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건강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 및과체중 유병률 비교

        박여린,조영규,강재헌,박현아,김경우,허양임,서지선,박노례 대한비만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3 No.1

        연구배경: 2008년에 전국적으로 시작된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는 실측된 신장과 체중이 아닌 자가보고한 신장과 체중을이용하여 비만 유병률을 구한다. 저자들은 국민건강영양조사와 비교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의 비만과 과체중 유병률 저평가 정도와 양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와 2010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만 20세 이상 성인 자료를 이용하여 비만과 과체중 유병률을 각각 구하여, 두 조사간의 비만과 과체중유병률 차이를 산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신장과체중을 실측하며,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는 자가보고로 조사한다. 결과: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비해 2010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는 비만과 과체중 유병률이 각각 8.6%P와 7.8%P 저평가 되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비해 신장(남자: -0.9 cm, 여자: -1.7 cm)은 더 크게, 체중(남자: 0.5 kg,여자: 1.1 kg)과 체질량지수(남자: 0.4 kg/m2, 여자: 1.0 kg/m2)는 더 작게 평가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의 신장의 과대평가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컸으며, 체중의 저평가 정도는남자에서는 20~30대에서, 여자에서는 20~40대에서 1.0 k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과 과체중 유병률을 저평가하였으며, 이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구강건강 조사체계에 따른 아동·청소년 구강건강 수준 비교

        이민선(Min-Sun Lee),이혜린(Hye-Rin Lee) 한국보건복지학회 2022 보건과 복지 Vol.24 No.2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와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구강건강 수준을 비교해보고자 시행되었다. 5세 아동 및 12세, 15세 청소년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치아우식증과 관련한 유치 및 영구치 우식유병률, 우식경험률 지표와 치주질환과 관련한 치면세마필요자율 변수를 연도별, 조사방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TATA/SE 15.1을 활용하였고, 두 자료원 간의 비교는 Z-test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관련 지표들은 두 조사 모두에서 연도가 지남에 따라 유사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두 자료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와 구강건강실태조사 모두 우리나라 구강건강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조사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체계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대표 연령의 산출 지표에 대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of oral health status by national oral health survey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and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KNOHS). The subjects were 5 years old children and 12 years old and 15 years old adolesce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year of surveys and the age of the subject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oral health level variable; prevalence of active caries,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CPITN2.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STATA/SE 15.1(supplied by STATA Corporation) was us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Z-test(p<0.05). In both surveys, dental caries-related variables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the years passed. CPITN2 also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the years passed in both surveys, but the mean differs by more than 10%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KNHANES and KNOHS surveys were representing the public oral health level, caution was needed interpreting the results.

