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현대설치미술에 나타난 노마디즘연구

        차민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3

        For modern people living in the network society of compressed time and space, the past physical boundary is getting meaningless, and nomadic way of life moving freely from space to space is becoming a life. Due to this phenomenon, the term nomadism has become one of the cultural code as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society throughout culture across the arts. While nomadism originally reflected nomad’s life consistently on the move to enjoy a better life, it was introduced as the philosophical concept by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and extended to the cultural concept by Jacques Attali. Today, the origin meaning of nomadism which has been overly used as the concept code for analyzing education, shopping, arts, and even politics has been diluted. In order to study the concept of intrinsic nomadism and the concepts changed and extended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reviews the nomadism of Deleuze and Guattari as well as the core concept of Attali’s nomadism, and analyzes the influence of nomadism toward the modern installation art works. The method of the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Deleuze's war machine and sitting nomad and Jacques Attali's homo-nomad and digital nomad. Then, it proposed the framework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ies to analyze the works of Korean modern installation artists having nomadic characteristics. This process will induce the focus on epidermic nomadism of Korean contemporary art to on the work of artists which is the integration of thoughts and creativity, revisit the sprit of the nomad diluted by misuse, and giv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identity and current state of nomadism melt into Korean contemporary art. 시공간이 압축된 네트워크사회 속에서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과거의 물리적 경계는 점점 의미를 잃어 가며 자유롭게 이동하는 유목적 생활이 삶의 방식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하여 노마디즘이라는 용어는 문화 예술분야 뿐 아니라 현대 사회의 전반을 해석하는 하나의 문화코드가 되어버렸다. 노마디즘이란 원래 생존과 더 좋은 삶을 누리기 위해 끊임없이 이동하는 노마드의 생활방식을 반영한 개념으로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에 의해 철학적 개념으로 등장하였으며 자크 아탈리에 의해 문화적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교육, 쇼핑, 예술, 정치까지 아우르는 분석코드로 대두된 노마디즘은 점점 그 의미의 과잉으로 본연의 의미들을 희석 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노마디즘의 본연의 의미와 현대에 와서 변환되고 확장된 개념들을 고찰해보기 위하여 들뢰즈 가타리의 노마디즘과 자크 아탈리의 노마디즘의 핵심개념을 살펴보고 이들의 개념들로 한국현대설치미술가들의 노마드성향의 작품들을 분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들뢰즈 가타리의 노마디즘 이론의 핵심개념인 전쟁기계와 앉아서 하는 유목의 개념을 살펴보고 자크 아탈리의 노마디즘 핵심개념인 호모노마드, 디지털 노마드의 개념을 정리하여 거기서 추출된 이론의 특성들을 작품분석의 틀로 제시하고, 이렇게 추출된 4가지 분석틀로 노마디즘 성향의 작품을 펼치고 있는 한국현대 설치미술가들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표피적으로 드러난 한국현대미술의 노마디즘 현상에 대한 포커스를 사유와 창조성의 집약체인 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체적으로 끌어 들임으로써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노마드의 정신을 되짚어보고 현대한국미술에 녹아든 노마디즘의 정체성과 현주소를 고찰해보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 공간 디자인에서의 패브릭의 노마디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미연,유진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3

        인간과 가장 친숙한 소재중 하나인 패브릭은 이미 의류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공간 디자인에서도 사용되어 지고 있는 흔한 소재이다. 그러나 , 공간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패브릭에 대한 연구는 활성화 되어 있지 않아 패브릭이라는 소재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패브릭의 기본적인 특징인 가변성, 경량성, 투명성, 유연성과 탈정형성, 융통성이 있음을 조사하였고, 노마디즘의 대표 철학자 질 들뢰즈의 유목 적 사고인 선의 사유방식, 사건의 개념, 리좀 적 사고방식을 공간 디자인적 요소로 해석하였다. 패브릭의 특성들은 노마디즘 적 공간 안에서 흐름과 경계의 모호함, 확장을 통해 재창조의 공간으로 재 해석하였다.패브릭의 이러한 특성들은 앞으로 노마디즘적 공간을 표현함에 있어서 패브릭을 적절히 사용 할 수 있게 하고, 패브릭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 The fabric is a common material in various areas including clothing and space design as one of the most familiar ones. However the researches on fabric in the aspect of space design have not been activated so I think that the potential of fabric is not yet fully applied to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ress the factor of nomadism, which has become one of the social phenomenon lately, in the fabric attribute, by approaching functional and conceptional terms, and to contribute to extending the usage of fabric as a material.

