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호시대(江戶時代) 장기(長崎)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中國畵風)의 영향

        정은주 ( Jeong Eun-jo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6 No.-

        에도시대 長崎畵派는 나가사키에서 유행했던 중국화파 및 네덜란드계 서양화파를 총칭하며, 특정 양식을 가진 유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나가사키라는 해외 무역항의 특수성으로 인해 일본 재래 요소와 서양화풍, 중국화풍을 반영한 다채로운 화파가 존재하여 동일 화가의 작품 중에도 다양한 양식이 병존한다는 점이 長崎畵派의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대일본의 특수한 문화적 환경에서 발달한 長崎 회화는 일본 회화사에서도 독특한 위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長崎에서 회화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뉜다. 제1기는 1571년 개항에서 포르투갈인이 나가사키에서 추방된 1639년까지이다. 제2기는 포르투갈인의 추방 후 명 말기 전란을 피해일본으로 건너온 중국인이 증가하면서 黃檗宗 승려의 長崎 渡來로 당시 나가사키 회화에 新風을 몰고 온 시기이다. 제3기는 18세기에서 19세기 초 청조 중국화의 도입과 일본 막부 소속 唐繪目利職 화가의 활동이 두드러진 시기이다. 기독교의 포교를 목적으로 한 南蠻의 유화풍 성상화 제작이 활발하던 제1기를 제외하고, 1635년 이후부터 1854년까지 쇄국정책으로 나가사키에서만 중국과 네덜란드 2개국을 상대로 무역이 허용되면서 형성된 長崎畵派는 양국에서 유입된 새로운 회화 양식이다. 그중 중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화파는 黃檗派, 南?派, 南畵派, 唐繪目利派 등 4가지 화파이다. 唐繪라고도 불리는 이들 중국화파는 명청 회화의 영향이 농후하였고, 나가사키에 들어온 명말 청초 중국 이민사회가 만든 唐館(唐人屋敷)을 중심으로 회화 교류가 이루어졌다. 당관은 1689년 막부에서 설치한 청인 격리구역으로 명 말기 전란을 피해 나가사키로 이주한 중국인들, 상선을 통해 일정 기간 왕래하던 상인, 그리고 일본으로 건너온 황벽파 승려 등이 당관 내의 사찰에 거주하며 나가사키 화단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먼저 1642년 황벽승 逸然(1601~1668)이 渡日하여 그린 도석인물화를 비롯하여 이후 일본에 정착한 黃檗宗 승려들의 眞影을 중심으로 정면상과 두드러진 명암법을 특징으로 하는 황벽파 초상화의 신양식을 유행시켰다. 남화파는 1720년 伊孚九(1698~1747경)가 도일한것을 계기로 1734년 費漢源, 1786년 張秋穀, 1804년 江稼圃 등 중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온 소위 ‘渡日四大家’의 영향으로 나가사키에 유입된 남종산수화풍으로 일본 제자들에 의한산수화보 제작이 활발하였다. 또한 1731년 沈銓(1682~1762 이후)은 제자들과 일본에서 3년을 머물며 정밀한 채색 화조화를 위주로 ‘南?派’를 형성하여 에도시대 일본의 장식적 화조화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는 중국 서화를 감평하는 唐繪目利派의 화풍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나가사키 봉행소의 御用畵師의 역할을 겸하여 기물, 화훼, 鳥獸類 등 수입 物産을 寫眞的으로 사생하여 화조, 영모화의 사실주의적 화풍을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서구에 의한 강제 개방으로 일본의 유일한 무역항으로서 長崎의 특권이 소멸되면서 당관 제도와 長崎奉行所가 폐지되고 무역 형태도 큰 변화를 겪었으며, 나가사키를 통해 에도 화단에 미쳤던 중국 회화의 영향력도 급격히 쇠퇴하게 된다. Nagasaki was a unique trade port in the Edo Period. Often called “Nagasaki school” is a distinctive style of Chinese paintings through the influence of Obaku monks, other Chinese painters and Western painters in Nagasaki. Nagasaki painting styles, formed in its own culture under the Tokugawa shogunate, had a specific status in the history of Japanese painting. Obaku-syu school, Nanga school, Nanpin school and Kara-e Mekiki school were seriously affected by the Chinese painting styles introduced through Tojin yashiki (唐 人屋敷, Toukan 唐館 ) in Nagasaki. Because those paintings were influenced by the art of Ming-Qing Dynasty, they were called Karae and had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from the Kano school in Edo and Tosa school in Kyoto. After Iryeon (逸然 1601~1668) of Obaku-syu school (黃檗宗 one of the three leading Zen sects in Japan) came to Nagasaki in 1642, Obaku-syu school painted portraits of chief Buddhist monks and merchants. The portraits were described a new style with a front view and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shade. Nanga school (南畵 Southern painting or literati painting) refers to the Chinese painting of Southern school by Yi bugu, Bi Hanwon, Jang Chugok and Gang Gapo who came to Nagasaki from China. There were many Chinese paintings and woodcut books of the Southern school loaded on the ships for Nagasaki by Chinese merchants in Edo Period. Japanese painters were learned directly by above painters came over from China to Nagasaki and they made some woodcut books of Chinese painters. While Sim Jeon (沈銓 1682~after 1762, byname 南?) and his followers stayed in Nagasaki from 1731 to 1733, they taught Japanese painters. So-called Nanpin school painted a flowers and birds with detailed style and effects of color. It takes its name from Chinese painter Shen Nanpin (沈南?). Yuhi Kumashiro (熊代 熊斐 1712~1773)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and settle the Nanpin school in whole Japan, including Nagasaki. The Nagasaki school included official painters of Nagasaki Bugyo (長崎奉行), called Kara-e mekiki (唐繪目利), who were responsible for making copies of important Chinese works. They appraised the value of Chinese paintings and describe imported flowering plants, animals and products. The main objective of their paintings was not artistic value but detailed and realistic description. Some of Kara-e Mekiki school learned Western painting style from Western foreigners in Dejima, but most of their paintings looked closer Nanpin school than oil painting style. Nagasaki was shorn of its privileges as an exclusive port, while other ports of Japan were forced open by the Western power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hinese influence on Japanese paintings was dramatically reduced after Tojin yashiki and Nagasaki Bugyo were abolished in 1868.