      • KCI등재

        청소년들의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 및 정신건강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신성희,신우경,김유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to the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by the residual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5th and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of the 2,961 total subjects(male 1,548, female 1,413, aged 12 to 19 years). The nutrient intake was collected by using the 24 hr recall method and mental health and BMI were collected by the health interview survey and physical examination researc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perception and BMI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ith a distorted perception of their body type was the highest among adolescents with normal weight(p for trend, <.001). Especially, regarding the subjective body type,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s as compared to that among males (p for trend, <.001). An analysis of nutrient intake status against the subjective perception showed that the group of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had the lowest scores on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nutritional adequacy ratio (NAR) and mean adequacy ratio (MAR) (p for trend, <.001). With respect to the daily intake of major nutrients,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consumed the lowest amounts of total energy (p for trend, <.01) and carbohydrate (p for trend,<.001). An analysis of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adolescents showed that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overweight had the highest levels of stress recognition and depression (p<0.01). In conclusion, the adolescentsʼ subjective perception is associated with their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ome educational programs are desirable to help the adolescents to have their desirable subjective perception an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yp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체형 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 문제 및 정신건강 문제를 분석하였다. 제 5기, 6기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되었으며, 만 12~18세의 청소년 3,834명을 추출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총 2,961명(남자 1,548명, 여자 1,41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영양조사 자료는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정신건강과 BMI는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주관적 체형인식과 BMI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정상체중인 경우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자신을 과체중 체형이라 인식하는 대상자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둘째, 대상자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영양소섭취상태를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과체중인식군이 영양질적지수, 영양소 적정비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셋째, 대상자의 주요 영양소에 대한 1일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과체중인식군이 전체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넷째, 대상자들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정신건강상태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모두 과체중인식군에서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정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1).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 인식이 영양 섭취와 정신건강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바람직한 신체 이미지상를 갖고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며 동시에 올바른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정학교사회에서의 올바른 체형 인식과 관련된 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송애희,김화숙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 치주질환 및 영구치 우식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의 격차를 확인하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인이 인지하는 구강상태에 응답한 7,639명으로 하였고, 분석방법은 복합 표본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행하였다. 결과는 연령이 높고, 가구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쁘고, 구강검사를 한 대상자는 구강건강을 좋게, 치주질환이나 영구치우식경험자는 구강건강을 나쁘게 인식하였다.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치주질환 경험자, 영구치우식경험자 등이 구강건강에 부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건강의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CPI) and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DMFT) using the 6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KNHANES Ⅵ)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plan of policy. The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the worse the subjective oral health had better oral health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respondents who had no oral exam within 1 year and experienced CPI or DMFT estimated their own health as worse. It is needed to make policy development to resolve the inequality of oral health.

      • KCI등재

        노인의 구강건강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정진아(Jin-Ah Jung)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4

        본 연구는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치면세균막관리로 구강건강과 더불어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에 적합한 1,921명의 노인을 분석하였다. 구강건강과 건강관련 삶의 질 측면에서, 구강 내에 보철물이 존재하지 않고 치실과 같은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며 치과 진료가 필요하지 않을 때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나 치면세균막 관리를 통한 예방적인 구강위생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다. 구강건강이 증진 및 유지로 인해 잘 관리되면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아지게 되고 만족할 만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을 위한 구강보건사업이 치료가 아닌 예방을 중심으로 수행된다면 건강한 치주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를 위해 구강위생용품 사용법 교육을 포함한 치면세균막 관리와 의치 관리에 대한 노인전문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함으로써 노인 구강보건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al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well as oral health through effective plaque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21 elderly people who were suitable for the analysis using raw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6-2018). In terms of oral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hen there is no any prosthodontics, oral hygiene products such as floss was used, and when dental treatment is not require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high. I could see how important oral hygiene care is. If oral health is well managed through promotion and maintenanc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will increase and you will be able to well-being. Healthy periodontal management is expected to be possible if the or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is carried out not with treatment but with pre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lderly oral health policy by proposing the development of an oral health care program specialized for the elderly for the management of dental plaque and dentures, including education on how to use oral hygiene products for the promotion and maintenance of elderly oral health.

      • KCI등재

        청소년들의 수면시간에 따른 정신건강 및 영양섭취 상태 -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6년)자료를 이용하여 -

        기예진,김유경,신우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mental health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the sleep duration of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07-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including 5,489 total subjects (2,795 middle school students, 2,694 high school students).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ntal health was analyz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link between sleep duration and nutritional intake was analyzed via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 analysis of sleep duration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higher average sleep duration than high school students (P<0.000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ntal health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lower rates of stress perception (P<0.0001) and suicidal ideation (P=0.0005) as their sleep duration increased. High school students had 53% less suicidal ideation in the group getting 6-7 hours compared to the group getting less than 6 hours, and 37% less suicidal ideation than the group getting 7-8 hours. The link between sleep duration and stress percep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 for interaction=0.02). An analysis of the daily intake of major nutrients according to sleep hours found high intake of vitamin C in groups where high school students slept more than nine hours (P=0.003). The state of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higher sleep dur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er intake of phosphorus,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in Nutrient Adequacy Ratio for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adolescents’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stress perception, suicidal ideation and nutritional intake.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mental importance of adolescent sleep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nutrition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면시간의 특성과 정신건강 문제, 영양섭취 상태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07~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총 5,489명(중학생 2,795명, 고등학생 2,69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면시간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수면시간과 영양 섭취량의 연관성은 일반선형모델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면시간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평균 수면시간이 더 많았다(P<0.0001). 둘째, 수면시간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련성은 중학생의 경우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인지율(P<0.0001)과 자살생각 여부(P=0.0005)는 유의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은 수면시간이 6-7시간인 그룹이 6시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자살생각이 53% 더 적었고, 7-8시간인 그룹이 6시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자살생각이 37% 더 적었다. 수면시간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여부의 연관성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for interaction=0.02). 셋째, 수면시간에 따른 주요 영양소 1일 섭취량은 고등학생의 경우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인 그룹에서 비타민C의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3). 넷째, 수면시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는 고등학생의 경우 수면시간이 길수록, 인,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C가 영양소 적정비와 평균영양소 적정비가 증가하였다.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스트레스 인지와 자살생각 그리고 영양소 섭취상태는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 수면이 가지는 정신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영양표시 관심 영양소 군과 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 조절 정도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자료 2008–2011

