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의 재정적 지원정책수요가 에너지 및 관련산업 기술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 혁신목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아(Kim, Kyung-Ah) 한국정부학회 2021 한국행정논집 Vol.33 No.2

        본 실증연구는 정부지원정책에 대한 수요가 에너지 및 관련산업기술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산업기술의 품질 및 성능향상’이라는 혁신목적이 정부가 시장의 기술혁신활동에 개입하는 정당한 근거로 자주 언급되는데, 실제로 이러한 혁신목적이 재정적 정책수요에 대한 조절효과 등을 통해 기술혁신성공에 영향을 주는가를 설명하였다. 분석대상은 에너지산업기술 및 관련 산업기술에 해당하는 1,827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관련 설문조사결과이며, 에너지 산업(狹義)이 97개 기업, 에너지 관련 산업기술이 1,730개 기업이다. 분석데이터는 통계청 승인통계 중소기업기술실태조사(2018, 2019)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관심은 ‘재정적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에 따라 기술혁신의 성공확률이 다른가이다. 직접자금지원 정책수요가 높은 기업들은 오히려 기술혁신성공한 기업비율(odds)이 더 낮았다. 반면, 기술혁신개발인력 등에 대한 세제지원 정책수요가 높은 기업들은 기술혁신성공확률(odds)이 138% 더 높았다. 품질향상을 위해 기술혁신을 추진한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서 혁신성공확률이 135% 더 높았다. 그러나 품질향상이라는 혁신목적이 재정적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에 대한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재정적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와 품질향상목적 자체가 기술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값으로 변하였다. 오직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혁신이 세제지원에 대한 수요와 상호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서 혁신성공비율(odds)이 161% 더 높았다. 통제변수인 기업특성은 선행연구에 근거해서 기업의 매출액 등 규모, 인적자본 혁신역량, 혁신기업 인증유형, 기술개발활동을 선택하였다. 기업 및 기술특성의 대리변수는 혁신기업 인증유형, 산업유형, 전문인력 채용예정규모 등이 기술혁신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기술활동 중에서는 연구개발비의 규모가 클수록, 자체기술개발과 공동기술개발을 추진한 기업일수록 기술혁신 성공 비율이 높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mand for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energy and relevant technology industrie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explain whether the innovation purpose of industrial technology, which the government often chooses as a justification for intervening in the market as an innovation support policy, actually affects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moderating effects of financial support policy dem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 including basic information, human capital about innovation capabilities, the type of innovative firms, technology development activities, and demand for financial support policies are used and innovation purposes (improving quality and performance) were moderators. The data of the 2019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echnical Statistics approved by Statistics Korea is used for this study. The sample size is 1,827 SMEs corresponding to energy industry technology and related industrial technologies and it includes 97 SMEs from energy industry technologies and 1,730 SMEs from energy-related industrial technologies.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probability of success of innovation depends on the “demand for financial support policies”. Firms with high demand for direct funding policies had a lower percentage of succes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while firms with high demand for tax support policies for employees working on technology innovation development had a 138% higher probability of success in technology innovation. Firms that conducted technological innovation to improve quality had a 135% higher chance of success in innovation than those that did no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novation objective in terms of quality improvement on the demand for financial support policies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demand for financial support policies on the objectives of quality improvement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novation to improve quality is the main factor that mutually affects the demand for tax support, and the ratio of innovation success (odds) was 161% higher than that of firms that did not.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 which are control variables, were considered as the firm size like the firm sales, the human capital of innovation capabilities, the types of innovative certific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activities. The firm’s and technology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by the types of innovative certification, the types of the industries, and the scale of recruitment of professionals. Among the technology activities, the large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osts, the higher the rate of success in technology innovation was for firms that conducted their own technology development and joint technology development.