      • KCI등재

        노마디즘에 나타난 교육인간상 탐구

        노상우(Ro, Sang-Woo),송혜린(Song, Hye-Ri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노마디즘의 철학적 사유가 어떤 교육적 인간상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노마디즘에 내포된 인간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둘째 그러한 인간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과제는 무엇인가를 알아본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와 가타리는 '선분'이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성의 특징을 '이항성', '통일성', '초코드화'로 보고 이것의 문제를 비판한다. 근대는 지배적인 질서가 요구하는 규범이나 규칙에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메커니즘을 형성하게 되며, 교육에서도 그 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규범을 내면화한 표준화된 인간상을 전제한다. 노마디즘은 이러한 인간상을 극복하고자 한다. 둘째, 노마디즘적 인간은 이미 고정되거나 주어진 틀에 가두어 지는 것을 거부하고, 타고난 잠재성에 따라 끊임없이 자신을 변형하고 다른 무엇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실현하는 존재이다. 셋째, 노마디즘에 바탕을 둔 교육적 인간상은 낯선 곳에서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무엇이든 접속과 소통을 통하여 배우고 탐구하는 '탈주적-유목적 인간형'이다. 또한 자신을 둘러싼 타자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신체적 감각을 활동시켜 새로운 자기생성과 자기변혁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어떤 초월적인 규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삶의 관계에 기반한 탈근대교육을 연구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what kind of the ideal of an educated pers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Nomadism, which Deleuze and Guattari suggested, contains. Two subjects for this are to examine humanity connoted Nomadism and to look into what is the educational aim to cultivate such huma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Deleuze and Guattari point out the character of modernity as binomical properties, unity, surcodage. The problems of this is to form mechanism identifying itself to the standards and the rules which the dominant order in modern age requires. And it premise the standardized man internalized the ideology and social norms which the society aim for in education. Second, the type of man in Nomadism, as creator of itself, refuses to be confined in the frame fixed and given. And the man in Nomadism is the being who has the purpose to fulfil the desire which translates itself constantly at the born potential and wants to become new something. Third, the man which the Education wants to realize in the life of Namadism is to find new self at an unfamiliar place. And it is being who learn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something and communication and does research on something. Also, it is the being which lets physical sense act constantly and makes new things and creates through active interchange with the another person surrounding itsel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about the post-modern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free life which is not bound by transcendent rule.

