34.9% had intention of the surgery, and 47.6% had no intention of the surgery. The main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urgery, the age ranged was 4 to 11 year old, and the part of surgery was six including squint eye correction. The major reasons for the surgery was to improve child’s physical functioning and health and socio-psychological benefits including social acceptance by the change of appearance. The par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urgery results and wanted to recommend to other parents. Second, parents who had intention of the surgery for their child responded that the hoping time of the surgery was childhood, the part of the surgery was 11 parts including augmentation rhinoplasty, and the reasons why they had intention of the surgery were similar to those parents who had their child undergo the surgery. Third, the major reasons from parents who had no intention of the surgery for their child were because they hope the society accepts their child as he or she is, they consider the surgery for their own comfort rather than their child, and they do not believe their child’s characteristic caused by Down syndrome will change after surg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about why or why not they choose the plastic surgery as a medical intervention to other parents having a child with Down syndrome.

      • KCI등재

        다운증후군 아동 청소년의 굴절상태, 조절반응 및 시지각발달 상태의 분석

        류동규,전인철,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ision, refractive status, accommodative response and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of childhood and adolescent with Down syndrome group. Methods: Total 70 subjects at the age of 7 to 19 yea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normal group: 35 subjects, Down syndrome group: 35 subjects, respectively). We measured the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 with LogMAR version, objective refraction by using an auto-refractor and Mohindra retinoscopy, the accommodative response at 4D, 6D and 10D accommodative stimuli by dynamic retinoscopy, and evaluated the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with K-DTVP-2(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Results: Compared to normal group, the childhood and adolescent with Down syndrome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p<0.05), but mean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the auto-refractor and the Mohindra retinoscopy wer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astigmatic error and corneal pow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p<0.05), and all accommodative responses at 4D, 6D and 10D accommodative stimul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group(p<0.05). The results of the Korean Development Test of Visual Perception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he Down Syndrome group, the accommodative respons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7 out of the 8 sub-tests of K-DTVP-2 and 3 items of the integrated scale test as well(p<0.05). Conclusion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t the same ages, the childhood and adolescent with Down syndrome showed lower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 and since the deterioration of accommodative response for near objects may ha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There is considered that the measurement of accommodative response is necessary to added at assessment of visual acuity of childhood and adolescent with Down syndrome. 목 적: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동 청소년의 시력, 굴절상태, 조절반응 및 시지각발달 상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7~19세 사이의 70명(다운증후군과 정상인 아동 청소년 각각 35명씩)을 대상으로, 원거리시력과 근거리시력(LogMAR), 자동굴절검사기와 Mohindra 검영법을 이용한 타각식굴절검사, 4D, 6D 및 10D 조절자극 상태에서 동적검영법을 이용한 조절반응검사를 실시하였고,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K-DTVP-2: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를 이용하여 시지각 발달상태를 평가하였다. 결 과: 정상 아동 청소년과 비교하여 다운증후군 대상자는 원거리시력과 근거리시력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자동굴절검사기와 Mohindra 검영법에 의한 굴절상태는 차이가 없었으며, 난시굴절력과 각막곡률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조절자극 4D, 6D 및 10D에서 모두 조절반응이 유의하게 적었다(p<0.05). 시지각발달검사의 하위검사 8가지 항목과 종합척도 3가지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운증후군에서 조절반응과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의 관계는 하위검사 8가지 항목 가운데 7개의 항목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종합척도검사 3개의 항목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5). 결 론: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동 청소년은 동일연령의 정상인과 비교하여 시력이 낮고 근거리 물체에 대한 조절반응의 저하로 인해 시지각발달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동 청소년의 시력검사에서 조절반응검사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일반 아동의 ICF-CY와 삶의 질 연구

        정희경(Jeong Hee Gyeong),정은정(Chung, EunJung),이병희(Lee, Byoung-H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1