      • 2008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김현호,조가원,박동배,서정화,이정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STEPI 기술혁신조사는 2003년도에 통계청의“승인통계”로 지정되었고 3년마다 수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현재 기술혁신과 관련하여 과학기술부의 연구개발 활동조사(R&D조사)와 더불어 양대 축으로 인식되는 중요한 조사이다. 특히, 국가정책에 있어 기술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술혁신조사에 대한 의의와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또 2003년도를 기점으로 조사 원데이터를 개방하고, 기술혁신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몇몇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데이터의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2002년도 제조업 조사에 이어 제조업 부문에 대한 기술혁신조사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연속성을 유지, STEPI의 대표 데이터로서 확고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본 조사는 연구자 및 정책결정자의 수요를 반영하고 최근 OECD 논의를 반영한 설문항목을 개발, 조사하여 우리나라 제조업체의 2005-2007년 동안 수행한 기술혁신활동과 관련한 조사를 수행하여 연속적이며 활용도가 높은 기술혁신조사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조사된 혁신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우리나라 제조업체의 기술혁신활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정책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설문지 설계를 통하여 기술혁신조사를 실시하고 기술혁신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1) 기술혁신기업과 비기술혁신기업 특징 분석 2) 기존 제조업 기술혁신조사 결과와 비교분석 3) 산업별, 기업규모별 기술혁신활동 특성분석 등을 실시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결론? 4대혁신활동전체 기업의 38.5%가 4대혁신활동을 수행하였으며, 61.5%는 수행하지 않았다. 산업별로는 화학제품과 사무기계 산업이 60%이상, 광학기기, 통신장비, 전기기계, 석유 정재 산업은 50%이상이 4대혁신활동을 수행하였다. 반면에 목재나무, 인쇄, 운송장비 그리고 펄프종이 산업은 20%이하로 4대혁신활동을 수행하였다.사회경제 니즈와 미래 유망기술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석결과와 AHP를 통해 나타난 중요도간의 격차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혁신활동률전체 기업의 대비 하나라도 혁신활동을 실행한 기업의 비율인 혁신활동률은 38.5%이며, 제품혁신 활동률은 33.8%, 공정혁신 활동률은 23.7%, 조직혁신 활동률은 17.6%, 마케팅 혁신 활동률은 12.8%이다.? 혁신율전체 기업의 대비 하나라도 혁신활동을 실행한 기업의 비율인 혁신율은 32.8%이며, 제품혁신율은 24.7%, 공정혁신율은 18.7%, 조직혁신율은 16%, 마케팅혁신율은 11.2%이다. 정책제언우리나라의 제조업의 구성과 지역적 분포 등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개발활동, 4대 혁신활동, 혁신활동 비용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며, 특히 4대 혁신별 성공률과 성과, 혁신효과, 혁신의 보호방법, 혁신저해요인에 대하여 기업 담당자에게 물어서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향후 정부 R&D투자 방향 설정에 있어서의 기본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에서의 기술 혁신 형태 연구:국내 자동차 업체를 중심으로

        주백수,조원일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6

        [Purpose]The new paradigm of autonomous vehicle has been the source of omni-directional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motor industry by motivating the evolutions which range from the components to the assembli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novation types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by conducting surveys to capture the shifts in the technology innovation aspects. [Methodology]We adopt the theoretical basis from the existing innovation researches for describing the technology innovation in motor industry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technological aspect and the technology innovation model. We derive the directions of technological evolution by surveys on the R&D employees in Korean automotive manufacturers. [Findings]We follow the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Rosell & Lakemong(2012) to categorize core technologies of autonomous vehicle into component and architectural innovations. Ou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technologies for vehicle control and HMI imp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onvergence innovation. We show the positioning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ies on 3 axis of component, architectural & convergence innovations. [Implications]Our study shows how individual core technologies can be explained with extended framework which includes convergence innovation by considering the innovation aspects in convergence industry. [연구목적]자동차 사업의 연구개발 분야는 소비자, 법규 요구 및 IT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술융합에 