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정효황후 주칠나전가구의 제작기법적 고찰

        이선주 미술사연구회 2019 미술사연구 Vol.- No.36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순정효황후 주칠나전가구는 국가민속문화재 제227호로 의걸이장 2점, 삼층장, 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구는 순정효황후(1894~1966)가 사용한 궁중유물로 김진갑이 제작한 것이다.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에서 칠 기법을 배운 김진갑은 조선다운 의장에 새로운 제작기법을 접목한 칠기를 제작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주칠나전가구라 할 수 있다. 이 가구는 형식·구조적인 면과 장식기법의 변화에서 근대적 특징을 보인다. 특히, 기존의 나전도안에서 벗어나 화가의 도안을 채용하고 전통적인 나전기법과 일본의 마끼에(蒔絵) 기법을 사용하여 회화적으로 표현한 점이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 분석과 장식기법 등을 통해 칠기제작에 쓰인 재료와 기법, 공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칠단면 분석과 육안 관찰을 통한 제작과정을 살펴본 결과, 침대의 경우 먼저 목재(백골)에 천과 종이를 바르는 심 바르기를 하였다. 넓은 판재의 경우 천을 바르고 측면부의 좁은 면은 종이를 발랐다. 그다음으로 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토분을 섞은 골회를 발랐다. 그 후. 옻칠을 3회 하여 완성되었다. 주칠의 안료는 석간주로 밝혀졌으며, 흑칠은 검은색의 산화철을 섞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대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가구도 같은 제작과정을 통해 제작되었으리라 추정된다. 가구의 문양으로는 김규진과 이도영 등의 조선 금강산 풍경이나 사군자, 십장생의 도안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으로는 나전기법과 마끼에 기법을 사용하였다. 나전기법은 실톱의 유입으로 섬세한 문양으로 가공하는 줄음질이 사용되었다. 학이나 사슴 등 입체감을 살려야 하는 문양은 칼로 조각하는 조패법이 사용되었다. 재료적인 면에서는 조선시대까지 전복패를 가공한 색패를 사용한 것과 달리 인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일본 등지에서 수입해야 하는 야광패와 진주패가 문양의 곳곳에 사용되었다. 산, 바위, 물결들의 표현에 있어서 외곽선은 자개로 하고, 안쪽으로는 가루를 뿌려 명암을 표현하는 마끼에기법으로 원근감을 주었다. 마끼에 기법 중에 여기서 사용된 기법은 부분적으로 가루를 뿌려 표현하는 다른 방법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칠을 하고 가루를 뿌린 다음 갈아서 표현하는 토기다시마끼에(硏出蒔絵)가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서 파도 부분에 사용된 가루는 은분임이 확인되었고, 바위나 산 표현에서 보이는 색을 띠는 가루는 건칠분으로 추정된다. 이 가구 제작에 사용된 재료로 판단했을 때 칠기에 쓰이는 재료는 일본이나 다른 국가를 통해서 들어온 수입재료로서 그 당시 재료의 수입이 가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인들이 들어와 공방을 인수하고 칠기를 제작했던 정황으로 판단컨대 일본에서 생산되는 마끼에 재료의 수급은 그리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입된 재료에서 보이듯 근대는 여러 문물이 왕래하고 여러 양식이 흡수되는 시기였다. 기법과 장식적인 면에서 일본 기법을 사용하여 일본식이라는 인식을 가질 염려도 있다. 하지만 그에 앞서 순정효황후의 주칠나전가구는 조선의 풍경을 나타낸 회화적인 도안의 시도이며, 전통적인 나전기법과 일본 마끼에기법을 절충한 옻칠기법은 김진갑의 새로운 기술적 표현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사료된다. Empress Sunjeonghyo’s set of red lacquered furniture with inlaid mother-of-pearl designs, now part of the collection of Seokdang Museum at Donga-A University, is officially listed in South Korea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277. The set comprises two wardrobes, one three-tier cabinet, and one bed. These royal court artefacts, formerly used by Empress Sunjeonghyo (1894-1966), were made by craftsman Kim Jin-gap. Kim, who learned lacquering techniques at the Yiwang-jik Artwork Manufactory, produced lacquerware that fused new manufacturing techniques with Joseon-style designs; red lacquer furniture inlaid with mother-of-pearl can be described as one of these new types. This furniture shows moder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m, structure and changes in decorative technique. Prime examples of this are the way it moves away from existing mother-of-pearl designs and employs painting-style motifs, and the way it combines traditional mother-of-pearl techniques and Japanese maki-e techniques to create a painting-like style. In this study, I use scientific analysis and observations of decorative technique to examine the materials, techniques and processes used to produce the lacquerware. Examin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analysis of lacquer cross-sections and visual observation shows that the bed was made by sticking fabric and paper onto bare wood. Fabric was applied to wider boards, while paper was applied to narrower side pieces. Next, a mixture of clay and bone ash was applied to make each surface of the bed even. Finally, three successive layers of lacquer were applied. The pigment used in the red lacquer was found to be red ocher, while analysis showed that the black lacquer contains black iron oxide.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bed, it is assumed that the other items of furniture in the set were made using the same technique. The patterns on the furniture use designs from Mt. Geumgang landscape paintings, Four Gentlemen paintings and Ten Longevity Symbol paintings by artists such as Kim Gyu-jin and Lee Do-yeong. Mother-of-pearl and maki-e techniques were used to depict these patterns. To inlay the mother-of-pearl, a coping saw was used to create fine patterns, in a method known as jureumjil. For elements such cranes and deer, where a sense of depth was required, a method known as jopaebeop, in which patterns are carved with a knife, was used. When it came to materials, Kim used shells from green snails and oysters, which had to be imported from countries such as India,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Japan, rather than the abalone shells used in the Joseon period, for various parts of his patterns. To depict mountains, rocks and waves, he created a sense of perspective by rendering the outlines in mother-of-pearl and using a maki-e technique of sprinkling powder inside them to create light-dark contrasts. It was determined that the particular maki-e technique used here is a method known as togidashi maki-e. Unlike other types of maki-e, in which powder is applied only to parts of the design, this particular method involves applying lacquer to the whole design, sprinkling powder on it, then rubbing it down. This study confirmed that silver powder was used to depict the waves, while the powder used to depict rocks and mountains is presumed to be dry lacquer. The nature of the lacquer materials used on this furniture suggest that they were imported from Japan or another country, indicating that importing such materials was possible at the time. Given that some Japanese immigrants in Korea were taking over workshops and producing lacquerware, acquiring Japanese-made maki-e materials is presumed not to have been difficult. As shown by these imported materials, the modern era in Korea was one that saw the intermingling of diverse culture and the absorption of various styles. The use of Japanese decorative techniques risks creating the impression that this is Japanese-style furniture. But I beli...