        본 연구는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일반 아동의 ICF-CY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Version for Children and Youth)의 기능, 활동과 참여, 삶의 질을 측정하여 세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4~12세의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아동,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ICF-CY 체크리스트, 삶의 질 설문지를 통해 아동의 ICF-CY와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뇌성마비 아동, 다운증후군 아동, 일반 아동 세 그룹 간에 ICF-CY 기능은 비뇨생식기와 생식기능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ICF-CY 활동과 참여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사후 분석에서 이동 항목을 제외하고, 일반 아동, 뇌성마비 아동, 다운 증후군 아동 순으로 높은 활동과 참여를 보였다. 삶의 질은 괴롭힘 항목을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뇌성마비 아동, 다운증후군 아동은 일반 아동 보다 낮은 삶의 질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활동과 참여 및 삶의 질은 세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일반 아동, 뇌성마비아동, 다운증후군 아동 순으로 기능, 활동과 참여 및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cerebral palsy, Down syndrome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or Children and Youth (ICF-CY) Checklist, and KIDSCREEN 52-HRQOL questionnaire were used to measure children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s (except for genitourinary and reproductive function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ICF-C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items. In the post-hoc analysis, showed high activity and participation in order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erebral palsy, Down syndrome children (except for mobility). The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items (except for bully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own syndrome showed lower quality of lif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three groups, and higher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erebral palsy, Down syndrome children.

      •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근력과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및 상관

        한동기,하상민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3 특수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등속성 근력과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및 근력과 평형성 간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삼체성 다운증후군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6주간 근력을 훈련을 실시(하지 근육 강화 훈련 4종목과 복근 및 척추기립근 강화 훈련 2종목, 총 6가지 종목으로 구성하여 주당 3회 10~15RM, 3세트)하였다. 근력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과 훈련 6주 후에 등속성 근련 변인과 평형성 변인을 측정하였다. 등속성 근력은 Cybex 770을 이용하여 운동부하속도 60°/sec와 180°/sec에서 무릎의 굴곡근력과 신전근력, 즉 각근력(최대회전력과 전체 일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평형성 변인은 정적평형성 검사인 스틱 테스트와 동적평형성 검사인 직선보행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다운증후군 대상자의 근력 훈련 전과 후 등속성 근력과 평형성 변인의 결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근력과 평형성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로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등속성 근력 변인은 운동부하속도 180°/sec에서 우측 슬관절 신전 시 최대회전력, 운동부하속도 60°/sec에서 우측 슬관절 신전회전 시 최대회전력 그리고 좌우측 슬관절 신전회전 시 전체 일량을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어, 비교적 짧은 기간인 훈련 6주만에 근력 훈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6주간의 근력 훈련을 통해 정적평형성 검사인 스틱테스트의 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지만, 동적평형성 검사인 직선보행검사의 측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근력 훈련 전과 후에 모두 근력과 정적 평형성이 높은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력과 동적 평형성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근력 훈련 전과 후, 시기 간 근력-정적 평형성 상관계수의 차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 참가한 다운증후군 청소년들은 비교적 짧은 훈련기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등속성 근력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정적평형성 검사인 스틱테스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정적평형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력과 평형성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근력훈련을 하여 향상된 근력은 관절을 안정화시키고, 자세제어 시 하체와 체간부의 근육 반응속도의 향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청소년들이 근력 훈련을 비롯한 다양한 향상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가함으로써 근력 향상과 동시에 평형성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총체적 언어중재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발화에 미치는 효과

        권형지,박선희,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중재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발화 자율성의 증가, 의사소통 의도의 변화, 그리고 전반적 언어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연령이 9.9~13.2세 범위이고, 약물 복용이나 다른 신체적 장애가 없는 다운증후군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언어중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전 - 사후 설계를 적용하였고, 사전 평가 단계, 중재 단계, 사후 평가 단계의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총체적 언어중재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발화에서 발화의 자율성이 증가되었다. 둘째, 총체적 언어중재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발화에서 의사소통 의도가 변화되었다. 셋째, 총체적 언어중재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전반적 언어능력을 증가시켰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총체적 언어중재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whole language intervention in the utteranc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ree boys with Down syndrome, who were in the range of 9.9 years to 13.2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None of subjects showed visual, hearing, emotional, and/or behavioral problems besides Down syndrome. To investigate each subject's language ability, 3 examination tools were administered: The production of voluntary utterances, the variety of conversational intension, and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This study used pre-post treatment desig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whole language intervention improved the subjects' mean of production of voluntary utterances. Secondly, the whole language intervention improved the subjects' mean of variety of conversational intension. Thirdly, the whole language intervention improved mean of the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for all the subjects. As described above, the whole language intervention improved semantic, syntactic, pragmatic ability of language for all the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