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느린 것이 아름답다! ― 느림의 미학

        김현돈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1 No.-

        이 글의 목적은 초고속 디지털전자문명 시대에 느림이 갖는 미학적 의미와 가치를 음미하는 데 있다. 속도는 기계의 시간이며, 느림은 자연의 시간이다. 나아가 느림은 생명·평화의 시간이다. 느리게 산다는 것은 초고속으로 질주하고 있는 자본주의 문명의 광기를 제어할 대안적인 삶, 즉 자연친화적이며, 인간다운 삶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또한 빠름을 지양하여 느리게 산다는 것은 세속적 이해관계를 초탈하여 세상과 인생을 부드럽게 관조하고 음미하는 심미적인 태도이다. 빠름을 지향하는 삶은 목표와 성과, 그리고 현실적 이해에 급급하여 대상과 주체 사이에 일정한 미적 거리를 갖지 못하고, 대상과 주체 사이에 공리적 이해가 개입하여 미적 관조를 불가능하게 한다. 느림의 미학은 기분 좋은 자기충만, 영혼의 자유해방, 감성의 열림, 영성으로의 초대 같은 정신적 가치이다. 느림의 향유는 단순 소박한 삶을 지향한다. 한가롭게 거닐며 자연의 부름에 나를 맡기고, 기다리고 또 기다리며 미래의 지평을 향해 마음을 여는 태도가 필요하다. 자본의 논리에 지나치게 휘둘리지 않고, 작은 것, 느린 것에서 아름다움을 찾고, 마음의 평정을 누리는 미적 감수성의 계발이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aesthetical meaning and value of slowness in the age of ultra-fast digital electronic culture. Speed is the time of machine, whereas slowness is the time of nature as well as the time of life and peace. Slow living leads us to life such that controls the madness of capitalism which is too fast developing, i.e., natural and humane life. By living slow and keeping off fastness, we can have an aesthetical perspective from which we can calmly contemplate and reflect our life and world beyond worldly interests. Life toward fastness prevents us from maintaining aesthetical distance toward objects and from being in aesthetical contemplation, since it merely aims to gain secular interests. The aesthetics of slowness entertains spiritual values such as pleasant self-fulfillment, the salvation of the soul, and invitation to spirituality. In order to enjoy slowness, we need to aim at simple life, leisuring around, hearing the calling of nature, waiting and waiting, and opening our minds to the horizon of the future. If we can keep our distance from the culture of capitalism, find beauty in something small or slow, and develop fine sensibility so as to maintain peace of mind, we may enjoy the richness of our lives.