      • KCI등재

        둥지격자기법에 따른 영동지방의 겨울철 강수량에 대한 WRF 모델의 민감도: 사례 연구

        이재규,성현민,Lee. Jae Gyoo,Sung. Hyun Mi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1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홍수, 폭염, 한파, 가뭄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강원도 지역은 태백산맥과 동해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재해기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으로 2011년 2월에 발생한 대설로 인해 농 어업시설 파괴, 도로 등을 마비시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한바 있다. 따라서 기상재해를 유발시키는 겨울철 강원 영동지역의 대설사례를 대상으로 둥지격자기법(One-way nesting 기법과 Two-way nesting 기법)을 각각 적용해 WRF 수치모델을 구동하여 그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동지역의 정확도 높은 대설 예측을 위해 어떠한 둥지격자기법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먼저, 영동지역의 대표적인 두 가지 형태의 강수사례, 즉 해안형 강수사례(event A)와 산악형 강수사례(event B)를 각각 선정하여, 지표바람장과 발산장 그리고 누적 강수량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강수 예측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oneway nesting 기법과 two-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하여 모의된 3시간 누적 강수량에 대한 Threat Score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one-way nesting 기법과 two-way nesting 기법의 사용에 따른 수치모의 결과의 차이를 상호 비교해보면, 해안형 강수사례(event A)의 경우, two-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한 모의가 one-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한 모의보다 영동 해안지역에서 서풍 계열의 바람이 부는 영역을 보다 넓게, 그리고 서풍 계열의 바람을 다소 강하게 모의하여 one-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한 모의보다 two-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한 모의가 해상쪽(동쪽)으로 갈수록 누적 강수량을 많이 모의하였다. 결과적으로 two-way nesting 기법이 one-way nesting 기법보다 영동지역에 모의되는 강수분포를 다소 동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산악형 강수사례(event B)의 경우, two-way nesting 기법이 one-way nesting 기법보다 산악지역에서 동풍기류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모의하였고 이에 따라, 산악지형에 의한 강제 상승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에 산악지역에서 two-way nesting 기법을 이용하여 모의한 누적 강수량이 one-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하여 모의한 누적 강수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한편, 수치모의 결과에 대한 상호비교가 아닌 실제 관측과 비교하기 위하여, event A와 event B사례에 대하여 one-way nesting 기법과 two-way nesting 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얻어진 수치모의 결과자료와 AWS 관측자료를 비교한 Threat score를 구하였다. 비록 one-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한 경우보다 two-way nesting 기법을 사용한 경우, 강수역이 보다 해상쪽(동쪽)으로 치우쳐 모의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두 기법에 대한 TS값의 차이(평균 약 0.01 정도)는 매우 작게 나타나, 어느 기법을 사용하든 강수 예측의 정확성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었다. WRF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was run with one-way grid nesting or two-way grid nesting, respectively for Yeongdong province`s two typical precipitation cases of the coastal precipitation case (event A) and the mountain precipitation case (event B) which were synopt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rtheasterly to examine whether the choice of nesting method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cipitation distribution. For the coastal precipitation case (event A), the average accumulated-precipitation from simulation using two-way nesting was approximately 7.78 mm bigger than that using one-way nesting in the Yeongdong coast area. However, that from simulation using two-way nesting was approximately 4.23 mm smaller than that using one-way nesting in the mountain area. Similarly, for the mountain precipitation case (event B), the average accumulated-precipitation from simulation using two-way nesting was approximately 1.56 mm bigger than that using one-way nesting in the Yeongdong coast area. In addition, that from simulation using two-way nesting was approximately 4.91 mm smaller than that using one-way nesting in the mountain area. That is, for both the coastal precipitation case (event A) and the mountain precipitation case (event B), the average accumulated-precipitation from simulation using two-way nesting was bigger than that using one-way nesting in the coast area, but in the mountain area that was the reverse.

      • KCI등재

        전통도예기법의 변용과 확장성에 대한 연구 : 상감기법을 중심으로

