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 탐색을 위한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 분석

        홍애령 ( Ae Ryung Ho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본 연구는 수준 높은 발레교육을 펼치기 위해 발레교육자는 어떠한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기초 단계로 기존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에 나타난 전문성 개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동안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정립되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오랜 시간 발레를 전공하고 무용수로 활동하거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수학한 전문 발레인들이 교육자로서 필요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했으며, 협회 및 주요 교육기관에서의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이수를 통해 경력을 쌓아갔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발레를 전공한 학생들이 발레무용수로 기량을 갖추는 과정 역시 발레교육자로서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로 간주하고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상적 사례선택의 방법으로 선정된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은 국외 발레학교 교육과정,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국내 예술 중·고등학교, 대학교 교육과정, 자격과정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레교육자만을 위한 특화된 교육은 매우 부족했으며,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이나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자격을 수여하는 사례 또한 드물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국내외 양성과정 분석을 통해 나타난 전문성 요소는 발레지식, 발레교수지식, 발레소양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발레를 기능적, 예술적으로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 발레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적 측면의 능력으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레교육 및 발레교육자와 관련한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ion of pedagogical professionalism and its components that Korean ballet educators posses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curriculum of ballet school, ballet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certificate course in Russia, France, England, United States, and Korea. Following the qualitative study paradigm, content analyze method were adop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Bereday(1964)`s comparative method. To validate the study, self reflection, and peer debriefing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ballet educators` pedagogical professionalism(BEPP) refers to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at required to teach ballet technically and artistically. Secondly, the three components of knowledge on ballet, ballet teaching, and ballet literacy were identified as ballet educational content knowledge exhibited international education for ballet educators. Knowledge on ballet refers to physical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Knowledge on ballet teaching relates to traditional ballet teaching method and pedagogical knowledge. Ballet literacy denotes personal knowledge and artistic sensibility. The study culminates by offering future directions for intertwining research and developing efficient practice in developing BEPP.

      • KCI등재

        ‘교육자’ 바오로의 페다고지와 교육 영성

        임숙희(Lim, Sook He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3

        교육자는 자신의 영혼을 보살피지 않고서는 학습자의 영혼을 보살피기 어렵다. 본고는 바오로를 교육자로 여기고, 바오로의 페다고지(pedagogy)와 교육 영성을 탐구한다. 교육자로서 바오로의 특성을 알려면 먼저 바오로의 교육 배경을 살펴보아야 한다. 바오로가 다마스쿠스 사건 이전과 이후에 받은 교육은 그가 이방인 세계에서 좋은 교육자가 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어서 바오로의 페다고지를 네 가지 주제,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교육 목표, 교육학적 언어, 교육자의 자세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바오로는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를 구약과 유다 전통에서 물려받았을 것이다. 가르치는 사람은 성경의 교육자인 하느님의 일을 대신하는 것이다. 바오로의 교육 목표는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를 선포하는 것’, 그리스 도와의 관계를 통한 인간 변화이다. 하느님의 모상 실현이라는 인간의 소명은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를 닮는 삶을 통해 이루어진다. 바오로가 서간에서 사용한 교육학적 언어는 수사학적・설득적 차원(권고와 교정), 사목적・기능적 차원(부성애와 모성애), 증언과 변화의 차원(본받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세가지 부류를 토대로 바오로가 구체적인 공동체 안에서 어떤 자세(스타일)로 교육했는지 바오로 서간 본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바오로는 하느님의 자비로운 마음으로 권고하며, 공동체의 아버지와 어머니로서 양육하며, 본받을 수 있는 모델이 된다. 결론으로 지금까지 살펴본 것을 토대로 이 시대 교육자들에게 모델이 되는 교육 영성의 요소들을 살펴본다. 교육자는 ‘선두 학습자’이며 그의 교육 목표는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 형성이다. 교육자는 하느님의 일을 위임받은 사람으로서 그것에 합당한 배움의 공간을 창조한다. 교육자는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가 통합된 설득력 있는 교육법을 사용한다. 교육자는 교육을 통해 자신과 학습자와 가르침 주제인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관계의 망을 형성한다. 교육자는 복음이 제시하는 좋은 삶을 몸소 체험하고 그것을 교육한다. If educators do not care for their souls, it becomes hard to take care of those of their learners. This article deeply examines Paul’s pedagogy and Spirituality in education assuming Paul as an educat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ul as an educator,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take a look Paul’s educational background. Education that Paul received before and after his Damascus experience helped him to become a good educator in the Gentile world. Next topic that is going to be introduced is Paul’s pedagogy according to four elements: the meaning of ‘teaching’, the goal of education, pedagogical language, attitude as an educator. Paul must have inherited and set his meaning of ‘teaching’ from the Old Testament and the Jewish tradition about education which emphasize that educators are the ones who do the work of God who is the educator of the Bible. Paul’s educational goal is “to announce Christ’s cross” and human personality transformation through their relation with Christ. The realization of the human vocation, that is Imago Dei, can be achieved by one’s effort to live in conformity to the Cross. Educational language that Paul used in his letters are divided into three levels: rhetoric-persuading dimension(exhortation and admonition), pastoral-functional dimension(paternity and maternity), testimony and transformation dimension(imitation). On the basis of these three dimensions, by reviewing Pauline letters, examination of Paul’s attitude(style) as an educator within his communities follows. Paul exhorts them by God’s mercy, takes care of believers within communities as father and mother and becomes a model to imitate. Thus, reflection of several key elements of spirituality in education for modern educators in this age takes place in the end. In sum, an educator is ‘a leading learner’ and educational goal has to be human personality transformation following that of Christ. As a commissioner of God, an educator must teach and create good space for learning. Educator must use persuading pedagogy in which logos, pathos and ethos are integrated. Through education, an educator must weave networks of relations between Christ, that is, the subject of teaching and learner and educator.

