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무주사에 의한 소나무류 주요 3해충의 효율적 방제

        이상명,이신혜,최광식,박남창,김철수,이동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소나무재선충병과 솔껍질깍지벌레, 솔잎혹파리는 소나무류에 큰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들이다. 이들 해충들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무주사가 있으나 각각의 해충 에 대한 방제약제와 나무주사 시기가 서로 다르다. 최근에는 이들 해충들의 피해가 동 일기주에 동시에 발생하고 있어 방제약제와 나무주사 시기를 달리 적용하고 있는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침투이행성이 높은 약제를 나무주사하여 동일기주에서 2종 이상의 해충(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솔껍질깍지벌레, 솔잎혹파리) 에 대한 동시방제 가능성을 검정하였다. 티아메톡삼 분산성액제(15%)와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20%)를 흉고직경 cm당 0.6ml씩 5월 초에 나무주사하여 65일 경과 후 솔수염하늘소를 가지에 접종하 여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치사율 100%를 보였으며, 접종된 가지에서는 섭식흔도 발견되지 않았다. 솔잎혹파리에 대한 방제가능성을 검정하기 위해 티아메톡삼 분산 성액제,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 아세타미프리드 액제(10%)를 5월 초에 소나 무를 대상으로 나무주사하여 솔잎혹파리의 충영형성과 충 폐사율을 조사한 결과 이 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와 아세타미프리드 분산성액제 처리구에서는 충영이 미 형성되어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티아메톡삼 분산성액제 처리구에서는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6월에 나무주사하여 솔껍질깍지벌레에 정 착약충의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00% 살충효과를 보였다.

      • 산림해충 방제용 발포식 나무주사제 연구

        홍진표,정훈성,장용오,박찬,김민준,김민주,전경진,김영권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산림해충의 방제를 위하여 수목의 잎에 약액을 살포하는 엽면살포 방법은 여러 차례 살포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살포되는 약액이 비산되어 작업자 또는 주변에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목에 천공을 하고 약액을 주사하는 나무주사제가 개발되었고, 엽면살포에 비해 빠른 약효, 비용의 절감과 약제 비산이 없어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무주사제는 수목 자체의 흡입력을 이용하는 중력식과, 주사기 내부에서 스프링 등으로 압력을 가하여 약액을 전달시키는 가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중력식은 약액의 주입이 너무 느리고 잔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가압식은 약액을 밀어내는 압력이 너무 높아서 나무주사제 외부로 샐 수 있어 약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 중인 중력식과 가압식 나무주사제를 보완하고자 발포식 나무주사제를 이용하였다. 발포식 나무주사제는 발포액의 반응을 통하여 약액을 3시간 내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약액을 끝까지 밀어주어 잔량이 남지 않고, 3년 가혹조건에서 발포 시 모두 양호하였다.

      • Control of the Vector Insect of Pinewood Nematode by Insecticide Trunk Injections

        Gun Hyung Kwon,Min Seop Lee,Jin Heung Lee,Yun Mi Jung,Sarker Souvic,Young Dae K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04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사용하여 예방적인 측면에서 이루어 졌다. 본 연구는 소나무에 살충제를 나무주사하여 약제를 소나무 전체에 침투 이행시킨 후 우화한 매개충이 후식하는 과정에서 약제가 포함된 신초를 섭식하게 되면 소화중독으로 교미 및 산란 전에 살충시킴으로서 매개충을 방제하고자 실시하였 다. 이러한 살충제 나무주사 방법은 신초를 후식하는 하늘소류만을 소화중독에 의해 살충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항공방제에 비해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살충제 나무주사에 가장 적합한 약제 선발을 위해 실내에서 Neonicotinoid계 살충제 7종을 각 2,000배로 희석한 후 솔수염하늘소에 2㎕를 경구투입하여 살충효과를 평가한 결과 Clotianidin SL, Thiamethoxam DC이 소화중독에 의한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들 살충제를 야외에서 소나무에 나무주사 후 가지에 망대를 설치하고 솔수염하늘소를 접종하여 살충력을 검정한 결과 Thiamethoxam DC가 살충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적용을 위해 잣나무림에 나무주사후 산란유인목을 설치하여 무처리구와 비교한 결과 살충제 나무주사 시험지의 산란유인목에서는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방제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나무주사제의 시인성(視認性) 개선과 소나무 해충 동시방제 연구

        조창섭,김민준,안희근,권용준,장용오,박윤주,엄정국,이종근,송재영,정영학,이상명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나무주사제의 약제처리 오류(중복처리 또는 천공 후 약제 미처리)로 인한 방제예산의 낭비를 방지하고, 나무주사1회 처리로 소나무재선충과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시인성 (視認性) 나무주사제(Acetamiprid+Emamectin benzoate SL)’의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시인성 확보를 위해 발색보조제를 첨가한 나무주사제는약제 처리 후 약 1개월간 약제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인성을 확보하였으며, 소나무 수체 내 약제의 전달력및 잔류성은 기존 제품(발색보조제무첨가) 대비 비등 이상이었다. 특히 2월~5월 사이에는 나무주사 시기에 관계없이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약효가 우화종료시기인 7월말까지 지속되므로 나무주사 1회 처리로 소나무재선충과 솔수염하늘소를 동시에 방제 가능하여, 솔수염하늘소 성충우화기에 수관처리하는 살충제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ntrol effect of the pinewood nematode vector by trunk injections using mixture pestcides

        Gun Hyung Kwon,Sang Tae Seo,Jin Heung Lee,Sarker Souvic,Min Seop Lee,Young Dae K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0

