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문(己汶), 대사(帶沙) 지명 비정에 대한 일고찰

        홍성화 ( Sung Hwa Ho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2 No.-

        고는 6세기 백제가 남부 가야 지역에 진출하는 상황에서 『日本書紀』 繼體紀에 등장하고 있는 己汶, 帶沙의 지명 비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백제가 진출했던 己汶, 帶沙 지역은 백제와 가야와의 분쟁지라는 점에 있어서 이들 지역을 어디로 비정하는가에 따라 6세기 당시 백제의 판도 및 한반도 남부 정황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인식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주제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현재 己汶, 帶沙 지역에 대해서는 帶沙를 섬진강 하류로 보고 己汶을 남원, 임실 등 섬진강 주변에 비정하고 있는 통설에 대해 己汶을 開寧으로 보는 낙동강 유역설도 있는 등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본고의 연구 결과, 己汶, 帶沙 지역을 音相似와 더불어 사료에 등장하는 지리적 위치 및 지형적 조건 등을 함께 아울러 고찰하게 되면 낙동강 중류 지역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三國史記』 地理志에 나오는 ‘多斯只縣’은 현재 대구 달성군 다사면의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일대로 이 지역에 남아 있는 죽곡동산성의 지리적인 위치를 통해 帶沙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己汶의 경우도 죽곡동산성을 통해 낙동강 상류로 올라가는 지역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新撰姓氏錄』에서 己汶이 任那의 東北에 있고 新羅와 相爭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김천 開寧의 甘文國 일대를 중심으로 해서 감천과 낙동강이 만나고 있는 선산의 낙산동고분군까지 포함하는 지역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state place names,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and analyze relationship of Baekje (百濟) and Kaya (加耶) in 6th century. Meanwhile, the most of historical academic circle asserted that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boundary of Baekje (百濟) and Kaya (加耶), were Sumjin-river (蟾津江) area and Kimun (己汶) was Namwon (南原), Daesa (帶沙) was Hadong (河東). But, this study philological and historical geography showed that location of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was Nakdong-river (洛東江) area. That is, this analyzed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were region of Kaeryung (開寧), Sunsan (善山) and Dasa (多斯) in Daegu (大邱) respectively.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that after Baekje (百濟) occupied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of Nakdong-river (洛東江) area, oppressed Kaya (加耶) in the early 6th century.

      • KCI등재

        己汶·帶沙의 위치와 그 위상

        이용현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9

        己汶과 帶沙는 6세기 전반기 百濟와 加耶諸國 특히 伴跛(가라) 사이에 중 요한 쟁탈의 대상이었다. 6세기는 백제와 신라가 국가를 확대하면서 격렬하 게 남부지방에서 협력의 이면에 상호 경쟁이 가속화되던 격동기였다. 己汶과 帶沙에 대한 이해는 이 시기 한반도 남부 역사를 상세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 括地志와 日本書紀 등 관련 자료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己汶과 帶沙의 지리적 위치는 蟾津江 유역임을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 으로 己汶은 全北 南原 부근, 帶沙는 慶南 河東 부근으로 각각 蟾津江 上流 와 下流의 要衝地였다. 오늘날의 행정구역 南原市와 삼국시대 南原郡은 그 범위가 다르다. 삼국시대 南原은 오늘날의 남원 서부권 즉 白頭大幹의 서쪽 과 장수군의 남쪽 일부였다. 기문의 범위를 생각할 때 이를 중시해야 한다. 己汶은 512년에, 帶沙는 517~521년에 각각 백제의 영토가 되었다. 백제시대 대체로 江의 명칭은 연안의 주요지역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향이 있었다. 蟾 津江은 己汶 즉 基文을 따서 基文河가 강 전체의 당시 이름이었다. 또 蟾津 江의 하류는 지명 帶沙를 따서 帶沙江이라 불렀다. 이처럼 己汶과 帶沙는 6世紀 百濟에게 地政學的으로 높은 位相을 갖고 있 었다. 이는 발굴되는 고고학 자료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Understanding Gimun己汶 and Daesa帶沙 is an important key to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southern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is period. Gimun and Daesa were the subjects of an important struggle between Baekje and Gaya Contries and especially Banpa伴跛 ie. Gar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rough careful examination of relevant data such as Guatizi括地志 Including the Annals of the land and Nihoshok日本書 紀,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Gimun and Daesa was confirmed as Seomjingang-River蟾津江 basin. Specifically, Gimun was near Namwon, Jeonbug and Daesa was near Hadong, Gyeongnam, which was a key point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respectivel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western part of today's Namwon, the western part of Baekdudaegan白頭大幹 and the southern part of Jangsu-gun. Gimun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e in 512, and Daesa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e between 517 and 521. During the Baekje era, the name of River tended to be named after major coastal areas. Seomjinga-R. was the name of the entire river after Gimun. In addition, the downstream of Seomjinga-R. was called Daesagang-R.帶沙江 after the geographical name Daesa. Gimun and Daesa had a high geopolitical status for Baekje in the 6th century. This is also confirmed through archaeological data excavated.