      • KCI등재

        한국 교사교육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셀프 연구(Self-study)의 도입

        황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1

        셀프 연구(self-study)는 교육자가 자신의 교육활동을 반성하고,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와 교육자로서 갖는 내적 딜레마 혹은 갈등을 연구함으로써 실천적인 교육 지식을 생산하는 연 구 방법이다. 주로 교사교육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온 셀프 연구는 교사교육자 개인의 전문성 신장을 꾀할 뿐 아니라, 비슷한 환경에 있는 동료 교사교육자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식을 생산한다. 또한 교사교육자의 성장과 변화는 그들이 가르치고 있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학습과 성장을 유도하며, 실천적 지식을 기반으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셀프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실천적 이론과 지 식들은 교사교육 학문 공동체의 지식 체계를 더욱 풍성히 하며 교사교육 분야의 연구 장르 및 연구 방법을 다양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셀프 연구는 미국과 서구 국가의 교사교육자들에 의해 1990년대부터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 하여 현재는 교육학 분야의 하나의 연구방법론으로 자리 잡았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그 활동 이 미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셀프 연구의 개념, 목적, 방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한국 의 교사교육자들에게 셀프 연구의 가치를 알리고, 그들이 셀프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 고자 한다. 특히, 한국의 교사교육자들의 교수능력 향상과 신임교사교육자의 오리엔테이션 등 을 위해 셀프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이념과활동