      • KCI등재

        느림의 문화와 기독교 영성 -고진하의 시를 중심으로-

        김문주 ( Mun Joo Kim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6

        이 글은 ‘생태시’ 혹은 ‘느림의 시편’들이 종교적 영성의 중요한 기지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느림의 문화’는 자본주의적 욕망이 들끓는 현실을 반성하는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삶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성찰하게 한다. ‘어떻게 살 것인가’하는 문제는 삶과 생명에 대한 관점이나 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종교적 사유와 접속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 실천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종교적 영성을 확장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고진하의 시를 통해 ‘느림의 삶과 태도’가 기독교 정신과 어떻게 조우하는가를 검토하였다. 그의 초기시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은 부정적인 현실을 통렬하게 비판하게 하는 거점으로 기능하였으며, 현실을 종교적 관념으로 재편하게 만든 강력한 중앙집권적 사유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기독교적 관념에 입각하여 현실을 바라보던 시인의 태도는 관심의 대상을 자신의 내면으로 전환하면서 크게 변화한다. 변화의 방향은 그동안 사물세계를 바라보는 관념과 의식을 비워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시인은 기독교적 영성에 제한되어 있었던 성스러움을 개방하고, 나아가 구원의 가능성을 다른 종교로 확대하는 종교다원주의적 관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시인은 그동안의 금기와 경계들을 해제함으로써 자신의 삶에 내장된 생명력을 온전히 향유하려는 지향을 보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자신의 생명 본성을 구원의 근거로 삼는 ‘견성성불(見性成佛)’의 불교적 사유에 근접해가는 과정으로 전개된다. 기독교적 관념에 근거하여 삶과 현실을 인식하던 고진하의 시는 기독교적 영성의 개방을 통해 자신을 각성의 근거로 삼는 주체적 영성의 세계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느림의 문화’나 ‘생태학적 상상력’이 기존의 종교적 영성을 갱신하고 변화시키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그의 시는 현실의 변화나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종교적 관념을 공고히 하는 데 종속시키는 종교시편의 관성에서 벗어나 종교적 영성을 새롭게 사유하게 하는 긍정적인 의의를 지닌 세계이며. ‘느림’의 욕망이 종교적 영성과 어떻게 조우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게 해주는 매우 문제적인 場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iece of writing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ecological poetry`` or ``poetry of slowness`` can be important tools with regards to religious spirituality. The ``culture of slowness`` enables one to reflect upon the reality in which capitalistic desires are abundant, and at the same time helps one reflect upon the fundamental issues of life. The issue of ``how we should lead our lives`` is closely connected with our views or attitudes towards life and is thus very likely to interconnect with religious factors, and the fact that the issue leads to actual practice makes it possible for reflection upon the issue to become an opportunity to enhance and deepen religious spirituality.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poetry of Ko Jin-Ha to examine how the ``life and attitude of slowness`` interconnects with Christian ideals. In his early works Christianity based imagination acted as a basis for explicitly criticizing the negative reality, and also as a central force for reorganizing reality from a religious point of view. The attitude of the poet who looked upon reality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changes drastically when the subject of his thoughts changes to his inner self. The change occurs through emptying out the notions and senses used to view the world thus far, and through such change the poet opens up the concept of holiness which was limited to Christian spirituality and goes on to reach a pluralistic point of view with regards to religion believing that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lay in other religions as well. As such, the poet shows a tendency of trying to enjoy the vitality innate in his own life by removing the taboo and boundaries from his mind. This process is carried out by getting closer to the Buddhist ideal of ``Seeing the original nature, youwill become Buddha (When you are aware of your original nature, you are able to reach the sphere of enlightenment)`` which views the life essence of oneself as the basis for salvation. By opening up the spirituality of the Christian religion, the poetry of Ko Jin-Ha, who sensed life and reality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moves on to a world of independentspirituality in which the self is the basis of awakening. Such change is an important case in which the ``culture of slowness`` or ``ecological imagination`` acted a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renewing and changing religious spirituality. The poet``s work overcomes the tendency of religious poetry to use changes in reality and various cultural aspects to strengthen religious ideals and moves on to a worldwhere religious spirituality is contemplated anew, and in which one is able to reflect upon how the desires of ``slowness`` interact with religious spirituality.

      • KCI등재

        현대스포츠에 있어서 ‘느림’의 철학적 모토와 실천강령

        이정식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4

        A philosophy on slow movements is the new cultural trends speaking 21 century. These trends that seeking the aesthetics of slow movements presented in modern sports worlds as a resistance to fast exercise. And these has became a new sports paradigm of 21 century. However the modern sports has not built the philosophy on slow movements, and has an injurious effects upon human mind and body. We will build up the philosophical motto and practical platform on slow movement in order to introspect fast exercise worlds and to recover the identity of human beings. These will be clues to new sports culture and new life style of modern human beings. The evil effects of sports culture focusing on speed is 1. The prevalence of physical, and mental alienation of human beings. 2. The stimulation and development of aggress and violence. 3. The encouragement of speculation and excessive ambitions for success. 4. The distorted leisure life style and loss of healthy natures of humans. And we should prepare the following philosophical motto and practical platform to overcome the evil effects on human and nature. 1. The initial of sports participation; The change to the anti-culture of inactivity. 2. The goals of sports participation; The pursuit of cultural originality and diversity. 3. The ideological values of sports participation; The pursuit of intrinsic values. 4. The basis of sports institution and policy; The abolition of coercive sports policy and encouragement on eco-sports. 느림의 철학은 21세기를 대표하는 새로운 문화적 담론이다. 산업사회의 전유물로 인식된 속도의 문화 속에서 사라진 ‘느림의 미학’을 강조하면서 슬로우 푸드(slow food)운동이 생겨나고 스포츠에 있어서도 종래의 fast exercise에 대한 반향으로서 ‘느림의 미학’을 추구하는 slow exercise가 21세기의 새로운 스포츠 패러다임으로 부각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스포츠 세계는 아직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크게 반영되지 않은 채 좀 더 빠른, 좀 더 강한 스포츠 구현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빠름의 스포츠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어느덧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며, 사회적으로도 역기능적 요소가 다대하다. 인간은 각종 스포츠에서 좀 더 빠른 속도를 내기 위하여 약물복용과 도핑 등의 위법적 행위도 서슴지 않고 있으며 신체는 기계화, 도구화 등 수단적 가치로 전락되는 등 신체의 소외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빠름’은 곧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을 유발하기도 하고 경마, 경정에서의 사행성 도박 등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잃어버린 인간의 주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느림의 문화적 추세에서 속도중심의 스포츠를 자성하고 새로운 철학적 실천강령을 강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스포츠에서 추구하여 온 전통적인 빠름과 성취, 강함과 우월함으로 특징지어진 스포츠의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느림이라는 스포츠 반문화를 통하여 인간의 잃어버린 시간과 정체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스포츠 문화운동이 될 것이다.