기반 하여 자동차가 이동수단을 넘어 지능화 및 스마트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 더불어 “자율주행 자동차”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여 부품업체에서부터 완성업체에 이르기까지 전 방위의 기술혁신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기술혁신 형태에 대해 국내 완성차 업체와 부품업체의 대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의 핵심기술과 관련하여 혁신 형태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혁신의 형태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자동차 산업에 적합한 혁신에 대한 핵심 이론을 선정하였고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자율 주행 자동차의 기술혁신 모형에 개별적 기술들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핵심 기술들에 대해 국내 자동차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주성분분석 등을 통해 기술 혁신 형태의 발전방향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결과]Rosell & Lakemong(2012)이 제시한 혁신 행태의 분석법에 따라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요 핵심 기술인 센싱기술, 제어기술, 인프라 기술, HMI 판단 기술 및 기타 전장 기술 분야에 대하여 컴포넌트 및 아키텍처 혁신 등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인프라기술, 전장기술, HMI 판단기술은 아키텍처 혁신과의 상관성을 가지며, 센싱 기술, 제어기술, HMI 판단기술은 컴포넌트 혁신과의 상관성이 높음을 보였다. 이러한 혁신의 형태의 회귀분석을 통해 제어기술 및 HMI 판단기술은 융합 혁신과 유의한 결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기술들의 주성분 요인분석을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 핵심기술의 혁신 형태는 컴포넌트 혁신, 아키텍처 혁신, 융합 혁신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렇게 도출된 기술 혁신의 3개축에 자율 주행 자동차의 개별 핵심 기술을 포지셔닝하였다. [연구의 시사점]기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컴포넌트 혁신 및 아키텍처 혁신에 더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융합 혁신 형태를 통해 개별 핵심 기술들이 융합 산업과 관련되는 혁신 형태에 대해 설명 가능함을 보였다.

      • 한국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증거기반 진단

        황용수,조가원,강희종,김기국,장병열,허현회,손병호,양창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증거기반 과학기술혁신시스템 진단의 배경효과적인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추진을 위해서는 오늘날 전개되고 있는 과학기술혁신의 현상과 활동을 적합한 혁신모델, 타당한 평가방법, 그리고 적절한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이해하고 분석·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기술혁신의 다양한 특성은 과학적 분석·평가를 어렵게 하고 있고, 현실적으로 신뢰할만한 혁신모델, 평가방법, 데이터가 불충분하여 입증 가능한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기반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우리의 경우도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증거기반에 대한 신뢰성 제고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연구원에서는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를 위한 다년도 연구사업을 시작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 중 3차년도 연구로서 증거기반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을 실제로 진단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 현황 모니터링과 국제 비교분석이 결부되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및 지표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을 주기적으로 진단함으로써 과학기술시스템이 안고 있는 문제 파악과 위치 설정, 그리고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증거기반 과학기술혁신시스템 진단의 프레임워크본 연구의 STI시스템 진단의 프레임워크 설정은 중요한 관련 증거기반 체계의 사례의 종합적 분석·평가의 바탕 위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석·평가에는 미국의 과학공학지표(SEI: Science and Enginerring Indicators), EU의 유럽혁신스코아보드(EIS: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일본의 과학기술지표(STI: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캐나다의 과학기술혁신지표 프레임워크, 미국 과학기술연구연맹(ASTRA: Alli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의 혁신활력징후(Innovation Vital Signs) 지표, 한국의 국가기술혁신역량평가, 지식기반경제 측정지표, OECD의 혁신측정(Measuring Innovation) 등이 포함되었다. 과학기술혁신 환경제1절 과학기술혁신의 문화적 환경제2절 과학기술혁신의 제도적 환경 과학기술혁신 기반제1절 과학기술혁신 투자제2절 과학기술혁신 교육제3절 과학기술혁신 인적자원 과학기술혁신 활동제1절 공공연구 활동제2절 제조혁신 활동제3절 서비스혁신 활동 과학기술혁신 네트워크제1절 과학기술혁신의 산·학·연 네트워크제2절 과학기술혁신의 글로벌 네트워크 과학기술혁신의 경제사회적 조건/영향과학기술혁신시스템 진단의 종합적 고찰 및 정책적 시사점첫째, 현재의 STI 문화적·제도적 환경이 창의성과 혁신성을 고무할 수 있는 혁신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기에는 역부족이다.둘째, 세계선도형 STI 활동을 위해서는 STI 투자의 구조 변화, 교육의 질과 변화 적응성 제고, 인적자원의 개방적 활용성과 기여도 제고가 필요하다.셋째, STI 활동의 활력과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공공연구의 질적 발전, 산업혁신의 고도화, 서비스혁신의 고취가 요구된다.넷째, STI 네트워크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의 재점검, STI 글로벌 네트워크의 개방적 활용이 필요하다.다섯째, STI 조건/영향의 측면에서는 STI시스템 발전과 경제사회 발전의 연계성이 보다 긴밀해지고 질적 고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 과학기술혁신활동 측정의 과학화와 대응과제

