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위안부와 엠마 보바리의 조우 : 서벌턴성의 트랜스내셔널한 의미

        박선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comparatively and transnationally the overlapped layers of comfort women, with Chang-rae Lee’s novel A Gesture Life and Gustav Flaubert’s Madame Bovary. Comfort women are the typical examples of the ‘unspeakable’ subaltern and this ‘unspeakability’ has been constructed by the regime of nation-state. Their narrative has been produced and consumed mainly as a group narrative rather than an individual one. Change-rae Lee’s A Gesture Life and Gustav Flaubert’s Madame Bovary, comparatively read, illuminate the transnational nature and historicity of this silence; it enables us to read the different nature of this ‘unspeakability’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within the regime of the nation-state through 19th and 20th century. The comparative reading also suggests how to conceptualize the subaltern’s memory, trauma, death and mourning, and, more importantly, how to approach/represent this ‘unspeakability’ in an ethical and responsible way. 이 논문은 창래 리(Chang-rae Lee)의 소설 『제스쳐 인생』과 플로베르(Flaubert)의 『보바리 부인』을 교차하여 읽으면서 서벌턴으로서의 군위안부의 의미를 짚어보고 이들의 ‘말할 수 없음’이 갖는 역사적이고 현재적인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하는 비교학적이고 트랜스내셔널한 시도이다. 군위안부의 ‘말할 수 없음’은 20세기 초반 일본제국의 전시 성적 착취로 인한 동아시아 식민지 여성의 기억과 언어 상실의 현상일 뿐 아니라, 19세기에서 20세기 후반을 거쳐 21세기까지 길게 이어지는 근대국민국가체제의 구성, 진화, 전지구적 확장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보아야 한다. 군위안부의 ‘말할 수 없음’은 또한 서벌턴성과 정체성 정치가 맺는 밀접한 관계 밖에서 사유될 필요가 있다. 군위안부는 ‘민족’ 혹은 ‘여성’ 등 집단정체성을 대표하는 추상적 트라우마가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이고 단독적인 기억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보바리 부인』과 『제스쳐 인생』의 교차 속에서, 19세기 프랑스의 부르조아 계급의 부인네와 20세기 초 아시아의 식민지 여성, 20세기 후반 미국의 ‘시민’은, 또 그들의 ‘말할 수 없음’은 역사적, 문학적으로 얽혀있다. 플로베르가 『보바리 부인』에서 사용하는 아이러니, 동일시-타자화의 반복과 진동, “몰개성화” 등의 수사 전략은 이 ‘말할 수 없음’을 재현하고자 하는 예술적 시도이면서 궁극적으로는 그 재현의 실패를 표현하는 윤리적인 태도이기도 하며, 이는 21세기 서벌턴과 ‘말할 수 없음’의 재현작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증언을 통해 본 한국인 ‘군위안부’들의 포스트식민의 상흔(Trauma)

