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사 연수와 수업 전문성 발달

        김찬종(Kim, Chan-Jo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연구와 실천 Vol.75 No.-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수업 전문성은 양성과정에서 시작하여 교사의 전 생애를 통해서 발달되고 변화된다. 교사 연수나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이의 발달을 위한 좋은 계기나 자극이 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통하여 수업 전문성의 특성과 발달, 그리고 교사연수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수업전문성에 대한 이해는 과정-결과 모형과 같은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주는 특정한 기능이나 성향 파악에서 보다 복합적인 PCK, 실천적 지식 등으로 확장되어 왔다. 교사는 생애 주기별로 독특하고 특정한 발달 단계를 겪는다. 이는 개인의 지향과 특성 그리고 근무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우리나라 교사들은 전문적인 발달보다는 현장 적응적인 특성과 경험과 시행착오를 통한 제한적인 발달을 한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서 결정적 경험과 반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사들은 매일 매일의 수업을 실행하면서 실천적 반성을 통해서 지속적인 변화를 겪는다.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극복,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활용한 교사 재교육 실행, 교사의 자발적 연구 모임 활성화, 학교의 발전과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연계, 교사들이 발달 단계에 적합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 현장의 필요와 교사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발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receives more attention than ever. It is developing and changing throughout teachers entire career, beginning from the teacher education college. Attending in-service education or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may provide effective opportunity or stimulus. By summarizing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and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on this are explored.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had been understood based on process-product model. Recently, more comprehensive approach, such as PCK, practical knowledge have been developed. Teachers experience unique developmental process throughout career. It depends on personal orientations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text. Korean teachers develop by adaptation and trial-and-error. In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development, critical experience or incidents play important role. It is important to provide such experience to teachers. Teachers also develop and experience continuous change from reflection-in-action in everyday teaching. For developing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overcoming negative perception of teachers on in-service education, developing and administr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research, activating teachers spontaneous study meetings, connecting school develop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ppropriate to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based on needs and demands of teachers.