        황용수,장용석,김석현,성지은,조가원,양창훈,임하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고 과학기술혁신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의 과정과 성과에 대한 보다 확장되고 심도 있는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다학제화와 융합화, 기술혁신의 세계화, 혁신의 광범한 파급효과 등 과학기술혁신의 새로운 변화 양상으로 말미암아 과거에 수립된 관련 자료나 해석으로는 현재와 미래의 과학기술혁신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한계를 드러내고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과학혁신정책의 과학화(SciSIP) 프로그램, OECD의 과학기술혁신지표의 개선과 개발 등 최근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증거기반(evidence base) 강화와 과학화를 위한 국제적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연구개발활동의 분석·평가, 연구개발투자의 우선순위 설정, 기술혁신의 성과와 파급효과 평가, 국가기술혁신역량 평가 등에 대한 노력을 강화해 오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화 기반은 미흡하고 신뢰할만한 지식과 정보를 공급하는 데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진국의 관련지식 발전을 모니터링 하고 성과를 공유하면서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증거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다년도 연구사업으로 추진되었다. 금년도 과제는 이 사업의 1차년도 과제로서 전체 연구사업의 포지셔닝(positioning) 정립과 함께 과학기술혁신 활동 측정의 과학화 방안을 검토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부여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먼저,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립하고, 정책의 과학화가 가지는 의의와 요건을 바탕으로 과학기술혁신정책 과학화의 입장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미국, OECD, EU 등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와 관련된 노력의 국제적 동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주요 이슈와 접근방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금년도 연구대상인 과학기술혁신 활동 측정의 과학화 이슈를 정의하고 본 연구의 분석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측정에 대한 일반적 고찰과 함께 과학기술혁신활동 측정을 위한 측정자를 고찰하여 과학기술혁신 지표 확립의 요건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과학기술혁신 지표를 중심으로 과학기술혁신 활동 측정에 대한 세계적 지식 발전현황을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과학기술혁신의 변화 특성, 신기술의 출현과 기술융합, 혁신활동의 글로벌화, 서비스 혁신의 중요성 강화, 혁신체제의 변화, 측정 방법론의 향상, 정보기술의 활용, 정보/인력의 네트워킹 등이 새로운 지표의 개발과 활용의 과제를 제기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한편, 연구개발 활동의 측정, 혁신 활동의 측정, 성과의 측정, 측정과 정책의 통합 등의 측면에서 과학기술혁신 활동 측정의 세계적 지식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혁신정책 과학화를 위한 다년도 연구사업의 포지셔닝(positioning)을 위해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평가의 과학화, 과학기술혁신 정책 평가의 과학화 등 향후 연구 아젠다를 사전적으로 탐색하는 한편, 과학기술혁신 측정의 과학화를 위한 우리의 대응 과제를 논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과학기술혁신 활동 측정이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한 투입 일변도의 측정으로부터 혁신의 성과측정으로 초점이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혁신의 성과 측정을 위한 혁신계량지표 개발에 대한 노력이 증대되고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연구개발 산출, 연구개발 산출과 혁신 결과의 연계성, 연구개발과 혁신의 거시적 효과(영향) 등의 측정 능력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계량지표 개발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혁신의 과정에 대한 통계지표는 여전히 매우 빈약한 실정인데, 연구개발 활동의 창의성, 혁신의 추진동기, 혁신의 확산, 혁신에 대한 시장 및 규제의 효과 등을 규명할 수 있는 과학기술혁신 활동의 전환과정에 대한 지표 개발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최근 OECD를 중심으로 혁신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연구개발을 전반적인 경제통계 및 국가회계시스템과 통합하는 시도 등 데이터-지표-통계의 통합체계 확립을 위한 노력이 대두되고 있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들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정책결정자, 연구개발관리자, 연구분석가 등을 대상으로 과학기술혁신 활동 측정에 대한 수요를 폭넓게 점검하고 이에 대한 측정 가능성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주요 과학기술혁신 통계조사에 있어서 데이터의 신뢰성과 질, 보완 조사/분석의 필요성, 다른 유관 통계조사 데이터와의 관계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데이터의 분류체계/범위/연계를 위한 보정체계 등 미시-섹터-거시 데이터의 연계 활용성의 문제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정책제언 과학기술혁신 활동 측정의 과학화를 위해서는 과학기술혁신 지표의 공동개발 노력 전개를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형성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통해 주요 주제별 공동심포지움을 개최하고 과제를 발굴하여 협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노력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미국의 과학혁신정책의 과학화(SciSIP) 프로그램과 같은 관련 연구 지원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관련 인프라, 연구, 국제협력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예산 확보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문창호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6

