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석학과 문학치료학의 융합 가능성에 대한 고찰- 꿈 분석 실천과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김서영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9 No.-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대중 치유를 위한 가장 실천적인 저서는 꿈의 해석 이다. 꿈의 해석을 통해 의식과 무의식을 융합하고, 이드, 자아, 초자아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며, 소원의 길을 걷는 여정은 정신분석학적 치유 과정의 중심이지만, 그 방법론은 압축, 전치, 이미지화라는 다소 추상적인 이론으로 설명된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은 꿈 분석의 체계와 방법론을 구체화하고 체계화하는 데 필수적인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서사이론은 꿈에 나타난 작품서사를 치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꿈꾼 이가 작품서사를 전개하는 방식을 통해 그의 자기서사가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틀이 갖춰진다면, 정신분석의 치유 효과는 증폭될 수 있을 것이며, 대중을 위한 더욱 강력한 실천이론으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문학치료학의 실천 영역에서도 꿈은 상담사가 내담자의 자기서사를 이해하고 그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다. 또한 초기 꿈에 나타난 자기서사와 이후 꿈에 언급되는 작품서사를 통해 상담사는 내담자의 무의식이 작동하는 방식과 지향을 추적할 수 있다. 꿈은 새로운 작품서사와의 접속이 어떻게 내담자의 무의식을 움직이고 있는지 알려주며, 작품서사의 어떤 지점에서 자기서사의 변화가 유발되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표상들을 제시할 수 있다. 꿈의 해석은 표상의 분석으로 시작되는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표상은 ‘내면의 문학’으로 간주할 수 있는 분석의 중심 요소로서, 어떤 표상에 주목하여 분석을 진행하는가에 따라 꿈은 다양한 서사의 분기점(分岐點)과 각 갈림길에 대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제시할 수 있다. 꿈을 통해 내담자는 현실에서는 가보지 못했던 길에 들어설 수 있으며 새로운 현실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지속되는 반복을 극복하고 새로운 선택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새롭게 해석하는 시도로서, 그 중심을 성 이론에서 꿈의 해석으로 이동시킨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거세 공포, 리비도 발달 단계 등의 성 이론을 보편적으로 적용할 때 다양한 자기서사의 탐색은 불가능하며, 이 경우 개별적인 사연과 개인의 특별한 경험은 분석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다. 정신분석학의 근본정신은 개별적인 이야기에 주목하여 ‘한 사람을 위한 분석’을 제시하는 것이며, 성 이론이라는 보편적 틀을 적용하고 단일한 방향성 속에서 하나의 정답을 지정하는 것은 이러한 개별성과 대치되는 방법론이다. 꿈 분석의 실천 속에서 문학치료학과 정신분석학이 연대한다면, 작품서사를 통해 꿈에 길이 제시되고, 꿈이 드러내는 새로운 표상 속에서 내담자는 자기서사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정신분석학의 꿈 분석이 문학치료 과정의 일부가 되고,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가 꿈을 분석하는 이론 틀이 될 수 있길 꿈꾸며, 이와 같은 연대의 희망 속에서 꿈 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Dream analysis is the most powerful therapeutic tool of psychoanalysis. Freud’s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is placed at the center of his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to the human mind, and is the very reservoir of all of the essential elements in psychoanalysis. However,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dreams by tracing the ideas in the process of condensation, displacement, and visualization is simple and abstract. Literary therapy and the theory of the story-in-depth can offer a way to elaborate the psychoanalytic methodology of dream analysis. A dream is a place where one can observe the changes of the story-in-depth of the self in the process in which a new story-in-depth of the text is integrated. Dreamers use the material of the story they have read and understood to create their dreams. Consequently, the dream changes according to the state of mind of the dreamer. In psychoanalysis, dream analysis begins with analyzing the central idea depicted in the dream, which can be regarded as an internal story-in-depth. Different ideas can lead to various ways to develop each story-in-depth. Thus, dreams can be an experimental field to test the possibilities of the plausible paths of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s to systematize the psychoanalytic dream analysis with the help of literary therapy and aims at supplying the tool of dream analysis as a method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ory-in-depth of the client. This can eventually offer us a more powerful therapeutic basis for both theories.

