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년대 무크지 운동과 문학장의 변화

        김문주(Kim, Mun?joo)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7

        이 논문은 1980년대 무크지 운동의 출현 배경과 무크지의 주요 지향점을 정리·분석한 글이다. 한국문학사는 1980년대를 무크지 시대로 기록하고 무크지를 억압의 현실에 저항하는 게릴라적 성격의 문학 운동으로 정리하고 있지만, 실제로 무크지의 출현은 문학 외적인 현실보다 민주화와 더불어 성장한 민중들의 문학적 표현 욕망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 글은 80년대 무크지를 부정적 현실에 의해 추동된 문학주체들의 응전으로 보는 시각을 지양하고 그동안 소외된 문학 제도 바깥의 ‘타자’들의 관점에서 살피는 것이 당대적 진실에 좀더 접근할 수 있다는 생각 위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80년대 무크지를 70년대 문학운동의 계승이라는 관점이 아니라 주류문학에 대한 비판적 대안운동의 일환으로서 읽고자 한 것이며, 이는 문학사 기술의 주류적 시각과 오늘의 우리 문학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겸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1980년을 전후로 하여 등장한 무크지와 무크지운동은 권력의 억압에 의해 강제 폐간된 70년대 『창작과비평』 이나 『문학과지성』 등을 계승한 것이라기보다 그러한 잡지들이 주도한 문학판의 한계와 결여를 비판적으로 극복하려는 의지에서 출현하였으며, 이는 민주주의와 민중시대를 갈망한 시대의식의 문학적 산물이자 문학성과 문학장의 변화를 추동하고자 한 변혁 의지의 소산이었다. 무크지운동은 비주류문학이 개진한 도약의 한 국면이었으며, 성장한 시대의식이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찾은 문학적 형식이자 내용이다. 그것은 완강한 엘리트문학과 서울?중심주의에 기초한 기존 문학제도의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작은 문학’ ‘작은 문학주의’를 넘어 ‘다른 문학’의 가능성을 사유하고 문학장 내에서의 수평적 역학 구도를 염원한 문학운동이었다. 무크지운동은 80년대 문학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핵심 영역이자 우리 문학의 현재를 진단하는 데 매우 긴요한 결절점이다. The research is a arranged analysis statement of mook movement background appearance and main directing point of mook.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recorded 1980s as mook era and organized mook as cultural guerilla type movement that resist to suppressed reality but actually the appearance of mook began with desire to express among public who grew up with democratization rather than the external reality of literature. The statement was described upon the idea to sublated the vision that view mook as fighting back of literary subjects driven from the negative reality and be more approachable to the truth of present age by examin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others’ who were outside of neglected literature system all this time. Such critical mind intended to read mook of 1980s as part of critical alternative movement on mainstream literature and not from the succession of 1970s literary movement standpoint and such intention held additional self examination on our literatures of today and main stream vision of literature company. From this stand point, rather than succession of ceased publications such as 1970s 〈Creation and Criticism〉 or〈Literature and Society〉, appearance of ‘Mook the comic book’ and ‘Mook the comic book’ movement of pre and post 1980 had will to critically overcome limitation and absence of literary version led by those magazines and such appearance was the cultural production of awareness of time that longed for democracy and era of people and result of revolutionary will to drive changes in literary value and filed. ‘Mook the comic book’ movement was one of the situation to express a leap of non?mainstream literature and literary form and contents found for grown awareness of time can expose ownself. It was a literary movement in part of effort to break the barrier of existing literary system based on Seoul?centralism and absolute elite literature and go beyond ‘insignificant literature’ and ‘insignificant literarism’ to own the possibility of ‘other literature’ and that desired horizontal dynamics composition within the literary field. ‘Mook the comic book’ movement is essential focal point to understand literary history of the 80s and key nodal point for diagnose the present state of our literature.