        A considerable number of previous studies regar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have focu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s a major factor affecting a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which denotes the firm’s collective direction of thought toward steadily pursing and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long run, has been presented as a crucial mechanism leading the firm to superior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the organizational members share the importance and long-term valu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firm-wide efforts and commitment to implement those technological innovations. As such,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may be characterized as organizational culture representing the value and belief shared by members. While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has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firm‘s superior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so far a limited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ts role in improving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Given such limitation in prior research,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impact of both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n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Particularly, based on resource-based view and dynamic capabilities theory, this study regarded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s two distinct strategic assets conferring a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on the firm, and proposed and empirically investigated a theoretical research frame in which those two strategic assets must be complementarily used for the firm to actualize it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full. For such a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uggested and empirically examin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concerning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ose two constructs on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o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is study conceptualize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s consisting of four critical dimensions of R&D, production/operations, marketing, and organization capabilities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se respective functional capabilities had on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dividually and through interaction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alysis of survey data on 86 Korean IT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provided substantial support for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R&D and production/operations cap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whereas marketing and organization capabilitie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Furthermore,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R&D, production/operations, organization capabilities, respectively improved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marketing capabilities was not correlated with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mot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relative rol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creating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과 동태적역량이론(dynamic capabilities theory)에 기초하여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역량을 기업의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서로 다른 개념의 두 전략적 자산(strategic asset)으로 파악하고, 기업의 우수한 기술혁신성과 창출을 위해 이 두 자산의 보완적(complementary) 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 기술혁신역량 그리고 이 두 요인 간의 상호작용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델과 가설들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델과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을 기술혁신을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추진하고 도모하려는 기업의 전반적인 사고방향 또는 조직문화로 개념화하였고 또한 R&D역량, 생산운영역량, 마케팅역량 및 조직역량의 4가지 기능역량을 기술혁신역량을 구성하는 가장 주요한 차원으로 파악 분석하였다. 