        안성호,이지원,이준혁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5

        Backgrou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is an important metabolic marker, and it is suggest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dietary habits. The use of nutrition labels is beneficial for making healthier food choices. In addition, dietary habits and nutrients of interest vary among nutrientlabel us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fferent nutrients of interest and LDL cholesterol levels in Korean adul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21,870 adults from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nutrients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1) total calories, 2) carbohydrates, 3) protein, 4)fat, and 5) non-users of nutrition label. LDL cholesterol target level was set according to individual cardiovascular risk level. Multivariate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which nutrient of interest is related to the achievement of LDL cholesterol target level. Results: Participants who were interested in total calories consumed lesser total calories and carbohydrates daily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did. Moreover, compared with the “not reading nutrition label” group, the odds ratios (95% confidence intervals) for achieving LDL cholesterol targetlevel was 1.29 (1.05–1.58, P=0.015) in the “total calories” group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Participants who were interested in total calories were more likely to achieve optimal LDL cholesterol levels than those who did not readnutrition labels. Therefore, reading nutrition labels, especially focusing on total calories, can be helpful for reducing cardiovascular risk. 연구배경: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은 조절 가능한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식이 조절은 LDL 콜레스테롤 조절에중요한 요인이고 영양표시의 사용은 건전한 식이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관심이 있는 영양 표기 확인에 따라 적절한 LDL콜레스테롤의 목표치 달성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를 이용하여 총21,870명을 연구에 포함시켰으며, 대상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총 열량, 영양표시를 이용하는 군과 영양표시를 읽지 않는 군으로나누었다. 영양표시 사용과 관심군에 대한 질문은 KNHANES에 포함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관심 있는 영양표시 이용여부에 따라목표 LDL 콜레스테롤 조절에 차이가 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총 열량에 관심을 가진 군은 실제 총 열량과, 탄수화물을 적게 섭취하는 식이 행태를 보였으며 연령, 성별, 소득수준, 건강행태를 보정한 후 총 열량 영양정보를 확인하는 군은 목표 LDL 콜레스테롤에 도달할 비율(OR, 1.29; 95% CI, 1.05–1.58; P=0.015)이 높았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영양정보 확인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영양 표시 중 총 열량을 확인하는 경우 LDL 콜레스테롤이 잘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총 칼로리를 이용한 영양 정보에관심을 가지는 습관이 심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한국 성인의 가계 수입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준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하정희,조두현,윤현정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e purpose is to examin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household income at the national level, establish strategies to promote optimized healthy lifestyles and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economic income, and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Methods: To this end, adults aged 19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and 2017) were selected as a research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final 7,452 subjects who responded to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s among a total of 16,277 subject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economic activity,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dex (EQ-5D)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it was confirmed that both factors gradual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income.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household income and physical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 a result of correcting the factors, it showed higher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 quantitative difference in various factors is that detailed programs for each class are needed to design policie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목적: 전국단위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 소득이 있는 성인들의 신체활동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살펴봄으로써 최적화된 건강한 삶의 방식과 경제 소득에 따른 신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 2차년도(2016, 2017년)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연구집단으로 선정했다. 연구는 총 16,277명의 대상자들 중, 신체활동과 건강 관련 삶의 질 문항에 응답한 최종7,4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첫째, 신체활동 정도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성별, 나이, 결혼 유무, 학력, 직업, 경제활동 유무, 주관적 건강 인식에서 공통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계 소득에 따른 신체활동량과 건강 관련 삶의 질 지수(EQ-5D)를 확인한 결과 두 요인 모두 소득의 증가와 함께 점진적으로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가계소득, 신체활동량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요인들을 보정한결과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요인에서 정량적인 차이가 나는 것은 그만큼 신체활동과 건강 관련삶의 질과 관련된 정책을 설계하는 데 있어 각 계층별 세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읍면/동별 정신 건강이 건강행태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활용