      • KCI등재

        조선후기 조선・일본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윤유숙(Yusook Yoo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70 No.-

        본고는 동남아시아-일본-조선-중국을 포괄하는 교역 네트워크를 배경으로 하여, 조선후기 조일 관계에서 동남아시아 산물의 교역 실태를 검토한 것이다. 17세기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상황을 개관하고, 18・19세기의 교역에서는 수우각 무역의 추이를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조선시대에 수입되던 대표적인 동남아시아 산물은 수우각, 후추, 소목, 명반이다. 수우각은 공예품과 활의 재료로, 후추는 조미료나 약용으로, 소목과 명반은 각각 붉은 염료의 재료와 매염제로 사용되었다. 쓰시마는 나가사키에 내항하는 중국선과 네덜란드 선박으로부터 동남아시아산 물품을 구입하여 왜관으로 가져갔다. 또한 조선이 수입한 수우각・후추・소목은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초까지 약 1세기 동안 ‘세폐의 명목으로’ 중국으로도 유입되었다(동남아시아→나가사키→쓰시마→조선 왜관→중국 북경을 연결하는 물품의 이동로). 조선후기 조일무역에서 동남아시아 산물의 무역량이 최고를 기록한 시기는 17세기 말이다. 그러나 일본 국내의 산물이 아닌 만큼 쓰시마가 왜관무역에서 판매할 수 있는 수량은 나가사키 무역의 호황 정도에 따라 증감의 폭이 컸고, 품목에 따라서는 한 해의 교역량이 제로인 경우도 발생했다. 특히 군수물자였던 수우각은 조선에게는 매우 귀중한 수입품이었으나 이미 18세기 전반에 나가사키로 반입되는 양이 매우 불안정했다. 본고는 나가사키키키야쿠(長崎聞役)로 근무했던 마쓰우라 산지(松浦賛治)의 기록 등을 검토하여 해당 시기 나가사키에서 쓰시마가 수우각을 입수한 구체적인 정황을 소개했다. 1776년, 쓰시마와 조선 간의 개시무역이 단절되었다고 판단한 막부는 매년 금 12,000냥의 지원금을 쓰시마에게 하사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막부는 쓰시마가 향후 나가사키에서 개시무역용 무역품을 조달하는 것을 금지하고 관영무역에 필요한 물품의 수량을 보고하도록 했다. 이에 쓰시마는 관영무역에 필요한 동남아시아산 4대 산물의 물량을 필요 액수보다 훨씬 많은 ‘허위’의 액수로 막부에 신고했고, 막부는 이 액수를 인정했다. 18세기에 전개된 막부의 나가사키 무역 축소정책, 동남아시아 현지의 상황, 1799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해산 등으로 인해 18세기 이후 4대 산물의 나가사키 반입량은 현저하게 감소해 갔다. 후추, 소목, 명반의 경우 막말까지 관영무역의 정액만큼 조선에 수출되었으나, 수우각은 조일 간의 교섭을 거쳐 1832년부터 조선에 동(銅) 3,000근으로 대납하게 되었다. This study reviews the trade and consumption of commodities in late Joseon that were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via Japan based on a trade network encompassing Southeast Asia, Japan, Joseon, and China. The items Joseon commonly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were water buffalo horn, pepper, sappanwood, and alum. Water buffalo horn was used to make handicraft and bows, while pepper was used for cooking or medicinal purposes. Sappanwood was used to extract dye and alum was a mordant. These items were imported via the Ryuku Kingdom and Japa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but during the second half, they were only imported through the Tsushima Domain. The Tsushima Domain would acquire such items from Chinese or Dutch ships that visited Nagasaki, then bring them over to the Japanese guest house in Joseon called waegwan. The volume of Southeast Asian commodities traded between late Joseon and Japan peaked at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However, because the commodities weren’t produced in Japan, the amount the Tsushima Domain was able to bring to the waegwan in Joseon fluctuated heavily depending on how prosperous trade was at Nagasaki. This caused the trade of particular items to be nonexistent during certain years. In 1776, the Edo bakufu acknowledged the Tsushima Domain’s claim that its private trade with Joseon had become discontinued and decided to support the domain by granting 12,000 ryō in gold coins each year. The Bakufu also prohibited the domain from obtaining commodities at Nagasaki for private trade with Joseon and obligated the domain to report the volume of commodities necessary for public trade with the Joseon government. The Bakufu thereafter approved of the budget the Tsushima Domain submitted, although it was a false estimate that far exceeded the actual cost required to secure the amount of the aforementioned four Southeast Asian items necessary for public trade with the Joseon government. Nonetheless, beyond the eighteenth century, a significant drop occurred in the incoming volume of these four items at Nagasaki due to the Bakufu policy to downscale trade at the port as well as the Dutch East India Company’s dissolution in 1799. Until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Tsushima Domain was able to deliver the amount of pepper, sappanwood, and alum it promised to procure for Joseon. However, it failed to do so with water buffalo horn because of a sharp drop in its supply through Nagasaki so that in 1832, the domain paid Joseon 3,968 pounds (3,000 geun) of copper instead.