      • KCI등재후보

        韓國古代氣표현에 대한 연구 -新石器時代土器·靑銅器時代청동기·삼국시대 토기를 중심으로-

        趙源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4 No.-

        필자는 요시무라 레이 吉村怜의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연화화생 도상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연꽃 문양은 몇 변화 단계를 거쳐 불·보살·天人(飛天)으로 化生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관련 연구를 계속하면서 아래 사실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요시무라가 주장한 연화화생 도상은 넓게는 화생 가운데 하나이며 더욱 넓게는 기의 표현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이 모든 기의 표현은 조금씩 차이가 나지 만 범세계적으로 전개되었으며 불교미술에 국한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불교 전래 이전부터 도도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기(화생 연화화 생 포함)에 등장하는(표현하는) 여러 문양은 단순한 장식 문양으로 그치 지 않는다. 이들은 기(화생 연화화생 포함)를 표현하고 전달하며 상호 同格을 이루고 互換交互하며 連繫된다.> 필자는 위 견해를 1993년 발견 백제금동대향로 해석에 적용시켰다. 본고는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부터 기의 표현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알 리고, 더불어 백제금동대향로 제작 특히 연화화생 등 기의 표현도 당시(6 ∼7세기) 이웃나라(특히 중국)의 영향이 아닌 우리나라의 오랜 전통을 따 른 것임을 알릴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 例示한 토기와 청동기에서 보듯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기 화생 연화화생의 표현은 광범위하고 보편적으로 전 개, 전승되었다. 또한 앞애서 주장한 것처럼 기 화생 연화화생 표현 에 등장하는 여러 문양들은 상호 동격을 이루고 호환 交互하며 連繫된 상태를 어김없이 보여준다. 신석기시대 토기에는 주로 點文(점선문) 직선문 (연속)삼각문으로 표현하였고 기타 연화문 화염문 파상문 당초문 등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을 통하여 산 태양 연꽃 또는 그 관련 기 화생을 표현하였는데 대 개 간단한 구성이다. 이 가운데 가장 흔한 (연속)삼각문(그 안 직선문 포 함)은 삼국시대에 이르면 분명 山文으로 정착되었다. 그리고 연화문을 나 타낸 웅기 송평동 출토 토기(도2), 연속 삼각문과 유사한 모습의 연화문 을 나타낸 통영 연대도 출토 토기(도7) 등을 통하여 볼 때 신석기시대에 도 蓮華化生山즉 ‘연꽃으로부터 山이 화생되는 표현’도 있음을 알 수 있 다. 이 山文이나 연화화 생산 표현을 계승, 발전시킨 도상 가운데 하나가 백제금동대향로이다. 청동기시대 기 화생 표현은 주토 청동기에 ‘짧고 조밀한 연속 직선 문’ 점문(점선문) 원문圓文(연속)삼각문 파형문巴形文당초문 등으로 나타냈다. 기본 바탕은 신석기시대의 것을 계승하였지만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정교하고 치밀한 구성이다. 이들은 불교미술 등 후대에 깊 은 영향을 끼쳤다. 삼국시대(가야시대 포함) 토기에 보이는 기 화생 표현은 그 문양 등 에서 보듯 신석기시대 토기(기원전 5000년경∼기원전 2000년경)와 청동 기시대(기원전 2400년경∼기원전 600년경) 청동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 이다. 기 화생 표현은 더욱 다양화되었고 확산되었으며 특히 연화화생 표현은 더욱 보편화되었다. 연속 산문을 위시하여 원문 半圓文당초 문 연화문 인동문 등으로 나타냈으며 역시 철저하게 상호 동격을 이 루고 호환 교호하며 연계된 구성을 보여 준다. 이상을 통하여 우리 선조들의 강역(오늘날 滿洲와 한반도 지역)에서 신석기시대부터 7세기 중엽에 이르기는 시기에 전개된 기 화생 연화 화생 표현은 독자적 영역을 이루며 전승된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Expression of energy and vitality, such as Gi(氣energy), Hwasaeng(化生purified energy & expression of life) and Yeonhwa-hwasaeng(蓮華化生purified energy & expression of life from the lotus) could be contained various meanings; authoritative meaning, pray for eternal life, universe, creation, recovery and revival.