      • KCI등재

        시동인지 『自由詩』 연구

        김문주(Kim, Mun-joo)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7

        1970년대는 동인지 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된 시기였다. 『자유시』(1976.4∼1983.10)는 이 시기에 발행된 가장 중요한 시동인지 중의 하나로서 총 6회 간행되었다. 대구·영남에 연고를 둔, 등단한 지 5년 이내의 신진시인들로 구성된 <자유시> 동인은 민족/민중/참여문학이 성세를 이루던 시기에 ‘자유’와 ‘개성’을 시적 가치로 내세웠다. <자유시> 동인은 같은 시기에 결성된 <반시> 동인과 대비적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이 둘의 관계는 1970년대 한국문단의 중요한 두 축이었던 <창작과비평> 對 <문학과지성>의 구도와 흡사한 것이었다. <자유시> 동인이 창간호에서 강조한 것은, 첫째 자유로운 시정신, 둘째 지역을 근거로 한 인간적 유대였으며, 이들은 특정 입장을 적극적으로 주창하기보다 집단주의나 문학의 종속성을 반대하는 소극적-부정주의 태도를 취하였다. 이는 <자유시> 동인의 한 특징이었으며, 동시에 동인으로서의 선명한 성격과 결속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들은 집단이나 타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일상과 경험에 기초한 현실을 중시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소시민적 일상이나 반생태적 환경, 지역-자연은 그들의 시선에 포착된 의미 있는 현실이었으며, 이는 시사적(詩史的)으로 앞선 성취였다. 3년간의 공백 이후 간행된 5,6집은 이전과 달리 동인 이외의 문인들에게 지면을 개방하여 당대 동인지들과 보조를 맞추었고, 정치·사회적 현실에 대한 시적 형상화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변화는 폭압의 현실에 대한 반성적 인식의 소산이었으며, 동인-정체성의 재구성 작업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자유시> 동인의 시적 작업은 ‘개인-자유’에서 ‘개인-현실’의 발견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1980년을 전후로 진행된 한국시사의 한 국면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지점이었다. 1970s was the time when literary coterie magazine activities were briskly developed. 『Free poem』(1976.4∼1983.10) was one of the important poetic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at issued in that time, which was published six time. Based on Daegu·Yeongnam area, 〈Free poem〉cenacle which was consisted of rising poets who started literary career within five years brought ‘free’ and ‘individuality’ as poetic values while nationality/the public/engagement literature were making the mainstream. 〈Free poem〉 cenacle had contradistinctive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Anti-poem〉 cenacle, and that was similar to the composition between 〈Creation & criticism〉 and 〈Literature & intelligence〉 which were two of important axes of Korean literary world in 1970s. What 〈Free poem〉 cenacle emphasize in first issue were, first free soul of poetry, second humane bond based on region.〈Free poem〉 cenacle took passive-negativism attitude which oppose dependence of collectivism or literature rather than advocating certain position actively. It was characteristic of 〈Free poem〉 cenacle, and it became factor that hinder vivid character and cohesion as free verse cenacle at the same time. They set importance on reality based on daily life and experience of “I”, not the story of group or others. In that sense, petite bourgeois daily life, antiecological environment, or region-environment were meaningful reality that caught by their eyes, and it was historically precedent achievement. 5,6 collections that published after three years of absence opened its columns which was different before to keep step with contemporary cenacle, and poetic imagery about politic·social reality appeared conspicuously. Such a change was product of reflective awareness about the reality of oppression, and part of reconstructing work of cenacle-identity. The poetic work of 〈Free poem〉cenacle which show a condition of Korean poetry progressed around 1980s by going through the developing progress with the discovery of ‘individual-free’ to ‘individual-reality’, was meaningful point.

      • KCI등재

        논문 : 기독교 신앙과 근대적 주체의 문제 -정지용과 김현승의 시를 중심으로-

        김문주 ( Mun Joo Kim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07 문학과종교 Vol.12 No.1