      • KCI등재

        욕망이 충돌하는 일상의 공간, 왕가위 영화의 노마디즘 읽기: <중경삼림>, <화양연화>, <2046>을 중심으로

        김소영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6

        고정된 것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노마디즘은 유목주의를 뜻한다. 그런데노마디즘을 역설한 대표적 학자인 G. 들뢰즈와 M. 마페졸리의 논의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 출발점이 다르다. 들뢰즈는 자아의 사유로부터, 마페졸리는 공간의 이동으로부터 노마디즘을 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노마디즘은 공간에 주목한 마페졸리의 해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마페졸리는공간의 이동을 넘어, 사회적 관계 속에서 노마디즘을 해석하였다. 사유의 해방, 복수적 자아, 탈영토화, 수평적 네트워크, 리좀 등이 들뢰즈가 말한 노마디즘의핵심이라면, 마페졸리의 경우는 공간의 이동, 다원적 주체, 방랑, 접속, 감정의 융해 등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양자 모두 새로운 것으로 향해 간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고정된 것에 의한 억압으로부터 탈피하려는 인간의 욕망은 개별 정체성의 문제로 이어진다. 본 글은 두 학자의 노마디즘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왕가위 감독의 <중경삼림>(1994), <화양연화>(2000), <2046>(2004)을분석하고자 한다. 세 편의 영화는 사유의 해방과 공간의 이동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 헤매는 인간의 욕망을 보여준다. 고정된 자아로부터의 해방을 공간의 이동이라는 역동적 행위로 이행한 <중경삼림>, 타자와 접속하여 교류하면서생성의 힘을 만들어내는 <화양연화>, 그리고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을 넘나들며확장되는 새로운 노마드의 모습을 보여준 <2046>은 두 학자가 논의한 노마디즘을 개별적 혹은 복합적으로 재현해내고 있다. 이러한 노마드의 삶은 다양한 공간에서 일종의 디오니소스적인 향유를 지향하는 왕가위 감독만의 화려한 시각 이미지로 묘사된다. 이와 같이 본고는 영화 속 일상의 공간 이미지에 드러나는 노마드의 욕망을 고찰함으로써, 다양한 층위의 노마드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정체성을 사유케 하는 의의를 지닌다. Since the appearance of the word of Digital Nomad, we may have fallen to the myth made by nomadism. Nomadism means the freedom from fixed one. By the way, going to Gilles Delueze and Michel Maffesoli who discussed about nomadism, they interpreted it totally differently. The former is started from ego’s thought and the latter does from the movement of space. Therefore nomadism that we generally think is close to the Maffesoli’s meaning. However he dealt with it within social relations beyond the movement of space. The freedom of thought, double egos, deterritorialization, horizontal networks, rhyzome are the point of Deluze’s nomadism. On the other hand, Maffesoli explained nomadism with the movement of space, multiple subjects, wonder, connection, melting of feelings. Finally we can find out that two have common thing which goes forward to new one. Also, human desires getting out of pressure from fixed one are related to individual identity.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Wong Kar-wai’s Chungking Express, In the mood for love, 2046 based on two scholars’ nomadism. These three films show human desires wandering for their new identities through the freedom of thoughts and the movement of spaces. Those kind of characters’ desires are represented with splendid visual images in various spac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nomads’ desires and their identities in everyday spaces of Wong’s films. Finally we will look over our identities in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현대 텍스타일 패턴에 나타난 에코-노마디즘에 관한 연구 - 2003 S/S~2009 F/W를 중심으로 -