        서혜영,최경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본 연구는 읍면/동별로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의 차이와 읍면/동별 정신 건강이 건강행태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주관적 건강 상태, EuroQol-5 Dimension)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는 2016년 국민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6년 국민영양조사 대상자 8,150명 중 만19세이상 6,382명 가운데 무응답과 응답거부 등 결측값은 제외하고 대상자 5,708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 24.0와 AMOS이고 분석방법은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읍면/동에 따라 일반적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읍면/동별로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음 확인하였다. 또한 읍면/동별로 정신 건강이 건강행태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주관적 건강 상태, EuroQol-5 Dimens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데 정신건강 뿐만 아니라 건강행태도 중요하며 또한 읍면/동별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subjective health status, EuroQol-5 Dimension) through health behaviors as well as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ata from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for 2016 were used. Of the 8,150 people who were surveyed by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in 2016, out of the 6,382 persons aged 19 and over, excluding the missing values such as non-response and rejection were analyzed, 5,708 subje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town/Dong. In addition, mental health was found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subjective health status, EuroQol-5 Dimension) by mediating health behaviors. Based on this, it is important not only mental health but also health behavio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approach each town/ Dong.

      • 06 식품의약품안전처 SESSION : 국가 잔류농약 안전관리 연구 보고회 ; 식품원재료 섭취량 산출 소프트웨어의 검증 및 식품적용 연구

        백민석 ( Min Seok Baek ),고상훈 ( Sang Hoon Ko ),윤요한 ( Yohan Yoon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식품에 직.간접적으로 잔류되는 위해물질의 노출량 평가는 식품 위생 및 건강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식품 내 위해물질의 노출량 평가를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식품원재료(food commodity) 섭취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식품 중에는 여러 가지의 식품원재료들이 혼합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식품 섭취량을 산출하기 쉽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를 통해 국민들의 일일 식품 섭취량을 조사하여 개개의 식품 섭취량 자료를 제공한다. 하지만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 섭취량 자료는 가공식품 및 혼합식품을 통한 식품원재료 섭취량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난 연구에서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식품원재료 환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품원재료 섭취량 산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 섭취량 데이터베이스와 자체적으로 구축한 레시피 데이터베이스가 식품원재료 섭취량산출 소프트웨어에서 1일 식품 섭취량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식품원재료 환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표준 배합비를 이용하여 모든 원재료의 배합비를 탐색하여 오직 식품원재료로만 표시되고 그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원재료 섭취량 산출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식품 섭취량 데이터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2008년)부터 제5기 1차, 2차, 3차년도(2009, 2010, 2011, 2012년)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검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원재료 식품섭취량과 식품원재료 섭취량 산출 소프트웨어의 산출값이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식품원재료 섭취량 산출 소프트웨어는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알고리즘을 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섭취량 자료를 빠르고 편리하게 처리하여 식품별 원재료의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및 이들의 가공품으로부터 섭취되는 원료식품 섭취량을 객관적, 합리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계산된 객관적인 원료식품 섭취량 정보는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된 잔류농약을 비롯한 화학 잔류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