        양현아(Hyunah Yang)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3

        이 글에서는 한국의 일본군 군위안부의 증언을 통하여 포스트식민의 상흔의 성격을 조명하고자 한다. 흔히 가정하는 것처럼 군위안부 피해는 일제시대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식민지 이후에도 지속되었고, 성적 피해만이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측면과 관련되어 있으며, 식민지 이전과 이후의 상흔은 다르지만 구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포스트식민의 상흔을 밝히는 노력은 이론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와도 관련된다. 포스트식민의 상흔의 조명을 통하여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피해의 책임이 일본정부만이 아니라 탈식민 한국정부와 한국시민에게도 있다는 것을 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본론에서는 탈식민 페미니즘과 포스트식민의 상흔의 연구의 의의를 논의한 뒤, 증언 분석을 시작한다. 본 논문은 군안부 피해생존자 67명의 증언을 중심텍스트로 하여 피해의 범주들을 육체적 측면, 정신적 측면, 사회적 측면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전형적인 증언을 제시한다. 구술자와 청취자간의 공감을 핵으로 하는 여성주의 증언 연구에서 구술자가 자신의 상처를 드러낸다는 것은 이 상처를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상처를 풀어내고자 함이다. 상처를 풀어내는 것은 그 책임 소재를 밝히는 것 뿐 아니라 보다 궁극적으로는 피해자가 치유의 길을 떠나기 위함이다. 이 점에서 이 글은 피해를 밝힌다는 것과 피해자화(victimization)는 전혀 다른 차원의 행위로서 사회구조적 피해를 드러내는 피해자는 그 자체로 힘과 용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청취자가 피해를 드러내는 동기가 이들을 소외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에 포섭하기 위한 것이라면 피해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정의구현의 논리가 중요하다. 이 글은 생존자들의 포스트식민의 상흔을 재현함으로써, 역사쓰기와 정의 구현을 위한 주체로서 불러들이는 증언 청취자의 책임에 주목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represent Korean comfort women survivors' trauma in terms of its postcoloniality. As often supposed, the agonies of being a ‘comfort women was not confined into the period of colonial rule but extended to postcolonial Korea. The pain was not only about sexual exploitation, but interrelated with psych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The efforts to investigate postcolonial pain and agony that the former Korean comfort women also have legal as well as theoretical meanings about the responsibility for them. When we fully uncover the damages of being a ‘comfort woman' during and after the colonial rule, Korean government and citizens as well as Japanese government and citizens ought to bear the legal and moral responsibility for the damage. In the main text, 67 testimonies are analysed. They are classified in terms of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trauma. As far as the kernel of feminist testimony studies lie in 'empathy'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speaking pain and agony amounts to the act of sharing and overcoming them. In order to overcome the trauma, not only the question of responsibility but more fundamentally, healing the victim-survivors are critical. In this respect, the study questions meaning of telling the painful story in relation to ‘victimization.' Since a story becomes audible only with the presence of listening ears, certain stories are always a co-product of speakers and listeners. As far as the purpose of listening lies in incorporation of historical victim-survivors into one's community, meaning of the survivor's trauma, testimony, and stories cannot be confined into those of ‘victim.' Rather we need to create methods that locates the survivor's story in the center of the justice reasoning and history-writing.

      • KCI등재

        한국에서 읽는 오키나와 문학

        김재용 ( Jae Yong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49

        오키나와 문학은 일본어 문학이지만 일본문학이라고 할 수 없는 독자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오키나와의 자립을 강조하면서 문학을 하는 이들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오키나와의 자립성을 지지하는 작가들은 일본인들이 불편해하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이런 것들은 일반적인 일본인들은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오키나와 전투 시기에 일본군인에 의한 오키나와인의 학살의 문제는 이러한 주제 중에서 가장 예민한 문제이다. 메도로마 슌의 「나비떼 나무」는 오키나와 전투 시기의 일본 군인에 의한 오키나와인의 학대 문제를 다루고 있어 일반적인 일본인들은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 메도로마 슌의 다른 작품들 중에서 전통적인 오키나와의 풍습을 다룬 것이라든가, 미군기지의 문제를 다룬 것들은 어느 정도 일본인들이 받아들일 수 있지만 일본군인의 학살이나 억압을 다룬 작품은 수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일본인 독자들과 비평가들은 이러한 예민한 문제를 다룬 작품은 외면하고 그 이외의 것들만 다루게 된다. 메도로마 슌이 독립을 지지하는 것과는 달리 오키나와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마타요시 에이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마타요시는 주로 미군 기지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일반적인 일본인 독자들이 어렵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는 작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키나와의 독립을 주장하는 메도루마 슌과 달리 마타요시 에에키는 일본 독자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작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키나와에서의 조선인 문제 특히 군부(軍夫)나 군위안부의 문제를 다룰 경우 일본인 독자들은 외면하게 된다. 마타요시의 「긴네무집」는 그런 점에서 문제적이다. 다른 작품과 달리 이 작품은 조선인 군부(軍夫)와 군위안부 문제를 다룬 것이기 때문에 일본 군인에 의한 오키나와인의 학살과 같은 주제는 아니라 하더라도 일본 제국의 문제를 건드리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 예민한 작품들도 한국인들이 읽을 경우 아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것은 이들 작품들이 조선인을 다루기 때문만은 아니다. 일본 제국의 억압과 폭력을 다루기 때문에 같은 고통을 겪었던 한국인들은 어렵지 않게 읽어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에서 오키나와 문학을 읽는 것은 일본에서 오키나와 문학을 읽어내는 것과는 다르다 할 수 있다. Okinawa literature is very different from Japanese literature because It is very political. Japanese readers do not want to read Okinawa literature which deal with Japanese soldier`s oppression toward Okinawa people under the Okinawa war. Mdedoruma Shun who support the emancipation of Okinawa from Japan is very problematic writer. He frequently dealt with Japanese soldier`s oppression toward Okinawa people. His story “Tree of Butterflies”(“Guncho no ki”) published in 2000 deal with Japanese soldier`s oppression toward Okinawa people and Korean people. In contrast to other topics such as U.S. base or premodern Okinawa customs, this topic is very delicate to Japanese readers. Another Okinawa writer Matayoshi Eiki`s story “The Ginnemu Mansion” (Ginnemu Yashiki) published in 1980 is also very problematic. It is very important for its depiction of Okinawans` discrimination toward Korean people in post-war period. Japanese readers do not want to read that kind of story because it recall the atrocity of Japanese Empire under the Okinawa war. In contrast to Japanese reader, Korean reader can easily accept this kind of story of Medoruma Shun`s “Tree of Butterflies”(“Guncho no ki”) and Matayoshi Eiki`s “The Ginnemu Mansion” (Ginnemu Yashiki) which deal with the oppression of Japanese soldiers.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n critic to read closely Okinawa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한국, 일본, 아시아 및 서구 시민단체(NGO)의 협력과 갈등: 군위안부문제에 관련한 운동단체들의 가치지향을 중심으로