      • KCI등재

        사회적 차별과 서벌턴(나가사키 피폭자) — 가톨릭 신자 나가이 다카시(永井隆)의 『나가사키의 종(長崎の鐘)을 중심으로 —

        오성숙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1 일본사상 Vol.- No.41

        본 논문은 가톨릭 신자 나가이 다카시의 『나가사키의 종』을 중심으로 나가사키에서 소외된 서벌턴 우라카미 피폭자의 사회적 차별과 그 대항 담론을 논한 것이다.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원폭 투하는 75년 생존불능설이 만연한 가운데, ‘우라카미 번쩍 쾅’이라는 우라카미 지역에 대한 이중적 차별을 낳고 있었다. 우라카미는 탄압과 박해를 받은 전통적 기리시탄과 피차별 부락민의 지역으로, 이러한 사실로부터 사회적 차별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이에 원폭 체험이 더해지면서 ‘천벌’이라는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고, 피폭자들은 침묵하게 된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 다카시의 『나가사키의 종』은 신의 섭리, 신의 은총, 일명 우라카미 번제설을 피력하며 피폭사한 기리시탄의 후예의 ‘천벌’에 대한 대항 담론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신의 섭리는 피폭사한 가족들을 위로하기 위한 종교적 담론이지만 의도와는 상관없이 미국의 전쟁책임, 원폭 투하책임, 그리고 원폭 투하의 정당성을 제공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여기에서도 기리시탄에서 배교한 피차별 부락민은 소외되고 있었다. 나가사키의 피폭자에 대한 이중의 사회적 차별은 침묵을 강요하고 있었다. 그러한 가운데 서벌턴적 상황에 대한 증언자들은 살아남은 자의 책무, 사명을 깨닫고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되는 전쟁, 원폭, 차별에 목소리를 내고 있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A-bomb victims in subaltern Urakami alienated from Nagasaki and its counter discourse, around 『The Bells of Nagasaki』written by Takashi Nagai, a Catholic believer. In Aug., 09, 1945, the atomic bombing of Nagasaki resulted in dual discrimination as 'bang with a flash in Urakami' in the Uramaki area, where the theory of inviability for 75 years was prevalent in 1975. In Urakami, the area consisting of the traditional Kirishitan and Burakumin subjecting to discrimination, where suffered from oppression and persecution, there had been already social discrimination caused by the presence of such groups. The addition of the atomic bombing experience shaped the social discourse of 'divine punishment', while A-bomb victims held their tongues. 『The Bells of Nagasaki』 of Dakasi, a devotional Catholic believer, forms a counter discourse against the 'divine punishment' for descendents of Kirishitan who were killed by the atomic bomb, expressing divine providence and bless, and so-called Urakami holocaust theory. Although such divine providence is a religious discourse for consoling families who were killed by the atomic bomb,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it justified the American responsibility for war, the responsibility for atomic bombing and the atomic bombing, regardless of its original intention. Such dual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A-bomb victims in Nagasaki forced them to held their tongues. Meanwhile, people who testified the subaltern situation made their voices about war, atomic bombing and discrimination, which should never occur, after realizing survivors' responsibility and mission.