      • Slow 개념을 적용한 경사지 주거 계획안

        제선영,이동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The city has been changing. The city scape was transformed by build the railroad and highway. In the other side we call 'slow city' which keep won pace release from the fast changing. It can be look like leaved space because of it is turned over. But it's genuineness contain our life that respect for the our own pace. I suppose the remodeling for this space will not only keep the place's genuineness but also one of the method about develop the city with it's won pace. That methods are three factor. One is Connection of people to people, people to space and people to food. Anther is Sustainability of space, energy, nature and environment. The other is Health of walking, jogging and bicycle. These are not only give a satisfaction, but also find a our own pace.

      • KCI등재

        태극권(太極拳)의 느림과 부드러움

        김희섭,한동일,권오륜,游添燈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3

        Taijiquan, a traditional Chinese Martial Arts, represents features of slowness and softness while the other Chinese Martial Arts are inclined to focus on speed and strength. Slowness and softness are awkward and unusual, but attractive in contrast to speed and strength. The Lao-zi’s word “Softness would beat strength” seems reasonable but shows no consistency in factual combative results. The process of Taijiquan's development has been blended with its movement's rules and its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The process of its growth spanned generations that have been certified in Taijiquan theory documentation and books. The slowness of Taijiquan is perused and implemented due to its useful practicum. Slowness makes the body move harmoniously. During slow movements, we can focus through the circulation of Chi energy internally and externally. It sets your mental and physical states at peace in harmonious balance. Softness is an essential concept of Taijiquan. Practicing Taijiquan means learning to soften your body. Softness is not just utilized against strength, but softness without any borders or limits in body and mind. This practice of slowness and softness links to philosophies of Tao, including Taoism, Confucianism, and Zen Buddhism. 중국의 전통무술 태극권(太極拳: Taijiquan)은 ‘빠름과 강맹함’을 추구하는 이미지의 다른 무술에 비하여 ‘느림과 부드러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일면 상식을 벗어나는 성향이라서 오해를 낳기도 하지만 오히려 매력적이기도 하다. 이 역설적 매력은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柔之勝剛]’는 老子의 주장과 통하기에 주목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태극권의 느림[慢]과 부드러움[鬆]은 일반인이 생각할 수 있는 빠름의 반대인 단순한 느림이거나 강함의 반대개념인 나약한 부드러움은 아니다. 태극권의 발전과정을 알아보면 단순한 무술동작기술의 발전에 그치는 게 아니라 『주역』의 철리인 변화의 이치가 동작을 운용하는 시스템에 결합되어 가는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랜 세월 생존했던 많은 태극권의 선각자들이 남긴 여러 권보(拳譜)들에는 『주역』은 물론 황로학(黃老學)의 사상적 흐름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태극권의 느림은 효율적 몸의 수행을 위한 방편으로 기(氣)를 전신으로 잘 흐르게 하고 신체의 각 부위들의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한다. 부드러움은 태극권이 추구하는 핵심적인 개념으로 단순히 강함의 반대인 부드러움이 아니라 오랜 수련으로 강함과 약함이란 근력에 근거한 개념이 사라져서 기로 ‘중화(中和)된 부드러움’을 말한다. 이는 수련으로 승화된 몸의 부드러움이며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걸리지 않는 자유로움의 상태이기에 상대에게 휘둘리지도 상대를 배척하지도 않는 사기종인(捨己從人)의 경지로 가는 관문이 된다. 이런 경지에 이르게 되어야 비로소 권(拳)과 도(道)가 합해지는 것이고 권술(拳術)의 도를 말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성인초기 한국인의 바쁨과주관적인 삶의 속도에 대한 질적 연구