        윤지용(Yoon, Ji-Yo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전통문화의 미적가치와 조형미를 계승함과 동시에 창의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미래의 문화유산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는 인식에 기초하여, 전통도예기법을 활용하고 새로운 시도를 모색하는 현대도예작품들을 분석하면서 변용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전통도예기법이 현대도예에 적용된 사례와 범위를 기본으로 기법의 확장성과 변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전통기법의 현대화 과정에서 보여 지는 특징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시문기법이 독특하여 다른 나라의 장식과 구별되는 상감기법을 중심으로 기법의 정의와 형성배경 등을 개략적으로 고찰하면서 문화 예술적 가치와 전통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자 하였다. 주변국으로부터 전수된 기법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발생한 장식기법이라는 면에서 고려인들의 창의성과 기술력의 소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감기법의 변용된 사례를 확인하면서 현대도예 작가들이 활용하고 있는 표현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논하였으며, 상감기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작품에 응용하고 있는지를 제작방식의 차이와 특징을 살펴보면서 전통도예기법에 대한 변화와 가능성을 가늠해보았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이 전통으로 포장된 아류작으로 치부되지 않기 위해서는 전통과 기법에 대한 바른 이해와 연구가 선행되어야할 것이다. 전통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나 답습의 과정이 아닌 전통의 내재된 가치를 현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적용하고 해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냉정한 비판과 담론을 통해 시대적 패러다임을 만들어 새로운 문화를 견인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길 바래본다. 소중한 문화와 전통을 계승함과 동시에 시대적 감성을 더하여 창의적인 변화를 만들고, 현대화된 기술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작품들이 폭넓게 공존하며 발전할 때 새로운 전통과 역사를 이어 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presented cases transformed cases, analyzing the contemporary works of ceramic art that utilize the traditional ceramic technique and make new attempt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succeeding the aesthetic value and formative aesthetic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ing it creatively would be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future. This study would check on the expandability and changeability of the technique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traditional technique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ased on the examples and scope in which the traditional ceramic technique was applied to contemporary ceramics. Centering around the ‘inlay technique’ differentiated from the decoration of other countries with a unique pattern inscription technique, this study would roughly discuss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techniques to remind reader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and the importance of the tradition. In that it is not a technique passed down from neighboring countries but a decoration technique that was generated independently, it was found that it is a product of the creativity and technology of the people of Goryeo. Checking the cases in which the inlay technique has been transformed, this study discussed the diversity and expandability of expressions utilized by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and judged the changes and possibilities of the traditional ceramic technique, examining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methods, concerning how they understand the inlay technique and apply that to their works.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research on the tradition and techniques should precede so that the process of these changes will not be considered imitation packaged as the tra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apply and interpret the value inherent in the tradition to contemporary trends and changes instead of the process of simple copying or imitation of the tradition. In addition, hopefully, the paradigm of the times would be made through sober criticism and discourse on this and would act as the driving force to lead a new culture. It is judged that a new tradition and history would continue when the precious culture and tradition are passed down and the sensibility of the times is added to make creative changes, and the works that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of modern technology are developed by coexistence.

