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ubechies 웨이블릿 필터를 사용한 볼륨 데이터 인코딩

        허영주,박상훈,Hur, Young-Ju,Park, Sang-H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3 No.7

        데이터 압축 기술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요구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커지고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응용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산출되는 볼륨 데이터는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그 용량이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Daubechies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해서 볼륨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구현된 D4 웨이블릿 필터 기반 압축 기법은 3차원 볼륨 데이터에 대한 손실 압축과 블록 단위의 무작위 추출 복원을 지원한다. 본 기법은 기존의 Harr 필터를 이용한 압축 방식에 비해 복원 데이터의 손실율이 낮기 때문에, 정밀한 복원 영상이 중요시되는 대용량 데이터의 압축 및 인터렉티브 가시화 응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ata compression technologies enable us to store and transfer large amount of data efficiently, and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due to increasing data size and the network traffic. Moreover, as a result of the increase of computing power, volumetric data produced from various applied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has been getting much larger. In this Paper, we present a volume compression scheme which exploits Daubeches wavelet transform. The proposed scheme basically supports lossy compression for 3D volume data, and provides unit-wise random accessibility. Since our scheme shows far lower error rates than the previous compression methods based on Haar filter, it could be used well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applications as well as large volume data compression requiring image fidelity.

      • KCI등재

        Phenix의 초월지향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2

        이 글은 Phenix의 초월지향 교육과정이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함으로써 Phenix의 이론이 현재의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과 교육과정이론에 주는 의미를 명료화 하며, 한계점을 드러냄으로써 보완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Phenix가 추구하는 인간상과 교육목적, 그리고 초월의 개념이 현재의 교육목적에 시사하는 바와 한계점, 그가 주장하는 교육내용과 교육내용 조직방식이 교육과정 선정 및 조직에 주는 시사점과 한계점, 그의 탐구적 학습방법과 교사-학생의 관계 등 교육실천에 대한 주장이 현재의 교육실천에 시사하는 바와 한계점은 무엇인가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비판적 분석의 결과, Phenix의 교육과정이론은 기존의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영성교육과정을 상호 보완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성격을 지니며, 기존의 교육과정이론들의 단편성을 보완하고 재개념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인간의 전인성 발달을 위해 영성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하는 교사와 교육과정전문가에게 이성과 영성을 통합한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도 논하였다. 또한, Phenix 이론이 지닌 한계점을 추출함으로써, 교육과정연구자가 교육과정 이론을 재개념화 하거나 교육과정 개발자가 초월지향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이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Phenix’s theory through contextual and critical analysis about major characters in his transcendence-oriented curriculum, and suggest that his theory compensate the defect of existing curriculum theories and practice. The major features of transcendence-oriented curriculum were three. One, it combine self-transcendence, included temporal, extensive, qualitative dimension and wonder, awe, reverence, with educational purpose. Two, it emphasizes the multi-discipling to pursue for wholeness of disciplined understanding. When discipline is classified, six meaning is add to the personal knowledge. Three, through continuous dialogic inquiry, education for inquiry give rise to growth of imagination. As a result, these characters of Phenix’s theory indicate that consciousness of transcendence combine with educational purpose, and how contents of curriculum is integrally comprised of discipline-centered and spirit-oriented curriculum. And it suggest that intend humanization in practice of curriculum. Also, Phenix’s transcendence-oriented curriculum can be alternative perspective to existing curriculum theories, because his approach be complementary and integrate one’s of discipline-centered and spirit-oriented curriculum. But, Phenix’s theory hare tarred with several kinds of brush, so it is complemented by other curriculum theories.

