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ㆍ가족담론을 통해 본 한국 식민지근대성의 구성 요소와 특징

        김영선 ( Kim Young-sun ) 한국여성사학회 2010 여성과 역사 Vol.- No.13

        식민지 생활공간에서 객체이자 동시에 주체였던 피식민지인들은 서로 간에, 또는 식민권력과 끊임없이 갈등, 투쟁, 타협, 협상함으로써 식민지(의) 근대성을 구축해왔다. 다양한 정체성을 지녔던 근대 주체들을 배양했던 역사적 조건들은 식민주의, 민족주의, 근대성의 요소들이 서로 맞물려, 그리고 이 요소들이 서로를 삼투하면서 생겨났던 특정한 로칼 공간으로부터 발생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들의 구성 조건이 되면서, 한편으로는 그 결과물이기도한 식민지근대성의 젠더화(gendering)를 살펴보는 프리즘으로써 `결혼ㆍ가족`의 담론 내용을 주목하며, 1920-30년대 식민지와 민족(-국가) 건설 프로젝트의 핵심 과제 중의 하나였던 결혼ㆍ가족 제도의 근대적 재구성에 내포된 가부장제적 성격을 지속과 변형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일본 식민권력과 식민지 민족주의 엘리트 그룹들이 어떠한 논리로써 식민지 여성을 계몽과 문명의 근대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포섭해 나갔는지, 이를 둘러싼 젠더 정치를 폭로함으로써, 민족주의와 식민주의, 근대성의 상보적이면서도 정합적인, 그 변증법적 관계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해보려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유교 혈통주의에 입각한 조선의 조혼 및 가족 제도가 근대적으로 변용되는 지점을 신ㆍ구여성의 대립적 구도의 담론 설정과 상호타자화 과정에 초점을 맞춰 들여다봄으로써, 전통적 가부장제와 식민지근대성이 어느 지점에서 서로 중첩되고, 충돌하고, 또 변용되었는지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거시적 사회변화와 가족 내 미시적 젠더관계의 결을 교직하여 살펴보면서, 식민지 여성들이 지닌 당대 시대인식과 내면의 고통을 맥락화하고자 했으며, 개인 삶의 새로운 근대적 조건이 식민지 여성들에게 어떠한 기회나 자원으로 주어졌으며, 동시에 넘을 수 없는 외적 한계로서 작동되었는지, `정상`의 의미구성과 여성 통제의 수사(rhetoric) 분석을 통해, 한국 식민지근대성에 내포된 젠더적 함의 -이중성-을 결론에서 추출했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gender politics activ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modern marriage and family institutions in terms of (dis)continuity of patriarchal family relations. The focal point of the new two juxtaposed sections Japanese colony building vis-a-vis Korean nation-building in this paper is to reveal the historical juncture in which cultural reform of the Korean nation propelled by both nationalist as well as colonialist power, both anchored on the racialized notion, collided with the Korean “Women`s Question” on the feudalistic family system dealing mainly with the issues of enforced early marriage. Also, via textual analysis of the Korean New Woman`s experiences and life narratives within the family in colonial (female/intellectual) magazines,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the interrelations among Korean familialism, the ideology of the normal family, and obsession with the pure blood-lineage, were neo-traditional and patriarchal means of legitimating the control and discipline of the Korean body. Central to this article is the deconstruction of patriarchal colonial modernity along with the axis of “marriage and family” as institu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mplicit logic of colonial and national powers embedded in the enlightenment of the Korean nation, and woman as intertwined and complementary in maintaining the interdependency power relations between Japanese colonial hegemony and Korean patriarchal power.

