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이봉학,반경희,차진화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와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기간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이며 연구의 표본은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CGS로부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연속적으로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입수할 수 있는 기업으로 금융업종에 속하는 기업은 표본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CGS로부터 2012∼2014년의 기간에 대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 입수가능기업은 각각 710개, 693개, 694개 기업이었다. 이들 기업 중 2011∼2014년의 4년 동안 연속적으로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입수할 수 없는 기업, 금융업에 속하는 기업, 결산일이 12월 31일이 아닌 기업, 분석에 필요한 회계자료를 입수할 수 없는 기업, 극단치를 제외하고 1,614개(기업/년)를 최종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지수는 CGS로부터 제공받았으며, 실증분석에 필요한 재무자료는 KIS-VALUE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는 실물이익조정의 대용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 또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여 [가설 1]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의 향상은 실물이익조정의 대용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거나 모형의 적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기도 하여 [가설 2]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기업지배구조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실증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분석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실증연구의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기업지배구조지수가 높을수록 실물이익조정이 유의적으로 감소한다는 선행연구들과 부합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연구모형에서 사용된 변수들 외에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 기업지배구조지수의 향상과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 부합하지 않은 연구결과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지만, 기업지배구조지수와 기업지배구조지수의 향상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irical relationship of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real earnings, and between improved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study period from 2012 to 2014 three years to a sample of the research is a company that can acquire continuously corporate governance index from among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CGS from 2011 to 2014 for four years companies belonging to the financial sector were excluded from the sample. For this study can now get Governance Index for the period of 2012-2014 CGS from the company, respectively 710, 693, 694 now. This study analyzed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and was used in the empirical sample of 1614(corporate / year). Corporate Governance Index in this study had received offers from CGS, the financial data necessar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by KIS-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orporate governance index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adjustment to the real benefit - to have the relationship shown in. This is the result of partially supporting the [H1]. In addition,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ing the actual benefit adjustment appeared to have the relationship of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nd, it has a significant positiv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not the conformity of the model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2] was dismissed. This study extends previous studie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real earnings. This study is meant to suggest that the evidence of the empirical studies in situations that lack empirical studi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real earnings. However, the higher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showed that th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real earnings are significantly reduced. And,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real earnings, a variety of factors that coul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and real earn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y exist. This limitation should carefully interpret the findings are no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but the empirical evidence provided additional leverage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index may point contribution.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지수가 재량적발생액 및 실제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차진화,김태석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의 기간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량적발생액, 실제이익조정의 관계와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재량적발생액, 실제이익조정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여 기업지배구조가 이익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은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CGS로부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연속적으로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입수할 수 있는 기업이며, 금융업종에 속하는 기업은 표본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CGS로부터 2012∼2014년의 기간에 대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 입수가능기업은 각각 374개, 374개, 323개 기업이었다. 이들 기업 중 2011∼2014년의 4년 동안 연속적으로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입수할 수 없는 기업, 금융업에 속하는 기업, 결산일이 12월 31일이 아닌 기업, 분석에 필요한 회계자료를 입수할 수 없는 기업, 극단치를 제외하고 1,013개(기업/년)를 최종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량적발생액의 관계와 기업지배구조지수의 향상과 재량적발생액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와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은 재량적발생액과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이다. 그러나,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할수록 재량적발생액에 기반을 둔 이익조정은 감소한다는 Xie et al.