        박종무 한국역사교육학회 2011 역사교육연구 Vol.- No.13

        This thesis focuses on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activities of Korean Educators’Association(朝鮮敎育者協會), which was one of the major players in the education community during the rule of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of Korea. First, it will describe the founding process of the Association amidst post-liberation movements to organize educators. Then it will introduce key members, especially those who led the organization. Since educational ideology and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was undoubtedly influenced by its membership, this paper also look into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key members. Korean Educators’Association, a nation-wide teachers’group, was established in February, 1946, replacing the predecessor organization called Confederation for Chosun Educational Reform(朝鮮敎育革新同盟). The Association suggested“ progressive democracy education(進步的民主主義敎育)”and argued for dismissal of Japanese collaborato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incorporation of conscientious educators’opinions to education policies in order to democratize the educational system and protect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education and educators. The Association initiated a movement for democratization of schools to realize their educational ideals. The movement included several key activities,such as a protest against a state-run university or dismissal of teachers without cause, and a demand for livelihood of students and teachers. The Association also exerted efforts for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undertaken a fact-finding investigation of education conditions and opened lectures and seminars and publishing of journals and forming of various research societies. Key members of the Association also contributed to magazines, writing about teaching practice and contents at schools, or wrote textbooks. But the Association lost momentum with the advent of the Cold War regime. The Association was hit hard by a nation-wide roundup of leftist activists in August 1947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reafter the Association continued as an underground organization affiliated to the Labor Party, but its public operations practically stopped. It seems that the organization was disbanded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educational ideology and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is a good manifest of progressive educators who tried educational reform in the post-liberation Korea. When we compare the Association and the mainstream education community,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 reforms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rule will be made evident. 이 글은 미군정기 주요 교육 세력의 하나였던 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이념과 활동에 주목하였다. 먼저 해방 후 교육자 대중 조직 운동의 흐름 속에서 조선교육자협회의 창립과정을 정리하였다. 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이념과 활동에는 구성원의 성향이 작용했기 때문에, 구성원의 실체를 밝히는 데도 힘을 기울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선교육자협회가 표방한 교육이념과 구체적 활동을 검토하였다. 1946년 2월 창립된 조선교육자협회는 조선교육혁신동맹을 모체로 결성된 전국 규모의교원단체였다. 이들은‘진보적 민주주의 교육’을 제시하여 친일파 교원, 교육 행정가를 청산하고 학원의 민주화 및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조선교육자협회가 교육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힘을 쏟았던 것은 학원민주화 운동이었다. 국대안 반대, 교직원 무고파면반대, 학생·교직원 생활대책 마련 요구 등이 학원민주화 운동의 핵심이었다. 또한 조선교육자협회는 교육과 연구활동도 진행하였다. 조선교육자협회는 교육실태 조사, 강습회 개최, 연구회 조직, 교과서 편찬 등의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조선교육자협회는 냉전체제가 틀을 갖춰가면서 점차 설 자리를 잃었다. 결국 1947년 8월 미군정의 좌익대검거로 조선교육자협회는 크게 약화되었다. 이후 한국전쟁까지 조선교육자협회는 남로당 산하 지하 단체로 존속하였으나 공개적인 활동을 거의 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한국전쟁 초기에 사실상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교육자협회의 창립과정, 교육이념 및 활동은 해방공간에서 교육개혁을 시도한 진보적 교육자들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교육주도세력의 교육개혁과 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운동을 비교 검토할 때, 미군정기 교육개혁이 갖는 의미가 잘 드러날 것이다.