      • KCI등재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이 교육공간 분석에 주는 의미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이 연구는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이 교육공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드러내고 교육공간의 창조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론적 고찰의 결과, 첫째, Lefebvre의 공간적 실천 분석, 교육적 공간 표상 분석, 체험적 공간 분석의 세 차원으로 이루어진 교육공간에 대한 분석틀은 교육과 관련된 제약과 모순을 보다 정교하면서도 종합적으로 파악하게 해 줄 수 있다. 둘째, Lefebvre의 리듬분석은 교육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들의 과정적 변화 과정을 심층적인 연관성까지도 함께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Lefebvre의 차이생산이론은 이상적 상태의 제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과 교사에게 더욱 의미 있는 교육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실천적 거점을 마련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공간 분석의 새로운 관점으로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Lefebvre의 리듬에 관한 개념과 분석의철학을 반영한 절차적 과정을 정립하고 적용ㆍ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What is space in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the diagnosis of the educational space based on Lefebvre’s space production and rhythm analysis theory utilizing as approach could be exposed as its whole field and derived creative changes of its own space. Lefebvre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arious academic fields by establishing his own theory of space through creatively developing the ideas of Marx. Results of this study is a three-point summary follows; Firstly, that analysis on three aspects of educational space, that is to say Lefebvre’s practical analysis, symbolic analysis, experiential and historical analysis could be elaborately, but at the same time totality grasp attribute of educational space. Second, Lefebvre’s rhythm analysis could be find in-depth interrelationship of these, as well as changing process of daily life of occurring within educational space. Finally, by Lefebvre’s differential space theory providing an ideal place for educational space, his theory can help that educational space should creatively produce a different space of learning and teaching on their won. So, this study proposed that Lefebvre’s space production and rhythm analysis theory to make use as alternative approach for diagnosis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this study proposed that elements and process of educational space analysis that best reflects the Lefebvre’s theory set up and will start practicing.

      • KCI등재

        교육적 노마디즘의 개념화

        허영주 ( Hur Young-ju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Deleuze, Attali, Maffesoli가 개념화 한 노마디즘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으며, 이개념화에 담겨 있는 인간상과 인식론, 방법론 등을 해석하면서 근대적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지를 논의한 후, 교육적 노마디즘은 어떻게 개념화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Deleuze, Attali, Maffesoli가 개념화 한 노마디즘은 근대적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치를 지니지만, 동시에 한계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기반으로 교육적 노마디즘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 하였다. 먼저 ‘탈주의 여정을 즐기는 유목적 인간’ 그리고 ‘사물이나 대상 혹은 세계와의 접속을 통해서 가치 있는 창조를 실현하는 인간’이 바로 노마디즘적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이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노마디즘적 교육내용은 학습자들이 다양한 낯선 자극들 및 구성원들과 직접적으로 만나면서 자신의 몸에 새로운 감각을 생성해 나가며, 시시각각 변이하는 자극들을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특이성을 무한히 증식시켜 가는 과정적이고 발생적인 체험적 활동이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접속과 연대, 탐험이 보장되면서도 영구성과 감정적 공유가 공존하는 교육 공동체를 구현해야하며, 이 공동체 또한 개방성을 지님으로써 구성원의 탈주와 새로운 공동체와의 접속이 가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물리적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습장소의 다양화, 사이버 상에서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의 활용, 사유로서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묵상이나 명상의 활용 등을 병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이 방법들을 자신의 필요에의해 순환적으로 연결하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함도 제안하였다. This study try that understand about nomadism have been generalized by Deleuze, Attali, Maffesoli, and understand on human image, theory of knowledge, and methodology that Implicit in this concepts. And this article argues whether nomadism conceptualized by their can back up modern education or not, and try to define about what constitutes the educational nomadism. Result of investigation, inform us that have a value of alternative approach that nomadism conceptualized by their can back up modern education, but have limitations. And this article try to define the educational nomadism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type of man that may be imagined to cultivate such a man of nomadism may include the ‘human as nomade enjoying the journey of escape’ and the ‘human trying to create valuable something based on connection and relationship with everything, objects, world’. Second,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intermediate and naturally occurring activity, learned by body through students meet an unfamiliar signs and person, and infinitely increased new singularity as study continually changing signs. For this, it shall consist that educational community were guaranteed horizontal and free connection and exploration, also have been lasting relationship and emotional sharing. Third, students must have one``s choice among this methods for mobility and have link, as it arranged in a row that variable study place for mobility of space, various digital device for mobility on cyber, and meditation and contemplation for mobility in thought.