      • KCI등재

        조선후기 표해록(漂海錄)에 담겨진 일본 관련 지식정보 - 나가사키를 통해 유입된 정보를 중심으로 -

        최영화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5 No.-

        본고는 조선후기 표해록을 대상으로, 일본에 표류했던 조선인을 통해 조선에 유입된 일본발 지식정보, 특히 나가사키를 통해 유입된 지식정보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나가사키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있는 기록인 『해외문견록(海外聞見錄)』, 『탐라문견록(耽羅聞見錄)』, 풍계현정의 『일본표해록(日本漂海錄)』, 이종덕의 『표해록(漂海錄)』 등 자료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3장에서는 조선 표류민들의 일본 체류 과정에서 일본발 지식정보의 매개자로서 조선어통사들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조선 표류민들의 나가사키 견문과 나가사키를 통해 유입된 해외 지식정보들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1) 나가사키를 통해 입수한 서양 정보, (2) 일본의 국제무역에 대한 정보, (3) 해외 선박제도, (4) 일본의 군사 동향과 정치외교 동향에 대한 정보 등 네 갈래로 귀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records of drifting written in late Chosun and examine Japan’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roduced to Chosun through Chosun people drifting in Japan, particularly those introduced from Nagasaki. In Chapter 2, 『Haeoemungyeonrok (海外聞見錄)』, 『Tamramungyeonrok (耽羅聞見錄)』, Punggye Hyeonjeong’s 『Records of Drifting in Japan(日本漂海錄)』, and Lee Jong-deok’s 『Records of Drifting(漂海錄)』 are examined generally as records describing Nagasaki in detail, and in Chapter 3, Korean interpreters’ roles are studied as mediators for Japan’s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le drifting people from Chosun were staying in Japan. In Chapter 4, this researcher investigates drifting people’s experiences in Nagasaki and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roduced from Nagasaki and also conducts inductive analysis in four parts: (1) information about the West transmitted from Nagasaki, (2) information about international trade in Japan, (3) overseas’ vessel systems, and (4) information about military trends and political and diplomatic trends in Japan.

      • KCI등재

        平和都市としての長崎構築のための岡正治の実践(1) - 『原爆と朝鮮人』(1982~1991)と長崎忠魂碑訴訟(1982)を中心に -

        朴修鏡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6 No.-

        원폭도시, 나가사키는 소위 ‘기도하는 나가사키’라고 불려, 원폭에 대한 태도가 수동적이며, 수인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로컬리티의 배경에는 나가이 타가시(1908-1951)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러한 나가사키의 로컬리티를 바꿀 수 있는 대안으로서 거론할 수 있는 인물에는 오카 마사하루(1918~1994)가 존재한다. 그는 시의원, 시민운동가, 나가사키충혼비위헌소송의 제기자로서 소개할 수가 있는데, 태평양전쟁 대, 제국 일본이 조선인이나 중국인에게 범한 범죄를 속죄의식으로 많은 실천적 평화운동을 행하였다.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 1982년부터 1991년까지의 『원폭과 조선인』(제1집~제5집)과 1982년 일으킨 나가사키충혼비소송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원폭과 조선인』은 인적자원으로서 취급당하던 조선인에 대한 구술증언조사를 행하여, 그들을 물건이 아닌 인간으로 복원한 것과 조선인에 대한 거짓 증언까지 수집하여 역사의 왜곡과 은폐를 기한 인물들까지 기록한 것을 명확히 하였다. 한편, 충혼비위헌소송이 원고인 오카마사하루의 사망으로 재판은 급작스럽게 종료되지만, 그가 그 소송을 일으킨 것으로 충혼비에 국가가 관여하는 것은 정교분리의 위반과 종교의 자유가 저해되는 행위로서 위헌의 가능성이 있음을 사회에 알리는 결과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Nagasaki, known as the city on which the atomic bomb was dropped, is also known by the name “Praying Nagasaki” and shows passive and beneficial actions towards the bombing. In this local background lies Nagai Takashi (1908-1951), but the one who can change this locality is Oka Masaharu (1918-1994). He was a member of the city council, a civic activist, and a plaintiff of the violation of the “Nagasaki Lawsuit against the outgoing for Imperial War Dead Memorials.” He conducted many peace demonstrations as atonement to the crime the Japanese Empire committed on Korean and Chinese people. This study especially deals with “Atomic Bombing and Korean People” Volume 1 to 5 (1982-1991) and “Nagasaki Lawsuit against the outgoing for Imperial War Dead Memorials” from 1982. As a result, from the oral testimonies and interviews in “Atomic Bombing and Korean People” of Korean people who were treated as human resources, it was made clear that there were historical distortions and concealment and false testimonies toward Korean people such as how they were falsely restored their manpower and not considered as “objects.” Meanwhile, the lawsuit on the violation of the memorial unexpectedly closed due to Oka Masaharu’s death, but the lawsuit was enough to alert society that if the national government were to take part in memorial actions, this would be in contravention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followed by a likely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