      • KCI등재

        근대를 보는 눈, 근대의 실체

        박성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3 No.-

        이 글은 엄격한 의미에서 논문이라기보다 논평에 가까운 글이다. ‘근대’라는 시기는 이미 과거화된 시점으로 각인되지만 우리는 여전히 근대라는 시간의 자장 안에 머 물러 있다. 이는 우리가 겪은 ‘근대’의 특수성에 기인한다. 자발성보다는 수동성이 강조되고 제국의 식민지로서 점철된 역사가 그렇고, 해방과 동시에 다종다층의 대 립과 갈등에 얽혀 어지러웠던 시간이 바로 우리의 근대이다. 나아가 이러한 근대의 문제들은 여전히 쉽게 매듭지어질 문제도 아니다. 근래에 시도되는 ‘근대 아카이빙 (Archiving)’ 작업이 쉽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공공재로서의 근대 자 료의 성격을 염두에 두고 현재 ‘근대 아카이빙’의 문제점을 짚어 본다. 먼저 근대에 대한 심층 연구를 어렵게 하는 자료난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애초에 접근 자체가 어 려운 데다 현전하는 자료의 보존상태 등이 좋지 않아 오류와 오독을 유발한다는 것 이다. 또한 팩트로서의 자료가 지역학 등의 분야에서 득실에 따라 자의적으로 선별 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경계하고, 근대를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제도의 미비함 을 적시한다. 근대소설의 효시라 할 수 있는 무정의 초판본조차 확보되지 않았다 거나, 국립 서울대학교에 도서관학과나 일본학과가 없다는 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가 고전분야에 치우친 점 등이 그것이다. 그 외에도 자료의 빈한함, 근대를 투 영하는 입체적 텍스트인 잡지를 폄하하는 풍조 등이 근대 연구를 어렵게 하는 장애 물로 제시된다. 나아가 이 문제점들을 기반으로 하여 ‘근대 아카이빙’을 위한 길을 고찰한다. 기초콘텐츠를 탄탄히 구축하고 공적기관의 인식을 변화, ‘실체’로서의 근 대를 끊임없이 추적해야만 ‘근대’를 온전히 구축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My writing, strictly speaking, is not a thesis but a comment. We are in the frame of the age of modernity, even though 'modernity' had passed already. It is due to the peculiarity we had undergone the 'modernity'. It was the passivity for us to follow their command, and the spontaneity is not an option to the colonial people who were deprived their rights to the imperial power. Furthermore, the unsolved problems are scattered sporadically at the present. They cause the work of 'modern Archiving' tried recently not easy to produce any fruit. I like to give serious consideration for 'modern Archiving' upon the basis of the modern data. First, I want to pinpoint the hardship of the data access that causes us to study deeper in research of the modernity. Its difficulty in access and the status of the data preservation cause error in their translation. And I want to stress the deficiency of the basal system empower us to research the modern age, warning the distorting or selecting data intentionally according to one's own merits in the fields of the regional studies. The followings are the obstacles hinder us to research the modernity : the absence of the original copy of Moojung which is the pioneer of the Korean modern novel, the lack of the library science course and Japanese related courses are not offer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s prone to its research on the ancient studies, and their despising trends for the magazines which had been the three-dimensional text of the reflection of the modernity. And I gave my deeper consideration in all its aspects of 'modern Archiving' as well researching the those problems. We can establish the sound foundation of the researching the 'modernity' through establishing the basis of basal cultural contents, changing the attitudes of those official groups for the cultural cognition and continuous chasing after 'the reality' of the modernity.