86개의 국내 I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기술혁신지향성과 R&D역량 및 생산운영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혁신지향성이 R&D역량, 생산운영역량, 조직역량과 각각 상호작용하여 기술혁신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기술혁신성과 창출을 위한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역량의 상대적인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기업의 우수한 기술혁신성과와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이 두 요인의 보완적 조합의 중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자원기반관점과 동태적역량이론의 이론적, 실증적 기반을 지지하는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0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하태정,강희종,박경순,강원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기술혁신조사는 우리나라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혁신활동 전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국가 혁신정책 수립 및 혁신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통계자료를 제공함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기술혁신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제조업체 및 서비스업체들의 기술혁신 활동특성 및 애로요인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궁극적으로는 조사결과를 정책결정자, 기술혁신 연구자 등 다양한 수요계층에 제공하여 기술혁신에 대한 기업차원의 연구를 지원한다.□ 기술혁신에 관한 개념과 조사방법론을 OECD의 Oslo Manual에 기반을 두어 수행함으로써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하고 신뢰성 높은 기술혁신 통계를 확보한다.□ 더불어 본 결과를 국제사회와 공유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의 혁신활동에 대한 국제적 수준을 파악하여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한다. 주요 연구내용기술혁신조사는 Oslo Manual 3차 개정판의 기본 틀과 Eurostat의 CIS 4의 표준 설문지, 그리고 다수 국가별 설문지(영국, 캐나다, 뉴질랜드)를 근간으로 국내실정을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사항’부터 ‘정부지원제도 / 특허 등’까지 총 10여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A. 일반사항일반사항은 회사형태, 소유형태, 노동조합 등 회사의 일반적인 정보와 연구인력, 연구개발 운영형태 등의 연구개발 관련 일반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B.G. 혁신활동혁신활동은 내부/외부 R&D활동을 포함하는 연구개발(R&D)활동과 4대 혁신(제품, 공정, 조직, 마케팅)활동, 혁신활동을 위한 정보원천, 그리고 혁신활동 자금조달처, 혁신비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C. 제품혁신제품혁신은 혁신성과에 대한 제품혁신의 구성, 시장최초 여부 및 매출기여도에 대한 정보와 혁신주체, 혁신협력, 혁신효과, 혁신보호방법, 그리고 제품혁신 저해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 외에 수요업체의 역할, 혁신소요기간, 지식수명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D. 공정혁신공정혁신은 혁신성과에 대한 공정혁신의 구성, 산업최초 여부 및 비용절감효과에 대한 정보와 혁신주체, 혁신협력, 혁신효과, 혁신보호방법, 그리고 혁신 저해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 외에 혁신외부판매 여부, 혁신소요기간, 지식수명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E. 조직혁신조직혁신은 혁신구성과 비용절감효과를 나타내는 혁신성과 정보와 혁신주체, 혁신협력, 혁신효과, 그리고 혁신미완성 여부와 저해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F. 마케팅혁신마케팅혁신은 혁신구성과 비용절감효과를 나타내는 혁신성과 정보와 혁신주체, 혁신협력, 혁신효과, 그리고 혁신미완성 여부와 저해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F. 마케팅혁신마케팅혁신은 혁신구성과 비용절감효과를 나타내는 혁신성과 정보와 혁신주체, 혁신협력, 혁신효과, 그리고 혁신미완성 여부와 저해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H. 혁신활동저해요인혁신활동 조차 하지 않은 기업을 대상으로 어떠한 요인이 혁신활동을 저해시켰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I.J. 정부지원제도 / 특허 등정부지원제도에서는 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정부지원제도 활용측면에 대한 정보로 지원제도의 활용유무와 중요도 및 지원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특허에서는 기업역량에 대한 정보로 특허 수와 4대 혁신으로 인한 특허출원 수, 그리고 특허계약과 관련된 정보 수집 및 시사성 있는 자료를 조사한다. 시사점 및 제언[제언 1]국내 제조기업들의 혁신역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우수한 연구인력 확보와 조직 운영에 있어 지속적인 강화가 요구되고 있음[제언 2]4대 혁신활동이 수행방식이 기존의 내부조직에 의한 자체개발 방식에서 점차 외부와의 협력개발 및 외부개발 방식으로 옮겨가고 있음[제언 3]제품, 공정, 마케팅 등의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수 연구인력 확보와 자금 부족의 문제 해결이 기업들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임[제언 4]향후 정부의 각종 기술 및 산업 정책 수립시 국내기업들의 혁신활동 현황 및 특성에 관한 통계적 증거들을 적극 활용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