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earthenware and bronze artifacts, the expressions of Gi ,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were prevalent from the Neolithic period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I have stated in chapter Ⅰ and Ⅱ, several patterns that appear in Gi ,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form a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The expressions of Gi on the Neolithic earthenware were designed by jeommun(點文dot pattern), jikseonmun(直線文 straight line pattern), (連續sequential) samgakmun(三角文 triangle pattern), yeonhwamun(蓮華文·연꽃무늬 lotus pattern), hwayeommun(火焰文flame pattern), pasangmun(波狀文wave pattern), dangchomun(唐草文arabesque pattern), and etc. These patterns which represented the sun, a mountain and a lotus mostly had a simple composition. The most frequently portrayed pattern, (sequential) samgakmun with the way it is filled with jikseonmun, proves to be identical to the sanmun(山文mountain pattern) on the earthenwar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lso, examining yeonhwamun decorated on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Unggi Songpyeong-dong site and Tongyeong Yeondaedo site with their appearance similar to the sequential samgakmun, it is evident that, even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the concept of Yeonhwa-hwasaeng-san(蓮華化生山), an expression which signifies a transformation of a lotus flower into a mountai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was one of the examples of developed iconography of sanmun and Yeonhwa-hwasaeng-san. In the Bronze Age, the expressions of Gi and Hwasaeng on the bronze artifacts appeared as 'short and dense continuous linear' and also as jeommun(點文·點線文dot pattern), wonmun(圓文 circle pattern), samgakmun, pahyungmun(巴形文whirl pattern), dangchomun and etc. These patterns were originated from the Neolithic period style, but the details were more elaborate. Especially, the phase and development process of Hwasaeng is vividly shown on bronze ritual bells, bronze mirrors, and other objects as seen in the pictures (Pic.37-49). The bronze artifacts in Pic.45 imply that people clearly recognized Cheonwonjibang(天 圓地方ancient ideology that means the heavens is amicable and the earth is even), and the bronze artifact in Pic.48 indicates that it certainly had an influence on later Buddhist art as well. The expressions of Gi , Hwasaeng on the earthenwa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influenced by the Neolithic earthenware and bronze artifacts as seen from their patterns. They had been widely spread, especially Yeonhwa-hwasaeng pattern bacame more popular. The expression appeared as (sequential) sanmun and also as wonmun, banwonmun (半圓文semicircle pattern), dangchomun, yeonhwamun, indongmun and etc. These patterns also formed a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In this respect, starting in the Neolithic period until the mid-7th century in our territory including Manchuria, Gi,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expressions distinctly developed within the realm of our history and culture and maintained a unique style and identity without having undergone much influence from neighboring countries. Furthermore,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such tradition of the expressions had been transmitted as a central pattern within our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and regarding this, I would like to discuss it in a separate research.