        This article reviews the matter of Christianity and modern subject focusing on the poems of Jeong Ji-yong and Kim Hyeon-seung. This article deals with Jeong Ji-yong and Kim Hyeon-seung because their works show problematic aspects of Christian literature. Jeong Ji-yong`s ``Religious poems`` show very well how modern subjects who consider themselves as the ground for perceiving the world, have accommodated the religious ideology. It was impossible to Jeong Ji-yong who expressed things in his own senses, to accept the absolute idea without accompanying internal discrepancy. World of divine nature that cannot be perceived from physical things, strong desire to feel the world and denial of physical things to invoke the desire, dualistic perception on the religion and the reality, all these features show the characteristic of Jeong Ji-yong`s modern self-consciousness which has taken the sensing subject as the ground for perception. The point where his thinking which can integrates things and ideas, accepts the religious ideas superficially without being accompanied by sensual perception, reaches to general problems of Jeong Ji-yong`s poems such as ``lack of fierce agony regarding the reality and self-speculation``. Ironically, this clearly shows that Jeong Ji-yong`s poems have characteristics of modern subjects and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e status and limitations of modern perception on religious ideology. Kim Hyeon-seung thinks Christian religion as the place where he searches for the place of human beings. He internalizes and formalizes Christian speculation not in the way of assimilating himself to the object of worship but of revealing the human points distinguished from the absolute being. His poems show the process of fighting by religious mind, being separated from the religious ideas and at last reaching to the lonely subject through self-speculation. A fierce metaphysical fighting in Kim Hyeon-seung`s poems has become very important assets in Korean Christian literature. The process of perceiving Christianity and agony in Jeong Ji-yong`s and Kim Hyeonseung`s poems has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has shown the trajectory how the modern subject was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and it has become the foundation to achieve active self-expansion and deepening of Christian literature henceforth.

      • KCI등재

        번역과 조선시형의 창안 -김억을 중심으로-

        김문주 ( Mun Joo Kim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3

        1920년을 전후로 한 시기에 진행된 외국문학의 수용과정은 한국근대문학의 방향과 양상을 구체화하는 핵심 동인이었다. 이전의 번역자들이 편내용중심(偏內容中心)의 번역을 수행하였던 데 반해, 김억의 번역 활동은 내용과 형식을 함께 존중함으로써 시문학 장르의 실체에 본격적으로 육박해 들어간 최초의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혜성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김억은 당대 번역자들이나 문학인들과 달리 원본(출발어 텍스트)에 대한 강박이 거의 없었으며, 아울러 시란 기표(記標)와 기의(記意)로 분리할 수 없는 문학 장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시는 번역이 불가능하며, 시의 번역은 새로운 시와 시형을 창안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으로 발전해 간다. 김억은 번역을 통해 새로운 조선의 시를 모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개진된 것이 ``情調``와 ``格調詩``였다. 그는 시의 형식을 정형의 틀로 인식하지 않고 ``인간 내면 운동의 표현``으로 보았으며, 시의 모든 음성적 자질을 시의 내용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주요 요소로 의식하였다. ``情調의 시학``은 시의 음성적 요소를 중시하고 궁극적으로 의미지상주의에 반대하는 김억의 詩觀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이후 원시적 감정 표현의 도야를 강조하는 ``格調詩``로 전환된다. 정조에서 격조로의 변화는 언어의 음성적 자질을 언어 내용의 비물질적 영혼으로 인식하고 시어의 음성적 자질의 가능성을 온전히 개방하려는 태도의 부분적 회수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정형시(定型詩)와 자유시 사이에서 정형성(整形性)을 지향하는 김억의 리듬 의식의 산물이자 시의 음성적 자질을 중시했던 시의식의 결과였다. 시의 번역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김억은 ``창작적 번역``을 시도하였고, 이러한 일련의 이해와 작업을 통해 그는 번역 과정에 내재된 상호주체성과 시적 언어의 고유한 자질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 정조의 시학에서 격조시형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보여준 시의 음악성에 대한 그의 이해와 심미적 한계는 한국근대시사의 성취/실패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그의 번역 작업은 한국근대시사의 내적 변화 과정을 해명할 수 있는 유력한 기지라고 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accepting foreign literature proceeded in around the year 1920 was a core motive to embody the direction and aspect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Existing translators totally focused on contents of text in translation while Kim Eok respected not only contents but also form. His translation activity has the character of sudden prominence in that the work was the first one to really approach the real entity of genre of poetry. Differently from other literary persons, Kim Eok was not nearly obsessed by original text(source language text) and he clearly recognized that poetry is a literary genre where signifiant and signified cannot be separated. This thinking develops to the recognition that translation of poetry is impossible and is a work to create new poetry and poetic form. Kim Eok explored new poetry of Choson through translation and ``sentiment and refined poem`` was disclosed in this process. He did not recognize form of poem as a frame of fixed form but recognized as ``expression of human inner movement.`` He was aware of all phonetic qualities of poetry as main factor closely related to contents of poem. ``Poetics of sentiment`` was originated from Kim Eok`s viewpoint of poem that phonetic factor of poem is important and eventually the meaning-for meaning principle is refused. Later, ``Poetics of sentiment`` was transformed to ``refined poem`` that emphasizes practice of primitive emotional expression. The change from sentiment to refinement meant partial collection of attitude to recognize phonetic quality of language as non-material soul of language contents and to completely open the possibility of phonetic quality of poetic language. This is a product of Kim Eok`s consciousness for rhythm and at the same time, a result of poetic consciousness emphasizing phonetic quality of poem -he pursued refined form between Poems of fixed form and free verse. Kim Eok tried ``creative translation`` through recognition about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of poem and based on such a series of understanding and work, he could reach the deep recognition about mutual subjectivity inherent i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peculiar quality of poetic language. His understanding and aesthetic limit about poetic musicality shown in the process where poetics of sentiment was transformed to refined form, was clos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and failure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Such his work in translation may be strong base to explain the process of inner change in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후보