      • 꿈 생성 조건으로서의 수면상태와 분석카우치

        이세형 ( Lee Se Hyoung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꿈 이론 중에서 꿈 생성 조건으로서 수면상태가 만들어내는 퇴행의 과정 혹은 퇴행의 해석학을 다룬다. 동시에 분석상황에서 분석 카우치의 자리가 꿈에서의 수면상태와 상응하는 기능을 하는 점에 주목하여 수면상태와 분석 카우치가 꿈 형성 곧 분석세팅의 생성 조건임을 밝힌다. 아울러 현대 정신분석에서 꿈 분석의 중요성이 간과된 것은 수면과 꿈에서의 퇴행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한 결과이며 꿈 분석에 대한 훈련의 부족임을 밝힌다. 꿈 형성이 퇴행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은 수면이라는 독특한 환경 때문이다. 수면은 수면에 드는 것과 수면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의 움직임은 분석가의 이중적 기능으로 이어진다. 분석가는 꿈과 수면에 들게 하는 자이면서 동시에 꿈과 수면을 깨우는 자이다. 분석가는 환자와 함께 꿈과 수면에 함께 드는 자이고 더 적극적으로는 환자로 하여금 잠을 잘 수 있는 능력과 꿈을 꿀 수 있는 능력을 회복시키는 자이다. 동시에 분석가는 카우치에서 자유연상을 통해 꿈 작업을 풀어가게 함으로써 환자와 함께 깊은 퇴행의 여정을 떠날 수 있는 자이다. 그리고 마침내는 환자와 함께 퇴행의 여정에서 과거로부터 무의식으로부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보상을 얻어 꿈과 카우치에서 깨어나는 자이다. 수면과 꿈은 우리를 퇴행으로 안내하여 무의식에 접속하게 하지만 경계를 가지고 있어 안전한 자리이다. 프로이트의 꿈과 수면에 소개된 퇴행의 여정이 지형학적인 모델에서 소개된 것이라고 해서 현대 정신분석이 간과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꿈과 수면에서 퇴행의 여정은 우리를 창조성의 자리로 안내하는 엄마의 품으로의 여정이다. 퇴행은 돌아감으로 다시 되돌려지는 재탄생의 여정이다. 정신분석이 새로운 분화를 계속한다 해도 꿈 형성에서 퇴행의 여정은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이 더해질 뿐 간과되어야 할 영역이 아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r analytics of the regression brought on by the sleeping state, a condition of dream-formation from Sigmund Freud’s dream theor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analytical couch in the analytical situation with the sleeping state while dreaming, thereby revealing the sleeping state and the analytical couch as conditions for the building of the analytical setting. In addition, this paper will reveal that the importance of dream analysis has been overlooked in modern psychoanalysis resulting from the importance of the regression of sleep and dreams being ignored, along with the lack of training for dream analysis. The unique environment that is sleep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leep includes the processes of falling asleep and waking from sleep. Such dual movements are continued into the analyst’s dual functions. The analyst is both the one who induces and awakens people from dreams and sleep. The analyst joins the patient to dream and fall asleep together, and assertively helps the patient to recover the abilities of a good night’s sleep and being able to dream once more. At the same time, the analyst utilizes the couch via free association to embark on the path to the journey of regression together with the patient. Eventually, the analyst becomes the one who awakens the patient from dreams and the couch by allowing them to open up the reward of a new future from the journey of regression into the unconscious and the past. Sleep and dreams guide us into regression and create contact with the unconscious, but maintains borders and thus remains as a safe place. The journey of regression having been introduced by Freud regarding dreams and sleep as a topographical model by no means dictates that it should be ignored by modern psychoanalysis. Rather, the journey of regression from dreams and sleep is the journey to the place of creativity that is the mother’s embrace. Regression is the journey of returning and becoming reborn. Even if the field of psychoanalysis continues to see new divisions, the journey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hould not be overlooked, but moreover requires interpretation from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S.Freud 꿈분석에 관한 연구동향 -국내학술지 중심-