      • KCI등재

        劉大櫆 記文 硏究

        김호 한국중문학회 2021 中國文學硏究 Vol.0 No.82

        This paper is the subject of research on 28 Ji-proses(記文) of Liu-dakui(劉大櫆), representing the famous literary group of the Qing Dynasty.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 implications of 28 Ji-proses(記文) of the Liu-dakui(劉大櫆). First of all, 28 Ji-proses can be divided into 8 Youjiwen(遊記文), 4 Tuji(圖記), and 16 Yingjianji(營建記). In terms of formality, the Liu-dakui(劉大櫆)’s Ji-proses(記文)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tyle of the Ji-proses(記 文) that emerged as it changed after Tang-Song period. In other words, the Ji-proses(記文) of the Liu-dakui(劉大櫆) are mainly articles, but most of them are articles and theories, and there are often articles that are mainly argument. For this reason, the Ji-proses(記文) of the Liu-dakui(劉大櫆) is often centered on expressing one’s complex feelings. For example, the Liu-dakui(劉大櫆) often presents various values of one’s life through the Ji-proses(記文). And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in the way of expressing the Ji-proses(記文) of the Liu-dakui(劉大櫆). First, sentences that attempt to maximize the transmission of meaning are often found by directly quoting the characters’ speech in the text. Second, the Liu-dakui(劉大櫆) often develops his thesis using historical facts in the Ji-proses(記文). Third, in the rhetoric method, 散体 and 騈儷体 are used together. In terms of content, 28 Ji-proses(記文) of Liu-dakui(劉大櫆) is, of course, a record of a specific place or object. The Liu-dakui(劉大櫆) records the object of Ji-prose(記文) or the strengths of the protagonist through Ji-prose(記文), but in many cases, he describe his dynamism or freely express his thoughts on various aspects of life. The Ji-proses(記 文) of Liu-dakui(劉大櫆) mainly contains contents such as “a thought on learning”, “reflection on life”, and “criticism on social reality”. This is the message the Liu-dakui(劉大櫆) wanted to convey to the world through the style of Ji-prose(記文).

      • KCI등재

        成俔 記文의 관료문인적 성격

        이대형(Lee, Dae Hyu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虛白堂 成俔의 記 34편 가운데 공공건물에 대한 것이 17편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공공건물 기문 가운데 16편이 지방의 공공건물에 관한 기록이다. 그 가운데 향교를 다룬 1편을 제외하면 모두 客舍에 대한 기문이다. 객사기문에서는 객사가 賓客을 맞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필요하다는 점, 수령의 정치와 긴밀하게 관련된다는 점들을 역설하고 있다. 공공건물의 경우 정치적 관점에서 건물의 공공성을 표방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사적 건물은 건물의 이름을 풀이하면서 인생관과 유교적 도리를 부연하는 방향으로 서술되었다. 승려에게 준 기문에서는 불교를 유교와 관련지어 해석하는 면모를 보인다. 성현의 기문에서 주류를 차지하는 공공건물에 대한 기문 가운데 친히 가서 보고 지은 것은 7편에 그친다. 직접 가서 보지 않은 상태에서 기문을 지으려면 현장에서 보내온 글에 의존해야만 한다. 성현의 기문에는 현장에서 보내온 글이 대거 인용된 경우도 보인다. 남의 글을 토대로 기문을 찬술하다보니 개성적 표현보다는 관습적 표현들이 자주 사용되었다. 관습적 표현들은 건물의 重修에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쉽게 완성되었고 백성들이 수령을 찬미한다는 데서 두드러진다. 이러한 표현들은 실제 백성의 입장이 아니라 통치자의 입장에서 서술된 다분히 관념적이고 이상적인 것으 로 보인다. 15세기 다른 관료문인들의 기문과 비교하면, 역사적 관점을 견지하며 표현이나 흥취를 중시하는 문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김종직이나 신선풍취를 보이는 홍귀달과는 달리, 성현의 기문은 객사의 효용 등 정치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관습적인 서술을 보여준다는 데서 관료문인으로서의 모습이 두드러진다. Sung Hyeon wrote 34 gies and most of them deal with public buildings. There are 19 gies about the public buildings. Especially 16 gies of the 19 works are reports on local public buildings. Except one which deals with a Confucian temple and a school belonging to it, all the rest of 16 works are gies about public inns[客舍]. In the gies about public inns, it is emphasized that the public inns are necessary for welcoming visitors such as envoys or public officials and related with local governor's political affairs. He stressed the public buildings' functions in the political views. In the other hand, private building are introduced by explaining the reason of giving a name of a private building and we can understand his viewpoint on life and Confucian duties. There are 4 gies which Sung Hyeon wrote for Buddhist monks trying to connect Buddhism to Confucianism. Sung Hyeon's main gies are 19 works dealing with public buildings. Only 7 works of them were written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f seeing them with his own eyes. The rest of them were written from the local letters sent at the pressing request of Sung Hyeon. We can easily found a lot of quotations from the local letters in his gies. Because of writing on the base of other's letters, he used conventional expressions more than individual ones. It is an example of his conventional remarks that people participated in construction work voluntarily and praised the governors for the building. These expressions are ideological and ideal not in people's places but in governors' places. Compared with others' works, gies by Sung Hyeon show us his bureaucratic literary features well. He wrote a lot of gies about usefulness of public inns in the political aspects.