      • KCI등재

        마루야마 마사오와 다케우치 요시미의 전후 사상 재건과 ‘근대’적 사유 -전전의 문화권력 ‘근대의 초극’과의 비/연속성-

        이경희 ( Lee Kyungh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3 No.-

        이 논문에서는 전후 초기의 대표적 지식인 마루야마 마사오와 다케우치 요시미가, 전전의 문화권력 「근대의 초극」(1942)을 의식하며 전개했던 전후사상을 검토했다. ‘쇼와 15년 전쟁’과 동일한 폭을 지닌 ‘전후 15년’ 동안, 마루야마와 다케우치는 ‘근대주의자’와 ‘근대주의 비판자’라는 사상적 대결 구도를 연출하며 전후사상의 재건을 견인했다. 마루야마는 일본의 근대의 전개과정을 총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초근대와 전근대가 결합했던 특수성에 마침표를 찍고자 했다. 다만, 그 특수성 역시 ‘일본적 근대’의 일환이었던 만큼 그 종언은 또 다른 의미에서 ‘근대의 초극’과 연속성을 지닌다. 한편, ‘아시아 내셔널리즘’의 부상을 의식한 다케우치는 「근대주의와 민족의 문제」(1952), 「중국의 민족주의」(1957) 등에서 마루야마를 참조하며 민족의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마루야마와 달리, 그는 ‘근대의 초극’의 사상적 재활용을 지향하는 방향을 구상했다. ‘아시아민족의 해방’이라는 실감을 추상화하면서, 실패로 끝났지만 가능했을 ‘저항’ 사상을 이론화했다(「근대의 초극」, 1959). 다만, 그가 사상의 성립 조건(=현실을 움직이는 힘)을 강조할수록, 그의 ‘근대의 초극’론은 ‘이론적 허구’에 과도히 의존하고 있다는 인상을 부각시켰다. 패전 후, 마루야마와 다케우치가 착수한 전후사상은 ‘근대’의 문제를 공통의 기축으로 하였다. 전후의 ‘근대’의 문제는 그 구성요소인 ‘민족’과 그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조우한 타자 아닌 타자(=‘아시아’)의 주위를 맴돌며 부상했다. 그 과정에서 마루야마의 ‘근대적 사유’는 ‘근대의 초극’과 연속성을 보였고, 다케우치의 ‘근대의 초극’론은 ‘근대적 사유’에 의존하여 전개됐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twar ideologies developed by Maruyama Masao and Takeuchi Yoshimi, postwar Japan’s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in regard to the slogan of “Overcoming Modernity (1942)” which had massive cultural weight in prewar Japan. Maruyama Masao attempted to put a period to the distinctive convergence of pre-modernism and super-modernism through his extensive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of Japanese modernization. Still, as it was also part of Japanese modernizatio n, there exists continuity with “Overcoming Modernity” in a different sense. Meanwhile, in tandem with the rise of “Asian nationalism,” Takeuchi Yoshimi discussed the issue of the nation in “The Problem of Modernism and the Nation (1952)” and “Chinese Nationalism(1957)” citing Maruyama Masao. In contrast to Maruyama Masao, however, Takeuchi Yoshimi aimed for the ideological recycling of “Overcoming Modernity.” By abstracting the notion of “the liberation of Asia,” he theorized the idea of resistance, which could have been possible though it ended in failure according to “Overcoming Modernity(1959).” However, by emphasizing the logic of the theory ― the power to change the reality ― he ultimately highlighted the excessive dependence of the debate of “Overcoming Modernity” on a theoretical myth. After the defeat in the war, Maruyama Masao and Takeuchi Yoshimi developed their postwar ideologies based on the issue of modernism. Postwar [modernism’ also surrounded ‘nation’, which was its component, along with ‘Asia’, which acted as a stranger in the course. In the process, Maruyama Masao’s ‘modern thinking’ is linked to ‘Overcoming Modernity’ while Takeuchi Yoshimi’ ‘Overcoming Modernity’ theory has continuity with ‘modern thinking.’