        권혜진,신동열 산업진흥원 2023 산업진흥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꿈분석에 관련한 연구가 얼마나 이루어졌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고 꿈의 연구의 필요성과 꿈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프로이드의 꿈분석에 관한 연구 2019년부터 현재 2023년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도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키워드 분류절차를 거쳐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분류범주는 정신분석, 국내학술지, 꿈분석, 꿈해석, 꿈분석 연구동향, 꿈 연구동향 등으로 검색하였고 그 중에서도 특히, 정신분석, 꿈분석, 국내학술지,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국내학술지 내 꿈분석에 관한 연구동향 연구들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았다. 둘째, 꿈분석 키워드 중심 연구동향도 그 비율이 현저하게 낮았다. 셋째, 꿈분석의 활용과 빈도도 적었다. 넷째, 꿈분석을 토대로 한 한국형 검사도구들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dream analysis based on S.Freud’s psychoanalytic theory,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ream research and follow-up research on dream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analysi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9 to 2023, a study on S. Freud’s dream analysis. Among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through a keyword classification process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KCI). The classification categories were psychoanalysis, domestic academic journals, dream analysis, dream interpretation, dream analysis research trends, and dream research trends. In particular, psychoanalysis, dream analysis,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 trends were searched.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studies on research trends on dream analysi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id not occupy a large proportion. Second, the ratio of research trends centered on dream analysis keywords was also significantly low. Third, the use and frequency of dream analysis was low. Fourth, research on Korean testing tools based on dream analysis is needed.

      • KCI우수등재

        철학적 꿈분석 방법론을 적용한 상담사례와 그것의 실천적 효과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21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그동안 연구해온 철학적 꿈 분석의 방법론에서 출발하여, 그 방법을 적용한 꿈 사례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그것의 실천적 효과를 검토하려고 한다. 즉 이 논문의 목표는 철학적 꿈분석 방법의 실천적 적용을 통하여 철학상담에서 어떻게 꿈을 다룰 수 있으며 철학적 대화를 통하여 꿈을 분석하는 것이 상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또한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지 논의하는 것이다. 나아가 실제의 상담 맥락에서 꿈분석 모델을 적용하고 그것의 실천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철학상담에서 꿈의 주제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의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천적 목표를 위하여 필자는 철학적 꿈분석 방법을 적용한 상담 사례들을 다루는 것에 초점을 둘 것이다. 즉 6개가량의 사례를 통하여 어떻게 꿈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나아가 꿈을 내담자가 처한 문제 상황이나 상담의 맥락과 연결시켜 분석함으로써 철학상담에서 꿈의 대화가 갖는 중요한 역할 내지 효과를 실천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하여 철학상담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꿈을 다룰 수 있으며 철학적 분석이 지향하는 꿈의 역할과 의의가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start with the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which I have researched. And I examine the roles and effects of philosophical dialogue of dreams. I will discuss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by analyzing cases of dreams which apply the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o I will provide the practical bases for dream analysis (or dream interpretation) by philosophical dialogue.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case study of dream analysis. I deal with the cases of six dreams which apply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n practice. Through analysis of cases, I show concretely how counselee"s dreams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her/his life history, and then I evaluate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t offers reflection on their values and world view, and profound insights for counselees. As a result, they could have found a clue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herefore, I assert that my model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s an important way which increase counselee"s self understanding by philosophical dialogue of dreams.

      • KCI등재

        정신분석적 꿈 분석의 대중화를 위하여 - ChatGPT-4, Midjourney, Runway Gen-1, Gen-2, D-ID, Clova Dubbing을 이용한 꿈 그림 그리기를 중심으로 -

        김서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본고의 목적은 대중 일반이 정신분석적 꿈 분석을 실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논문은 프로이트의 꿈 분석 이론 및 실천을 정신분석학의 중심에 배치하고, 상징보다는 표상 분석을 해석의 중심에 안배하며, 분석을 조력할 수 있는 도구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꿈 그림 그리기를 제안할 것이다. 더불어 꿈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드러난 의문점을 ChatGPT와의 대화를 통해 풀어가며, 인공지능의 집단 데이터와 인간의 집단 기억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자기분석이란 꿈의표상들을 분석함으로써 나 자신과 대화해 나가며 무의식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은 이미지 생성AI와 텍스트-비디오 생성 AI를 활용하여 꿈 이미지를 분석하고 내면의 표상들을 이해하는 방법을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꿈 분석을 통한 정신분석학적 자기분석의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꿈 분석을 통한 자기 인식 고찰