      • KCI등재

        예비교사의 무형식 학습망과 정서적 연결망 특성이 실천적 지식 및 교직인성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 ( Hur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구성하는 무형식 학습망과 정서적 연결망의 특징이 실천적 지식과 교직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직인성의 함양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학습망은 인접중앙성이 높을 때, 그리고 교육학 학습망은 연결중앙성이 높을 때 실천적 지식의 향상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학생활 공유망과 여가생활 공유망은 인접중앙성이 낮을 때 실천적 지식의 향상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직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전공 학습망의 인접중앙성을 높여야 하지만, 여가생활 공유망의 인접중앙성은 낮추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전공 학습망의 예비교사들의 만남의 횟수를 늘리고 해당 연결망을 오래 지속시킴으로써 친밀성을 강화하는 것이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직인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교육학 학습망의 경우에는 교육학 학습망에 많은 수의 학생들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교직인성 향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실천적 지식의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셋째, 대학생활 공유망과 여가생활 공유망의 경우에는 구성원들의 모임의 횟수를 줄이는 대신 많은 수의 학생들이 연결망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주기적으로 연결망을 재구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과 교직인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what effects informal study networks and emotional networks of pre-service teacher have on advancement of practical knowledge and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 that support strategies for make progress in their practical knowledge and teacher`s characteristics. Study`s result is follow. First, closeness centrality of major study networks is higher and degree centrality of education study networks is higher is growing to practical knowledge. And closeness centrality of school life share networks is lower and closeness centrality of leisure life share networks is lower is growing on practical knowledge. Second, closeness centrality of major study networks is higher and closeness centrality of leisure life share networks is lower is growing on teacher`s characteristics. As follows is suggested on the conclusion. First, we are called on to help become close with students in major study networks, through students in major study networks to meet many more and this networks hold on this networks as long as possible. Second, we are called on to help education study networks is included more number of students. Third, we are called on to help students in school life share networks and leisure life share networks to meet fewer and this networks re-organized as possible.

      • KCI등재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허영주 ( Young Ju Hur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교사 상상력을 개념화하고 교사 상상력이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지 탐색하고, 이와 같은 기능을 지닌 교사의 상상력이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육과정의 실행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상상력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탐색한 결과, 교사의 상상력은 교사로 하여금 학생과 교육내용에 대한 직관과 이 직관들의 종합·통합을 통해 학생과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며, 교육환경에 대한 종합적 수준의 문제해결방안의 강구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적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의 내면에 존재하는 가능성을 찾아 그 미래를 이미지화하고 교육내용을 재창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용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와 열정을 제공하는 창조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탐색을 기반으로 하여 교사 상상력의 재현적 기능과 창조적 기능이 교육과정 재구성의 각 단계, 즉 교육목표 설정과 구체화 단계, 교육내용 해석과 재구성 단계, 교육내용의 형식 결정 단계, 교육평가 단계, 그리고 실천적 교육실행의 단계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논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상상력은 현재 학습자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미래 학습자의 모습을 이미지화 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이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해주며,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이를 학습자에 맞추어 구체화하는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 그리고 교육적 상황과 교육내용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관점과 새로운 해결방안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등을 제공하고 교육적 감식에도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교육과정 실행에 반드시 요구되는 판단력과 문제해결력과도 관계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교사의 상상력 함양이 필수적임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significances of teachers` imagination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The result of review on imagination concepts and functions, teacher`s imagination was conceptualized including both intuition and concepts. Also teachers` imagination was characterized that have a representative function as mediation and integration capacity between intuition and concepts, and have a creative function connected with reflective judgmen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eachers` imagination including both representative and creative func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such as set up and give shape to an educational objectives, 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decided to form of contents, do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implement a planned curriculum. The results was suggested that we have to deepen and strengthen the promote effort of teachers` imagination in teachers` education.

      • KCI등재

        Simmel의 문화이론이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함의

        허영주 ( Hur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과정 접근방식들은 현대 문화의 질적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검토하고, Simmel의 문화이론이 대안적 접근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와 그 이점은 무엇인지를 논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논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의 질적 하락과 인간과 문화 간의 갈등 악화라는 현대문화의 흐름 속에서,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미학적 사고에 맞는 학습경험의 제공해야 할 뿐 아니라 문화적 고양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논하였다. 둘째, 그러나 객관주의적이고 중립적 진리관 위에 세워져 있는 모더니즘적 접근은 학생의 미학적 사고에 맞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다원주의에 기반을 둔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은 학생을 문화주체로서 양성하거나 학생 의식의 고양을 선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Simmel의 문화이론에 기반을 두고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면, 주체적 인간인 `문화인간`을 교육목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문화가치와 고유가치를 모두 포함하면서도 이 두 가치의 변증법적 통합을 통해 문화적 고양까지도 이끌 수 있는 교육내용 선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argue that Simmel`s culture theory can use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my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curriculum has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which are suitable to student`s esthetical thinking, and that it should be for the cultural uplift, when considering the current cultural trends that culture`s quality and conflicts between human and culture are worsening. Second, modernistic approach based on objective and neutral worldview cannot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suitable to student`s esthetical thinking. Also, post-modernistic perspectives on curriculum based on cultural pluralism cannot educate students as cultural subjects or cannot lead to the uplift of their culture consciousness. Third, it would be really better for us to develop curriculum based on Simmel`s culture theory. The reason is that the curriculum can set up educational goal to nurture a student to become a cultural subject as an independent human. And while including both of objective value and cultural value, the curriculum can select and organize contents to conduce to uplift of these culture consciousness by dialectical synthesis of both values into one.