        소나무재선충병의 예방을 위하여 실시하는 예방나무주사는 소나무재선충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제방법이지만 매개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살선충제와 살충제가 혼합된 약제를 나무주사하여 소나무재선충병의 예방효과 뿐만 아니라 신초를 후식하는 하늘소류에 대해 소화중독에 의해 매개충살충까지 동시에 가능한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bamectin+Sulfoxaflor DC을 비롯한 3개 약종 2018년 3월 6일에 소나무에 나무주사 후 90여일 이 경과한 6월 5일에 소나무 가지에 망대를 설치하고 각 망대에 솔수염하늘소 1마리씩을 접종하여 7, 14, 21일의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나무주사된 3약종 모두 솔수염하늘소에 대하여 살충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잣나무림에 Abamectin+Sulfoxaflor DC를 나무주사 후 산란유인목을 설치하여 현장 실험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충에 의해 발생된 목설흔이 매우 적게 나타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나무주사제 방제지속기간 연구

        김민주,김민준,박찬,전경진,정형석,김미진,홍진표,장용오,조창섭,김영권,정영학,이상명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에 발생하는 산림병해충으로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이 새순을 갉아먹을 때 상처부위를 통하여 감염이 유발되고, 침입한 재선충은 소나무 내에서 빠르게 증식하여 양분 및 수분의 이동통로를 막아 시들어 죽게하는 병으로 소나무에 큰 피해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소나무재선충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함과 동시에 방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제방법으로 나무주사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나무주사 약제인 아바멕틴 1.8% EC,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 EC 등은 약효지속기간 2년 이내로 매 처리 간 천공에 의한 수목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회 나무주사로 긴 기간 동안 약효를 지속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1회 처리의 소나무재선충병 예방기간을 증가하기 위하여 밀베멕틴 2% EC 및 아세타미프리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10+6% SL 약제를 대상으로 표적해충에 대한 약효 검증 및 수체내 잔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밀베멕틴 2% EC의 경우 처리 5년차 까지, 아세타미프리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10+6% SL의 경우 처리 3년차까지 소나무재선충 방제효과가 100% 임을 확인하였다. 잔류성 시험에서 소나무 재선충 증식을 충분히 억제 할 수 있는 수준의 농도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해당 결과를 통해 기존약제 대비 소나무재선충병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예방 및 방제할 수 있으며 수목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약제의 잔효력을 지속 검정하여 1회 처리 최대 방제가능기간 설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살충제 나무주사를 이용한 솔수염하늘소 방제에 관한 연구

        권건형,이진흥,정윤미,오준식,이민섭,이근섭,권영대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확산 추세에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가 우화후 신초 후식과정에서살충제 수간주사에 의해 살충시킴으로서 교미 및 산란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살충제 수간주사방법은 신초를 후식하는 하늘소류만을 소화중독에 의해 살충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항공방제에 비해 환경에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시중에 나무주사 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Thiamethoxam DC을 비롯한 9개 약종을소나무에 나무주사 후 가지에 망대를 설치하고 각 망대에 솔수염하늘소 1마리씩을 접종하여 전 개체가 살충되는소요시간을 조사하였다. Thiamethoxam DC의 경우 약제가 충분히 확산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나무주사 후 50일경과된 시점에서 솔수염하늘소를 망대 접종한 결과 1.1±0.2일에 100% 살충이 이루어져 약제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 실연사업 결과 나무주사를 한 처리구에서는 산란유인목에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은것으로 보아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우리나라 산림토양에서 수집 된 방선균 균주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나무주사 효과

        이가영,권오경,이동운,이상명,임태헌,문일성,이창준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우리나라 산림토양으로부터 분리 된 방선균 균주로부터 소나무재선충에 대하 여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실내에서 선발한 후 실용성 평가를 위하여 곰솔에 대한 나무주사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선균은 액배양 된 방선균 배양여액 20% 첨가 현탁액에서 소나무재선충에 활성을 보였던 11개 균주를 이용하여 경남 진주의 소 나무재선충 발생지에서 10년생 이하의 곰솔을 대상으로 3월 4일에 나무주사를 하 고, 75일 뒤에 나무주사 한 공시목에서 가지를 절취한 뒤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증식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MS412균주와 SG9와 16균주에서 증식이 무처리 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후 6월 14일 각 나무주사목에 대하여 소나무재선충을 가지에 직접 접종한 후 고사진전율을 2개월 후 조사한 결과 SG16균주 접종처리에 서만 고사 되는 곰솔이 없었다.

      • 살충제 나무주사를 이용한 솔수염하늘소 방제 연구

        이대홍,서진원,최원석,오주환,최진석,김진,장철,김주경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소나무재선충병의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방제는 주로 항공방제나 지상방제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나무주사를 통하여 매개충(솔수염하늘소)을 방제하기 위한 연구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약제의 나무주사시 솔수염하늘소의 약효발현농도, 수목내 약제의 이동특성 및 치사율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실내 약효발현농도 시험에서는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모두 0.1ppm 이상의 농도에서 평균 6일 경과 후 100.0% 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야산에서 나무주사를 통하여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효과검토 결과,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DC 모두 처리 60일 후 90.9%의 치사율(가지섭식 14일 후 기준)을 나타내었으며, 죽지 않는 개체는 가지의 약제침투특성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수간주입 후 약효발현 시기와 수간주입 시 천공수에 따른 약효 및 잔류량 비교

        이상명,정영학,서상태,김동수,이동운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소나무재선충 예방 나무 주사제인 에마멕틴 벤조에이트의 수간 주입 후 시기별에 따른 약효와 나무주사 시 천공수에 따른 약효와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2월 중력식 나무주사시 소나무재선충 증식억제 효과는 수관 중부의 경우 7일차부터 나타났으나 상부에서는 21일차까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5월 가압식 주사의 경우 21일 이후 모든 수관부위에서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수간 주입 시 천공수는 소나무재선충 증식 억제 효과와 잔류량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