      • KCI등재

        『최척전』 의 서사기법 활용 양상

        신태수(Taesoo Sh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이 논문은 최척전 에 사용된 서사기법을 분석한 것이다. 최척전 의 구성방식과 서술방식을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에 사용된 서사기법들을 추출하여 목록화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서 선행 연구가 언급한 기법들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기법들의 목록이 새롭게 드러났다. 이 논문은 서술기법에 있어서 인물 및 사건의 조응 기법인 ① 대우, 인물 및 사건의 대조 기법인 ② 친탁 ③ 억양, 시간에 관련한 서술 기법인 ④ 도서 ⑤ 급사완설, 사건과 사건의 연결 기법인 ⑥ 난교속현, ⑦ 교합 등의 기법이 최척전 의 창작에 동원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최척전 은 서사의 구성기법에 있어서 한 번 가까워졌다 한 번 멀어지는 일근일종(一近一縱)의 방식으로 전개되도록 짜여져 있음을 밝혔다. 이 작품은 이러한 구성기법을 통해 서사의 기복을 만듦으로써 극적 효과를 증폭시켜서 끊임없이 흥미를 자극하며 독자를 끌어들인다. 또한 그 과정에서 다양한 서술기법들을 사용하여 독자가 흥미진진한 맛을 느끼며 몰입하도록 만든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독자로 하여금 작품의 주제의식에 적극 공감하도록 만드는 효과를 거두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technique used in Choicheokjeon . By analyzing the compositional and narrative methods of Choicheokjeon in detail, the narrative techniques used in this work were extracted and cataloged. Through the study of this thesis, various narrative techniques were newly revealed in addition to the narrative technique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This thesis revealed that narrative techniques such as Parallelism, Chintak method, Eogyang method, Doseo method, Geup-sa-wan-seol method, Nan-gyo-sok-hyeon method, and Gyohap method were mobilized for the creation of Choi Cheok Jeon . Also, in the composition of the narrative, Choicheokjeon is structured so that it develops in a way of getting close once and moving away once. By creating the ups and downs of the narrative using this compositional method, the dramatic effect is amplified, constantly stimulating interest and attracting the reader.

      • KCI등재

        종이기법을 융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표현연구 - 조각 기법을 중심으로 -

        김진희(Kim, Jin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본 연구는 객관적 사실의 재현보다 창조 활동으로 이미지를 창출하는 예술적인 분야로 범주가 넓어지고 있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기법의 개발을 위해 시작하였다. 현대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새로운 재료의 사용과 독특한 표현 방법을 통해 예술적인 조형활동으로 변모하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재료로 종이를 선택하여 종이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진행하므로 이를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새로운 기법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종이기법 중 조각기법을 활용하여 장식적이고 예술적 감성을 도모하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작품으로 이행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내용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일반적 고찰과 종이기법 중 조각기법을 조사하고 이를 활용한 작품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모티브는 공작, 나비, 백조로 하여 인체를 접목한 초현실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연구 결과로 입체적 조형 재료로도 가능한 종이의 특성과 종이조각 기법을 통해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표현하므로, 재료 및 기법의 새로운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각기법을 통한 부조적 입체 표현으로 빛에 의한 음영효과를 만들 수 있어 독창적인 조형 세계를 창출하였다. 이는 보는 이에게 풍부한 감성을 주는 미적 표현이 이루어지며 그 예술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재 및 기법의 개발에 있어 고정된 관념에서 벗어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표현영역의 확대를 시도하기 위해 여러 분야와 기술적, 미적 접목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develop the expression technique of fashion illustration, which is expanding into the artistic field of creating images with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the reproduction of objective facts.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is increasing its value by transforming into artistic shaping activities through the use of new materials and unique methods of expression This study is to present this as a new technique of fashion illustration because paper is selected as a form material of fashion illustration and the work is carried out using paper techniques. Therefore, this paper carried out a fashion illustration into work that decorative and artistic sensibility by utilizing sculptural techniques among paper techniques.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based on a general review of fashion illustration and paper sculpture techniques, and the work was carried out using them. The motifs of the work are peacock, butterfly, swan, and human body expressions as well as the surreal image.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and the paper sculpture technique were used to express the fashion illustration and utilization of materials and techniques was presented. The expression through sculptural techniques created a shading effect by light, creating a unique fashion illustration artistic value could be given as emotional aesthetic expression was achiev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hrough various fields and technical and aesthetic contacts to expand the area of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on by breaking away from the fixed idea of materials and techniques.