      • KCI등재

        홀리스틱 관점에서의 죽음교육의 개선방향

        허영주(Hur Young Ju)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6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자아초월심리학의 의식발달과정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기존의 죽음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홀리스틱한 관점에서의 죽음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추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죽음교육과정 구성의 토대를 자아초월심리학의 의식발달단계와 구체적 내용 및 방법들에 둔다면 다음 세 가지의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자아초월심리학의 의식발달과정에 기반을 두고 죽음교육의 목적을 설정한다면, 전인성과 내재성, 관계성과 초월성(궁극성)을 모두 포함하는 교육목적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죽음교육의 목적이 지니는 지엽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둘째, 기존 죽음교육의 내용이 치중하고 있는 전인성 발달뿐 아니라 내재성, 관계성, 초월성의 세 단계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내실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내용들을 순환적이고 발전적이도록 계열화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확고한 신념의 확립을 통해 능동적 참여를 보장받을 수 있고 초월체험이나 명상 등 죽음을 자기초월로 승화할 수 있는 방법의 도입이 가능함으로써 논리적 설명이나 상상적 표현에 의존하고 있는 기존 죽음교육방법의 편협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자아초월심리학에 이론적 기반을 둔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peaks what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demands for holistic death education, has remedy for improve them by critical review of existing death education on the basis of its demand condition. As a result, I arrived at following three improve points through critical review of existing death education. First, if goals for death education set built on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can set an all-inclusive goal of whole, immanent, relational expansion, transcendence. So, holistic death education can improve lower-dimensional aims of existing death education. Second, when select contents for death education, contents must includes four levels. And contents for each four levels ensure internal stability. Also, its organization has with cyclical and creative growth. Third, if goals for death education set built on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can lead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 by them to have stern discipline, and can full use of methods as transcendental experience, contemplation. So, holistic death education can improve expressive form of language and sign, use visual symbol and image of existing death education. Consequentially, I propose that will develop and apply on death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it apply to all kinds of death education. And I propose that will make exhaustive study into its effectiveness verification.

      • KCI등재

        보편성과 개체성의 통합으로서의 Badiou 진리론이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함의

        허영주(Hur Young 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2

        이 연구는 Badiou의 진리론이 현재의 교육과정이론 및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기존의 지식체가 결여하고 있는 다수의 진리가 존재한다는 Badiou의 진리론은 보편성을 강조하는 객관적 진리론과 개체성을 강조하는 구성적 진리론을 보완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안정하지만 공백의 일자화된 지식이 교육내용이 되어야 할뿐 아니라 주체가 확신을 가지고 해석적 개입과 충실한 탐색을 통해 진리가 면모를 갖추게 해야 한다는 Badiou의 관점은 내용지향적 교육과정이론과 과정지향적 교육과정 이론을 통합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교육목적은 충실한 진리생성의 주체를 양성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이 기존의 지식체계인 백과사전적 지식을 풍부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그러나 예술, 과학, 정치, 사랑 등 사유 대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재편성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나아가 학습자들이 새로운 진리를 생성할 수 있는 충실한 탐색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식을 비교ㆍ분석ㆍ평가ㆍ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야 하는데, 이는 학습자의 존재 자체의 변용에까지 이르러야 하고 이해관계에 휘둘리지 않는 무심한 태도를 지니도록 도와야 한다. 그러나 Badiou 진리론의 교육과정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진리생성과정을 지지하고 돕는 또 다른 주체인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완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at Badiou’s true theory suggest to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urriculum studies, the theory of knowledge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Badiou’s truth theory as well as complementary connected up one is a viewpoint focusing on the universal and general aspects of knowledge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d particular aspects of knowledge, also link up content-oriented approach and process-oriented approach of curriculum theory. Second, his true theory proposed changes to curriculum design as follows. Education’ purpose is to cultivate people that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Contents is composed that knowledge of curriculum subject have a lot of existing pantology, and subject courses includes a five objects of thinking called art, science, politics, love. Also, aspect of method must be assisted that students possess explore abilities and disinterested attitude. But so as Badiou’s truth theory to applies curriculum design, is needed in-depth discussion about teacher’s role support that students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