        정진성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2 국제지역연구 Vol.11 No.1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egan to attract public interest and various social movements began to deal with it at the end of the 1980s. These social movements have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the raising of the issue by the Korean women's movement → cooperation of other Korean civil organizations → solidarity with the Japanese women's movement → participation of the Japanese civil movement → solidarity with civil movements in other victimized Asian countries →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NGOs. There are no significant chronological gaps between the different stages, but each subsequent stage can be identified from preceding ones by its expansion of the scope and value orientation. Korean women's organizations developed their movements based on feminism and included nationalism as well.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movement, they used a common basis of feminism to establish links with women's movements in Japan or other victimized Asian countries, and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a broader conception of human rights, on which this movement has depended, has brought in the assistance of the world human rights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the Korean women's organizations have attracted support from the Korean public and civil organizations by appealing to nationalism. Solidarity with North Korea is forged on the same basis. The respective nationalisms of Korean and Japanese organizations sometimes create conflict within the movement, and feminist solidarity systematically disregards the aspect of imperialism / colonialism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These problems require close and careful analysis in the discussions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군 위안부 문제는 50여 년이 지난 1980년대 말에야 사회운동에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군 위안부 문제 해결운동은 한국의 여성단체에서 제기→한국의 타 시민단체와 협력/일본 여성단체와 연대→일본의 타 시민단체의 참여/타 아시아 피해 국과 연대→국제 NGO들의 협력의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시간상의 큰 차이는 없으나, 각 단계는 지역의 확대, 가치지향의 확대와 함께 구분 가능하다. 군 위안부 문제는 여성/민족의 이중적 착취에 기인한 문제이면서, 국가가 시민에게 가한 폭력이고, 보다 보편적인 인권침해의 하나로도 파악된다. 따라서 다양한 가치지향, 목표들이 하나의 단체 안에서도 나타나고, 또 다른 지향을 가진 단체들이 서로 연대·갈등하는 것이다. 대체로 이 운동을 발화시킨 한국여성운동은 페미니즘에 기초하여 민족주의 지향을 포괄하여 확산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 아시아 및 세계여성운동들과 페미니즘에 기초한 연대를 구축해왔다. 다른 한편 국내에서는 일반 시민들의 민족주의 정서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끌어내면서, 보다 폭넓은 인권관념에 기초한 시민단체(노동조합을 포함하여)들과 협력하게 되었다. 북한과의 연대는 이 운동의 가장 중요한 결실 중의 하나인데, 그 기반이 민족주의인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국내 시민 및 북한과의 민족주의에 기반한 연대로부터, 페미니즘의 의식과 인권관념 및 역사의식이 성장하게 된 것은 이 운동의 성과로서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세계여성단체들과의 연대에서 식민주의의 문제가 사상되어 온 것은 지적되어야 하며, 국내에서도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이 다소의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렇게 다중적 지향이 하나의 운동에서 연대·갈등하는 과정은 운동과 이론에서 모두 면밀히 고찰·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공창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조성택 ( Cho Sung Taek ) 한국행정사학회 2018 韓國行政史學誌 Vol.42 No.-