        우아미,정태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7 No.4

        This study examines how people perceive and experience busyness, which is a great social pressure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socio-psychological motives that drive people’s different paces of life, such as busyness or slowness, despite being in the same busy reality, were examined. Furthermore, an in-depth study was conducted on the adaptation factors in the real society according to the speed of individual life.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based on an in-depth interview data of 21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was conducted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being busy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ts. The components of socio-psychological motivation that affect the speed of an individual’s life are ‘internalization of positive values ​​of (busy/rest)’, ‘(future/present) centric’, ‘selection & concentration/Inertial busynes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In addition, ‘self-selection’, ‘successful tim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psychological health’ were derived as ​​common factors among adaptation factors in real society, ‘a sense of achievement’ an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self-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s discriminatory factors. beca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value and meaning of being busy in Korean society was discussed from a social psychology perspective, and a new perspective was presented to existing studi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speed of life. In addition, several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큰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쁨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와 바쁨과 느림의 삶의 속도를 추동하는 사회 심리적 동기들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바쁨과 느림의 개인의 삶의 속도에 따른 현실에서의 적응요소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20․30대 미혼남녀 21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이용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바쁨에 대한 인식 및 경험들은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공존하고 있으며 바쁨과 느림의 삶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동기의 구성 요소들은 ‘(바쁨/쉼)의 긍정적 가치 내면화’, ‘(미래/현재) 중심적’, ‘바쁨의 일상화/선택과 집중’, ‘성격특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바쁘게 사는 사람과 느리게 사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현실 적응요소는 ‘자기 선택적’, ‘성공적인 시간관리’, ‘심리적 건강 유지’가 차별적 요소는 ‘성취감’과 ‘자기특성 이해 및 수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바쁨에 부여된 가치와 의미를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삶의 속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 및 논의들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여러 팔로업(follow up) 가능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 행복으로 가는 힐링(healing)

        양흥식 윤리문화학회 2013 윤리문화연구 Vol.9 No.-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일까. 잘 먹고 잘 사는 것, 건강, 행복, 삶의 질, 이러한 가치들은 현대 사회의 중요한 이슈이며, 주요한 가치 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대인들의 상처 치유와 극복을 위해 ‘힐링(healing)이 뜨고 있다. 힐링은 마음 의 위안과 치유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래서 행복을 위한 치유, 힐링을 원하며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다. 힐링센터, 힐링푸드, 힐링뮤직, 힐링콘서트 등 다양한 콘셉트로 나타나 고 있다. 그러나 치유를 통한 행복은 내 삶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장애나 시련을 이겨내고 그 가운데서 찾아지는 내 삶의 의미와 연관시켜 볼 수 있다. 행복은 각자의 삶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삶의 극복과 의미 찾기의 놀이인 것이다. 삶의 의미 혹은 행복을 찾기 위해 우리는 삶의 기술을 필 요로 하는 것이다. 환경, 자연, 시간, 계절을 존중하고, 나 자신을 존중하며 느긋하게 산 다는 뜻으로, 앞을 향해 치닫고 살아온 지난 세월을 조용히 돌아보는 시 간을 갖는 마음의 여유를 갖자는 의미의 느림의 미학, 그리고 다선일미는 차와 선이 상통하는 점은 정신적 경지의 정화와 승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템플스테이는 자연환경과 불교문화가 어우러진 사찰에서 수 행자의 일상을 경험하며 마음과 휴식과 전통문화를 체험함으로서 마음의 풍요로움을 갖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생활의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 이다. 치유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우리 마음의 치유력은 내면 의 심신에 집중하여 몸과 마음이 최고의 상태에 이르도록 정화하여 주고 영적으로 충만한 상태가 된다면 최고의 기능을 발휘하여 완전한 건강, 최 고의 행복의 길로 인도하여 줄 것이다. What is the ultimate aim of human life? Eating well, living better, health, happiness, quality of life these are major issues in modern life, and are considered as important values. In order to heal and overcome contemporary man, 'healing' is emerging these days. Healing is a concept including comfort of mind and healing. So, everyone wants healing for happiness and seeks various ways. Various concepts are expressed such as healing center, healing food, healing music, healing concert etc. However, happiness by healing can be associated with one's meaning of life which can be found after overcoming obstacles and hardship in one's process of life. Happiness is to cope with life obstacles in everyone's context of life and a play to find a meaning. In order to find a meaning of life or happiness, we need an art of life. Respect for environment, nature, time, season and myself, leading a slow life and aesthetics of slow whose meaning is to silently retrospect past years of extreme success-oriented life and to have a easy mind, and Daseonilmi means that tea and Zen have a similarity so, to seek purification and sublimation of mental level. Lastly, by experiencing temple stay whose meaning is to experience the routine of a monk under temple where nature and Buddist civilization combine, and by going through mental rest and traditional culture, one can have a mental richness and a chance to go back to routine life, which becomes a turning point of life. The healing power of our mind influencing healing health is to concentrate on inner mind, so it can purify our body and mind to get to the top condition and if the spirit gets to the full condition, it can function its best, so it can lead us to perfect health, utmost happiness.