        박소형 ( Park So-h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현대인들은 급속한 기술의 진보와 빠른 유행 정보로 인해 라이프스타일의 사이클이 점차 짧아지고 복잡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뉴 패러다임의 등장과 디지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현대사회의 삶의 방식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접속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경계를 넘나드는 디지털노마드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한 장소에 정주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욕구와 맞물려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되 거기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영역으로 계속 옮겨 다니는 노마드의 존재와 사유 방식을 영위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 패션과 인테리어에서의 에콜로지는 자연주의 경향과 원시주의, 에스닉적인 경향과 편안함을 추구한다. 또한 천연소재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적인 부가가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에콜로지적 특성을 가진 에코-노마디즘은 자연을 느끼는 신유목민적인 삶을 의미하며 도시의 생활에서 경험하는 캠핑스타일과 절충적인 환경에서의 혁신적인 노마디즘을 즐기는 자유로운 삶이라 정의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코-노마디즘을 에콜로지적인 자연으로 회귀, 인간성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자유로운 사고와 이동이라는 노마디즘의 특성을 가진 트렌드의 새로운 유형이라고 규정하고 이에 대한 현대 텍스타일 분석을 통해 에코-노마디즘이 리사이클링 감각의 자유로움을 반영하는 빈티지 스타일과 유토피아를 꿈꾸는 현실 도피적 성향을 지닌 유희적 키치 스타일로 구분되어 표현되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창조적인 디자인 개발의 발상 방법 및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앞으로 에코-노마디즘의 특성은 자유로운 시각과 창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의 정신적 소산물로써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이는 다변화되는 현대의 도시생활이 가지고 있는 인위적이고 물질적인 삶에서 개인적인 치유를 원하는 자연과 공존하는 삶의 방식으로 현대 텍스타일 패턴에 적용하여 독창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예측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볼 때 트렌드의 한 유형으로만 에코-노마디즘을 수용하기 보다는 적극적인 가치와 감각성을 결합하여 새로운 시대의 디자인 형식으로 정립하는 것이 현대 텍스타일의 과제이다. For the contemporaries, a cycle of life style is gradually becoming short and complicated, owing to fast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fashion information of fast moving. With the appearance of new paradigm, and as we are entering into the era of digital information, the pattern of modern society is being converted to the society of digital nomad. This means that though divers networks we can freely visit here and there in an ubiquitous environment that we can connect any time and any where. Accordingly, modern peoples do not live only in one fixed place but in many places by managing a nomadic life in sentimental desires. They create new values escaping from given system of truth and it`s code. And they are actually managing a nomadic life style, endlessly moving around new areas, like that, keeping nomadic existence and nomadic way of thinking. In modern fashion and Interior, the ecology pursues a tendency of naturalism, primitivism, and an ethnic trend and convenience. Moreover, it keeps characteristic of an additional value of friendly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 which is focused on natural materials. This Eco-Nomadism of ecological characteristic means a life of new nomad who feels the nature in the city and a free life style of camping that one experiences in the modern city. We can define it as really free life that is enjoying revolutionary nomadism in compromised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have defined characteristic of nomadism as one sort of new trend of our society. Free thinking and free moving that they are aiming return to the ecological nature, and recovery of humanity, this is the very figure of nomadism. Also, through analysis of modern textile, we could found that eco-nomadism is expressed as vintage style which reflects free and liberal state of recycling sense and as enjoyable kitsch style which has an inclination of escape from reality, dreaming an utopia. This facts act as an important points with which we could enlarge methods and scope of creative design development. From now on, eco-nomadism shall have the meaning of social and cultural as spiritual outcome of mankind, which has free vision and lives in base of creativity. In modern city life which is changing every moment in various way, this will be applied on modern textile pattern as one of life styles, that every person wishes to be individually cured from artificial and materialistic life and to live with the nature as life style of coexistence. Moreover, eco-nomadism shall provide a chance that we can expect new idea and new unique design, giving new direction of modern textile. When we consider these facts, it is preferable to set and form eco-nomadism as a design form of new era combining with positive values and sensitivity rather than accepting it only as one type of trend. This is the task of modern textile.