        근대 이후 국가가 성매매를 합법화하고 관리하는 공창제가 유럽과 일본에서 확산되었다. 영국과 프랑스의 경우 공창제를 폐지하였으나, 아직도 많은 국가에서 공창제를 시행하고 있다. 근대의 공창제 형성은 군사화와 군국주의의 영향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식민지배를 위한 군사력 확보라는 명분 하에 식민지 혹은 점령지에 성매매 시설을 허가하고 관리하였다. 더 나아가 군이 직접 통제하고 관리하는 위안부를 설치하기에 이른다. 민간 중개업자나 관리인이 있는 경우에도 군의 위안소 및 위안부 관리 역할은 다르지 않았다. 공창이나 위안소의 여성들은 자유의지에 의해 그곳에서 종사한 것이 아니라, 국가의 동원에 의해 ‘징발’되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국가에 의해 납치, 유인되어 성을 제공하도록 강요받았던 것이다. 위안부는 계약관계에 의해 군에 협조한 것이 아니라 군의 소유물로서 그들의 삶은 ‘성노예’로 전락한 것이다. 일본 정부의 위안부 피해에 대한 인정과 필요한 조치는 군국주의 시대의 국가 폭력성을 인정하는 것이 된다. 그렇지만 일제 강점기 군위안부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아직도 소극적, 방어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책의제화도 조차 시도하지 않고 있다. 한편 공창제는 국가가 ‘포주’가 되는 성매매제도라고 할 수 있다. 성매매를 합법화하는 것은 또 다른 불법적 성매매를 확산시키는 결과만 가져올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위안부’를 합리화하는 근거와 논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Since the modern era, Licensed prostitution has been spreading in Europe and Japan, in which the state legalizes and manages prostitution. The formation of modern Licensed Prostitution was a decisive factor in the influence of militarization and militarism. In the name of securing military power for the colonial rule, it authorized and managed prostitution facilities in colonies or occupied territories. Furthermore, the military establishes a brothel that directly controls and manages the military. Even in the case of private brokers or custodians, the administrative role of the military brothels and comfort women was not different. The comfort women were not engaged in free will, but were ‘requisitioned’ by mobilization of the state. In other words, they were forced to be kidnapped and lured by the state to provide sex. The comfort women did not cooperate with the military by contractual relations, but as their lives became “sex slaves.” Recognition and necessary measures for the damage caused by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government are to recognize the national violence in the era of militarism. The Japanese government, however, still has a passive and defensive attitude regarding the comfort women military servi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has not even attempted to tackle the policy to solve the problem. On the other hand, Licensed Prostitution is a system of prostitution in which the state becomes a ‘pimp’. Legitimizing prostitution will only result in the spread of another illegal prostitution.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allowed in terms of rationalizing the ‘comfort women’ in the battlefield.

      • KCI등재

        트라우마의 재현과 구술사 : 군위안부 증언의 아포리아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1