      • KCI등재

        후안 라몬 히메네스의 『플라테로 와 나』와 느림 예찬

        나송주(Na, Song-Ju)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1

        『플라테로와 나』는 히메네스의 대표적인 시집으로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사실이 말해주듯이 문학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동시라는 느낌마저 드는 대중적인 작품이다. 이 시집은 평이한 문체와 내용으로 단순하면서도 자연 속에서 소박한 삶의 의미를 다시 한 번 환기시켜주는 작품이다. 그러나 또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느끼는 반감의 표현이고, 시인 내면의 뿌리 뽑힌 듯 한 고독감, 우울과 번뇌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그의 태도는 발전과 진보의 신화에 사로 잡혀 있던 20세기의 근대적 삶의 태도에 반론이고, 생의 활력에 대한 좌절과 슬픔인 것이다. 그는 비도덕적이고 유혹으로 가득 찬 퇴폐적인 도시의 삶에서 흉물스러운 삶이 아니라 해가 뜨고, 비가 오고, 눈이 오는 자연의 변화를 느낄 줄 알고 자연과 하나 되는 삶의 의미를 다시 되찾아 준다. 이는 욕망이 일상화 되어 있는 도시라는 현실의 어두운 그림자에 대해 회의 하고, 반복적이고 당연시 되는 일상적인 삶의 의미와, 그 현실 안에서 정신적인 위안과 소통의 가치를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히메네스가『플라테로 와 나』에서 그리고 있는 느림과 여유로움, 자연과의 합일은 현실의 부정이나 도피가 아니라 현실의 대안이다. 이는 타락으로부터 순수로 돌아감이며 부자연스러운 것에서 자연스러운 것으로 돌아가는 것이다.『플라테로 와 나』는 위태롭고 희망이 사라진 고단한 현실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직접적으로 대안에 대한 탐구이고, 황폐한 현실 앞에서 고통스러워하고 사회적인 갈등의 폭발이라는 절망에 빠진 시대를 치유하기 위한 몸짓인 것이다.『플라테로 와 나』는 우리에게 자연에 대한 사랑과 소통을 통해 어두운 시대, 불안한 시대를 헤쳐 나가는 위로를 얻게 해주고 역동적인 힘을 얻게 해준다. Platero y yo is thought of as a children’s book and yet it’s one of the best work of Nobel Prize-winning writer Juan Ramón Jiménez. It shows not only that the work has an extraordinary literary quality but that it has been highly acclaimed for its popularity. The poem evokes the meaning of simple life in nature in plain word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onveys the antagonism towards the society where the poet failed to adapt, sense the loneliness of the uprooted, melancholy and agony. This attitude came from the hostility to the modern life which was fascinated by the myth of progress. It also can be interpreted as frustration of life. Jiménez tried to restore the value of living in communion with nature in contrast to degenerate life in the city. To him, the city is a place full of temptation and immorality. The writer expresses his skepticism about the dark side of the city life which represents the excessive desire.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daily lives, spiritual comfort, and communication is emphasized in the poem. That’s why the contact with nature and serenity in Platero y yo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not denial or escape. What he suggests is going back to innocence from degeneration, to naturalness from unnaturalness. Platero y yo i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alternatives to the hopeless reality on the verge of collapse. It is his attempt to fix and console the broken society. It guides us to find the strength and comfort in nature that are needed when we’re going through the uncertain and dark times.

      • KCI등재

        느림의 미학에서 보여 지는 패션에 관한 연구

        유홍식(Yoo Hong-Sik) 한복문화학회 2009 韓服文化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about characteristics in Well-being, Slobbie(slower but better working), and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which are shown in aesthetics of slowness, and about trend of pursuing fashion. Giv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ose are as follows. First, Well-being attaches importance to an individual's value, and prefers eco-effective fabric in the aspect of clothing. In the aspect of food, the organic food is eaten. Slow food is preferred, which is made at home. In the aspect of shelter, well-being apartment, well-being pension, air cleaner, water purifier, and anion home electronics are used. Second, Slobbie wants to live slowly and leisurely and emphasizes happiness in mind and family. In the aspect of clothing, it is preferred the caports look, the clothing that is revealed artisanship with having value as labor and time, the clothing that is put handiwork such as embroidery, patchwork, quilting, and beads craft, and the clothing of being made by self. In the aspect of food, there is much interest in food culture with traditionally agricultural method. In the aspect of shelter, the traditional housing mode is preferred. Third, as Lohas is an upper concept of well-being, it attaches importance to the global environment and even to the value of descendants beyond an individual's value. In the aspect of clothing, there is much interest in the organic-agriculture fashion and recycling fashion. In the aspect of food, the domestically organic food is preferred. The disposable product and the instant food are rejected. In the aspect of shelter, commodity is preferred that can reduc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wast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