(2003), 문상혁(2006), 배한수․김경화(2012) 등의 선행연구와 같은 방향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고,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지만 우수한 기업지배구조가 이익조정을 감소시킨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제이익조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는 비정상영업현금흐름(AbCFO)과는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비정상제조원가(AbPC), 비정상재량적비용(AbDE), 실제이익조정(REM)과는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셋째,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실제이익조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는 비정상영업현금흐름(AbCFO), 비정상재량적비용(AbDE), 실제이익조정(REM)과는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그러나 비정상제조원가(AbPC)와는 10%에서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study period from 2012 to 2014 three years to a sample of the research is a company that can acquire continuously corporate governance index from among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CGS from 2011 to 2014 for four years companies belonging to the financial sector were excluded from the sample. For this study can now get Governance Index for the period of 2012-2014 CGS from the company, respectively 374, 374, 323 now. This study analyzed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and was used in the empirical sample of 1013(corporate / year). Corporate Governance Index in this study had received offers from CGS, the financial data necessar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by KIS-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shows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re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corporate governance index has negative relation with abnormal operating cash flow (AbCFO), abnormal manufacturing cost (AbPC), abnormal discretionary cost (Abde),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REM), but not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bnormal operating cash flow (AbCFO), abnormal discretionary cost (AbDE)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REM), but not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bnormal manufacturing cost (AbPC) and 10%.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

        차진화(Cha Jin-Hwa)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재무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재무성과(FNP)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CGI)를 독립 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에서 재무성과(FNP)의 대용변수는 총자산순이익율(ROA), 매출액총이익율 (ROS), 자기자본순이익율(ROE), 부채비율(LEV)을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 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재무성과(FNP)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CGI), 기업지 배구조지수의 향상(△CGI), 기업지배구조지수의 단순향상(△CGIn)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 세 개의 변수 중 어느 것이 기업의 재무성과 (FNP)와 더 큰 관련성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기간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이며 1,629개(기업/년)의 표본이 실증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지수(CGI)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CGS)에서 제공하는 기업지배구조 점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CGI)은 CGI의 변화율로 측정하였고, 기업지배구조지수 단순향상(△CGIn)은 전년 대비 당해연도 기업지배구조지수의 단순향상 값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CGI)와 총자산순이 익율(ROA)과 음(-)의 관련성, 부채비율(LEV)과는 양(+)의 관련성이 확인되었고, 매출액총이익율 (ROS), 자기자본순이익율(ROE) 간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지배구조가 우수하면 재무성과가 우수할 것이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부분도 있지만 그 반대의 결과를 제시하기도 한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CGI)는 재무성 과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CGI)은 매출액총이익율 (ROS)과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채비율(LEV)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irical relevance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First, proxy variables of financial performance(FNP)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ancial performance(FN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as independent variables return on assets(ROA), profit margin ratio(ROS), return on equity ratio(ROE), a debt-to-equity ratio (LEV)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followed by financial performance(FN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 (CGI),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of the index (△CGI), a simpl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n)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and was used in the empirical sample of 1629(corporate / year). Corporate Governance index in this study (CGI) was measured using a corporate governance score provided by CGS,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ed (△ CGI) enhances was measured by the rate of change of the CGI, Corporate Governance index Simple (△CGIn) was use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previous year the year the simplic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t analysis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CGI) with return on assets(ROA) and negative (-) association, the debt ratio(LEV) and confirms the relevance of the positive(+) was, profit margin ratio(ROS), return on equity ratio(ROE)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f these results are also part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i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have superior financial performance, but also presented the results of its opposition. Second, the relevant analysis of the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nancial performance show,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ed(△CGI) profit margin ratio(ROS) and significant negative(-), and represen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re is shown the relationship of debt (LEV)and a significant positive.