        이소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Self-awareness Through Dream AnalysisSojeo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self-awareness by exploring the unconsciou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dream. By analyzing the 8 dreams recorded by the researcher using Jung’s theory of analytical psychology, it wanted to know the change in self-awareness. As a result of a dream analysis, the dream in 2019 was to avoid most of the elements of trauma, such as escape and suicide, and the tendency to protect the researcher's childhood appearance was also revealed. The dream of 2021 showed the appearance of protecting people by leaving somewhere and confronting them without avoiding the situation of conflict. Through dreams analysis, the researcher's dream was recognized as a narrative of growth, changing from a passive attitude to an active attitude. In addition, the researcher was able to self-understand by acknowledging the avoidance psychology and unconsciousness. The depression caused by trauma weakened, leading to the perception of self-healing, and the analysis of dreams confirmed that the value was high as a means of healing. Key Words: Dream Analysis, Analytical Psychology, Jung, Self-analysis, Self-awareness 꿈 분석을 통한 자기 인식 고찰이 소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연구자의 자기 꿈 분석을 통해 무의식을 탐색함으로써 자기 인식에 대한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자가 기록한 8개의 꿈을 분석함으로써 자기 인식의 변화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꿈을 분석한 결과, 2019년도의 꿈은 트라우마 요소들로부터 도망, 자살 등 대부분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구자의 어릴 적 모습을 보호하려는 경향도 드러났다. 2021년도의 꿈은 어디론가 떠나고, 갈등 상황에서 회피하지 않고 맞서며 사람들을 보호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꿈 분석을 통해 연구자의 꿈은 성장 서사로써, 소극적인 태도에서 적극적인 태도로 변화함을 인식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회피하던 심리와 무의식을 인정하게 되면서 자기 이해를 할 수 있었다. 트라우마에 의한 우울감은 약해지면서 자기 치유가 이루어짐을 인지하게 되었고, 꿈 분석은 치유 수단으로서 가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핵심어: 꿈 분석, 분석심리학, 융, 자기 분석, 자기 인식 □ 접수일: 2022년 7월 10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강원대학교 교육인문협력학과 석사과정(Master’s Course, Kangwon National Univ., Email: thwjd6953@naver.com)