      • KCI등재

        Globalization and Korean Nomadism

        Changnam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이 논문은 전통적으로 정주적인 특성을 지녔던 한국사회가 도시화와 글로벌화와 더불어 유목화 경향을 보이는 현실에 착목하여, 그 핵심이 되는 사회사상적 경향을 노마디즘이라는 개념으로 파악하고 그 긍정적, 부정적 양상들을 검토하고 있다. 흔히 유목주의로 불리는 노마디즘은 사회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전통적인 공동체와는 다른 사회적 그룹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에 대한 사회사상적 표현이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으로도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견지하는 일 보다는 다문화적 혼종성이 새로운 가능성으로 부상하게 되고, 국민국가적 단일성의 이념도 새롭게 재고되며, 종래와는 달리 직장간 ‘이동’도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변화된 의식을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마디즘의 사회변혁적 계기는 종종 신자유주의 글로벌화를 동반한 제반 사회적 문제로 인해 한국사회에서는 시장 제국주의로 오해되어 학계의 논쟁을 촉발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세계화가 정책적으로 시도될 무렵 찾아온 금융위기와 IMF 관리 체계 하에 들어감으로써 겪게된 질곡으로 인해 세계화와 더불어 노마디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된 현상을 분석한다. 하지만 논문은 들뢰즈, 마페졸리를 비롯하여 철학, 사회학 분야의 노마디즘 일반과 관련된 여러 관련 사상들을 고려하고, 현대 한국사회의 도시와 문화 의 제반 영역에서 나타나는 여러 유목적 경향들을 검토하면서 한국의 노마디즘을 예의 시장자본주의의 신제국주의와 동일시하는 것은 착오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노마디즘은 오히려 강대국과 자본의 초국적 지배에 저항하는 사상이며, 동시에 유동하는 글로벌 사회에서 배타적 민족주의로 회귀하지 않으면서 열린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대안적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현대 한국사회에는 외국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해외 한인의 수도 크게 늘고 있다. 그만큼 과거적 의미의 배타적 경계 안에 머물고자 하는 태도와 경계 없는 초국적 자본의 논리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태도는 모두 지양될 필요가 있다. 논문은 그러한 양 극단을 반성적으로 재고하고, 창발적으로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인식적, 실천적 비전으로서 노마디즘을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nomadism,” considering the changes of modern Korean society from being sedentary to nomadic through urbanization and globalization. “Nomadism” is a word for the spiritual and social trends of a society which witnesses increasingly enhanced social movements and wherein traditional communities are replaced by new, more flexible ones. Although this tendency in Korea can be traced back to the colonial period, this paper covers it since the 1980s when the 1988 Olympic was held in Seoul and the Travel Liberation Law was enacted. Since then, transborder consciousness in people and cultural hybridity began being valued more positively than long lasting requests for cultural-national identity. However, there were critical reactions to nomadism as well. Some critics, who negatively evaluate nomadism, identify it with new liberalism which is often regarded as a kind of market-imperialism by Korean intellectuals. This criticism of nomadism can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how Korea experienced new liberalism with the IMF’s economic control. However, this paper highlights some misleading points in the identification of nomadism simply using an ideology advocating the attack of global capital and transnational conglomerates. It also highlights the duality of nomadism as a spiritual and social tendency and movement against transnational capital and political expansion of global powers without delving into exclusive nationalism and conservative regionalism. The Korean society must consciously transgress these by moving toward the global community.

      • KCI등재

        교육적 노마디즘의 개념화

        허영주 ( Hur Young-ju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Deleuze, Attali, Maffesoli가 개념화 한 노마디즘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으며, 이개념화에 담겨 있는 인간상과 인식론, 방법론 등을 해석하면서 근대적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지를 논의한 후, 교육적 노마디즘은 어떻게 개념화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Deleuze, Attali, Maffesoli가 개념화 한 노마디즘은 근대적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치를 지니지만, 동시에 한계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기반으로 교육적 노마디즘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 하였다. 먼저 ‘탈주의 여정을 즐기는 유목적 인간’ 그리고 ‘사물이나 대상 혹은 세계와의 접속을 통해서 가치 있는 창조를 실현하는 인간’이 바로 노마디즘적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이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노마디즘적 교육내용은 학습자들이 다양한 낯선 자극들 및 구성원들과 직접적으로 만나면서 자신의 몸에 새로운 감각을 생성해 나가며, 시시각각 변이하는 자극들을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특이성을 무한히 증식시켜 가는 과정적이고 발생적인 체험적 활동이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접속과 연대, 탐험이 보장되면서도 영구성과 감정적 공유가 공존하는 교육 공동체를 구현해야하며, 이 공동체 또한 개방성을 지님으로써 구성원의 탈주와 새로운 공동체와의 접속이 가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물리적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습장소의 다양화, 사이버 상에서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의 활용, 사유로서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묵상이나 명상의 활용 등을 병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이 방법들을 자신의 필요에의해 순환적으로 연결하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함도 제안하였다. This study try that understand about nomadism have been generalized by Deleuze, Attali, Maffesoli, and understand on human image, theory of knowledge, and methodology that Implicit in this concepts. And this article argues whether nomadism conceptualized by their can back up modern education or not, and try to define about what constitutes the educational nomadism. Result of investigation, inform us that have a value of alternative approach that nomadism conceptualized by their can back up modern education, but have limitations. And this article try to define the educational nomadism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type of man that may be imagined to cultivate such a man of nomadism may include the ‘human as nomade enjoying the journey of escape’ and the ‘human trying to create valuable something based on connection and relationship with everything, objects, world’. Second,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intermediate and naturally occurring activity, learned by body through students meet an unfamiliar signs and person, and infinitely increased new singularity as study continually changing signs. For this, it shall consist that educational community were guaranteed horizontal and free connection and exploration, also have been lasting relationship and emotional sharing. Third, students must have one``s choice among this methods for mobility and have link, as it arranged in a row that variable study place for mobility of space, various digital device for mobility on cyber, and meditation and contemplation for mobility in thought.