        서정주 시의 바람의 상상력과 소요유(逍遙遊)의 정신

        김문주(Kim Mun-Joo) 중앙어문학회 2009 語文論集 Vol.42 No.-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how wind imagination, one of the important images and motifs of Seo Jeong-joo's poetry, took shape in his poetry and how it communicated with Chuang-tzu's thought. Pervaded in his poetry, wind imagination was converted from strong desire of body into metaphysics agonized with ontological fatality after Seleted Poems of Seo Jeong-joo, and this formed the theme of eternity and mind, the thematic core of Seo's later poetry. This change of direction in Seo Jeong-joo's poetry came to understanding with Chuang-tzu's Soyoyu(逍遙遊) or normadic free spirit and developed into various aspects in his poetry. Firstly, it was expressed in various types of characters internalized the state of Heaven(天). The central figures of his middle and later years poetry are emotion life or characters who embodied emotion life, deeply connected to Chuang-tzu's free spirit. Secondly, it was formed as wind, a medium realizing human mind and moving objects or wind conveying human mind and realizing it. This wind could be interpreted as a concrete form of Poong-ryu or Yisim-Jeonsim(immediate communication from one mind to another). Meanwhile, his normadic free spirit was embodied as ‘play’(遊戱), a symbol of great freedom in his later years poetry honestly expressing the poet of old age. Wind is a critical factor dominating Seo Seong-joo's world of poetry. Unlike his early poetry suffering from desires and weight of body, wind in his middle and later years poetry moved on to ‘ideological study of wind’ or ‘metaphysics of wind’ taking the character of spiritual transcendence.