      • KCI등재

        雲養 金允植의 記文 硏究

        권진옥(Kwon, Jin-ok) 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4 No.-

        The study investigates literature feature of Unyang(雲養)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is literature seek the statecraft writing(經世之文) that reject ostentatious and aim at factual events, moreover writes the majestic work(奇偉之文) that involves bizarre flavor. And the canon of classical chinese prose is ancient writings of Dang and Song period(唐宋古文)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as a total of 49 works. 43 works is about building’s kimun(記文), 6 works is about landscape’s kimun(記文). Throughout his lifetime, he writes kimun(記文) A feature of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is three value. The first thing is spatial reconstitution through imagination. His kimun(記文) enlarges esthetic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pace through the pursuing about superiority world’s excitement and beauty. The second thing is distribution of volume-chapter, letter-phrase(篇章字句) in classical chinese prose rhetoric aspect. In volume-chapter’s aspect,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gives prominence to a topic by organic connecting the paragraphs. In letter-phrase’s aspect, his kimun(記文) takes account of rhetoric aspect by emphasis change. The third thing is an eccentricity about landscape. Throughout his lifetime, he enjoys landscape sightseeing, has particular interest about Ryu, jongwon(柳宗元)’s landscape essays. On closer scrutiny, most his kimun(記文) is stirred and wrote by especial interest and taste at landscape. Unyangjip(雲養集) achieves lately complete translation, therefore we expect a extensive study about Kim, Yunshik(金允植) in the future.

      • KCI등재

        雲養 金允植의 記文 硏究

        권진옥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4 No.-

        The study investigates literature feature of Unyang(雲養)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is literature seek the statecraft writing(經世之文) that reject ostentatious and aim at factual events, moreover writes the majestic work(奇偉之文) that involves bizarre flavor. And the canon of classical chinese prose is ancient writings of Dang and Song period(唐宋古文)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as a total of 49 works. 43 works is about building’s kimun(記文), 6 works is about landscape’s kimun(記文). Throughout his lifetime, he writes kimun(記文) A feature of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is three value. The first thing is spatial reconstitution through imagination. His kimun(記文) enlarges esthetic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pace through the pursuing about superiority world’s excitement and beauty. The second thing is distribution of volume-chapter, letter-phrase(篇章字句) in classical chinese prose rhetoric aspect. In volume-chapter’s aspect,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gives prominence to a topic by organic connecting the paragraphs. In letter-phrase’s aspect, his kimun(記文) takes account of rhetoric aspect by emphasis change. The third thing is an eccentricity about landscape. Throughout his lifetime, he enjoys landscape sightseeing, has particular interest about Ryu, jongwon(柳宗元)’s landscape essays. On closer scrutiny, most his kimun(記文) is stirred and wrote by especial interest and taste at landscape. Unyangjip(雲養集) achieves lately complete translation, therefore we expect a extensive study about Kim, Yunshik(金允植) in the future.