      • KCI등재후보

        국내 장신구 관련학과의 칠보기법 교육과정 연구

        지영지(Chi, Young-ji)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4 조형디자인연구 Vol.17 No.3

        이 논문은 창의적 장신구 제작을 위한 금속공예의 여러 기법 중, 칠보기법의 교육과정 개선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금속공예의 한 기법인 칠보기법은 여러 장점을 지닌다.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금속의 표면 변색을 막아주며, 보석 대용으로 금전적 부담을 덜어준다. 또한 다양한 질감 추구와 예측하지 못한 우연한 효과 등 불과 유약, 그리고 금속이 어우러져 무한한 예술적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교육과정 안에서 이 기법은 금속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색을 앞세운 특별한 느낌으로 다가갈 것이다. 그리고 불에 들어가기 전과 후의 두 단계로 나누어지는 작업 공정은 흥미를 주기에 충분하다. 실기과목으로 색채 훈련을 용이하게 하며, 빠른 결과 확인으로 학생들의 흥미 유발에 우수하다. 하지만 현실에서 전국의 많은 대학들이 '칠보기법'을 과목명으로 내세워 전공실기과목에 개설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많은 과목들이 '귀금속 세공'에 치우쳐 있었고, '귀금속 기법'으로 개설된 과목들은 모든 기법들을 광범위하게 포괄하고 있었다. 이 '기법' 과목들은 학기 또는 담당교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육하는 경우가 많았다. 칠보기법을 교육과정에 개설한 대학은 4년제보다 주로 2~3년제 대학이었다. 짧은 교육주기로 인해 크기가 작은 장신구를 집중 교육, 특화시킬 수 있어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본다. 장신구에 색상과 가치 그리고 미적 표현을 위해 주로 보석이 사용되지만, 비용절감과 예술적 표현의 다양함을 위해 칠보가 색다른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장신구와 칠보교육은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3년제 대학의 특성상 빠른 과정 진행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 목적이 크기에 대다수 학생들의 작가적 태도와 작업에 관한 집중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그 자리에서 소성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칠보기법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현실을 근거로 칠보기법이 장신구 교육에서 독립된 전공 실기과목으로 확대 운영될 수 있도록, 칠보기법을 교과목으로 개설한 대학들의 교육방법을 조사, 분석하고 기법의 장점을 밝혀 효율적 방식의 칠보 교육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done to improve the education curriculum of enameling as a part of the metal craft for fabricating creative jewelry and to vitalize the enameling. The enameling features numerous advantages. It has excellent physical characteristic, prevents discoloration on the surface of metal and replaces precious jewelry with its affectability. It also provides pleasures of various texture and unexpected affects which results in unlimited artistic presentations blending metal with enamel in high heat. The enameling course within a curriculum for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metal craft will add special effects with enameling coloration. The enameling process has two stages, before and after the firing which adds interests to the whole processes. The process adds easy coloring practices and raises students' interest level by seeing the results in relatively short time. In reality, however, few universities included 'enameling' in the major practice course. Many courses were biased toward 'jewelry making' or 'silver work' and courses opened under the name of 'jewelry technique' included all techniques extensively. In most cases, these 'technique' courses were selectively taught depending on semesters or professors. The enameling curriculum was mostly opened in 2~3 year colleges rather than 4 year universities.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have appeared because small jewelry can be intensively taught and specialized due to the short period of training. jewels are mainly used to add color, value and aesthetic expression to jewelry but enameling can play a unique role for cost reduction and diversity of artistic expression. In this regard, jewelry and enameling education can be closely related. Also, most of 2~3 year college students aim to get a job and therefore, they tend to pay less attention to work production and enameling that they can see firing results on the spot can be a good tool to arouse their interest. Based on this reality, we are to propose the effective way of enameling education method by revealing the advantages of the techniqu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rogress process of universities with enameling course to ensure that enameling can be expanded into and operated as an independent major practice course in jewelry education.