      • KCI등재

        근대의 남성상, 남성상의 근대 -한국 근대 시각매체의 남성 이미지 연구-

        김지혜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7 No.-

        본 연구는 근대 사회의 주체로 역할 했던 새로운 남성 이미지의 구축과 변화 양상을 통해 근대의 시각문화, 나아가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을 고찰했다. 근대기 시각매체에 나타난 남성상은 근대가 추구했던 이상과 문명화의 기준을 재현했다는 점에서 근대의 시원적이고 근본적인 구상과 설계가 각인된 근대인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그 이미지의 변화 양상을 통해 근대를 재구성하는 일은 근대가 추구했던 이상과 문명화의 기준을 밝히고, 나아가 조선의 근대화 양상을 파악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근대성을 학습하고 체현하며 시대적 가치를 표방한 이상적인 남성상으로 부상한 소년과 청년, 소비문화 속에서 탄생한 모던보이의 이미지는 신문과 삽화, 광고, 영화 등 근대기 새롭게 등장한 대중매체를 통해 시현되었다. 이들의 존재는 근대기 새로운 남성상의 이미지로 유형화되며 시대적 이상과 식민지 현실 속에서 다양하게 변용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처럼 근대에 등장하고 부상한 새로운 남성 이미지들을 통해 근대기 본격적으로 구상된 문명화와 근대화의 이상 속에서 근대 주체로서 남성에게 부여된 역할과 남성상의 향방, 그리고 그것을 구축하고 부각한 사회적 시대적인 목적성을 시각적으로 읽을 수 있다.

      • KCI등재

        박은식의 ‘자가정신(自家情神)’을 통해 본 근대 한국양명학의 특징

        박정심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6 儒學硏究 Vol.14 No.-

        이 논문은 박은식의 自家精神과 주체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 양명학의 사상적 특징을 모색하였다. 흔히 근대 이후 서구문명이 보편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는 서구와 동일하게 될 수 없는 미완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대 시기 한국적 주체성을 상실하지 않고 서구문명의 근대성과 야만성을 수용비판하면서 한국근대를 건설하고자 하였던 박은식의 사상적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서구문명만을 근대잣대로 삼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박은식은 자가정신을 준거로 하여 주자학의 경직성과 중화주의를 비판하고, 다시 양명학을 수용하여 한국근대주체로서 양지를 구현한 ‘眞我’를 제시함으로써 한국근대가 안고 있던 重層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진아가 근대국가의 주체가 될 때 근대국가는 침략과 야만의 경계가 아니라 세계평화를 실현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그리고 한국이 바로 세계평화와 인도를 실현하는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Modern Idea with self identifications and self mind(自家精神) of Park Eun Sik(朴殷植). Park Eun Sik criticised Sinocentrism(中華主義) and the ligidity of the Jujahak(朱子學). And then he tried to solve multiplicative problems of the Modern Korea by presentation of the true self(眞我) to realize of the Korean Modern self to accept the scholar of the Wang Yangming school. He thought that when true self(眞我) is to be with the Modern Nation itself, Modern Nation itself is not the border of the savagery buy the center to world peaceful contents.

      • KCI등재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싼 담론의 경쟁 양상 분석 : 군산시를 중심으로

        문예은(Moon Ye-eun) 역사문화학회 201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2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시작된 것은 낡고 오래되어 도시 곳곳에 버려져 있던 근대 건축물들이 문화재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부터이다. 식민지배 기간 동안 일제의 주도 아래 만들어진 근대 건축물은 수치의 증거물로 여겨져 철거되거나 재개발 아래 사라지기 마련이었다. 그러나 갑자기 근대건축물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여 문화재로 등록하고, 국가차원에서 장려하는 관광 상품으로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현상에 주목하여 근대건축물을 대하는 입장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 사회·정치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사회적 배경 하에 형성되는 담론을 민족주의론과 역사주의론, 그리고 문화소비론의 세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시대적인 변화와 이로 인해 형성된 세 가지 담론(민족주의론과 역사주의론, 그리고 문화소비론)의 경합을 군산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해당 시기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군산의 근대문화유산 관광·산업화 전략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담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산의 사례를 집중 조명해서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싸고 나타난 위의 세 가지 담론 즉 민족주의론, 역사주의론 그리고 문화소비론이 시대적 사건과 맞물리면서 경쟁해오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국가, 지자체 그리고 군산 시민들 간에 근대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인식 차이가 크다고 하는 사실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hanges of discourse on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The interests in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have been increasing since people paid attention to historical constructions that were built in the colonial period. Since liberalization they had been abandoned here and there in cities but recently they were recognized as cultural assets. It is no wonder that the historical constructions that had been built by Japanese imperialis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torn down or were demolished for the sake of development, because they were regarded as symbols of disgrace. But some strange phenomena occurred. The abandoned recent historical constructions were listed on the National Cultural Assets with great historical value and drew people's attention as the tourism purposes. After reconsidering these phenomena, the first step I took for the issue was to analyze the changes of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which led to these phenomena. For the detailed analysis, I categorized the discourses formed under social background into three types : Nationalism, Historicism and Culture Consumption. The Nationalistic discourse shows that all recent historical constructions buil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ll factors that had something to do with Japanese life styles, culture and history must be torn down. The Historical discourse insists tha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comes one part of our history, we should acknowledge it. The historical constructions must be left not to make the same mistake again. The Culture Consumption discourse acknowledges the historical value of recent constructions and goes with the historicism at this point. Furthermore, it shows that it tries to restore the buildings, use them for tourism,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and even establish a new tradition.