      • KCI등재

        꿈 분석을 통한 자기이해 사례 연구

        나유리 ( Na Yu Ri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7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꿈을 분석하여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한 자기실현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본인의 꿈을 분석하여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자는 연극치료사로 활동 중이며, 회피성향이 강한데다가 연극치료 작업에 대해 적지 않은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2016년에는 가족의 불화와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신경증 증상을 보이곤 하였는데, 그 무렵 꾼 꿈 가운데 크게 인상에 남고 의미가 있으며 반복적인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들이 있었다. 연구자는 그것들을 글과 그림으로 남기고 분석하는 가운데 꿈이 조금씩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꿈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먼저 융의 분석심리학 측면에서 꿈을 어떻게 보는지 알아보았다. 융은 꿈이 무의식의 표상으로서 나타나고, 꿈의 상징을 분석하고 이해하여 의식과 내면의 세계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즉, 무의식이 나에게 말하고 있는 의미를 알아차릴 수 있으며 그것이 의식화되었을 때 비로소 자신에 대해 미처 몰랐던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자의 꿈에서 무의식은 물로 드러났는데 이에 대해 인식함에 따라 꿈의 내용과 물의 형태에 변화가 생겼다. 일상에서 연구자가 페르소나에 밀착하였을 때, 꿈에서는 억압된 그림자와 무의식이 거대한 물의 이미지로 드러났다. 그러나 이를 무시하고 외면하자 무의식은 더욱 강렬한 이미지의 꿈으로 나타났고 그것을 의식하게 되자 꿈 속 물의 이미지가 달라져서 편안하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시 완전히 덮치는 물이 등장함으로써 무의식이 나선형의 구조로 반복하는 것을 보았다. 또한 꿈을 기억하고 분석하여 이해하는 과정이 연극치료 작업 속 즉흥극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즉흥극을 진행할 때 참여자는 미처 방어하거나 의도하지 못한 채 속내 이야기를 풀어놓게 된다. 이때 치료사가 개입하여 참여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그 원형적 요소를 함께 탐색한다면, 참여자는 자신을 성찰하고 회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연구자의 꿈처럼 물과 같은 원형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아보았다. 꿈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무의식의 반영으로 결국 나 자신의 내면의 소리를 듣는다는 것과도 같다. 그 결과 외적인 페르소나에 갇혀있지 않고 무의식과 의식을 통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꿈 분석 사례를 통해 본 연구자는 그림자를 인식하고 의식에 동화함으로써 자신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reams and explore the processes of self-awareness through unconsciousness. To this end,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alyze his dreams and try to understand them. The researcher was acting as a theatrical healer, and tended to be a tough worker and had little burden on theatrical treatment. Especially in 2016, there were signs of neurotic symptoms, such as anxiety and anxiety about family discor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reams, meaning meaningful images and repetitive image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 dream changed slightly while leaving them in writing and in writing. In order to clear the way to understand the dreams, I first learned how to look at his dream in terms of Jung's psychology. Jung said dreams should portray the symbols of consciousness as symbols of consciousness,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symbols of dreams, and connect to the inner world of consciousness. That means the unconscious can sense the meaning of what is telling me, and understand the fact that it didn't know about it when it was consciously realized. In the dream, the unconscious mind turned out to be water, which changed the form of dreams and the form of water. When a researcher approached his persona in his daily life, his repressed shadows and unconscious revelations turned out to be a huge image of water. However, when ignored and ignored, the unconscious image appeared as a dream of a more intense image, and the image of the dream changed and the image of the dream turned out to be a comfortable and optimistic aspect. But again, when the bubbling water came back, the unconscious look at the unconscious structure. I also looked at the process of remembering and analyzing my dream, which was very similar to that of improvisation in play. The participants will not hesitate to engage in an offensive or unintended speech when they are improvising. If a therapist intervenes with an image and looks at an image that is meaningful to the participants, then the participant can get a clue to the opportunity to reflect and recover.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it is important to actively utilize a prototype image, such as water, as a researcher. The image of a dream appears to be the reflection of my inner self, as reflected in the unconscious reflex. As a result, they can not be locked in external personas, but they can integrate unconscious and unconscious. Through these dream analysis cases, the scientist could understand himself by recognizing the shadows and assassinating 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꿈 분석 사례 연구

        박현순 ( Hyun Sonn Park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09 人間理解 Vol.30 No.2

        본고는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내담자의 꿈 분석 사례를 개관한 것이다. Jung은 꿈을 포함한 모든 정신현상을 개성화 과정(individuation process), 즉 정신의 전체성(totality)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했다. 정신의 전체성은 분석심리학의 핵심사상으로, 분석심리학적인 인간관이나 정신병리를 보는 관점 그리고 치료에 관한 관점 등이 모두 정신의 전체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분석심리학에서 꿈은 잠자는 동안에 무의식적으로 생기는 자연적인 사건으로서 자연의 산물이며, 개성화 과정을 향한 정신현상으로 본다. 융 학파의 꿈 해석은 객관단계 해석과 주관단계 해석으로 이루어지며. 확충방법(amplification method)을 통해 꿈 상의 의미가 드러나고, 꿈 계열 분석을 통해 여러 꿈들의 밑바닥에 깔려 있는 공통적인 내용과 모티프를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꿈 분석에서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집단무 의식의 원형상이 나타나는 꿈을 이해하기 위해 치료자에게는 신화, 민담, 전설, 종교 등에 관한 특별한 지식이 요구된다. 이상 언급된 내용이 실제 꿈 분석 사례연구를 통해 제시되었다.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dream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C. G. Jung understood all psychic phenomena including dreams in the context of the individuation process. The totality of the psyche is the core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view of human nature, psychopathology, and therapeutic venture are based on psychic totality. The Jungians perform dream analysis at two levels, that is objective and subjective level. In dream analysi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Particularly, therapists need to be equipped with specific knowledge on mythology, fairy-tales, legend, and relig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archetypal dream images of collective unconscious. This article provided a case using these concepts.