      • KCI등재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의 기문(記文) 연구

        권진옥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9

        본 논문은 조선 중후기의 대표적인 소론(少論) 계열 인물인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을 대상으로, 그가 남긴 산문 가운데 기문(記文)을 고찰하였다. 최석정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체로 그의 정치사적․사상사적 입지와 의의를 밝히는 데 치중하였으며, 학문에 대해서는 예학(禮學)·산학(算學)·어학(語學) 분야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기실 최석정의 문학은 당대는 물론이고 후대에 이르기까지 높이 평가하였다. 한시는 기세(氣勢)가 우뚝하여 당대 시인들이 미치지 못할 수준이었고, 문장은 경학(經學)에 기초한 경세지문(經世之文)이라는 평가가 있었다. 이와 같은 평가에 기초하여 최석정의 문학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한시가 아닌 산문을 다루되, 기문에 집중하였다. 최석정의 시문집인 『명곡집(明谷集)』에 수록되어 있는 기문은 총 10편이다. 기문은 모두 공적 건물과 사적 건물에 부친 건물기(建物記)이다. 창작시기는 대부분만년이고, 주로 제3자의 청탁에 의해 공적 건물과 사적 건물에 부친 기문이다. 선기옥형(璿璣玉衡)을 설치한 제정각에 부친 「제정각기(齊政閣記)」, 이상적인 관리의궁극적인 목표는 ‘여민동락(與民同樂)’임을 논설한 「파주풍락헌기(坡州豐樂軒記)」, 관리와 누정의 관계를 설명한 「자민루기(字民樓記)」, 경종(景宗)의 완쾌를 축하하기 위해 지은 「집경당기(集慶堂記)」, 대나무의 청허한 성질에 빗대어 이상적인 관리상을 제시한 「차군정기(此君亭記)」, 신라 시조를 모시는 사당인 경주 나왕전(羅 王殿)을 중수한 것을 기념한 「경주나왕전중수기(慶州羅王殿重修記)」, 노년에 산수를 즐기며 사는 즐거움을 묘사한 「이로당기(二老堂記)」, 술에 취한 즐거움과 물에취한 즐거움을 비교대조하여 논설한 「취수정기(醉水亭記)」, 제천(堤川) 의림지(義 林池)에 지은 누정에 부친 「임소정기(臨沼亭記)」, 나양좌(羅良佐)를 위해 『주역(周 易)』의 둔괘(屯卦)의 의미와 변방으로 유배 가는 그를 권계하는 「둔재기(遯齋記)」 가 있다. 이상의 기문은 대부분 사경(寫境)보다는 기사(記事)와 의론(議論)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는 청탁자의 의도와 목적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공적 건물에부친 기문은 권계하는 내용의 기사형(記事型)이 많으며, 사적 건물에 부친 기문은청탁자와 작자의 철리(哲理)를 교섭하여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의론형(議論型)이많다. 최석정의 기문을 “참신한 비유를 통한 이상적인 목민관 제시”와 “『주역(周易)』 과 『장자(莊子)』를 활용한 의론 전개”라는 소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최석정의 기문 가운데 참신한 입론과 비유를 통해 이상적인 목민관을 제시한 작품으로 「차군정기(此君亭記)」와 「자민루기(字民樓記)」를 거론하였다. 이들 작품은 청탁자가 목민관이고, 대상 건물이 공적 건물인 이상 그 기문에서 지향하는 주제의식은 여민동락의 선정일 수밖에 없으나, 이러한 주제의식을 청탁자, 혹은 이후 그 건물을 소유할 목민관으로 하여금 선명하게 각인시키기 위해서는 참신한 입론이나 비유를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차군정기」와 「자민루기」는 그 문학성과 실용성을 인정할 수 있었다. 최석정의 기문 가운데 『주역』을 활용한 경우로 「돈재기(遯齋記)」를, 『장자』를 활용한 경우로 「취수정기(醉水亭記)」를 예로 들 ... This paper examines Myeonggog(明谷) Choi, seogjeong(崔錫鼎)’s gimun(記文) who is a representative soron(少論) fig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Existing research focuses on examining the meaning of political and historical. For the study, it was concentrated on the fields of yehak(禮學), arithmetic, and language.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his literature. In fact, his literature was well appreciated not only in the present day but also in later generations. Based on these evaluations, this paper studied his literary works. However, his prose works was examined and the gimun(記文) was focused in this paper. His works collection, myeonggogjip(明谷集) is composed of 15 books. Among them, there are about 400 prose and the gimun(記文) are 10 works. The gimun(記文) is for public buildings and individual buildings. The time of creation was his later years, and it was wrote by the request of another person. Most works focuses on articles and arguments rather than scenery description. This is the result of the requester's intent and purpose. The works written on the public buildings are subject to a exhortation, and the works written on individual buildings often reveal the philosophy of the author. His works was divided into two themes. First, it presents the ideal governor through an innovative analogy. Chagunjeonggi(此君亭記) and Jaminlugi(字民樓記) suggested an ideal governor through an innovative discussions and analogy. Both works can recognize literacy and practicality. Second, the discuss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Juyeok(周易) and Jangja(莊子). Donjaegi(遯齋記) consoled the other party through a cyclical philosophy of Juyeok(周易), Chuisujeonggi(醉 水亭記) persuade the other by breaking conventional wisdom, through accepting criticism of Jangja(莊子).