      • KCI등재

        기업 사회적 책임과 기업지배구조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김동영(Kim, Dong-Young)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한국의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CGS)와 경실련(사) 경제정의연구소(KEJI)의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사회적 책임과 기업지배구조(CGI)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점수가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 다. 즉 우수한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의 사회적책임 성과를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가설을 설정하였 다. (가설1)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자산규모가 큰 기업인 경우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 사회적 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자산규모가 작은 기업인 경우도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방법은 기존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하였다. 다음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실증연구를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통계처리방법은 기초통계량,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 한다. 연구자료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의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TS2000의 재무제표와 (사) 한국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가 평가한 기업지배구조지수 그리고 경실련 (사)경제정의연구소의 경제 정의지수가 있는 기업을 표본기업으로 한다. 연구검증결과, (가설1)(가설2)(가설3)을 종합분석해보면 기업사회적책임과 기업지배구조간의 관련성이 있고, 기업지배구조점수는 기업사회적책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현상은 자산규모가 큰 기업이든 작은 기업이든 모두 기업지배구조점수가 기업사회적책 임지수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listed companies in Korea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CGS) and Institute for Economic Justice (KEJI) using the data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governance (CGI) to explore the relevance of saw. The purpose of this stud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score affects whether index was verified. That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expected increase was hypothesized. (Hypothesis 1),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dex score positive (+)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Hypothesis 2) If the assets of a large company,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dex score positive (+)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Hypothesis 3) If the assets of the company, even a smal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index score positive (+)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To examine the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 methods which were based on the literature. Next, the empirical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Empirical basis for the statistical methods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earch data from 2007 to 2009 the Korea Listed Companies Association three year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TS2000 of Korea Governance Service is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evaluation gyeongsilryeon (g) of the Institute for Economic Justice Economic Justice Index of the sample firms in the industry. Validation study results (hypothesis 1) (hypothesis 2) (Hypothesis 3)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governance haebomyeon between releva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index score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f appeared to have. This phenomenon of assets, whether small businesses or large companies all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governance index score positive (+)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세용 ( Se-yong Lee ) 한국회계학회 2004 한국회계학회 논문.보고서 Vol.2004 No.-

        1997년의 금융 위기 이후 기업지배구조의 문제는 기업경영의 투명성과 관련하여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의 경우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은 개별 기업지배구조 변수의 입장에서, 혹은 전반적인 기업지배구조의 수준에서 기업지배구조는 기업가치와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다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는 극히 드문 형편이며 특히 회계학 분야의 경우 기업지배구조의 문제는 기업가치와의 관련성 보다는 이익조정이나 사외이사의 선임과 같이 부분적인 문제만을 다루고 있다. 또한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전반적인 기업지배구조의 수준보다는 이사회나 감사위원회 같이 전체적인 기업지배구조의 수준을 결정하는 개별 항목만을 다루어 왔다.본 연구는 이상의 문제제기에 따라 기업지배구조의 수준을 결정할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들을 가능한 한 모두 고려하고 나아가 이들 변수들로부터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측정하여 이를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표본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매년 말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 제조업(관리대상종목 제외)을 대상으로 총 1,050개 기업-년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 변수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경우와 이 변수들을 모두 동시에 분석하는 경우 동일 변수임에도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각 변수들의 회귀계수의 부호와 유의수준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자의 경우에는 생략된 변수의 문제가 나타나고 반대로 후자의 경우에는 변수들 사이의 상호종속성으로 분석 결과에 편의가 나타났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둘째, 위에 언급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Bai et al.(2003)에 따라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를 개발하고 이로부터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 기업지배구조지수는 기업가치와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내생성을 통제한 후에도 기업지배구조지수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측정해 보아도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는 일관되게 유의적인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치 측정치로서 Tobin``s q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업지배구조와기업가치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가 존재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it is believe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is the key factor to affect the firm value. So,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and found that in general, the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the firm value positively. However, in South Korea, there are little studies that examine the relation. Especially, in accounting area, the corporate governance is considered in parts, such as earnings management or the selection of independent directors, rather than in the whole perspective, such as firm value. Moreover, th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eparate variables, not the whole governance level.