      •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II)

        임채윤,손수정,심현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중요성○ 국가경제가 선진경제로 진입하면서 대기업 중심의 산업주고로는 더 이상의 고용창출이 어렵다는 위기의 식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국가 생산성 향상과 GDP 증대 등 경제적 목적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 핵심정책요소로 기술혁신 정책이 자리 잡고 있음□ 기술혁신 정책의 양적 증가와 한계점○ 중소기업청 R&D 예산은 2005년 이후 연평균 18.1% 증가하여 2011년에는 6,288억 원으로 확대되었으며, 정부 및 공공부문의 중소기업 R&D지원은 연평균 10.3%씩 증가함○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의 중요성이 국가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정책수립기반은 부족한 실정임- R&D 투자와 R&D 활동에 대해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함- 중소기업 기술정책을 모색·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인 국내·외 통계 조사와 이를 분석하기 위한 체계가 아직 미흡함○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주요국간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동과 정책동향을 파악하기 위함 주요 연구내용○ 기술혁신역량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지표를 설계함○ R&D 자원, 혁신활동 수행, 혁신산출, 경제적 성과, 정부 공공 인프라의 현황의 통계 테이터를 바탕으로 단순 비교를 실시함○ 최우위, 최열위 성과로부터의 거리 방식으로 지수를 만들고, 중항목을 1로 가중치를 준 후 소항목 개수로 나누어○ 이렇게 계산한 가중치를 가지고 항목별 총합지수와 중소기업 기술혁신 총합지수를 산출함○ 분석된 지수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향후 연구방향을 설정함 결론□ R&D 자원 지수○ 국가별 R&D 자원 지수에서 미국의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국내는 주요국에 비해 기업의 규모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R&D 활동에 투입을 확대하고 있음□ 혁신활동 지수 ○ 국내 기업의 혁신활동은 일본의 약 2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남○ 창업활동지수는 미국의 1/2 수준에 불과하지만 일본, 독일, 프랑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평가됨□ 혁신산출 지수○ 국내가 미국, 프랑스에 비해 약 3배 가까운 성과를 보여주고 있음□ 경제적 성과지수○ 국내 중소기업은 혁신 활동을 통한 성과를 충분히 경제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공공·인프라 지수○ 국내 중소기업의 정부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미국의 1/3 수준으로 독일, 프랑스 등과 유사한 수준임○ 벤처캐피탈지원은 미국, 프랑스, 독일에 비해 낮은 수준임○ 중소기업 공공구매 규모는 작지만 중소기업에 대한 비중은 약 65%로 미국의 3배, 프랑스의 2배 수준임

      •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Ⅲ)

        박찬수,손수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의 중요성이 국가적으로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 필요한 기반은 아직까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우선,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R&D투자, 그리고 R&D 활동에 대해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하다.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에 활용되는 비교 데이터는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비교, 또는 설문조사를 통한 세계 최고대비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현황 등이다. 하지만,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비교는 절대규모 측면에서는 대기업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상대적인 규모(매출액 대비) 측면에서는 중소기업이 높은 비중을 보이는 등 명확한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또, 중소기업 기술정책을 모색 ·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인 국내외 통계의 조사와 이를 분석하기 위한 체계도 아직까지 미흡한 형편이다. 그러므로 동 연구는 우리나라와 주요국간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동과 정책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추진되어지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동 연구는 5차년도로 진행되는 것으로 1차연도에는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평가를 위한 이론고찰 및 기초 데이터 탐색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었다. 1차연도 연구를 토대로 기초데이터 수집가능성, 국가간 비교가능성을 분석한 바 있다. 2차연도에는 탐색된 기초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총량적 개념에서 단순비교, 상대적 개념에서 단순비교, 그리고 복합지표를 설계하여 국가간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동을 비교 하였다. 3차연도로 실행된 본 연구는 가용한 자료의 범위를 확대하여 지표 분석의 수준을 한층 높이는 한편, 주요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을 평가하고 국가별 정책 동향을 파악하였다. 먼저, 국가별 중소기업 혁신 역량을 측정, 분석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연구 방법론을 활용했는데 주요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한 후, 그 변화를 유발한 요인별 기여율로 분해하여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의 국제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독일, 대만, 미국, 일본 등 중소기업이 국가 경쟁력의 기초가 되고 있는 주요국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동향을 조사했다. 