      • KCI등재후보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蓮華文 연구

        조원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3 No.-

        A Study of the Lotus Flower Pattern in the Ceramics during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ies Jo, Won Gyo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lotus flower appears in various patterns and occupies an overwhelming proportion among the patterns on ceramics of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ies (before the Imjin War) as well as in other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 lacquerworks of the mother-of-pearl inlay, paintings, metal craftworks, tiles etc. Its shape is divided into the cases of closely resembling the appearance of a natural ecology and the other case of the active expression of gi(氣, aura, strength, ability, energy, and vitality) and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expression of life, and the progress of the process). In the current academic world, the latter is called the dangchomun(唐草文, arabesque pattern) or the indongmun(忍冬文, honeysuckle pattern, also known as Palmette in the West), not the lotus pattern. I think that the positve manifestation of gi and hwasaeng represents the various forms of lotus petals. At first, the petals are thin and short, but they grow long especially with rhythmic vines. And the vines are often repeated in succession. In current achademic researches, the small or large the lotus pattern with vines is regarded as a simple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patterns and vine patterns : lotus flower patterns and vine patterns. Or it is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at it is a rhythmic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 In addition, although it is obviously a lotus flower pattern in the ceramics of this period, there are definitely misplaced patterns that are called as a peony pattern, a chrysanthemum pattern(菊花文), a bosanghwamun(寶相華文, floral medallion motif pattern), or a ruyi design(如意頭文). Among them, the lotus flower pattern which became the flower-tree form by separating the lotus petals and the lotus leaves is mistaken for the peony blossom pattern. Our ancestors thoroughly understood and expressed various kinds of the lotus patterns as well as their charateristics,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gi and hwasaeng and depicted location, and succeeded them. The various lotus flower pattern (including the originals) in the ceramics of this period is not related to the symbolic flower of Buddhism that was either imported from China or introduced with Buddhism. It is a unique expression that has already developed within Korean own borders from the Neolithic and the Bronze Ages and that has been spread widely to a very delicate and exquisite level with our universal and inherent belief and tradition. Keywords : gi(氣·氣運, aura, strength, ability, energy, and vitality),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expression of life, and the progress of the process), yeonhwahwasaeng(蓮華化生, a change of life progressing in lotus), lotus flower pattern(蓮華文), lotus pattern with vines 연화문(연꽃문양)은 다른 역사문화유산(나전칠기, 회화, 금속 공예, 기와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려·조선시대(임진왜란 이전) 도자기 문양에서 압도적인 비중이고 모습도 다양하다. 