      •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의 경향 및 관계

        김해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7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2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by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Also, it examines relationship amo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7 teachers working at child educational organization in a capital area.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As for career and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b-factors. Also, as for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ecological development of the sub-factor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level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As for teachers' age, career and educational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teaching flow and sub-factors. That is, the higher age and career were, the hig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were. In terms of the educational level, teachers with a master’s degree and under the degree performed hig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Second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This study suggests that measures for supporti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prepared an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improved for increasing their teaching flow that results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과 교수몰입도 측정을 위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은 보통보다 높은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사의 변인과의 관계에서 경력과 교육정도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은 전문성발달 전체와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의 발달, 생태적 발달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와 교사의 변인과의 관계에서 연령, 경력, 교육정도는 교수몰입도 전체와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 경력이 높아질수록 전문성발달수준과 교수몰입도가 높아졌으며, 교육정도에서는 특히 대학원 재학 이상이 전문성발달수준과 교수몰입도가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고, 전문성발달 모든 하위요인과 교수몰입도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는 서로 간에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를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과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 증진과 교수몰입도 향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 전문성 개념에 대한 탐색: 양성과정 내 관련 교과목 교재 및 교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희정,송주은,김은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4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solu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by exploring it through an analysis on the teaching materials for relevant curriculum subjects of a fostering program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s of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18 books of teaching materials used in the 'Infant Teacher Theory' clas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2 teachers showed that, for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controversy for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concept', 'formation and execu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ism enhancement' appeared separately in the teaching materials utilized at the teacher fostering stage. For the professionalism concept through interviews, 'teachers who teaches well', 'teachers who works well', 'teachers who loves children', 'teachers who has have good sociality' and 'teachers who loves the vocation' appeared. From the comprehensive view on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revealed during the fostering program was similar to that of teachers. Classroom teachers say that infant teacher is an professionalized vocation equipped with professionalism for infants, but there exists social awareness that infant teacher is a semi-professional vocation equipped with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because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it is for infants. Therefore, in order to get for the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to be recognized in the controversy related to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they replied that taking care of infants, in other words, infant-caring, needed to be reinterpreted from the stage of teacher fostering program.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양성과정 내 관련 교과목 교재 분석 및 교사 인터뷰를 통해 탐색해 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교사론’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재 18권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 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교사양성단계에서 활용되는 교재에서는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해 ‘유아교사 전문성 개념 이해‘, ’유아교사 전문성의 형성과 실행‘, ’유아교사 전문성의 발달‘,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논란‘으로 구분되어 나타났으며, 인터뷰를 통한 전문성 개념은 ‘수업 잘하는 교사’, ‘일 잘하는 교사’, ‘아이를 사랑하는 교사’, ‘관계성이 높은 교사’로 나타났다. 전문성에 대한 개념을 종합해서 살펴보면 양성과정에서 드러난 유아교사 전문성은 교사 전문성 개념과 유사하였으며, 현장의 교사들은 유아교사를 유아에 대한 전문성을 지닌 전문화된 직업이지만 유아를 대상으로 한다는 특수성 때문에 전문직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준전문직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존재한다고 했다. 이를 종합해볼 때, 유아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논란을 해결하고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아이를 돌보는 일을 포함한, 광의의 개념을 가진 ‘돌봄’에 대한 재해석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김현자(Kim Hyon-Ch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주로 국내에서 진행되어온 유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후속 연구의 방향 설정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논의들은 접근방법 면에서는 교직전문성의 탐색, 유아교직과 교사에 대한 당위적?처방적 전문성 탐색, 일원화된 관점에서의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전문성 탐색에 주목하였고, 내용 면에서는 전문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사의 양성체제와 자격제도, 유아교사의 발달, 유아교직의 전문화를 위한 직무수행 요건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심층적 탐색, 유아교사의 직무와 정체성에 기반한 전문성의 개념 재정립, 그리고 유아교사 전문성의 구성 요건에 대한 탐색 및 전문성 모델 구축, 유아교사의 책무성 논의의 활성화 등이 과제로 제시되었다. By examining debates on professionalism and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this study attempts to re-conceptualize the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study of the nature of teacher as a professional or an expert. Research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ing profession and the teachers mainly dealt with professionalism of teaching profession and presented key elements of teacher expertise from various perspectives. Researchers in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lored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drew an obligatory or prescriptive nat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 as an expert and considered the nature of expertis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as identical one. Research on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anged over such subject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expertise, the system of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certificati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xpertise, and professiona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Future research needs to be pursued on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s, re-conceptualization of expertise bas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duties and identity, a close conceptual examination of key elements of teacher expertise and the viewpoint justifying identical expertise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and the account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이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구원회(Gu Won ho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들이 교사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는 국내의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들을 분석하여 교사 전문성 발달의 과정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 전문성 논의의 핵심은 무엇인지, 기존의 연구에서 관심을 충분히 기울이지 못한 점이 무엇인지, 우리가 유념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의 질문에 답하였다. 교사 전문성 발달이 좀 더 충실하게 이루어지려면 교사가 된 이후의 전문성 발달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자생적인 교사연구모임, 온라인 커뮤니티등 교사학습공동체 등 각종 교사조직들이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교사 전문성 발달의 핵심은 자발성이 높고, 목적의식과 동료의식이 강하며, 진정성을 지닌 변화지향적인 교사를 어떻게 길러낼 것인가에 있다. 주체적인 판단과 자율성을 토대로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동료 교사와 함께 올바른 교육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전문가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자가 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접근 방식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mplication for teacher professional growth b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process. For studying various teacher’s developmental process, I have established for my own viewpoint. That include the meaning of teacher professional growth, reality shock, adaption and development, stability and maturity. In term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are so many teachers shocked by the reality which that face after commencing their profession as teachers, differ markedly from their expectation. In many case which I have collected, teachers tried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a shock and confusion, and I have recognized that those efforts had meaning as an adoption for survival, introspection on the tension faced during the process of adaption, a way of overcome which they have faced. I have sincerely understand that it was so difficult to adequately their professional growth amidst the above specified reality, situation, and context of being unable to proper reflective practitioner, and I recommended teachers to research with their peer teachers.