각국 별로 중소기업을 둘러싼 환경, 관련법 및 제도, 중앙-지방정부의 역할분담, 창업 · 벤처 정책 등 대표적인 기술혁신 지원사업 등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 동향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결론첫 번째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표분석의 결과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의 투입자원과 혁신성과라는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은 풍요와 빈곤이 공존하는 상황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즉, 이미 국내 중소기업의 연구인력 및 특허보유의 양적인 측면은 빠르게 성장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R&D 자본확보에 있어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독일 중소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계측하고 분해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중국의 총요소생산성 및 기술진보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독일 등의 선진국가의 총요소생산성과 기술진보는 느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총요소생산성과 기술진보 속도는 중국과 선진국의 중간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총요소 생산성 분해요소 중에서 기술진보율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기여하는 바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로, 모든 국가 및 대부분의 산업에서 최선도 기업과 평균 기업간의 기술격차가 벌어지는 기술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번째로 규모효과와 배분효율성 변화율은 퐁요소생산성 변화율에 미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산업 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과 기술진보율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국, 독일, 일본, 대만 등의 정책동향을 살펴본 결과 미국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중소기업에게 국방 조달을 통한 새로운 시장 제공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처음으로 타생되어 오늘날 세계적인 벤처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독일은 정부 및 관련 기관들이 지원 목적 및 지원 대상에 따라 필요한 정책을 중소기업들에게 제공하여 독일 중소기업들의 기술혁신 및 경쟁력 제고, 창업촉진, 일자리 창출 등을 돕고 있다. 일본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광범위한 정책을 가지고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대만은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배양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소기업 산업 육성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정책제언우선 중소기업의 정량적 지표 분석 결과 질적인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관련 자원 확보 및 배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었다. 국가별 중소기업의 생산성 분해분석결과 첫째로, 대중소기업 간 기술협력과 정부 R&D 투자 지원금 제도의 개선을 통해 한국 중소기업의 기술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로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소기업간 기술 양극화 현상을 해소해야 하며, 융합기술이 필요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R&D 자금 및 기술지원을 통해 산업간 총요소생산성 격차를 줄이는 정책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나 기술진보 속도가 느린 기업의 기술혁신지원을 위한 새로운 정책 수단의 개발이 필요하다.

      •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Ⅳ)

        임채윤,박찬수,손수정,장병열,김선우,오동현,황정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창조경제를 선도할 중소기업 혁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을 진단할 도구적 툴로써 국가 간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증대○ 본 연구는 3차년도 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수립 시 필요한 주요 국가별 중소기업 혁신 데이터와 정책 및 정책효과 분석, 그리고 국가 간 중소기업 성공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정량, 정성적으로 증거기반의 정책 수립을 지원함주요 연구내용○ 주요국(한국,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별 중소기업 혁신데이터 비교 및 시사점 도출○ 주요국별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 동향 조사○ 중소기업 기술혁신 관련 정책과 기술혁신역량 간 상관관계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주요국별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성공사례 조사 및 시사점 도출○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결론○ 국가별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을 비교한 결과 (i) 맞춤형 중소기업 기술정책 현황과 성과, (ii)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한 정책 방향, (iii) 공공연구기관의 중소기업 기술이전 등이 정책의 관심이 되고 있으며, 5차년도에는 주제별/분기별 이슈 페이퍼 작성을 통해 신속한 정책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국가적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투자는 양의 문제이기 보다는 효율성의 문제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책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심층 연구가 필요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