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미술교육내용 분석

        최선영,정수진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y extracting art activities which included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the art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Content of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he groups, life theme and artistic experiences.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then detail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e, cooperation, prejudice, identity, equality, and diversity) in the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as shown in the teacher’s guidebook of nuri curriculum, diversity and culture related factors made up a high proportion, and the prejudice and equality did not appear. As a result of analyz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ctivities by life themes according to contents system of artistic experiences,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showed high frequency of expression activities, appreciation and exploration were followed. Among the expressive activities, the frequency of drawing, plane decorating, and stereoscopic decorating activities was remarkably high, and sculpture, dolls and masks, printmaking, dyeing, and origami activities appear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there are various art appreciation activities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activi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loration activities by age, but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showed a lot of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at the age of 4 and 5 years compared to the age of 3.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미술활동 중 다문화 교육목표가 포함된 미술활동을 발췌하여 다문화 미술교육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미술활동 내용을 생활주제별,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범주별로 분석하고, 다문화 미술활동을 탐색, 표현 감상으로 분류하여 세부내용을 분석하였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다문화 미술활동에서 문화, 협력, 편견, 정체성, 평등성, 다양성의 다문화 교육 관련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성과 문화와 관련된 요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편견과 평등성은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생활주제별 다문화 미술교육활동에 대해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체계 별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미술활동은 표현활동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감상, 탐색 순이었다. 표현활동 중 그리기, 평면꾸미기, 입체꾸미기 활동의 빈도가 두드러지게 높았고, 조소, 인형과 가면, 판화, 염색, 종이접기 활동 등이 나타났다. 감상활동은 전통미술 감상의 빈도에 비해 다양한 미술 감상활동이 많이 나타났다. 연령별로 탐색활동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표현과 감상활동은 3세에 비해 4세와 5세에서 다문화 미술활동이 많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볼 때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다문화 관련 미술활동을 계획할 때 다문화 관련 요소를 생활주제에 따라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표현활동뿐만 아니라 탐색활동과 감상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교사들이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올바른 교육방법을 설정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홍은진,이근매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4 임상미술심리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자녀 8명을 대상으로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주 2회 90분씩 총 12회에 걸 쳐 실시하였다.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 자아존중감 검사, 사회성 검사를 t-test로 비교 분석하였으 며, 나무그림 검사, 학교생활화(KSD) 검사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 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 으로 향상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교육 및 임상현장에서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활용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e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ffect of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up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elf-esteem and sociality. Study subjects were 8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in 4th~ 6th grade and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performed two times a week, 90 minutes each - 12 sessions in total. To know effect of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pre- and post- tes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was compared by t-test and change of pre- and post- of Baum test and change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were analys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y. Second,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statistically. Based on above results,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wa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Activity-oriented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 shows a possibility as effective approach in education and clinical field related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인식 향상을 위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수원 S초등학교 2학년 조형놀이활동을 중심으로 -

        홍창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8 No.-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search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art program applied to the art play activity regarding to th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multi-culture which is possible to approach easily by the child level. Nowaday represents the day we must get along with foreigners outside country in the daily life of the contemporary society which is in the same time and the same place.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for the spirit of the generosity and tolerance which is the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and acception of multi-cultural traits turn to be very important issue in the school. In the education field of school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over 15 years since it was applied to school,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t program is the circumstance full of developing and appling them to the education field to the number. However, compare to the number of the study, the reality is not enough for students in school to get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multi-cultural traits. It is caused that the existing study has the limit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s which is in the context of assimilation and of the educational method in fragment, and is not effective to the educational field. In that sense,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reform for the various art program for the all student not only multi-cultural children, on the new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rt activity of playing. This program is also the developing art education program which gets out of the programs existing method which is just boring and in fragment, and it expects that the children could enjoy themselves to the class in the program cheerfully and lively by means of motivating to their clas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아동의 다문화 이해와 인식향상을 위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오늘날 국제화된 우리나라의 현실은 세계인들과 동일한 공간과 시간 속에서 더불어 살아가야하는 시대임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다문화 이해의 바탕이 되는 포용과 관용의 정신을 위한 다문화 교육은 오늘의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우리 교육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은 이미 15년을 넘어서고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역시 어느 정도 갖추어진 상황이다. 하지만 다문화 교육의 양적인 완성도에 비해 실제 현장에서 아동들의 다문화 이해도와 인식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다문화 아동중심의 동화주의적 관점의 다문화 교육이었다는 점에서 단편적인 미술접근 방법론이라는 한계점을 지니고 효율성을 갖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을 포함한 모두를 위한 다문화인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선에 주목하고 조형놀이활동을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기대효과는 기존의 단조롭고 정적인 미술 수업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미술교육프로그램으로 아이들에게 주체적인 판단과 자율적인 문제해결력을 동기화하면서 흥미롭고 다양한 접근 방법을 유도함으로써 미술 수업을 보다 즐겁고 생동감이 넘치는 수업이다. 