        증언은 역사와 기억의 관계가 구성되는 방식에 개입함으로써, 역사를 다시 쓰는 시도이다. 이 글은 군위안부 증언 연구가 운동의 전개과정에서 처해왔던 인식론적, 방법론적 아포리아를 검토함으로써, 증언이 역사적 트라우마의 성찰적 극복과 대안적 역사 쓰기로 전환될 수 있는 길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정신대연구소가 출간한 증언집을 대상으로 위안부 운동의 국면에서 제기된 역사인식론적 문제틀이 증언 연구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살펴본다. 1990년대 증언 채록을 축적한 증언 1집부터 3집의 경우, 증언을 문서자료를 보충하는 객관주의적 인식론 속에 위치시키면서도 구술사/여성사가 제기하는 문제들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후 2000년법정 국면을 맞이하여 위안부 증언 연구는 인식론적인 전환을 추구하였다. 증언 4집은 증언을 서발턴 역사쓰기로 자리매김하고 증언채록을 구술적 텍스트 형태로 만듦으로써, 생존자의주체성을 한 많은 피해자로 국한하는 지배적 시선을 해체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의 진전이 증언텍스트 생산과정에서 부딪힌 난점과 증언에 대한 모순적 요구를 말끔히 해소한 것은 아니다. 정치성과 구술성의 양립가능성, “묻기에서 듣기로”라는 묘사적 개념이 추구하는 급진적 지식구성론의 난점, 경험 대신 재현이라는 문제틀이 야기하는 구술자/생존자와 연구자의 경계성, 그리고 가필하지 않는 방식의 텍스트 구성 효과 문제가 그것이다. 이 글은 트라우마의 재현인 증언이 대안적인 역사쓰기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역사인식론 차원에서 공감적 청중의 확장이 여전히 요청된다고 제안한다. Testimony is an attempt to rewrite History by remaking the relation of history and memory. The Korean Comfort Woman has remained the event posing a challenge to the Korean dominant historiography. This paper attempts to consider a way to transform the representation of trauma into reflexive overcoming it and writing alternative history, reviewing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aporia in comfort women's testimony. I examined how the problematic of historiography was reflected onto studies on testimony texts issued by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During 1990s the status of testimony oscillated in between objectivistic positivism and oral historical epistemology under the Japanese rightists' threat to deny the veracity of it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conceal of official documents. After the decision of holding “The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on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in 2000 was made, there had been an epistemological conversion in the studies on testimony. “2000 Tribunal testimony team” tried to deconstruct the dominant figure as inert and passive victim, publishing the fourth collection of testimon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ducing oral narratives and writing subaltern history. However, the advance in the studies did not solve all the contradictory demands and difficulties in testimony: compatibility of politicity and orality, feasibility of radical making of knowledge, representational borderline-ness shared by narrater and researcher, and an effect of oral text. I suggest that the extension of empathetic listening public such as the first listener, Yun, Jeong-ok, is still needed in order to get ‘working through' the collective trauma and to make the testimony as the fountain of subaltern history.

      • KCI등재

        경계인의 역사 반추하기

        고운선(Ko, Woon-S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Li Yongping(李永平) is an ethnic Chinese writer who was born in Kuching, Sarawak in the north of Borneo island. In this study, I have focused on Li Yongping’s Yuxue FeiFei(drizzling sleet, 雨雪霏霏), with which conducted to consider what the Chinese diaspora history has come to the present state and know how Li is viewing their history as immigrant in Borneo to figure out what Li wanted to speak out. The first person narrator, ‘I’, is a middle-aged man who tells a story about his childhood to a 7-year-old girl named ‘Zhuling’ at a school in Taipei and confesses his secret ‘sin’, which he was never able to tell anyone before. The ethnic Chinese in British Borneo realized that the image and discourse on China and Chinese characters shown by the colonizer were distorted racially and culturally, but they connived and even agreed with such distortion in order to survive in the colonial society. Furthermore, while criticizing the reasoning of the western imperialism, they internalized such reasoning and discriminated against races(ethnic groups) considered to be less civilized than China. Such tendency was particularly strong in the first generation of overseas Chinese and ethnic Chinese of lower-middle classes who were believed to maintain ‘chineseness’ based on ‘lineage.’ In addition, they tried to console their anxiety of falling rapidly into social minorities in the reality through pure and robust image of women. Male-oriented character of the ethnic Chinese society was formed in this way. On the one hand, the ethnic Chinese of pundit class or upper-middle classes regarded protection of their voices, that is ‘Chinese characters’, as protection of ethnic lineage. However, this led the ethnic Chinese authors to fall into a dilemma. Pursuing Chinese literature meant ‘resistance’ in Malaysia, but it was about facing yet another gigantic ‘social code’ in the rage of the society using Chinese language. Such reality left a considerable task for the Sinophone Literature writers who practiced Chinese language. The ethnic Chinese society in Sarawak was also apathetic about women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who were taken from Taiwan to Borneo Island during the Pacific War. Even the young boy who felt true ‘motherhood’ from wounded women betrayed them in the end. The descendants born from such ethnic Chinese in Sarawak had ‘original sin(mentioned in the Bible).’ Rather than sympathizing with them as simple ‘social minorities’, it would be necessary to look into their circumstance and history in detai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 여성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송희 ( Lee Song-hee ) 한국여성사학회 2007 여성과 역사 Vol.- No.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es on modern women who had lived in Korea from 1876 to 1945. In Chapter Ⅱ,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out the trend of study by analyze the subject of papers which had been studied from 1950`s to 2006. The trend of studies hav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women movement and women studies. In 1970`s, the studies on modern women`s history had continu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modernization. Therefore the study on the rise in women`s position had appeared important subject. In 1980`s, the study about the women in general had appeared. After that, in 1990`s, the study of women`s identity made a start. In Chapter III, this paper classify researches into some subjects, modern women, `military comfort woman`, women`s movement, education of woman, which have studied amply rather than other subjects and analyze the trend of the some subjects. In Analysis, A dispute of nationalism and Feminism about modern women and `military comfort woman` came to the surface. And A dispute about woman`s movement made a start. In conclusion, we are confronted with some subjects. First, the study of modern women`s history need the theory of women history and various materials. Secondly, modern women`s history must study the life of women who had lived in general as farmer and labor. Thirdly, modern women`s history must study women who had lived under special situation, modernization and the Japanese Colonialism.