      • KCI등재

        김종길 시의 자연의 성격과 감각의 기능

        김문주(Kim, Mun-Joo)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51

        이 논문은 김종길 시인의 시에 나타난 자연의 성격과 감각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해명하고자 한 글이다. ‘동양적 전통’과 ‘감각적 이미지’라는 비평적 수사 속에서 평가되어온 김종길은 70여 년의 시력(詩歷)의 기간 동안 300편의 시를 발표한 과작의 시인이다. 그의 시에서 자연은 생활세계의 일부이자 일상을 사유하는 중요한 거점으로서 기능하며, 궁극적으로는 불안한 삶을 떠받치는 ‘항상적(恒常的) 가치’로서 실재한다. 그러한 자연은 혈연을 기반으로 한 가족주의 전통과 깊이 접속되어 있다. 선조들에게서 자신, 그리고 후손들로 이어지는 이 전통은 시인의 인간관계와 사회윤리에 근간을 이루는 핵심이다. 혈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이러한 관계의 전통은 윤리적 성격에 그치지 않고 영성적 성격도 띠고 있어 죽은 조상과의 인격적 교감의 내면으로까지 심화되어 나타난다. 한편 김종길 시의 상당수는 환갑을 지나 창작되었는데, 이른바 노경(老境)을 형상화하고 있는 이 시편들은 이전의 시보다 더 간명한 언어와 절제된 어법으로 노년의 내면을 감각적으로 그려낸다. 특히 평명한 언어 속에 돌올하게 드러나는 응축된 감각적 이미지들은 죽음에 대한 시인의 내면을 매우 생생하게 형상화한다. 그의 노년기의 시에서 우리는 동양적 자연의 의미와 깊은 내면의 감각을 보게 된다. This is a paper is written to specifically clarify the feature of nature and meaning of sense which appeared in the poems of poet Kim Jong-Gil. Kim Jong-Gil, who has been rated on the critical rhetoric of ‘oriental tradition’ and ‘sensual image’, is an unprolific poet who published 300 poems during 70 years which was the period when he kept writing poems. In his poem, nature functioned as the part of life-world and as an important base where he thought about his life. He dealt with concerns of daily life about family, disciples, and state of affairs through the yard of his house and nature things around his house. However, ultimately, nature existed as ‘unalterable value’ to him. Such nature is deeply connected with familism related to blood. This tradition from ancestors to himself, and descendants is the core of relations of poet and social ethics. Tradition of such relation based on blood has the feature of not only ethic but also spirit. Therefore, it is intensified and represented to the inside of personal connection with a dead ancestor. On the other hand, most of Kim Jong-Gil’s poems were written after sixty, but these poem which gave form to so-called advanced age sensibly expressed the inner side of the old with concise language and abstained wording. Especially, condensed sensory images which appeared in the plain and clear language embodied the inner face of poet to death much vividly. We can see meaning of the oriental nature and deep inner sense in his poems of old age. In this deep and gentle world of advanced age which went off regardless of the flow of times at all, we can experience over and over again the death of thought and sense that clear language shows.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전통 사상의 미학적 자질 연구(2)

        김문주(Kim Mun-j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도덕경』에 나타난 노자의 사상을 검토하여 그 미학적 자질들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도덕경』의 핵심 개념인 도론(道論)을 살피고 유가 사상과의 차별점을 확인하였다. 경계와 구분의 사유 체계인 유가 시장과 달리, 노자의 시장은 인위적인 체계를 부정함으로써 편견에서 벗어나 대상을 사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심리적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이는 현세적 가치에서 벗어나 대상을 관조하고 대상에 동화될 수 있는 예술 심리의 원천이 되었다. 자연은 노자에 의해 발견된 심미적 공간이었다. 해방과 자유의 사유로서 노자의 정신은, 현실지향적인 유가문화가 초월적 실재에 빠지지 않도록 균형추가 되어준 정신적 근거였으며 위계적 가치 체계가 지배하는 현실에 심미적 품을 제공하였다. 동아시아 예술은 현실적 가치를 해체시킴으로써 대상의 본질로 복귀할 것을 강조한 노자의 사유에서 심미적 이상을 발견하였다. 수묵산수화는 이러한 노자 사상의 심미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노자의 사상은 동아시아 예술의 심미적 기초를 제공한 예술정신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Lao-tzu Aesthetics by examining Lao-tzu Thought. A study examined the principal concepts of 'Essay on The Ttuth', and observed the differences between a Confucian-Thought and Lao-tzu Thought. Lao-tzu Thought is Art-spirit that an Artist contemplate the object and assimilate to the object, with free oneself from worldly-value. Indian ink-Landscape shows aesthetic-measure of Lao-tzu Thought very well. East-Asia Arts discovered aesthetic-idea from Lao-tzu Thought.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전통사상의 미학적 자질 연구 (Ⅲ)