        長崎「海軍」伝習における幕臣随行者の学習実態

        金蓮玉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5

        막부 말기 막부의 대표적인 개항 개혁 정책의 하나였던 나가사키 ‘해군’ 전습은 네덜란드 교관을 나가사키로 초빙하여 약 3년 반(1855.11~1859.3) 동안 시행되었다. 일본 근대화 작업의 효시라는 측면에서 역사적 의의가 높게 평가되어 왔는데, 언급 되는 비중에 비하면 실증적인 연구는 불충분한 편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실태 규명 이 미진했던 이른바 ‘청강생’의 한 부류인 막부 정식 참가자의 수행원 사례에 포커 스를 맞추어 그들의 실제 학습실태와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새로운 미간 행 사료들을 대거 활용함으로써 연구사적 의의와 차별성을 두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참가자들의 학습 실상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구현하였 다. 수행원 대부분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비정규생인 채로 다양한 공부모임 속에 ‘청 강생’으로 참여하거나 또는 노트를 빌려 필사하는 형태의 간접적인 학습 경험이 주 된 실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로서는 최첨단의 ‘선진학문’을 접할 수 있었던 나가사키 유학 경험은 그 자체로 참가자 개인에게 ‘캐리어 업’의 찬스를 제공했다. 예를 들면, 사노 카나에(佐野鼎)는 나가사키 체재 경험이 평가를 받아 가가번(加賀藩)의 포술사 범으로 취직할 수 있었다. 또한 사토 요노스케(佐藤与之助) 역시 나가사키에서 5년 간 ‘난학수행(蘭学修行)’에 힘쓴 점이 평가되어 군함조련소에서 번역 업무를 돕는 직책을 맡게 되었던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actual situation and activity analysis of 14 Shogunate attendants in the Nagasaki “Navy” training(1855-1859). This topic has been highly evaluated for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beginning of Japanese modernization work, but empirical resear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weight mentioned. The present study has secured the significance and differentiation of research history by using many new unpublished materials. A thorough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ce of participating in the Nagasaki training for the dispatched individuals was one aspect of creating a career advancement. For example, Sano Kanae(佐野鼎) established his career in Nagasaki and was employed as a gunnery instructor of the Kaga domain. Sato Yonosuke(佐藤与之助) was also highly praised for his efforts in “Rangaku training” for five years in Nagasaki, and was recommended as a Translator of Dutch books for the warship training center. Nagasaki Yugaku was evaluated favorably at the time of his employment in Nagasaki, which was the most advanced place to offer superior training on new technologies, rather than the form of regular and non-regular training.

      • KCI등재

        나가사키(長崎)의 데지마(出島)와 난학(蘭學)에 대한 고찰

        김활란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3

        나가사키의 데지마는 아주 작은 인공섬에 불과했지만, 이곳을 통해 유입된 서양문명은 일본근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에도막부는 쇄 국정책을 펴면서도 유일하게 네덜란드와의 교역은 허락하였다. 그러나 네덜란드인의 기독교 포교 활동을 막기 위해 나가사키에 데지마라는 인공섬을 만들어 그곳에 한정하여 체류하게 하였다. 네덜란드와는 1641년부터 개국 때까지 218년간 교역하면서 서양의 근대문명을 받아 들이고 그들을 통해 세계정세 또한 파악하고 있었다. 데지마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이들은 오란다통사들이었 다. 오란다통사들은 무역, 해외 정보의 입수, 데지마 관리에 관계되는 다양한 업무를 맡았다. 오란다통사 중에는 천문학이나 의학을 배워서 해부학 서적을 번역하거나 일본 최초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소개 하는 자도 있었다. 데지마를 통해 들어온 새로운 서양 학문인 난학을 접한 일본인들은 의학 분야를 시작으로 난학 열풍이 불었다. 난학을 배우기 위해 전국 에서 나가사키로 모여들었다. 이러한 나가사키의 난학 열풍은 점차 일 본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네덜란드어와 난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2.000명이 넘었다. 독일 출신의 네덜란드 상관 주치의로 데지마에 파견된 시볼트는 일 본 근대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나가사키에 학원을 세워 일본인 제자들에게 유럽 첨단 의학과 과학을 가르쳤다. 임상의학을 중시했던 그는 직접 수술을 집도하며 제자들에게 실질적인 서양 의술을 배울 수 있게 하였다. 그에게 의학을 배운 제자들은 일본 서양 의술의 주축이 되었다. 난학은 메이지 유신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메이지 정부는 난학을 통해 세계정세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어 근대화 정책에 반영하였다.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일본이 일찍 근대화에 성공한 비결은 200년 넘 게 쇄국을 하면서도 한 편으로는 데지마라는 통로를 열어두고 서양문 명을 받아들이면서 세계정세 또한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1870년대 일본 기록에 나타난 울릉도 개척 청원과 나가사키현