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So, I had efforts to collect all the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whole governance level. From the collected variables, I measured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analys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The sample consists of 1,050 firm-years for the years of 2000-2002, which are selected from the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n Securities Exchange, with financial period ending Decemb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irections of the variables coefficients between (1)where the governance variables are analysed separately in the model and (2)where they are analysed at the sametime in the model. This implies that (1) is affected by omitted-variables problem and (2) is biased due to the interdependencies among considered variables. Second, I measured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following the method used in Bai et al.(2003) and analysed the relation between the index and the firm value. I foun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firm value and the relation is not changed after the endogeneity between the index and the firm value is controlled. Third, I tried the alternatives to measure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oun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is maintained as the original index is used. Fourth, I tried to measure the firm value as Tobin``s q and found the relation is maintained. Therefor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th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 KCI등재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세용 韓國公認會計士會 2005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2 No.-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is the key factor affecting the firm value. Accordingly,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and found that in general, the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the firm value positively. However, in South Korea, there is little study that examines the relation. Especially, in the accounting area, the corporate governance is taken into account in connection with a limited scope of aspects such as earnings management or the selection of independent directors, rather than in the whole perspective such as firm value. Moreover,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eparate variables, not the whole governance level. This study is prompted by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So, I made efforts to collect all the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whole governance level. From the collected variables, I measured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analys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The sample consists of 1,056 firm-years from 2000 to 2002, which are selected from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with the fiscal years ending December 3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directions of the variables coefficients between (1)where the governance variables are analysed separately in the model and (2)where they are analysed at the same time in the model. This implies that (1) the former is affected by omitted-variables problem and (2)the latter is biased due to the interdependencies among considered variables. Second, I measured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employing the method used in Bai et al.(2003) and analysed the relation between the index and the firm value. I found that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firm value and the relation is not changed after the endogeneity between the index and the firm value is controlled. Third, I tried the alternatives to measure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oun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is maintained as the original index is used. Fourth, I tried to measure the firm value as Tobin's q and found the relation is maintained. Therefor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firm value. 1997년의 금융 위기 이후 기업지배구조의 문제는 기업경영의 투명성과 관련하여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의 경우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은 개별 기업지배구조 변수의 입장에서, 혹은 전반적인 기업지배구조의 수준에서 기업지배구조는 기업가치와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다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극히 드문 형편이며 일부 연구의 경우에도 기업지배구조의 문제를 기업가치와의 관련성 보다는 이익조정이나 사외이사의 선임과 같이 부분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문제제기에 따라 기업지배구조의 수준을 결정할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이들 변수들로부터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매년 말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 제조업(관리대상종목 제외)으로서 총 1,056개 기업-년을 사용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 변수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경우와 이 변수들을 모두 동시에 분석하는 경우 동일 변수임에도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각 변수들의 회귀계수의 부호와 유의수준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자의 경우에는 생략된 변수의 문제가 나타나고 반대로 후자의 경우에는 변수들 사이의 상호종속성으로 인하여 분석 결과에 편의가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둘째, 위에 언급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Bai et al.(2003)에 따라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를 개발하고 이로부터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 기업지배구조지수는 기업가치와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내생성을 통제한 후에도 기업지배구조지수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측정해 보아도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계는 일관되게 유의적인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치 측정치로서 Tobin's q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가 존재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계분석 :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이용

        손평식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3

        1997년 IMF외환위기와 대우사태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새로운 자본시장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기업지배구조의 개선과 회계제도의 선진화 두 개의 축이 자본시장의 하부구조로 자리를 잡았다. 2000년대 초에 한국거래소가 주축이 되어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가 설립되어 상장기업과 코스닥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등을 하여 개별기업의 지배구조평가를 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애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가 발족한지 8년이 경과하는 시점이므로 지배구조센터 설립무렵의 1년차 자료를 가지고 실증분석한 기존논문을 좀 더 확대하여 5년치 자료(2003년-2007년)를 이용하여 지배구조와 기업가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먼저 OLS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체지배구조지수와 기업가치(토빈Q)간의 관계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5년간의 지배구조평가점수(지수)로 나타나는 개별기업의 지배구조정도가 증가하면 기업가치도 증가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지배구조와 기업가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2SLS 회귀분석에서도 Black et al(2002)과 Drobetz et al(2004)의 결과와 같이 기업지배구조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재확인해주었다. 