        김문주(Kim Mun-j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4 No.-

        이 논문은 『맹자』에 나타난 시장을 검토하여 그 미학적 자질들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맹자 미학의 핵심 자질인 인간관을 살핀 바, 맹자의 인간상은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내재한 ‘차마 하지 않을 수 없는 마음’을 체현한, 도덕적 개인으로서 개체 인격의 주체적 정감을 선명하게 보여준 인간이었다. 맹자는 기(氣)를 도덕적 주관성의 기초 연자로 보고, 정신적 도덕 의지와 물질적 생명 감성인 기의 합일 상태를 이상적 인격 상태인 호연지기로 파악했다. 맹자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등장한 인격미는 예술 표현을 예술가의 인격 표상으로 보는 미학적 관점으로 정초된다. 창작 주체의 인격 풍취를 미적 가치 판단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유가 미학의 독특한 문화적 특정이다. 세(勢)나 골력(骨力)과 관련이 있는, 동북아시아의 핵심 미학이라 할 수 있는 양강(陽剛)의 미는 거대한 생명 도덕의 잠재적 기세에서 발원한 것이며, 이는 맹자의 인격미에서 연원한 것이다. 이후 맹자 시장에 내재한 자질들은 산수화의 핵심 요소인 기운생동-즉 화가에 내재한 영적ㆍ정신적 힘이며 대상을 통해 표현되는 개체의 생명감-으로 발전한다. 맹자는 예술에 관해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그가 제시한 인격미는 동아시아 상층 예술의 창작 정신이 되었다.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thoughts contained in The Works of Mencius and study their aesthetic features.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iews on human beings, key feature of Mencius' aesthetics, ideal human being described in The Works of Menciusis the one who clearly shows subjective emotion of individual personality as a moral person with 'the irresistible heart'intrinsic in every human being universally. Mencius called the union of spiritual moral will and energy, or material life sense, great morale, which is an ideal state of personality, regarding energy as a basic element of moral subjectivity. Beauty of personality initially introduced by Mencius can be defined as an aesthetic perspective to see artistic expressions as images of artist's personality. It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Confucian culture that personal tastes of the artist are used as the objects of judgment of aesthetic values. Beauty of positive strength relating to power or muscular force, which can be said core aesthetics of Northeast Asia, sterns from the potential strength of greater life moral and is associated with the beauty of personality advocated by Mencius. Elements consisting of the Mencius principles have been subsequently transformed into cheerfulness and vividness, that is, a spiritual and mental power of the artist and individual vitality found in the object, which is a key factor of landscape paintings. The beauty of personality suggested by Mencius has served as a creative spirit of upper-class arts in East Asia, even though he never directly mentioned arts.

      • KCI등재

        이성선 시의 관능성과 구도(求道)의 성격

        김문주 ( Mun Joo Kim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8

        이 논문은 이성선 시의 구도적 성격을 살피고, 그의 시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관능적 이미지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는 그의 시의 자연 표상과 종교적 성격의 구체적 의미를 해명하는 작업으로써, 그동안 <순수, 무위, 구도적 염결성, 노장적 시학> 등의 관점에서 그의 시를 조명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갱신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성선의 시는 `나`를 찾는 작업이며 동시에 온갖 편견과 고정 관념으로 구성된 `사회적 자아`를 탈피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불교적 사유에 닿아 있지만, 구체적인 교리나 종교적 관념을 담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자력구원`의 상상력에 노출된 동양문화권의 보편적 사유에 가까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이성선은 기독교의 인격적 신에 가까운 절대적 존재와의 내밀한 교감의 언술 형식을 시에 수용함으로써 우주적 삼라만상 속에 실현되는 `우주적 자아`를 형상화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즉 그의 시는 소재나 내용의 측면에서는 불교적 성격을 띠고 있지만 구도의 형식을 구성하는 방식에서는 기독교적 형식을 결합함으로써 자아의 각성과 발견이라는 테마를 내밀한 관계 속에 구축하는 독특함 경지를 성취한다. 이는 동양적 구도 개념의 육화이며, 구도의 내적 긴장을 위한 내면 공간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이다. 자연에 대한 관능적 이미지도 이러한 구도의 성격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에게 자연은 고정된 자아의 경계를 지우고 우주적 자아에 이르는 구도적 여정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때 개진되는 관능적 상상력은 자연 사물들로 구성되는 우주적 자아, 자연과의 합일의 과정에서 성취되는 존재의 원초성을 구체화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성선 시의 내밀한 언술 형식과 관능성은 관계 속에 구성되는 본연의 자아를 육화하고 실현하는 전략적 기지(基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의 시에 나타난 성적·관능적 이미지는 구도의 의미로써 온전히 해명하기 어려울 만큼 집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순수-관능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별도의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This thesi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 of Lee Sung Seon that seek after truth and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sensuous image that frequently appears in his poems. It is the way to explain the specific meaning of the natural representation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It criticizes previous researches that analyzed his poems with the viewpoint of purity, inactivity, integrity of truth and poetics of Lao-tzu and Zhuangzi The poems of Lee Sung Seon try to search for `me`. It is related to Buddhist idea in the point that it tries to escape from `social identity` that is composed of many prejudices and fixed ideas. But it doesn`t include specific doctrines or religious concept. So it could be said that it is near to general idea of eastern culture that is exposed to imaginative power of `one`s own salvation` for a long time. Instead, Lee Sung Seon seems to succeed in formalizing `cosmic self` that is achieved in all nature universe by accepting the linguistic technique of intrinsic rapport with absolute being that is similar to personal god of Christianity. His poems show Buddhist characteristics in the material and contents. But it includes Christian form in the way of forming the type of seeking after truth to achieve the uniqueness of establishment of the theme of awakening and discovery of identity in private relation. It is the systemization of the eastern culture that seeks after truth. It is a meaningful achievement in the point that it forms internal space for the tension of seeking after truth internally. The sensuous image for the n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eeking after truth. For him the nature is a link of journey of seeking after truth that leads to cosmic identity setting up the boundary of fixed identity. The imaginative power being stated in this point plays the role of specifying the originality of being achieved in the course of unity with cosmic identity and the nature that is composed of natural objects. The private linguistic technique and sensuous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Lee Sung Seon are strategic base that systemizes and achieves the original self that is composed in the relation. Of course the sexual and sensuous image that appears in his poems is so complicated that it is hard to complete explain with the meaning of seeking after truth. Bu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purity-sense that maintains its own purpose requiring separate discussion.