      • KCI등재

        한국 근대불교 연구에서의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창조 ( Changjo Jung ),김원명 ( Won-myou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이 논문은 기존 ‘한국 근대불교’ 연구에서 사용하는 ‘근대’ 및 ‘근대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나름의 대답을 마련하는데 그 목 표가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한국근대불교/학’ 연구 담론에서 그동안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던 ‘근대’와 ‘근대성’의 특징들을 서구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해명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적 조건에서의 ‘근대’란 과연 무엇인지,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한국적 조건에서 과연 ‘근대’ 혹은 ‘근대성’을 발견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이러한 검토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한국근대불교’에 대한 연구들이 ‘근대’에 대하여 언급해 온 부분을 비판적으로 검토 및 계승함으로써, ‘한국 근대불교’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것이 ‘근대’와 관련하여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하는 전제가 무엇인지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a reflective study on the ``modern`` and ``modernity`` in ``Modern Buddhism of Korea`` research discourse. First, we raise the issue on how to define and describe the ``modern`` in the recent ``Modern Buddhism of Korea`` research. We raise some questions about whether there is the concept of "modernity" properly explained and agreed in Buddhist academia of Korea. And we will try to propose its solution. Next, we will briefly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nd ‘modernity’ in the flow of history of the West, which have never been discussed in the research discourse of "Modern Buddhist studies of Korea.`` We will raise questions about whether it is possible to find a ``modernity`` in itself what it is, and is further expected really ``modern`` or ``modernity`` in Korean conditions on the basis of this review. Finally, this article seeks to reveal what premises must be kept in mind in the ‘Modern Buddhist studies of Korea’, by critically reviewing researches of "Modern Buddhist studies of Korea".