        박한민 동북아역사재단 2022 영토해양연구 Vol.23 No.-

        This article focuses on Nagasaki, Japan, which was a treaty port connecting Shanghai in Qing China and Vladivostok in Russia, and reviews the records and official documents left by people related to the region. Attention was paid to Sewaki Hisato (瀨脇壽人), Trade Officer of Vladivostok, Kitashima Hidetomo(北島秀朝), the governor of Nagasaki Prefecture (長崎縣令) and Hanabusa Yoshimoto(花房義質), Japanese Chargé d’affaires in Joseon. Sewaki witnessed Ulleungdo, then called “Matsushima(松島),” on a ship bound for Vladivostok. While interacting with Muto Heigaku(武藤平學) and Kim Inseung(金麟昇), he solidified the idea of pioneering Ulleungdo and continuously proposed his idea to the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Gaimusho), Terashima Munenori(寺島宗則). Kitashima contacted Sewaki and obtained information about Ulleungdo, and asked the Japanese Home Ministry(Naimusho) to develop the island. In his plan for developing “Matsushima,” the intention of Nagasaki Prefecture to preoccupy profits from the development is well shown. Okubo Toshimichi(大久保利通), the Home Minister, mentioned that he had notified Shimane Prefecture of the Taijokan (太政官)’s decision about the demarcation of boundarie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in 1877, and replied that Nagasaki Prefecture should follow the decision. It is important that the Japanese Home Minister confirmed to the local government in an official document that it had defined the country’s territorial boundaries to Shimane Prefecture and other regions. The person who obtained the document regarding Kitashima and Okubo when he stopped by Nagasaki was Hanabusa, who was in charge of negoti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treaty port after having crossed to Joseon at that time. The fact that an official document specifying the decision of the Home Ministry was immediately made available suggests that this information may had been shared withi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이 글에서는 청국 상하이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기항지였던 일본 나가사키에 주목하여 이 지역과 관련된 인물들이 남긴 기록과공문서를 검토한다. 여기서 주목한 인물은 블라디보스토크 무역사무관 세와키 히사토(瀨脇壽人), 나가사키현령 기타시마 히데토모(北島秀朝), 조선 대리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이다. 세와키는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선박에서 당시 ‘송도’라고 불리던 울릉도를 목격하였다. 그는 무토 헤이가쿠 , 김인승과 교류하는 가운데 울릉도를 개척해야 한다는 생각을 굳히고, 외무경 데라지마 무네노리에게 지속적으로 개척을 건의하였다. 기타시마는 세와키와 연락을 주고받으며 ‘송도’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내무성에 ‘송도’ 개척을 문의하였다. 그가 구상한 ‘송도’ 개척 계획에는 나가사키현이 주도하여 개발 이익을 선점하려는 의도가 잘 드러나고 있다. 내무경 오쿠보 도시미치는 태정관지령을 시마네현에 통보하였다는 사실을 거론하며이, 렇게결정한 취지를 나가사키현도 잘 알고 마땅히 따라야 한다고 회답하였다. 태정관에서 자국의 판도를 정한 결정이 시마네현을 비롯하여 다른 지역에도적용된다는 사실을 내무경이 공문을 통해 지방관에게 확인해 준 문서란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나가사키에 들렀을 때 이 공문을 입수한 자는 당 시조선에 건너가 새로 개항장을 설정하는 교섭을 담당하였던 하나부사였다 . 내무성 결정사항이 담긴 공문을 외무성 관리가 바로 입수하였다는 점은 외무성 내에서도 이 내용을 공유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근세 일본의 한어통사와 당통사에 관한 일고찰