하위지배구조지수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이사회부문, 공시부문, 감사기구부문 지배구조지수가 특히 기업가치(토빈Q)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어 주주권리보호나 경영과실배분부문 지배구조지수와 달리 이들 부문의 지배구조지수는 기업가치와 밀접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Since 1997, IMP crisis and Daewoo bankruptcy prompted Korea's capital market to strengthen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nd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Early in 2000's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KCGS) was established by Korea Stock Exchange and started to evaluate corporate governance of listed companies.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using 5 years data(2003-2007) of corporate governance evaluation obtained from KCGS. Previous papers like Black et al(2002) etc. used only 1 year data, thus, this study re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using extensive 5 years data. Main results show that using OLS regression, there is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obin'Q, which indicates that as corporate governance index increases, finn value(Tobin'Q) also increases. And based on 2SLS regression,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which indicates that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has influence on film value positively. This results are consistent with Black et al(2002) and Drobetz et al(2003). The results using sub-indices of corporate governance presented that board of director section, disclosure section and audit section indice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nn value, but shareholders' rights section and distribution of managerial performance section indices did not show an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nn value.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사회 및 환경평가지수와기업가치의 관련성 분석

        이정은,김진섭 한국회계정책학회 2013 회계와 정책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analyze impacts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social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n corporate values (Tobin Q). In the early 2000s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was established. Through surveys, individual corporate governance assessment was conducted. Since 2010, by adding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activities of governance evaluation, we have developed an ESG evaluation mod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targeted and analyzed KOSDAQ and companies listed in the years 2010-2011. Hypotheses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corporate governance and social activities and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evaluation model of index, ESG Index and Corporate value will have a positive association;Corporate Governance Index (GOVE), Social Activities Index (SOC),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NVI), index of individual and corporate value will have a positive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ESG Index, individual evaluation index, and corporate value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relevance. A positive impact of the good governance, society and the environment on the corporate values is very high. Further analysis of ESG Index for the current year (t) and the following year (t+1) was carried out to see any relevance between them and corporate value. As a result, the same positive (+) relevance as the former analysis showed up:Corporate governance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activity evaluation index influenced the enterprise value during the following year as well as the current year.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지배구조와 사회활동 및 환경경영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2000년대 초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가 설립되었고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개별기업의 지배구조평가를 실시하였다.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는 2010년 이후 지배구조평가에 사회 및 환경평가를 추가하여 ESG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2011년의 상장기업과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지배구조와 사회활동 및 환경경영의 대용치인 ESG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와 사회활동 및 환경경영의 통합지수인 ESG평가모형의 ESG평가지수와 기업가치의 관련성 뿐 아니라 기업지배구조평가지수(GOVE), 사회평가지수(SOC), 환경평가지수(ENVI) 개별의 평가지수와 기업가치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ESG평가지수와 각각의 개별평가지수 모두 기업가치(TobinQ)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좋은 지배구조를 가지고 사회 및 환경활동이 활발한 기업의 기업가치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추가분석으로 당해 연도(t) ESG평가지수와 다음 연도(t+1) 기업가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앞서 분석한 결과와 동일하게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업의 지배구조와 사회 및 환경 활동의 평가지수는 당해 연도의 기업가치는 물론 다음 연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손평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기업지배구조 이슈가 IMF 외환위기와 Enron 사태 등 회계분식사건으로 자본시장의 화두가 된 이후,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KCGS)의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성과(ROA, ROE)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체기업지배구조지수와 경영성과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추가로 분석한 기업지배구조와 미래경영성과도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기업의 지배구조가 좋을수록 기업의 경영성과는 당해 연도뿐만 아니라 다음 연도까지 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 기업지배구조지수와 경영성과 분석에서는 주주권리 보호와 경영과실배분의 부문별 지배구조 지수가 경영성과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ROA와 ROE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ROA는 기업지배구조에 대응한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해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에 ROE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a hot issue i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area since IMF and Enron crises broke out. In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studied empirically using corporate governance index produced by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positive. Especially, corporate performance using ROA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rporate governance.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ROE and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5 component coporate governance indices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studied also. Among 5 components(protection of stockholders' rights, board of directors, audit, disclosure and distribution of corporate income), protection of stockholders' rights component and distribution of corporate income component show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rporate performance. Also,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shows that corporate governance index h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uture corporate performance(ROAt+1).