      • KCI등재

        교육자로서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에 관한 종합적 고찰

        이민희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가람 이병기를 근대 초기 교육자로서 재조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되었다. 가람의 전 생애를 고려할 때 가람이 일관되게 행해 온 주요 활동은 교육과 관련한 것이었다. 따라서 가람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할 때, ‘교육자’로서의 가람을 논하지 않고 제대로 가람을 이해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자로서 가람을 본격적으로 살핀 논의는 부족했다. 이에 본고는 관립 한성사범학교 졸업 후 평생 걸어갔던 가람의 교육자로서의 삶을 대중교육자(계몽가), 공교육자(교사), 그리고 국어교육자 측면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첫째, 가람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기회가 될 때마다 한글과 시조, 고전문학, 그리고 우리 역사와 문화를 가르치고자 한 계몽가이자 대중교육자였다. 특히 변화된 세상에서 새로운 교육 주체로 여성에 주목해 여성 교육을 힘써 강조했다. 가람이 신여성이 교육을 받고 주체적인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사연을 다룬 단편소설을 창작한 것 자체만으로도 여성 교육에 대한 그의 관심사를 대변한다. 또한 가람은 눈높이 교육과 역사적 위인과 사건을 소재로 한 역사교육을 중시했다. 아동에게 민족정신을 심어주고자 정성을 쏟았다. 둘째, 가람은 초등학교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까지 제도권 내 교육기관에서 평생 교사 또는 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공교육자였다. 비록 나라 잃은 상태에서 그 역할이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과 정신 교육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개인적으로 우리말글의 우수성과 고전의 가치를 가르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교사 시절, 자신이 직접 고서를 읽고 고전을 탐구한 결과를 신문과 잡지, 단행본 등으로 발표했는데, 이 또한 일반인과 학생들로 하여금 쉽게 고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서였다. 날 것 상태의 시조, 고전문학, 한글, 문법, 고서 내용을 체계화․이론화해 민족 교육의 대상으로 만든, 일종의 가람식 공정(工程)이었다. 셋째, 가람은 해방 후 편수관이 되어 초창기 국어교육의 기초를 다지는데 일정 부분 기여한 국어교육자였다. 국어 교과서 편찬 및 집필 등 초기 국어 교재 개발뿐 아니라 교수요목 및 교육과정에도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람일기』 수록 일부 자료를 제외하면 공식적 자료에서 가람이 국정 국어 교과서 제작에 참여한 사실은 확인되지 않는다. 자유발행제 체제하에서 가람이 만든 국어교재(인정 교과서)를 본고에서 처음 평가했다. 가람의 국어교재는 교육목적과 방법을 충분히 고려한 본격적인 교재였다기보다 일종의 작품 선집에 가까웠다. 가람은 시조창작 및 교육뿐 아니라, 평생 어려운 고전을 쉽게 풀어 소개하고 교주, 번역하는 일에 골몰했다. 가람이 자신의 교수 경험을 토대로 학습자 및 일반인을 위한 각종 고전 독서물과 학습용 교재 등을 선보인 것은 평생 교육자로서의 소신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평생 학생과 일반 대중, 여성, 아동을 위한 교육과 전통 계승을 위한 고전 교육에 평생을 바친 초창기 국어교육의 선구자로 가람을 자리 매김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ssess comprehensively the various activities and aspects which Garam(嘉藍) Lee Byong-gi(李秉岐) showed as an educator. Garam walked the road as a lifelong educator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Garam can be evaluated as public educator and teacher at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university, and educator of Korean studies. Public educators can greatly evaluated by three as follows. : First, Garam dedicated to teach Hangul to the illiterate and to enlighten people as a member of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He made by means of enlightenment by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the public through a national tour and several journals and newspapers. He also taught Hangeul to more popular on the radio. Second, Garam regarded education of women as the main target of enlightenment in modern society. So he have a keen interest in women's education and published several articles about this. It is important for us to know that Garam wrote a short story about new women, not as a Shijo poet, but a writer. It represent how much Garam was interested in women's education. Third, Gara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ducation and practice through the eye-level education and training activities, and education of the history using historical events and materials. He struggled to provide reading materials that children can dream and hope. On the other hand, Garam taught students for a lifetim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He taught the excellence of Korean language and value of Korean classic, and dedicated to foster the intellectuals. And he sought to easily adapt to school education. Garam had a responsibility for public education as a teacher of public education and emphasized importance of public education through several papers and journals. Finally, after the liberation, he participated in a portion of compilation of Korean textbooks and involved in the early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materials, and contribu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other words, he was the expert who design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educati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education. It is required to assess his educational lessons accurately. It was none other than saying education that Garam showed us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and numerous works throughout his life. It was interested for him to teach easily difficult classics, and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knowledge and skills. That is good evidence that Garam have released a variety of classic read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can easily access numerous articles and paperback, based on actual teaching experience. Therefore, we need to remember him as a great teacher.