본 연구의 ‘다문화인식 향상을 위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수원시 S초등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적용하고, 수업에 참여한 아동들의 설문을 통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다양한 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제까지의 다문화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다문화미술프로그램의 선례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현경,전인옥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activity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reativity. Fifty children aged 4 years old form two different daycare centers located in Jeon-ju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fter 16 times of art activitie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reativity of the children, the study started a covarianc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art activitie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ideration, respect and openness of multiculturalism among the sub-areas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art activitie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children's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resistance to tit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are appli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elect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uitabl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rt creativity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두 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유아에게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을 16회 실행한 후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다문화인식 하위 영역 중 다문화에 대한 배려, 수용, 존중, 개방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숲 체험 미술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강영미,신원섭,이상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art therapy using forest experience art activities on the ego-resilience of multicultural teenagers. For these purposes, 24 multicultural teenag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got less than 190 points on the Korean Resilience Tes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mong 41 multicultural teenagers attending five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O 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rounds from April 10 to June 5, 2018. Research showed that both groups that apply forest experience art activities and art groups that did not apply forest experience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terpersonal skills, self-regulating abilities and positiveness of ego-resilience than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orest experience ar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r control group. 본 연구는 숲 체험 미술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을 비교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O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 41명을 대상으로 한국형탄력성 검사에서 190점 이하를 받은 사람으로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는 다문화청소년 24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2018년 4월 10일부터 6월 5일까지 총 8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숲 체험 미술활동을 적용한 집단과 숲 체험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미술활동 집단 모두 통제집단보다 자아탄력성의 대인관계능력,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숲 체험 미술활동 집단이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한부모 다문화가정 아동의 시설적응을 위한 활동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현정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2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부모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시설 적응행동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9세 남자 아동 1명이다. 연구대상에게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주 1회, 회기당 50분, 총 24회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행동관찰법에 의해 미술치료 회기별 언어・행동변화를 질적분석 하였다. 활동중심 미술치료에 따른 시설 적응행동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CBCL을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T점수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매 주 시설 부적응행동 체크리스트를 어머니와 시설 생활지도 교사에게 실시하여 회기별 총점의 변화와 하위영역의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회기별 언어・행동변화에서 초기에 집중하지 못하고 불안정한 모습에서 후기로 갈수록 집중시간이 길어지고 언어적 상호작용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척도에 의한 변화에서는 총 문제행동수준과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준임상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내재화 문제행동은 정상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시설 부적응행동 체크리스트 에서도 각 영역의 부적응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활동중심 미술치료가 한부모 다문화가정 아동의 시설적응에 효과적인 것으로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이 유아의 편견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성숙,박승순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and reveal its effect on young children’s bias and prosocial behavior. The following are my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bias?2. Wha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3 children of 5 years old who attend a kindergarten in the city of K. 22 out of 43 childre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of 43 children were assigned to compare group. Interview for young children was used for Bias tests and teacher’s checklist was used for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Pilot test, traing for testers,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from October 6, 2010 to November 19, 2010.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In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 and compare groups, children of experiment group showed lower bias and higher prosocial behavior than the children of compare group. Hence, the result reveled that the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effective on decresing young children’s bias concept and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과 미술 교육의 개념 및 이론을 바탕으로 유아의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한 결과 유아의 편견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은 유아의 편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을 구안하여 매주 1회씩 10주에 걸쳐 만 5세 유아의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은 유아의 편견을 감소시키는 반면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다문화 미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권이정,이미영,정근아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2019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have an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4-year-old infants. For this purpose,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Daejeo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20 of the total 40 infa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otal,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10 times over a 10-week period, while comparison groups carried out art activities based on their life theme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effects of experimental measures through t-verification. The study found that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ducted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ve study by the cal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infants in the comparison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ulticultural art activities through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social behavior and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