그 모습은 자연 생태계의 모습과 가깝고 닮은 경우(原 연화문·蓮池 연화문), 氣·化生을 적극 나타낸 경우로 구분된다. 이 시기 도자기에는 분명 연화문임에도 불구하고 연화당초문·모란문·菊花文·寶相華文·如意頭文으로 잘못 불리는 문양들이 있다. 이 가운데 연화당초문은 연화문과 덩굴문이란 독립된 두 문양의 단순한 결합으로, 모란문은 연꽃잎과 연잎사귀 모습을 분리하여 꽃나무 모습이 되자 꽃봉오리가 비슷한 모란으로 착각하며, 국화문은 子房에 비하여 연꽃잎(연판)을 가늘고 길게 표현하자 비슷한 국화로 착각하며, 보상화문은 연꽃잎에 기·화생이 많이 표현되어 다소 복잡한 모습이 되자 다른 꽃으로 여기며, 여의두문은 연꽃잎이 如意의 머리처럼 보여 각각 부여된 이름이다. 연화문은 한 도자기 안에서도 한 모습보다 여러 모습인 경우가 더 많고, 原 연화문부터 연속 덩굴 연화문에 이르는 단계도 보여 준다. 또한 原 연화문·蓮池 연화문보다 기·화생을 더 나타낸 덩굴 연화문 쪽이 많다. 이 현상은 우리 先人들이 연화문의 다양한 모습은 물론 성격, 기·화생의 강약, 표현 위치 등을 철저하게 이해하며 표현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 도자기에 있는 기·화생을 담은 연화문들은 물론이고, 중앙에서 외곽으로 또는 위쪽으로 상승하는 표현들, 나무처럼 표현한 연꽃, 산을 화생하는 연꽃 표현 등은 중국에서 또는, 불교와 함께 전래된 불교를 상징하거나 관련되는 표현이 전혀 아니다.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강역 안에서 신석기·청동기시대부터 믿음과 전통을 담아 치밀하고 높은 수준으로 전개된 표현이다. 주제어: 氣(氣運, 힘, 능력, 에너지, 生動), 化生(생명을 향한 변화이다.), 蓮華化生(연꽃에서 진행하는 생명의 변화, 연꽃에서의 탄생), 蓮華文, 덩굴 연화문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명사절 ‘-기가’ 내포문 교육 연구

        최유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본 연구는 명사절 ‘-기가’ 내포문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교수 내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주요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들을 분석하였고, 실제 학습자들의 ‘-기가’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기가’ 문법성 판단 테스트 및 학습자 작문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기가’ 내포문의 제시 형식의 상이함과 모문 서술어의 명확한 제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 및 학습자 작문 분석에서는 ‘-기’의 문법 범주의 이해, 모문 서술어의 선택, 그리고 유사 항목과의 대치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들의 실제 이해 및 사용의 양상을 통해 ‘-기가’ 내포문 교육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교수 내용으로는 첫째 함께 결합하는 서술어를 다양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다른 유사항목과의 차이점을 교수하고, 셋째 ‘-기’의 문법 범주에 대해 명시적으로 설명을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ing the of -giga embedded sentence and to suggest suitable teaching content for th. In order to accomplish it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grammatical errors committed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addition some intermediate level learners were given a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to measure their competence in -giga usage. After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it learners of to learn and practice the -giga embedded sentence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the learners showed low grammaticality competence regarding -giga embedded sentence. It appears that the learner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to produce a correct noun-clause-embedded sentence. Therefore, this study stress the importance of well-structured teachings method related to the embedded sentence, and suggests suitable content for teaching the embedded sen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