      •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

        정일웅(Il-Ung Ju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article is written on the theme of “Dr. Chang Sik Hye-am Lee, the theological educator of the Korean Church,” congratulating the birthday of Dr. Chang Sik Lee, the current director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at the age of 100. In this article, I wrote based on Dr. Chang Sik Lee s faith, personality, and academic enthusiasm that I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5 years, and based on his autobiography and self-introduction, which he has already written a long time ago. As a theological educator, Dr. Lee has been examined into seven topics. The sub-them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education and call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second, beginn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at a Korean theological university, third, preparing qualities as a theological educator and studying abroad; New theological studies and doctoral degrees, sixth, theological educator s activities at Keimyung University and Hanshin University, and seventh, Kenya missionary and theological educator. Dr. Chang Sik Lee served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for 36 years. In addition to the four years of teaching at Keimyung University, he was entirely engaged in theological education at Hanshin University for the remaining 32 years. As soon as graduating from Hanshin University as the first graduating class, he began to teach the theology as a lecturer while working in the administration of academic affairs at the seminary. The important mind that Dr. Lee showed as a theological educator was revealed when he taught at Hanshin University. Although it was stated as a theological education goal that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ology of academic and godliness, the early Hanshin University taught only many academic knowledge of difficult theological thoughts to students, but not a practical theological knowledge regarding the godliness and pastoral practice. He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made great efforts to improve them. In particular, efforts to clarif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school as a denomination belongs to Presbyterian Church through lectur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confession of faith shows his identity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ddition, when he was in charge of the office of the Academic Affairs Office, he wa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academy, but also played a role in the training of godliness for students. For example, he encourag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hapel and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in the dormitory, and trained their honesty by conducting the exam without proctor supervision. Especially, studying his Ph.D. dissertation at Aquinas Theological Seminary, which is a well-known Catholic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hows how broad the horizon of his scholarship in history theology is. Not only did he study Luther s theology as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but also Calvin s theology as Presbyterian theology. In addition, through studying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he gained insights to contribute to today s so-called Ecumenic theology. Dr. Lee is a great theological educator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he entire Korean Church as well as at Hanshin University. In particular, Dr. Chang Sik Lee always felt sorry fo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which was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ves despite his age of middle 90s five years ago and founded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where he invited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heologians from the Korean church to have a theological dialogue and write a thesis through research. It is the fact that Dr. Chang Sik Lee, who has led these things, is not showing the role of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but a theological educator of the entire Korean church. 이 글은 현재 혜암신학연구소의 소장이신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생일을 축하하며, 기리는 마음으로,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라는 주제로 작성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지난 5년 동안 혜암신학연구소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이장식 박사님의 신앙과 인품과 학문적인 열정을 근거로 그리고 그가 이미 오래전에 집필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에 근거하여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 이 박사님을 일곱 가지 주제로 정리하였다. 기본적인 소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교육과 신학 교육자로서의 부르심, 둘째, 한국신학대학에서의 신학교육자로서의 시작, 셋째, 신학 교육자로서의 자질준비와 유학생활, 넷째, 한국신학대학의 교육이념실현과 신학 교수로서의 활동, 다섯째, 새로운 신학연구와 박사학위, 여섯째, 계명대학과 한신대학에서의 신학 교육자의 활동, 일곱째, 케냐의 선교사와 신학 교육자로서의 활동 등이다. 이장식 박사는 총 36년간 신학교에서 신학 교육자의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리고 계명대학에서의 교수 생활 4년을 빼고, 나머지 32년간은 전적으로 한신대학에서 신학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신대학을 제1회로 졸업하자마자, 신학대학에서 교무행정을 보며, 강사로 신학을 가르친 것에서 시작한다. 이장식 박사님이 신학교육자로서 보여준 중요한 정신은, 특히 한신대학에서 가르칠 때, 학문과 경건이란 이념으로 교육한다는 것을 신학교육 목표로 명시해 놓았지만, 초기의 한신대학은 어려운 신학 사상의 학문적인 정보를 학생들에게 많이 가르치고, 실제 경건에 관한 신학 정보와 목회 실천에 도움이 되는 실천신학에 관한 것들을 많이 가르치지 못했던 것을 지적하였고, 그것을 개선하려고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점이다. 특히 한신대학교가 기독교장로회에 속한 교단으로서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앙고백에 관련된 강의를 통해서 장로교회의 신학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고 한 노력은 신학교육자의 모습이 분명하였던 것으로 이겨진다. 그리고 교무처장의 직분을 맡았을 때도, 교무행정만 책임진 것이 아니라, 역시 학생들의 경건 훈련에도 역할을 잘 감당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면 신학생들의 채플 참여와 기숙사에서 신학생들의 새벽기도회 참여를 직접 독려한 일, 그리고 무시험 감독으로 신학생들의 정직한 경건을 훈련시킨 일 등에서라고 할 것이다. 역시 이 박사님은 학위 과정에서도 교회 역사에 관한 부분을 주 전공으로 삼았으며, 특히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미국에 가톨릭에 속한 대학으로 이름나 있는 아퀴나스 신학교에서 공부한 것은 그의 역사신학의 학문이 얼마나 넓은 지평을 가진 것인지를 느껴보게 된다. 물론 프로테스탄트의 역사로서 루터의 신학을 공부했을 뿐 아니라, 특히 장로교회의 신학으로 칼빈의 신학을 연구하였고, 가톨릭교회의 신학까지 연구한 것은 오늘의 소위 에큐메닉의 신학에 기여하는 통찰을 갖게 되었으며, 역시 이장식 박사님은 한신대학에서의 신학교육뿐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의 자질과 능력을 가진 위대한 신학 교육자였음을 생각하게 된다. 특히 이장식 박사님은 5년 전 구순 중반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하여 대립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고, 뜻을 같이하는 진보와 보수 신학자들을 혜암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그 곳에 모으시고, 대화하며, 신학의 학문을 계속 연구하게 하며, 신학학술지(「신학과 교회」)의 출판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한국교회의 신학을 대변해 온 것은 그가 한 신학교의 신학 교육자가 아니라, 이제는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날을 기념하며, 일생을 통하여 보여준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오래 기억하게 되리라 확신한다.