      • KCI등재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2

        전통적인 교사 연수의 한계에 문제제기하며 최근 학교를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심지로 만 들기 위한 노력이 일고 있다. 학교중심의 교사 전문성 개발이 사실 새로운 것은 아니다. 비록 기관중심의 교사 연수가 주를 이루어왔지만, 단위학교중심의 교사연수제가 시행되어왔고 교 내 연수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들 연수는 대체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던 연수 를 학교 안으로 가져온 것이었다. 외부에서 기관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획일적 연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지식 전수·적용식 교사 연수의 한계를 안고 있다. 최근의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은 학교의 교사들이 학습공동체를 형성, 서로의 교 육실천을 공개, 공유하고 함께 더 나은 교육실천을 탐구, 학교의 교육실천을 협력적으로 개선 하며 교사 개인의 전문성은 물론 집단 전문성을 향상시켜 나아가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 다. 본 연구는 이같은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고, 특히 교직을 협 업적 활동으로 재개념화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협업관계 속에서 형성, 발현, 진화하는 역동적 성격의 집단역량으로 재개념화한 대안적 관점과 학교의 교육실천에 대한 공동탐구를 통한 협 업적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서 그 실제 사례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 들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계획, B학교의 공동수업개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이 협력을 넘어 실천 수 준의 협업으로 그리하여 집단 수준의 전문성 개발로 나아가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chool has traditionally been a place where the knowledge developed by outside scholars and researchers was applied. Teachers learn the theoretical knowledge outside of the school and bring in to the school and apply it to their practice. This kind of traditional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s decontextualized and standardized approach failed to respond the diversity of student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uch efforts to rebuild the school as a place for learning, not only for the learning of students, but also the learning of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effor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First,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eachers’ collective expertise and inquiry-bas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Also, the case studies on the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examined. The case studies provide an insight into the pos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ollaborative inquiry on the school practice, but raise the critical issues, such as teacher collaboration at the practice level and collective expertise at the school level.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se issues, the implication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허주(Hur Ju)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근래의 교육개혁 담론과 교육정책에서 교사와 교사전문성은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전문가로서 교사에 대한 신뢰 문제가 제기되고 교사의 탈전문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전문성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교직특성 및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교사는 교사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전문성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을 특성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부분적이고 제한적이며, 교사전문성은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관계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은 교직의 전문적 특성이 가치체계의 형성과 유지 및 발전의 기능이 있다고 인식하나, 이러한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전문성 개념이 위로부터의 전문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해관계자인 정부,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관계가 균형적이지 못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에 대한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가 전문성에 대해 이념적 의미부여를 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균형적 관계를 위해서는 교사 자율성이 있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전문성을 관계성(relation)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교사전문성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교사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 학생 및 학부모, 연구자 등의 교육 관련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있는 것이다. Recent discussions and policy regarding education reform treat teacher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methods and tools for achieving the policy goals. With an emphasi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terlocking with efficiency of education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s, teachers are forced to reach specific targets and evaluated. Behind this is the disciplinary mechanism of professionalism which could cause de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trait and deprofessionalization tempted to identify how teachers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how teachers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and what the concept mea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rait theory based understand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limited and partial, and in knowledge-based society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ceptualized by understanding the roles an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of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show that Korean teachers conceptualize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 as stability and developing of social system, but recognize that it malfunctions. Moreover, it is foun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formed primarily from above(externally) and the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are imbalanced. This is partly because teachers connotate ideological meaning to professionalism and mostly because limited teacher autonomy which is the key for balance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understood and dealt from a relations approach. In other words,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 only with the teachers but also shared by stakeholders of education, such as government, students and parents, and researchers.

      • KCI등재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 분석 연구

        강대현(Kang, Dae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논의되어 온 교사 효과성, 교과 전문성, 반성적 실천가 논의 등 사회과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관련 논의들의 종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하여 사회과교사 전문성 발달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일반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교사 효과성, 교과 전문성, 반성적 실천가 논의 등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과 교사 전문성의 다양한 차원을 보여주는 것으로, 비록 일부 중첩되는 측면도 있지만 상호보완적이고 단계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실천적인 관점에서 충분히 종합 가능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과 교사 전문성 연구의 종합을 토대로 세 가지 논의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항목 및 요소를 사회과 교사 전문성 발달을 분석하는데 있어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차원으로 통합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사회과 교사 전문성 발달을 교사 효과성, 교과 전문성, 반성적 실천가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일반 틀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search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such as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reflective practitioner. And it is to seek a synthesis of those discussions. On the basis of synthesis, it is to make the general framework that the development degree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can be analyzed comprehensively. This study is saying that the discussions of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reflective practitioner are not exclusive to one another and that they represent the various dimensions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although the each one is partially folded. Because they are generally complementary with one another and have step by step nature, it is possible to synthesize them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On the basis of that synthesis, this study brings the discussions of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reflective practitioner together as the dimensions and elements needed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general framework that the development degree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can be analyzed comprehensively in the three dimensions of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reflective practitioner.

      • KCI등재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 관계에 관한 시론적 논의

        문지윤,김병찬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개념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시론적인 접근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문헌고찰 및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을 협의와 광의의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두 개념의 차이와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개념관계를 비슷하게 보거나, 완전히 포괄한 상위개념으로 보거나, 아예 독립적으로 보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먼저 두 개념을 비슷하게 볼 때는 교사전문성에 교사리더십의 속성이 있고, 교사리더십에도 교사전문성의 속성이 있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포괄관계는 두 개로 나타났는데 교사리더십에 교사전문성이 포함되는 포괄관계로, 교사리더십은 교사전문성이 바탕이 되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교사전문성에 교사리더십이 포함되는 포괄관계로, 교사전문성의 여러 영역 중에 하나를 교사리더십으로 보는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을 각각 별개로 독립적인 병렬관계로 보는 것이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교사전문성은 능력에 초점을 두지만 교사리더십은 능력의 발휘에 초점을 둔다는 점과, 교사전문성은 교사가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지 중점을 두지만, 교사리더십은 교사가 학생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둔다는 점 등에 대해 밝혔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현장에서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는 두 개념을 비교하여 나타냄으로써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새롭게 구축하는 하나의 접근으로, 두 개념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경례,문혁준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개선하는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서 실시된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가한 영아보육교사 214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 전문성 발달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영아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았고 자격 유형은 원장, 1급 보육교사, 2급 보육교사의 순으로 발달 수준이 높았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과 전문성 발달 수준과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전문성 지원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았으며,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 발달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체계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전문성을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영아발달지식을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effects of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o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 survey was conducted of 214 infant teachers. Data ware analyzed by ANOVA, scheffé,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above the average. Second,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influenced by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hird, teaching efficacy was the best predictor of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infant care policy an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