      • KCI등재

        朴寿南がつづるもうひとつの沖縄戦史-映画「아리랑アリランのうた-オキナワからの証言」(1991)と「ぬちがふぅ(命果報)-玉砕場からの証言」(2012)を中心に-

        朴東鎬(Park Dong-Ho)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92 No.-

        재일조선인 2세 영화감독 박수남은 다수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을 통해 조선인군부와 위안부피해자의 증언을 기록하여 왔다. 조선인 전쟁피해자들의 ‘한(恨)’을 기록한 그녀의 영화는 식민지배 역사의 실태를 파악·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그녀의 영화가 지닌 영화·사료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움직임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그녀의 조국인 한국에서는 그 존재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재일조선인 영화연구에서도 본격적인 연구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박수남 영화연구의 일환으로 오키나와전투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군부와 위안부피해자의 증언을 기록한 영화 〈아리랑のうた-オキナワからの証言〉과 〈ぬちがふぅ(命果報)-玉砕場からの証言〉에 주목하여, 그녀가 조선인 전쟁피해자들의 전쟁 기억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지를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역사 구성 원리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특히 벤야민이 자신의 역사관을 현실화하는 방법으로 중요시하였던 ‘몽타주’ 개념에 초점을 두어 박수남의 영화가 일본/일본인의 ‘피해’와 ‘희생’으로 요약되는 전후 일본의 자국중심주의적 전사(戰史)에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The second-generation Zainichi film director Park Soo-nam has produced a number of documentary films which contain testimonies of Korean military laborers and comfort women. Her movies have recorded the unique ‘Han’ sentiment of Korean war victims, and are invaluable historical records allow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alities of Japan’s colonial rule. Recently, there are moves to shed a new light on her movies’ historical value in Japan. Ironically, Park Soo-nam is hardly known as a film director in her homeland, Korea, and her works have yet to become a subject of research on Zainichi film. This paper, as a part of research on Park Soo-nam’s films, studies how she has recorded war memories of Korean war victims, largely by drawing on the constitutive principles of Walter Benjamin’s view of history. This study focuses on her movies 〈Song of Arirang-voices from Okinawa〉 and 〈Nuchigafu-Life is a Treasure “Gyokusai” Stories in the Battle of Okinawa〉, which record testimonies of forcibly mobilized comfort women and Korean military laborers sent to Okinawa.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oncept of “montage,” which Benjamin valued realize his view of history. and thus tries to determine that Park Soo-nam’s movies suggest possibly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ostwar Japanese self-centric war history, which can be summarized as the suffering and sacrifice on the part of Japan/Japanese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