      • KCI등재

        국가별 단위학교 간 교육자원 배분과 학업성취도 분석

        정동욱(Jeong Dong Wook),김영식(Kim Young sik),이호준(Lee Ho J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자원의 배분에 있어 종래의 교육자원 투입량 중심의 교육생산함수적 접근 방식을 벗어나, 국가 내 단위 학교 간 교육자원 배분의 형평성 수준이 국가의 평균적인 학업성취수준 및 국가 내 학생들 간의 학업성취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균형성장론의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PISA 5개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국가 수준의 균형 패널데이터를 구축한 후 5차례에 걸쳐 시행된 PISA에 모두 참여한 30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합동회귀모형과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 내 단위 학교 간의 교육자원 배분(특히, 물적 교육자원 배분)이 불공평하게 이루어질 경우, 국가의 평균적인 학업성취 수준이 하락함은 물론, 국가 내 학생들 간의 학업성취 격차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국가 차원의 교육자원 배분 형평성이 학업성취 수준 및 격차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의 경제발전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소득 국가일수록 교육자원 배분의 형평성 정도가 국가의 학업성취 수준 및 국가 내 학생들 간의 학업성취 격차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균형성장론에 기반한 교육자원 배분의 형평성 제고가 국가의 교육경쟁력 제고 및 교육 격차 해소에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효율성을 넘어 형평성의 관점에서 단위 학교 간 교육자원 배분과 학업성취 수준 및 격차 간의 관계를 재검토하고, 개별 국가의 특성에 따라 현재 시행 중인 교육자원 배분 방식의 적정성 및 타당성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차원의 교육목표 달성에 보다 효과적인 교육자원 배분 방식의 설정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across-school disparities in distributing education resources on the national average of PISA scores and the PISA score disparities within county by using panel dataset comprised of countries participated in all of 5 times of PISA. In doing so, we established two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 'Balanced Growth Theory'.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the worse inequality of school resource distribution leads to a decrease in the country-level PISA average performance and the other hypothesis is that the inequal distribution of school resources makes worse the disparities between students' PISA scores. After analyzing with two-way fixed effect model, we find that unequal distribution of school resources, especially school material resources, not only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level of PISA achievement, but also worsen the disparities of student performance. Furthermore, we find that unequal distribution of school resources has differential effects on the level of country achievement and the disparities between student performance depend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These results advocate the equal distribution of school resources based on the idea of the 'Balanced Growth Theory'.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narrowing the disparities between students'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O.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에 관한 연구 -신뢰와 인내를 중심으로