      • 기업지배구조가 R&D 투자와 CSR에 미치는 영향

        김봉진,오정민,한주희,김영미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1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하여 IMF 이후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기업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게 되었다. 기업지배구조 관련 선행 연구들은 기업지배구조의 단편적인 특성인 주식의 소유구조(대주주의 지분, 외국인지분, 기관투자자 지분), 사회이사의 구성(사회이사의 비중), 최고경영자(CEO)와 같은 기업지배구조의 단편적 특성이 사업구조조정, R&D 투자, M&A, 기업성과, CSR 등 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를 나타내는 단편적인 특성이 아닌 기업지배구조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기업지배구조 지수가 주주(shareholder)의 관점과 다양한 이해관계자(stakeholders)의 관점 두 가지를 반영한 변수인 R&D 투자와 사회적 책임(CSR)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이전 성과의 조절효과를 통해서 기업지배구조가 복잡한 환경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기업지배구조 지수와 R&D 투자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양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기업 이전 성과의 조절효과는 기업지배구조와 사회적 책임(CSR)의 관계에 양의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기업지배구조 관련 선행 연구들에서 연구되어왔던 기업지배구조의 단편적인 특성들이 R&D 투자와 사회적 책임(CSR)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 보다 기업지배구조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기업지배구조 지수를 이용하여 선행 연구보다 포괄적인 변수측정을 통해 보다 타당성 있는 연구결과를 얻었다는 것이다. 둘째, 기업지배구조 관련 선행 연구들은 주주, 혹은 다양한 이해관계자 한가지의 관점에 대하여 연구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주와 다양한 이해관계자 모두를 고려하여 기업지배구조의 건전성이 주주와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양의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밝혀냈다는 것이다. 셋째, 기업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은 R&D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이전 성과와 관계없이 기업이 지속적인 투자를 하며, 사회적 책임(CSR)의 경우 기업의 이전 성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R&D 투자의 경우 기업 이전 성과와 관계없이 기업지배구조가 건전할 경우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 기업은 지속적인 투자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적 책임(CSR)의 경우 기업지배구조가 건전하더라도 기업의 이전 성과에 따라서 사회적 책임(CSR)이 기업 이전 성과가 좋을 경우 사회적 책임(CSR)이 높아지고, 기업 이전 성과가 낮을 경우 사회적 책임(CSR)이 낮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has increasingly been received attention in Korea since the IMF crisis. To enhance the firm's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importance of firm's corporate governance reform has been considered. Prior studies have studied a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such as ownership structure(blockholder ownership, foreign ownership, institutional investor ownership ), board structure, CEO, and restructuring, R&D investment, M&A, performance,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o consider shareholder value and stakeholders value such as, R&D investment, CS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irm's prior performance to find out how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functions in an economic crisis. The findings showed that corporate governance ranking was positively related with R&D investment and CSR. The result, further, demonstrated that firm prior perform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CSR.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ior studies have studied a relationship between part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R&D investment and CSR. This study attempted to connect those fragments using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which reflects the overall corporate governing structure, and had valid results. Second, prior studies have considered either stakeholder theory or shareholder theory, but this study considered both and found that healthy corporate govern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takeholder value and shareholder value. Thir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f firm's prior perform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R&D investment,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SR was positively moderated by firm prior performance. This means if firm's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is healthy, R&D investment is not influenced by firm's prior performance and the firm continues investments. In CSR, however, even i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is healthy, if firm's prior performance is low, CSR gets lower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