        윤정희,이경규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9

        본고에서는 근세 일본에 있어서 대마도 한어통사와 나가사키 당통사의 성격을 파악하고, 당시 이들 통사들의 한어학습와 당화학습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한어통사는 60인 상인 출신으로 통역과 외교무역을 겸했으며 세습되었다. 그들은 가정학습 이외에도 통사로서의 자질을 키우기 위해 전문통사로 육성되거나 조선관련 업무를 맡는 등 번 재정에도 기여하였다. 둘째, 당통사는 일본으로 귀화한 중국인만 임명되었는데, 그들은 통역과 외교무역 이외에 당인들의 생활 전반을 관리, 통제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셋째, 한어통사와 당통사는 모두 세습되었으며 무역업무와 통역업무를 통해 엄청난 명예와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넷째, 대마도의 조선무역은 무역의 주도권을 대마도주에게 일임하였으나 나가사키의 당함무역은 막부 산하의 봉행소의 관할하에 이루어졌다. 또한 한어통사는 대마도인, 즉 일본인 계통으로 세습되었지만, 당통사는 중국인으로부터 일본인 모계세습을 통해 일본사회에 융화되었다. 다섯째, 한어통사의 자제는 외국어로서의 한어를 습득하기 위해 한어사와 같은 집단학습이 이루어졌지만, 당통사의 자제는 모국어인 당화를 구사하는 부모로부터 가전되는 자료로 가정 내에서 개별학습으로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근세 일본에 있어서 대마도 한어통사와 나가사키 당통사 육성을 위한 당시의 교육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금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This paper explore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both 「Korean interpreters (韓語通士)」 in Tsushima (大馬道) and 「Chinese interpreters (唐語通士)」 in Nagasaki in modern Japan and the manners in which they have been then professionally educated and trained for the respective languages and cultures concerned. Firstly, as the members of 「the Sixty-Merchants Association」, Korean interpreters have been responsible for foreign trades as well as interpretations and their duties have been traditionally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ot only has the education for Korean been conducted for them within their family circles, but they have also been intensively fostered to become professional interpreters or have taken up Chosun-associated duties, all of which have been aimed at polishing and improving their capabilities as professional interpreters. Secondly, Chinese interpreter as an occupation has been qualified and appointed only to the Chinese people who be came naturalized as Japanese. As well as for interpretations and foreign trades, Chinese interpreters have been responsible for taking care of and controlling the over all lives of Chinese expatriate living in Japan. Thirdly, both Korean and Chinese interpreters have been perceived traditionally as hereditary occupations and they could gain enormous amounts of wealth and honour through interpretations and foreign trades. Fourthly, the Tsushima state has been given all the trade initiatives to its foreign trades to Chosun by the Shogunate, where as the Nagasaki state’s foreign trades to the Qing Dynasties of China have been controlled by 「the magistrate’s office(奉行所)」 subordinate to the Shogunate. Lastly, while off springs of Korean interpreters have been given historically contextual and integrated ways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hrough which to learn it as a foreign language, those of Chinese interpreters have been educated rather privately within their family circles by relying primarily on sources inherited from their Chinese-speaking parents. Apart from them, I also feel as a future research subject in question the necessity for further empirical researches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systems and programmes of professionally training and fostering Korean interpreters in Tsushima and Chinese interpreters in Nagasaki in modern Japan.