      • KCI등재

        韓·中 象嵌技法의 種類와 技術的 差異

        나상철(Na, Sang-chul)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청자의 대표적 장식기법인 상감기법의 종류를 살펴보고 중국 상감기법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중국 상감기법은 사용 시기에 따라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Ⅰ기는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초까지이며 黑釉刻花塡白彩기법이 발생, 소멸하는 시기이다. Ⅱ기는 五代에서 北宋 초기로 河南省에서 白釉劃花塡黑彩와 珍珠地劃花가 사용된 시기이다. Ⅲ기는 1기와 2기로 나누어지며. 제1기는 北宋 초에서 12세기 중반까지로 白釉劃花塡白彩가 사용된 시기이다. 제2기는 11세기 후반에서 金代로 黑剔花刻塡과 白釉剔花塡彩기법을 사용한 시기이다. Ⅳ기는 金代 말에서 元代까지로 劃花塡彩기법을 사용한 시기이다. 상감기법의 요소는 사라지고 배경에 黑彩를 하여 白釉剔花塡彩와 유사한 시각적 효과를 보인다. 한국 상감기법은 역시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태동기는 10세기 중반에서 11세기 초이다. 靑磁塡彩象嵌기법를 사용하였으며 붓으로 그리거나 중국과 같이 액체성의 顔料를 바른 후 닦아내는 방법으로 상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립기는 11세기에서 12세기 중후반이다. 靑磁剝地白彩象嵌기법과 鐵釉白象嵌기법을 사용한 시기이다. 이 시기 상감기법은 바탕이 대부분 검은색 혹은 갈색이며 문양은 백상감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발전기는 흑백 상감 기법이 탄생한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다. 소멸기는 15세기에서 16세기 중반으로 고려의 상감기술 위에서 백색화장토를 사용하는 粉靑沙器 특유의 상감기법이 사용되었다. 한국과 중국 상감기법을 비교한 결과, 한국과 중국의 상감기법은 일부 기술적 유사점만을 가지고 있을 뿐 시간의 궤를 함께하지 않고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한국과 중국 모두 감입이라는 원초적인 상감기술을 사용하며 각기 다르게 발전해 왔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 상감기법은 박지기법과 같은 중국 제자기술의 일부 수용은 이야기할 수 있으나 한국 장인들의 노력으로 변화, 발전되었다고 여겨진다. Sanggam technique is a typical decorative technique of Goryeo celad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kinds and technical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sanggam techniques. The phase of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sanggam techniques is divided into four period. The first phase is from the mid-9th century to the early 10th century, when black glaze Carved white draw technology developed and disappeared. The second phase is from the Five Dynasties to the Northern Song Dynasty. It is the time when White glaze Carved black draw techniques and Pearl Carved techniques are used. The third phase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the period when White glaze Carved white draw techniques were u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North Song Dynasty to the 12th half. The second part was the period when Black sgraffito fillup techniques and White glaze sgraffito fill up draw techniques were used from the late 11th to the Jin Dynasty. The fourth phase is from the latter of Jin Dynasty to Yuan Dynasty. This is the time when Carved fill up draw technique was used. The phase of the transformation of Korea’s sanggam techniques is divided into four period. The first phase is from mid-10th to early 11th century, when celadon fillup draw sanggam technique was used. The second phase is from the 11th to the early 12th century. when celadon sgraffito black draw technique and celadon sgraffito white draw technique was used. The third phase is from the 12th to 14th century, when black and white sanggam techniques were born. The fourth phase is from around the 15th century to the mid 15th century. It is the period when Buncheong Ware with sanggam,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black draw and White porcelain with sanggam were produced. According to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Chinese sanggam techniques,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but the exact same technique does not exist and the time of use is also very different. Thus, the Korea"s sanggam techniques was changed and developed by Korean potters" efforts to improve self-quality, improve artistic quality, and some of the Chinese sgraffito techniques were accepted.