      • KCI등재

        시적(詩的) 삶과 해석의 윤리

        김문주(Kim, Mun-joo)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49

        이 글은 사적 실증주의에 (史的) 입각하여 시인 이육사의 주요 작품들을 치밀하게 분석해가고 있는 한 역사학자의 작업을 계기로 한국시 연구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살핀 논문이다. 문학과 역사는 뗄 수 없는 관계여서 문학 연구에서 역사학계의 성과를 참고하거나 역사적 관점을 갖는 것은 필수적이다. 문학사는 기본적으로 문학의 역사이자 역사적 현실에 대한 문학의 반영이어서 문학연구는 그 자체로서 역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사적(史的) 작품을 특정한 고정관념 속에 가둠으로써 삶의 다면적인 구체들을 배제하는 경우가 관성적으로 이루어져왔다는 데 있다. 이육사를 비롯하여 한용운, 이상화, 윤동주 등 이른바 ‘민족시인 저항시인’으로 호명되어 온 문학인들이 여기에 속한다. 작품 분석을 위해 다양한 사료들을 살피고 검토하는 과정은 작품과 작가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작업이지만, 이러한 실증적 태도가 특정한 관념에 기초하여 작품 해석 과정에 완강한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텍스트 분석은 작품과 작가에 대한 이해를 풍요롭게 하는, 보다 열린 시선으로 작동하는 것이 온당하며, 그러한 점에서 이육사의 경우 ‘민족’이나 ‘저항’의 프레임 바깥에서 사유하는 작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일부 작품을 통해 그러한 가능성을 살폈다. This is a paper on several issues about Korean poetry research, related to a historian who are closely analyzing the major works of poet Lee Yuk-sa based on historical positivism.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result of the historic academic world in literary researches and to have historic viewpoint because of an inextricabl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s literature is basically a history of literature and a reflection of historical reality, study of literature itself has a historical character. The problem is that these historical viewpoints have been excluded multifaceted spheres of life by putting the works of individual poets into particular stereotype. Including Lee Yuk-sa, Han Yong-un, Yi Sang-hwa, and Yun Dong-joo who have been called ‘national poets and resistance poets’ are these literary people. The process of checking and reviewing various historical records for analyzing the works is a necessary task to understand the works and the poets, but these positive points of view that are applied to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in stubborn ways based on certain fixed idea should be reconsidered. Analyzing texts is appropriate to work with a more opened sight that makes the better understand of the works and the poets, and in this sense, the case of Lee Yuk-sa, the work that reasons outside of frame of ‘nation’ or ‘resistance’ should be actively sought. This paper look at such possibility through some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