      • KCI등재

        한류 대중영화의 탈근대 미학

        장시기(Si-Ki Ch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2

        본 연구는 한류 대중영화의 미학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오늘날 서구 유럽과 미국은 물론이고 한국을 포함한 비서구 지역들도 지난 500년 동안 아메리카 지역을 필두로 하여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으로 확장된 서구 유럽의 근대화 과정을 통한 서구적 근대미학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문학은 물론이고 미술과 음악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적 절대미학이나 플라톤주의의 철학이 지니는 모방미학의 숭고미로 문학 텍스트는 물론이고 영화 텍스트를 평가하는 잣대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근대미학의 핵심은 외부로부터 차단된 닫혀진 공간의 미학인 동시에 공간 속에서 작동하는 이야기 장르의 미학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류 대중영화는 미국 헐리웃 장르영화와는 달리, 마치 1948년 무렵의 이태리 네오리얼리즘이나 1958년 무렵의 프랑스 누벨바그, 그리고 1968년 무렵의 독일 뉴저먼 시네마처럼 단일 장르영화가 아니라 혼합장르 영화라는 특성을 지닌다. 이런 측면에서 오늘날의 한류 대중영화는 근대미학이 토대를 두고 있는 닫혀진 공간의 스토리텔링 미학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이 서로 연결되거나 변화하는 시간성 속에서 이미지의 변화와 생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근대 미학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한류 대중영화의 탈근대 미학은 봉준호 감독의 <괴물>에서 가장 크게 드러난다. 이 영화에서 근대적 공간의 “괴담”과 “기담”의 이야기는 시간 이미지의 작동을 통하여 “괴담”이 “기담”이 되거나, 혹은 “기담”이 “괴담”이 되는, 그래서 “괴기담”을 하나의 영화 텍스트 속에서 사유할 수 있는 새로운 미적 이미지들을 제공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 대중영화에 접근하는 전통적인 근대 문학비평가나 문학교수들을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은 지난 근대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서구 유럽의 근대미학이나 후기근대의 포스트모더니즘이나 신자유주의 지식의 근대적 영토에서 탈영토화하여, 오늘날의 동아시아를 필두로 하여 지구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는 한류 대중영화가 제시하는 탈근대적 미학을 토대로 한 탈근대의 지식으로 재영토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탈근대적 지식의 토대는 탈근대적 변화와 생성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닫혀진 공간 속에서 작동하는 이야기 중심의 이분법적 운동 이미지의 지식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이 상호 소통하는 시간 이미지 속에서 운동 이미지의 이야기가 서로 변화하거나 또 다른 이야기로 생성되는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과정을 사유하는 것이다. 한류 대중영화를 필두로 하는 한류 대중문화의 지구적 확대는 이러한 탈근대의 세계를 암시한다. The rising of the trans-modern becoming and producing images is presenting the trans-modern aesthetics in Korean popular cinema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modern European aesthetics originated in the modern literary theories. In this respect, the trans-modern aesthetics of Hallyu popular cinemas demands that we have to open the door of the trans-modern epistemology deterritorialized from the modernity which is expanded into the global world during the past 500 years by the global design after the western European Renaissance. The knowledge of modern epistemology is sticked to the dichotomy of fixed ideas between mind and body, good and evil, west and non-west, man and woman, the developed and the undeveloped, and master and slave. And the true perception of the trans-modern images in Park Chan-Wook and Bong Jun-Ho has to be escaped from the knowledge of modern epistemology based on the dichotomy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Trans-modern being of image in Hallyu popular cinemas is the image of nature. As the seasons of nature shows the timely composition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ccording the change of seasons, the screen image of cinema, <The Host> of Bong Jun-Ho, shows the timely composition of ghost stories and eccentric stories according to the changing relations making in events. And the trans-modern aesthetics of Hallyu popular cinemas is interested on the changing and becoming of image beings prior to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human language. The changing and becoming of image beings gives us the new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s changing and becoming between in and out of theatre, the cinema and the audience,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and the local and the global. This trans-modern aesthetics indicates that we have to get the episteme of the body image prior to the linguistic thinking and the knowledge of nature and chaosmos prioe to the one of human and society.