      • KCI등재

        일본 江戶時代의 海難救助 정책과 ‘4개의 창구’에 대한 고찰

        신동규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8

        본고는 일본 에도막부 개창부터 개항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쿠로후네의 출현 이전까지 중국·조선·류큐·네덜란드 선박의 해난사고를 소재로 삼아 어떠한 체제 속에서 해난구조가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이들 외국선박에 대한 해난구조의 처리규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해난구조가 에도시대의 외교창구로서 이른바 ‘4개의 창구’와 어떠한 상관관계 속에서 기능하고 있었는가를 고찰한 것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도시대의 외국 선박들에 대한 해난사고의 대처 및 처리에 대한 규정은 막부가 대외통제책으로서 이른바 ‘鎖國’ 정책을 강화해나갔던 시기인 1635년부터 나가사키 중심의 해난구조 체제화가 정착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전부터 일부 해난 사례에 의하면 나가사키로의 이송이 이루어지고는 있었지만, 관례는 아니었고 본고에서 밝혔듯이 1635년 막부의 지시에 의해 일반적 규정으로 정착되었다. 둘째, 막부의 외국 선박에 대한 해난구조의 나가사키 체제화는 막부의 그리스도교 금교정책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1637년 ‘시마바라·아마쿠사의 난’이라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한 봉기 이후, 1639년에 제대명에게 내린 지시에 보이듯이 의심스러운 선박에 대한 철저한 조사, 그리고 이들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들의 상륙금지와 나가사키 호송 등을 지시한 것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당시 외국 선박에 대한 해난구조의 대상에서 그리스도교 관련 선박은 제외되었고, 이것으로부터 해난구조의 대상은 막부가 인정한 국가들뿐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본고에서 살펴본 해난구조의 조치와 사례들을 종합해 볼 때, 외국선박들에 대한 해난구조의 기본방침은 17-18세기 막부의 국제관계의 형성에 중요한 토대를 부여해주고 있었던 이른바 ‘4개의 창구’에 의한 대외관계 규정에 따라 설정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즉, ‘4개의 창구’로서 우선 중국 선박과 네덜란드 선박은 나가사키 창구, 조선 선박은 츠시마 창구, 류큐 선박은 사츠마 창구를 거점으로 삼아 표류민 등의 송환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에도시대 대외관계 구조적 시스템이었던 '4개의 창구'가 해난구조의 기본적인 시스템으로 기능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넷째, 에도시대 해난구조의 시스템이 ‘通信國’과 ‘通商國’에 준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국가는 안전과 송환이 보장되고 있었으나, 그 이외의 국가에 대해서는 안정이 보장되지 않았고, 오히려 그리스도교 금교정책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특히, ‘通信國’이었던 조선과 류큐에 대해서는 ‘신의를 통하는 국가’로서 구조비용에 대한 부담이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되지는 않았으나, ‘通商國’이었던 중국선박과 네덜란드선박에 대해서는 구조에 들었던 예인선 등의 비용을 부담시키고 있었다. 한편, ‘通信國’과 ‘通商國’에 준한 해난구조 역시 ‘通信國(조선)’은 츠시마 창구와 사츠마 창구에서, ‘通商國(네덜란드․중국)’은 나가사키 창구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해난구조의 기본적인 시스템으로 '4개의 창구'가 기능하고 있었다고 하는 것을 입증해주는 또 다른 근거이기도 했다. This article considered how marine rescue was made under certain system regarding marine accident of Chinese, Josun(朝鮮) Dynasty's, Ryukyu(琉球)'s, and Dutch ships before the appearance of Kurohune(黑船) which can be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of port opening from the beginning of Edo Bakuhu(江戶幕府), Japan as materials, what were the regulations about marine rescue of foreign ships, and how such marine rescue functioned under certain correlation with so-called '4 diplomatic windows(四つの口)' as diplomatic places of Edo era. The summary of this is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 about dealing and managing of marine accident to foreign ships in Edo era was started to be settled in systematization of marine rescue centering on Nagasaki since 1635 when Bakuhu reinforced so-called 'seclusion' policy(鎖國政策) as a foreign restriction policy. Of course, according to the cases of some marine accidents before, the foreign ships were transferred to Nagasaki(長崎) but it was not the usage and only was settled as general regulation by the order of Bakuhu in 1635 as revealed in this article. Second, Nagasaki systematization of marine rescue to foreign ships by Bakuhu was made with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Christianity prohibition policy of Bakuhu. This can be verified from strict examination to suspicious ships as seen at the order to Daimyo in 1963 and from the order of prohibiting the landing of foreign ships' crews and of convoying to Nagasaki after the uprising centering on christians which was known as 'revolt of Shimabara(島原) and Amakusa(天草)' in 1637. In such aspect, it is evaluated that christian related ships were excluded in the subjects of marine rescue to foreign ships and only the ships of nations admitted by Bakuhu were rescued. Third, when summarizing managements and cases of marine rescues searched at this article, basic policy of marine rescue to foreign ships was set according to the foreign relationship policy by so-called '4 diplomatic windows' which made an important base to the formation of Bakuhu's international relationships. That is, as '4 diplomatic windows', repatriation of castaways making as a stronghold to Nagasaki for Chinese and Dutch ships, Tsushima(對馬) for Josun ships, and Satsuma(薩摩) for Ryukyu. This proves that '4 diplomatic windows' which was a structural system of foreign relationship in Edo era functioned as a basic system of marine rescue. Fourth, marine rescue system in Edo era was managed according to the policies of 'trust exchanging countries' and 'trading countries'. These countries were secured their ships' safety and repatriation but to the other countries, safety was not guaranteed and rather they were the subjects of Christianity prohibition policy. In particular, to Josun and Ryukyu which were 'trust exchanging country', rescue costs were not an important matter, but to the ships of China and Netherlands which were 'trading country', the costs of tugboat for rescue were charged to them. While because marine rescue according to the policies of 'trust exchanging countries' and 'trading countries' was made at Tsushima and Satsuma for 'trust exchanging country(Josun)' and at Nagasaki for 'trading country(China, Netherlands)', it was another proof that as a basic system of marine rescue, '4 diplomatic windows' was func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