        강기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이 연구에서는 O.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으로서의 신뢰와 인내의 문제를 고찰하였다.교육자의 미덕으로서의 신뢰는 인간 그 자체를 믿는 것으로서 모든 인간 관계 형성의 근거가 되며, 교육 성립의 전제가 된다. 지속적인 신뢰 속에서 발생하는 인내는 시간을 허용하고, 시간에 일치하여 사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교육 실제에서 가장 획득하기 어려운 미덕 중의 하나이다. 교육자의 미덕으로서 신뢰와 인내는 아동으로 하여금 안정의 감정을 지니게 하여 올바른 성장을 가능케 하며, 희망을 가지고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가능케 한다.특히 불신과 갈등, 그리고 초조와 불안이 만연해 있는 오늘의 한국 교육현실에서 교육자의 미덕으로서의 신뢰와 인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중요한 교육자의 미덕이다.

      • KCI등재

        성인 미술교육자의 교육적 의식과 실천에 대한 사례연구 : M 미술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윤인화(Yoon, In Hwa)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자의 의식과 실천을 통한 성인 미술교육에의 새로운 접근을 제시함으로써 고착화된 성인 미술교육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설 미술교육 공간을 운영하는 성인 미술교육자 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1월부터 8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행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연구참여자가 성인 미술교육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여러 가지 활동들과 사진자료, 면담내용을 수집 자료로 삼고 초상화기법을 통해 성인 미술교육자가 지닌 교육자의 본질적 초상을 탐구하고 분석하려 노력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성인 미술교육자의 의식이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되는지 주요 특성에 주목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성인 미술교육자의 경험을 통한 미술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다양한 차원에서의 실천적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고, ‘미술교육인가? 기술교육인가?’, ‘보여주기, 들려주기, 귀 기울이기’, ‘교육의 차원을 넘어선 노력’으로 범주화하였다. 이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미술의 본질을 교육하기 위한 교수법의 탐색’, ‘기존에 없던 미술교육의 물꼬 트기’, ‘교육자를 교육자로만 규정짓지 않는 태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k alternative ways as a new direction for adult art education through awareness of education and practical efforts. For this purpose, one adult art educator who is currently offering a private art education space was selected as a research participant. Collected data was obtained with in-depth interviews as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from January 2020 to Augus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essentialist portrait on own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adult art educators who participated in research through various activities, visual data, and interview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main characteristics of how adult art educator s consciousness is refle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were interpreted. As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Is it art education? or technical education? , Visualizing, Speaking, Listening attentively and effort beyond the educational dimension were categorized as experiences and alternative practices of adult art educa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had discussions about the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s for the essential of art.’, ‘the beginning of unprecedented art education.’ and ‘unregulated educators.’

      • KCI등재

        유아교육자의 삶과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정순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자로 살아온 연구자의 삶과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의 예비교사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삶에 대한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유아교육자로서의 삶과 정체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유아교육자로서의 삶은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변화의 선택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육자로서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과정에서 형성된 학문적 가치 추구, 높은 자아 존중감, 긍정적인 교사상에 바탕을 둔 자아정체성은 유아교육자로서의 삶의 기반이 되고 연구자가 어떠한 삶을 살아갈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둘째, 유아교육의 가치와 유아교사가 전문가라는 인식을 굳건히 형성하고 있지만 낮은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끊임없는 갈등과 이로 인해 삶의 변화를 추구하게 된다. 셋째, 유아교육자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없고 자신의 정체성을 지킬 수 없는 현실은 연구자로 하여금 교육현장을 떠나게 한다. 넷째, 유아교육자의 삶과 정체성에 대한 이해는 사회, 정치적, 문화 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is researcher's autoethnography on life from the days of a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o the present time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changes of this researcher's life and identity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This researcher's life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was an active process to choose changes to keep identity as an educator.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changes in life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could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ego-identity that was built on pursuit of academic value during the growth process, high self-esteem and positive teacher image was the basis of life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and it exercised an influence on determining how to live. Second, this researcher had a strong conviction about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finitely regarded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professionals, but underwent ceaseless conflicts and consequently sought after a change in life because of poor social awareness. Third, the reality that was not good enough to exert professionalism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nor to retain identity forced this researcher to leave the educational community. Fourth, the life and identit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be understood in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