      • KCI등재

        하드웨어 지원의 재시도 없는 잠금기법

        김미경,홍철의,Kim Mee-Kyung,Hong Chul-Eui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9

        잠금기법은 분산 병렬 시스템의 동기화에 필수적이다. 기존의 큐잉 잠금기법은 최초의 잠금 읽기와 잠금 경합발생 시 공유 데이터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발생하는 잠금 읽기 재 시도로 두 개의 트래픽을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WPV(Waiting Processor Variable) 잠금기법이라 불리는 새로운 잠금기법을 제안한다 새로이 제안하는 기법은 오직 한 개의 잠금 읽기 명령을 사용한다. WPV 기법은 파이프라인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최초의 잠금 읽기 단계에서 공유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 한 후 잠금을 실시한다. 데이터에 대한 잠금을 수행중인 프로세서는 대기 상태의 다음 프로세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공유 데이터가 캐쉬 대 캐쉬 데이터 전송 기법에 의하여 대기중인 다음 프로세서로 바로 전송된다. 따라서 대기중인 프로세서 에 대한 변수는 연결 리스트 구조를 갖는다. 제안된 기법은 캐쉬 상태의 잠금기법을 사용하여 잠금 오버 헤드를 줄이고 다중 잠금 경합 발생시 FIFO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메모리 및 캐쉬 큐잉 잠금기법에 대한 WPV 잠금기법의 해석적 모델링을 제시한다. WPV 잠금기법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기존의 큐잉 잠금기법에 비하여 50%의 접근 시간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A lock mechanism is essential for synchronization on the multiprocessor systems. The conventional queuing lock has two bus traffics that are the initial and retry of the lock-read. %is paper proposes the new locking protocol, called WPV (Waiting Processor Variable) lock mechanism, which has only one lock-read bus traffic command. The WPV mechanism accesses the shared data in the initial lock-read phase that is held in the pipelined protocol until the shared data is transferred. The nv mechanism also uses the cache state lock mechanism to reduce the locking overhead and guarantees the FIFO lock operations in the multiple lock contentions. In this paper, we also derive the analytical model of WPV lock mechanism as well as conventional memory and cache queuing lock mechanisms. The simulation results on the WPV lock mechanism show that about 50% of access time is reduced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queuing lock mechanism.

      • KCI등재후보

        전통회화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의 효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김미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4 No.-

        본 논문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전통회화기법을 활용 한 옻칠교육을 통해 전통의 올바른 계승과 창의적 사고력 및 표현력 향상을 위하여 전통회화 교육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옻칠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전통회화 교육에 대한 현황 분석을 위하여 교육과정 분 석과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서 나타난 전통회화 교육의 문제점은 전통표현의 답습과 감상에 치우진 소극적인 수업 형태, 실제 수업에서 전통회화 영역의 낮은 비중 및 학생 들의 전통회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시급하였다. 둘째, 전통회화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은 전통회화의 특징을 해치지 않으면서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기법을 응용하여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는 새로운 표현기법과 전통 표 현기법의 장르별 통합 형태이며 연구한 기법 및 재료를 바탕으 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였다. 전통회화 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자유로운 기법과 재료의 활용은 창의적 사고력 향 상을 돕고 새로운 표현기법과 전통 표현기법의 통합적인 응용 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표현력 향상은 미술의 타 영역 표현에서도 전통회화의 재료와 기법을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생들 이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흥미 유발에도 도움이 되었 다. 셋째, 전통회화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은 초등학생들이 옻칠화 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raditional painti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rrect succession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expressiveness of traditional education through the ottchil using a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to target the elementary school, and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ottchil education. First, we conducted a survey in which we targeted the curriculum and students. Through the survey we were able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painting education. There were a few problems revealed by the survey. Among these are the imitations of traditional expression, inactive classes which focus on feelings, little emphasis on traditional methods, and the students’ unawareness of traditional painting. These problems need to be addressed urgently. Next is effect of a ottchil education with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This education aims to not mar the features of traditional painting while applying possible creative techniques. This is a new technique of expression mixed with the traditional technique. We applied real ottchil, and produced class materials based on the techniques. Educational effects of the ottchil education using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are as below. Firstly, it helped improve students’ ability to think creatively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Free styles and usage of new materials help improve students’ ability to think creatively. Integrated use of new techniques of expression and traditional techniques allowed students to express their feelings more effectively than intended. Secondly, expressiveness is expected to impact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raditional painting used in other areas of art. It also helped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ir classes as they found it enjoyable. Thirdly, effect of ottchil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which uses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made elementary students increase their interest in ottchiling.