      • KCI등재

        경기꿈의학교에 참여한 학생의 프로그램 만족도,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참여집단별 잠재평균분석과 다집단 경로분석

        장희선(Heesun Chang),이지영(Jee Yo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경기꿈의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기꿈의학교 참여 만족도가 진로성숙도, 자아효능감,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참여집단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8년 경기꿈의학교에 참여한 초⋅중⋅고등학생 총 1,572명(찾꿈 참여학생 812명, 만꿈 참여학생 610명, 만꿈 꿈짱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참여 후 11월말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 확인적요인분석, 잠재평균분석,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을 통해 참여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경기꿈의학교 참여 만족도,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생활적응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잠재평균분석결과, 만꿈 꿈짱학생의 참여 만족도, 진로성숙도, 자아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은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경로계수차이분석 결과, 만꿈 꿈짱학생이 다른 유형 학생보다 경기꿈의학교 참여만족도가 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찾꿈 참여학생과 만꿈 참여학생의 경우, 경기꿈의학교 만족도에서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에서 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학생들의 자기결정성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과 활동 구성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udents’ participant satisfaction from “Gyeonggi School of Dreams”, which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lore their careers and to realize their dreams, on career maturity, self-efficiency, and school life adaptation.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confirmatory factors of the variables, latent mean and multi-group Path Analysis by student groups were applied on the data of 1,57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yeonggi School of Dreams in 2018. Results First,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tion in Gyeonggi School of Dreams, self-efficien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career maturity, self-efficiency,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a leading group of students in Gyeonggi School of Dreams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Third, the participation of a leading group of students in Gyeonggi School of Dreams positively affects self-efficiency and career maturity than other students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ctivities, which are based on students’ self-determination for enhancing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iency.

      • KCI등재

        정신 역동적 미술치료 경과에 따른 내담자의 꿈 내용변화 분석

        송제연,전순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easure the impact of the dream content of an adult client through psychodynamic art therapy. The client, who acquired less than 60 points on the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CL-90-R), had no history of mental illness, and agreed to particip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once-a-week 60-minute sessions for a total of 30 sessions. Thirty dreams were sequentially divided into five sections of six dreams. each. They were quantified through a functional scoring system and analyzed quantitatively. First, the process scales changed. The overall feeling of intensity increased, and dreamer activity increased after temporary reduction. Dream clarity and dreamer expression steadily increased. Second, the content scales changed. The frequency of dream-related presence increased in the origin of feeling and the dream setting. The ages of the dreamer were mainly the dreamer’s present age. The dream rating gradually increased the real contents. The characters showed no fixed pattern. Third, changes of dream theme were observed that were related to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During awakening,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client appeared in dreams and pictures that were paralleled to quantitative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psychodynamic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dreams of an adult client pursuing internal maturity. 본 연구는 정신 역동적 미술치료가 성인 내담자의 꿈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 질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에서 평균 60점미만을 획득하여 정신 병력이 없는 40대 여성으로 심리적성숙을 목적으로 자발적 참여를 표현한 사람이며 2015년 5월 6일부터 주 1회씩 60분간 총 30회기 동안 미술치료를 진행했다. 결과 분석을 위해 30개의 꿈을 6개씩 5구간으로 나누어 꿈의 기능적 채점방법을 통해 수량화해양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꿈 주제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미술치료가 경과함에 따라 진행척도의 변화가 있었는데, 꿈의 감정강도가 증가했고 꿈꾼사람의 활동성은 일시적 감소 후 증가했으며꿈의 명료성과 꿈꾼 사람의 표현정도가 꾸준하게 증가했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과함에 따라 내용척도의 변화가 있었는데 감정의 출처와 꿈배경에서 현재와 관련된 꿈의 빈도수가 증가했고, 꿈에 등장한 꿈꾼 사람의 나이는 주로 현재였으며 종합평가에서 점차 현실적 꿈이 증가한 반면 등장인물은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미술치료가 경과함에 따라 꿈의 주제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양적, 질적 결과 사이에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이는 각성시 내담자의 심리적인 변화 내용이 꿈과 작품에 드러났고 양적 수치 변화와 병행하므로 정신 역동적미술치료가 내적 성숙을 지향하는 성인 내담자의 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