      • KCI등재

        담딘수렌 우리앙카이(Damdinsuren Uriankhai)시에 나타나는 노마디즘 양상 연구

        강회진 ( Kang Hoe-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이 연구는 몽골의 시인 담딘수렌 우리앙카이(Damdinsuren Uriank hai)의 국내 번역 시집인 『낙타처럼 울 수 있음에』를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elix Guattari)의 노마디즘(Nomadism)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담딘수렌 우리앙카이 시세계를 새롭게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탈영토화된 공간의 양상’, 둘째, ‘정서의 노마디즘 양상’, 셋째, ‘역설적 노마디즘양상’이 그것이다. 이 글은 노마디즘을 철학적 개념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시인이 끊임없이 새로운 시세계를 탐색해나가는 시적 사유의 과정으로 개념화하여 고찰하였다. 『낙타처럼 울 수 있음에』에 나타난 시세계는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창조를 위해’ ‘안정된 삶에 정주’하는 것이 아니라 버려졌던 불모의 대지에서조차 새로운 ‘생명’을 싹트게 하는 노마디즘의 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끊임없이 새로운 시세계를 모색하는 담딘수렌 우리앙카이의 시작(詩作)은 정주하지 않는 순례자 혹은 노마디즘적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omadism of the Mongolian poet Damdinsuren Uriankhai's only translation poem, "Because You Can Cry Like a Camel" by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It aims to redefine the world of Damdinsuren Uriankhai by analyzing it with a concept. Therefore,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ree aspects. First, 'the nomadic aspect of emotion', second, 'the aspect of deterritorialized space' and third, 'the paradoxical nomadism aspect'.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ceptualize and understand Nomad or Nomadism as a process of poetic thinking in which the poet constantly explores a new world of poetry without limiting. If you look at it like this, nomadism or nomadism is not a process of 'breaking the boundaries' or 'for a new creation' or 'settling in a stable life', but it is a process of sprouting a new 'life' even in the abandoned barren land. Damdinsuren, who constantly seeks a new world of poems, believes that the beginning of a journey like a pilgrim who does not settle.

      • KCI등재

        노마디즘 관점에서 본 진정성 추구 여행

        변찬복(Byun, Chan-B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3 No.-

        본고에서는 여행 동기와 여행체험과 관련하여 그동안 관광학계에서 논의되어 왔던 진정성 개념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의 연결점을 조망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오늘날 즐거움 추구 여행과 함께 정신 고양을 목적으로 하는 진정성 추구 여행이 증가함에 따라 진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노마디즘적 행동양식이 부각되고 있다는 점에서 진정성과 노마디즘의 연결점을 고찰하는 것은 시의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고의 연구대상은 실크로드를 도보로 여행한 베르나르 올리비에의 여행 서사이다. 올리비에는 안정적인 삶이나 정주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는 여행자가 아니며 자신을 통제하고 고착화하는 영토를 벗어나서 지속적인 차이와 생성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탈영토화(deterritorialisation)를 실행하는 여행자이다. 또한 올리비에는 문명과의 단절, 자연과의 접속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미지층화·미형태화된 순수한 질료적 흐름으로 만들려는 욕망을 갖고 있었다. 올리비에는 여행의 마무리 단계에서 여행의 근본 목적을 해명하지는 못하였으나 분명한 것은 안락한 정주적 삶과 고착화된 사유에 의해 지배되는 현대세계의 일상성에 대한 강한 저항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linking point between authenti-seeking travel and Deleuzian nomadism. Having some thoughts of linking bridge between the two factors would be a timely move in that the numbers of both authenti-seeking travelers and contemporary nomads are rapidly increased in these days. Ollivier does not place any absolute value in the stability and settlement of his life. He pursues deterritorization which creates constant difference and production by escaping from the territory. He also tries to make his body destratified and destructured by disconnecting himself from civilized societies. Even though he does not offer elucidation about the travel motive, the thing clear is the fact that he is charged with a strong resistance against everydayness which are dominated with sedentary thoughts and comfortable lives.