      • KCI등재

        제작기법과 문양을 통해 본 백제 금동신발의 편년

        이문형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8

        본고는 백제 금동신발의 자료를 검토하여 제작기법과 문양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백제 금동신발의 편년을 제시하였다. 조금기법이란 단조로운 금속 표면을 장식하는 기법으로 백제 금동신발에는 線彫기법(점선조·축조)과 魚子文기법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조금기법의 발달은 금동신발의 문양과 밀접한관련성을 보이는데 단순한 투조판에서 점차 육각형문의 복잡 다양한 투조판으로 변화한다. 또한시문된 문양에 있어 일정한 변화 패턴의 연속성이 관찰된다.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 금동신발은 제작기법과 문양의 변화를 바탕으로 크게 한성시기와 웅진시기로 구분된다. 한성시기의 백제 금동신발은 ‘凸’자문 혹은 능형문의 투조판으로 단순하게 제작되다가 5세기2/4분기에 이르러 조금기법이 접목되어 용문 혹은 화염문 등으로 변화한다. 이같은 조금기법은더욱 발전하여 5세기 3/4분기로 판단되는 고창 봉덕리 1호분 4호석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에서최고의 절정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봉덕리 금동신발은 육각형문으로 구획된 투조판 내부에 용을 포함한 봉황·인면조신 등의 각종 상서로운 동물을 새로운 어자문기법 등으로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입체감있게 시문하였다. 웅진시기로 들어서면 금동신발은 조금기법상의 급격한 변화가 관찰된다. 즉 한성시기에 사용되던 조금기법 중 단순한 점타조기법만을 사용하여 문양을 시문하며, 문양 또한 단조롭게 변모한다. 이는 금동신발은 물론 공반 출토되는 금동관에서도 확인된다. 이와 같은 금속기술의 갑작스런 변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고구려의 한성 함락(475년)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한 공인 집단의 와해 혹은 기술의 단절에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이후 백제의 금속공예는 대체로 6세기 무령왕대에 들어서면서 다시 회복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chronology of gilt-bronze shoes of BaekjeKingdom by examining the materials used in them and the changes in their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atterns. Metal carving is used to decorate the otherwise monotonous surface of metal. Itwas confirmed that the line carving technique (dotted line and triangle carving)and ring-matting technique were used for making gilt-bronze shoes in BaekjeKingdom period. Development of the metal carving technique seemed to have beenconnected with the pattern of gilt-bronze shoes, gradually changing from usinga simple openwork carving plate to a complicated one with hexagonal design. Acontinuity in a certain pattern of changes in carved design was also observ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atterns, Baekje's giltbronzeshoes can be classified into those of Hansung and Ungjin periods. Gilt-bronze shoes during the Hansung period of Baekje were made in a simpleway using openwork carving panels of convex (凸)- or diamond-shaped design. The2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however, saw changes into dragon or flame design,thanks to grafting of the metal carving technique. This technique was furtherdeveloped and shown to have culminated in the gilt-bronze shoes unearthed fromthe stone chamber No. 4 of the tomb No. 1 in Bongdeok-ri, Gochang, presumedto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the 3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Inside of thegilt-bronze shoes found in the Bongdeok-ri tomb was partitioned with hexagonallycarved panels, and shapes of various auspicious animals including dragons, theChinese phoenix or birds with human faces were carved with a new ring-matting technique in an extremely realistic and three-dimensional way. In the Ungjing period, drastic change was observed in the metal carvingtechnique used in making the gilt-bronze shoes. That is, out of the line carvingtechniques used in Hansung period only dotted-line carving technique was usedto make patterns, and patterns themselves became simplified. Similar changes werefound also in the gilt-bronze crown found together with the shoes. Such drasticchange in metal carving technology is believed to be the direct result of the fall ofHansung by Goguryeo Kingdom (475), which may have forced the collapse ofthe technician group and the technology itself as well. The metal crafts of BaekjeKingdom would see a revival approximately in the 6th century under the reign ofKing Mury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