      • KCI등재

        희곡『손탁호텔』과 『녹명관』속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 고찰

        전수진,권혁건,강경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3

        본 연구에서는 희곡『손탁호텔』과 『녹명관(鹿鳴館)』의 작품 분석을 통해 전통과 근대의 혼재 양상을 조명하고 그 혼재 양상의 유사점과 차이점, 각기 작품이 개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비교함에 목적이 있다. 우선 『손탁호텔』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의 혼재 양상은 손탁호텔을 구성하는 장식품과 의복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며, 고종이 마셨다는 커피나 전근대적 사고에서 벗어나 근대적 사고를 시작하는 과도기적 남녀 간의 인식도 변화, 서양 댄스 등에서도 엿 볼 수 있다. 예컨대 여성이지만 교육을 받아 여자도 남자 못지않은 일을 할 수 있다는 현주실의 사고방식, 그것을 이해하는 두루마기 차림의 임철규의 근대적 사고방식, 그리고 독립신문 3,000부 기념행사와 맞물려 자연스럽게 그들의 기쁨이 서양 댄스라는 근대적 수단으로 표현된 부분, 또 손탁호텔 현관에 걸려 독립신문 3,000부 돌파기념 축하연회를 밝혔던 청사초롱은 전통적인 이미지를 고수하며 서민들이 서서히 스스로의 목소리에 힘을 싣기 시작하는 현상에 대한 기쁨을 알리는 상징적 기호로서 근대 속에 전통이 잘 조화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녹명관』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의 혼재 양상으로는 서양식 옷차림은 싫다며 늘 기모노를 입으며 전통을 고수해 오던 아사코와 무도회에 출입하며 양장을 하는 당시의 귀족들에게서 잘 나타난다. 결국 아사코 역시 무도회에 나가기 위해 양장을 입지만 자신의 모습이 원숭이 같을지도 모른다는 비판어린 시선을 염려하는 장면에서 근대문명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무도회 준비가 한창인 녹명관은 국화 화분 장식을 통해 전통적인 요소를 잊지 않고 배치하는 아사코에 의해 전통과 근대가 혼재되어 공존한다. 이윽고 가스등과 샹들리에라는 근대 문명의 상징에 불이 들어오고 어둠을 하염없이 밝힌다. 이를 본 히사오가 언제까지나 꺼지지 않는 불빛은 정취가 없다고 얘기하는 장면에서 근대문명이 긍정적이지만은 않다는 소회를 밝힌다. 한편 왈츠, 폴카, 마즈루카 등의 서양 댄스를 추고 서양 음악을 연주하는 악사들의 등장은 아사코가 꾸미고 있는 녹명관이 전통과 근대를 아우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으로 두 작품의 전통과 근대의 혼재 양상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유사점은 인물이 개입되고 장면의 상황이 상호작용을 함에 따라 전통과 근대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과 부정으로 나뉘어 나타난 점이고, 차이점은 각 공간 안에 존재하는 소품들이 인물들이 인지하는 이미지에 따라 『손탁호텔』에서는 서로 큰 거부감 없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받아들여지고 있는 반면『녹명관』에서는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이것은 개화를 바라보는 두 작품의 시각으로 이어져 『손탁호텔』은 긍정적으로, 『녹명관』은 부정적으로 개화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traditional and modern aspects mentioned in two dramas and of views of the dramas for an enlightenment. First of all, We can find mixed aspects of traditional and mordern from decorations and clothes in 『Sontag Hotel』, also from Emperor Gojong's coffee, man and women's changes of awareness when they go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period that goes from old-fashioned times to mordern times, and western dance. For example, Hyeon ju sil's thinking that in spite of women, they can do a job as man from the education, Im cheol gyu's modern way of thinking who wears a traditional korean overcoat, western dance to express their pleasure for the anniversary of independent paper's 300 copies and Chungsacholong hanging up the hallway of the hotel for the anniversary of independent paper are the role of symbols to let everybody know realizing delight of common people's enlightment by themselves. and they show the harmony of modern times and tradition. In the case of 『Rokumeikan』, Asako adheres to wear Kimono all the time instead of Western clothes is one of the aspects of respect for tradition. Her feeling when she wears Western dress is very critical . Whenever she thinks her appearance wearing Western dress looks like a monkey. Both are the expressions of repulsion for modern civilization. Also Asako intends to the tradition elements with flower decorations and chrysanthemum in the scene of Rokumeikan's party. However, gas light, chandeliers, such a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turn up the light as making modern civilization public. Making reference of Hisao to the excessive brightness of gas light and chandeliers means his negative opinion of civilization. Meanwhile, the western dance like waltz, polka dancing, and musicians playing Western music indicates that the Rokumeikan embraces tradition and modernity. The result of comparative stud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dramas are involved, the person interacting with the scene as the situation in traditional or modern about the positive or negative views about the image will appear a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that exist in each space for props for the characters or images that『Sontag Hotel』represent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goods are placed together in harmony without a big offensive plays, while being accepted 『Rokumeikan』disposition of the figures according to the tradition and modernity are conflicting and can see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