      • KCI등재

        노마디즘의 수용상황 분석과 이해

        최영주(CHOI, Young-Joo) 프랑스학회 2010 프랑스학연구 Vol.52 No.-

        Nomadisme, nomade, des mots qu' on entend, qu ’on lit partout. Mais d'ou vient ce terrne, et quels sont ses sens, au juste? Le terrne nomadisme, utilisé pour definir tantôt une manière de vivre, tantôt un mode philosophique, suscitent bien des interrogations et des controverses. Ce qu’est le nomadisme n’est l’objet d’aucune vision cohérente. Ce qui est << nomade >> pour les uns ne l'est pas pour les autres. L'objet de notre étude est de comprendre les caractéristiques du nomadisme selon des perspectives différentes. Nous indiquerons qu’une confusion dans la réception pourrait etre opérée à différents niveaux de signification. En premier lieu, nous expliquons comment le nomadisme est présentée comme l' un des procédés postmodemes dans une société actuelle. Le concept de nomadisme s' est d' abord fait connaître par les publicités de outils de télécommunication. Ceux qui exarnient le nomadisme du point de vue socio-culturel, en s'appuyant notamment sur la théorie de Maffesoli et celle d’ Attali, décrivent le nomadisme comme un code culturel qui pennet de comprendre notre société caractérisée par la critique des idéaux de la modemité tels la raison, l’Etat, l' essence. En deuxième lieu, nous montrons que le nomadisme peut être utilisé comme stratégie de la mondialisation et celle d'Ubiquitous. Le débat entre Chun Gyu- Suck et Lee Jung• Woo nous perrnet d' avoir une idée claire sur l’emploi complexe du nomadisme. Ceux qui utilisent le nomadisme dans le domaine politico- économique soutiennent que le nomadisme correspond à la logique de l'economie néolibéral qui met accent sur l' effondrement des frontières entre les états et l' ouverture du marché. Ils pensent que le concept de ‘nomadisme’ bien acceuilli par le grand public risque de contribuer à la justification de l'irnpéralisme économique, tout en mettant en cause l’écart entre des hypemomades qui dirigeront la planète et des infranomades qui bousculeront les frontières pour chercher du travail‘ En troisiξme lieu, nous remarquons que sur le plan philosophique, le nomadisme est un mode de vie qui cherche continuellement une liberté intérieure sans être entravée par les idées reçues ou les institutions. lε nomade est tout simplement celui qui s’oppose au système, crée le mouvement et être en mouvement. C’est dans ce sens que ce néologisme a ete formé et employé pour la première fois, dans un contexte philosophique. Lee Jin-Kyung, ayant publié le livre intitulé Le Nomadisme, a largement contribué a la diffusion du mot dans la société coréenne, tente de restituer le sens du nomade tel qu' il est utilisé dans la philosophie de Deleuze et Guattari. Deleuze et Guattari ont créé toute une série de concepts pour illustrer leur philosophie. Et nous analysons dans notre travail le sens du nomadisme et du nomade dans leur rappαt à d’autres concepts philosophiques tels ‘machine de guerre’, ‘devenir'’. Selon Lee Jin-Kyung, le nomade est celui qui ne voyage pas, mais qui résiste à la désertification pour se réapproprier ses terres, ses propriétés, tout en se laissant traverser par la vie et le monde inconnus. Nous voyons ainsi que le nomadisme change de sens selon le contexte ouil est uilisé. Le nomadisme est à la fois l ’ un des archétypes qui e:xpliquent le mieux les phéonmènes sαiaux après la fin du XXème siècle et l' un des concepts les plus co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