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행동의 질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이경례,문혁준 육아정책연구소 2016 육아정책연구 Vol.10 No.2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infant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eacher efficacy and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The subjects were 127 teachers working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zero to two at 42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Incheon-si, Kyunggi-Do area. The Assessment Scales for Day Care Programs(Rhee et al., 2003) was used toobserve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To measure the teacher's adult attachment,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 adult attachment, ECR(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as use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measured by Emotional Regulation Scale(Moon, 1999) and teachers' efficacy was measured by a modified version of Teaching Efficacy Instrument(Kim & Seo, 201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 care teacher'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associated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eacher efficacy and the quality of teacher behavior. Seco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the quality of teacher behavior. Bu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did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quality of teacher behavior. Third,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ttachment anxiety and the quality of teacher behavior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 efficacy. But the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s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quality of teacher behavior was completely mediated by teacher efficacy. Thus, the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teacher efficacy, in part, work as mediating factors, indicating that it can help the teachers with attachment anxiety to improve their quality of teacher behavior. And teacher efficacy completely work as mediating factor, showing that it can make the quality of teacher behavior of teachers with attachment avoidance better.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심리적 변인인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성인애착과 교사행동의 질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42개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만 0세, 1세, 2세반 담당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하위변인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 및 교사행동의 질의 수준이 낮았다. 둘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과 교사행동의 질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피애착과 교사행동의 질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과 교사행동의 질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애착과 교사행동의 질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경례,문혁준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개선하는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서 실시된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가한 영아보육교사 214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 전문성 발달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영아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았고 자격 유형은 원장, 1급 보육교사, 2급 보육교사의 순으로 발달 수준이 높았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과 전문성 발달 수준과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전문성 지원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았으며,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 발달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체계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전문성을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영아발달지식을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effects of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o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 survey was conducted of 214 infant teachers. Data ware analyzed by ANOVA, scheffé,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above the average. Second,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influenced by infant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hird, teaching efficacy was the best predictor of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infant care policy and system.

      • KCI등재

        유자녀 보육교사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가족지원과 직장내지원의 매개효과

        이경례,문혁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2

        본 연구는 유자녀 보육교사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가족지원과 직장내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및 인천지역의 유자녀 보육교사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자녀 보육교사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지원과 직장내지원은 일-가정양립갈등과 직무스트레스와 각각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자녀 보육교사의 가족지원은 일-가정양립갈등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자녀 보육교사의 직장내지원은 일-가정양립갈등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근무여건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job stress among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ing children and tested whether familial support and workplace support were mediating factors. The subjects were 319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ing children and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the Incheon and Gyeonggi-Do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s and Sobel 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mong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ing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 of day care center. Secondly,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tress while both of them were negatively related to familial support and workplace support. Finally, workplace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job stress among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ing children.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supporting evidence for measures to improve a working environment for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i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뇌병변 및 지체 장애아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만족도와 심리사회적 영향의 관련성

        경례(Kyoung-Lae Jang),류소연(So Yeon Ryu),박종(Jong Park),한미아(Mi Ah Han)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7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2 No.3

        본 연구는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를 이용하는 뇌병변 및 지체 장애아의 보조공학기기 사용만족도와 심리사회적 영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에서 2011년부터 2015년 5월까지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뇌병변 및 지체 장애아 12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 장애아의 일반적 특성, 보조공학기기 사용실태와 만족도, 심리사회적인 영향 정도를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보조공학기기 사용 만족도와 심리사회적인 영향 비교는 t-검정과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고, 보조공학기기 사용 만족도와 심리사회적인 영향과의 관련성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보조 공학기기 전체 만족도 점수는 4.08±0.66점이었고, 하위영역인 보조기기 만족도 점수는 4.01±0.70점, 서비스 만족도 점수는 4.14±0.90이었다. 장애아의 심리사회적인 영향은 하위영역인 자기욕구 실현능력 0.99±0.78점, 적응력 1.04±0.86점, 자존감 0.99±0.74점이었고, 전체 점수 평균은 1.00±0.75점이었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만족도는 장애아의 건강상태, 주양육자의 학력과 보조공학기기 사용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애아의 심리사회적 영향은 보조공학기기 사용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만족도와 심리사회적인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단순상관; r=.503, p<.001 vs. 편상관; r=.440, p<0.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및 지체 장애인에게 보조공학기기 사용 만족도와 심리사회적인 영향과는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국내 보조공학기기의 효과적인 보급과 활성화를 위해 더 광범위한 장애유형과 서비스 영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psychosocial impact among some mentally or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20 disabled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who were using rental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using assistive devices.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2.0 (QUEST 2.0) and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 Scale (PIADS).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The total mean score for QUEST 2.0 was 4.08±0.66 (satisfaction with devices, 4.01±0.70; satisfaction with the assistive devices service, 4.14±0.90) and the mean of PIADS was 1.00±0.75 (ability, 0.99±0.78; adaptability, 1.04±0.86; self-respect, 0.99±0.74). The scores of PIA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usage time of assistive devices. The PIADS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QUEST 2.0 Conclusions: The mentally or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reported that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more positive impact of psychosocial aspect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t would be necessary to perform further studies for addressing the effect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 KCI등재

        중년기 배우자 사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경례,박재연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1

        Objectives: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fundamental data to understand in-depth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study participants who were left bereft after the death of their spouses in middle age as well as provide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to their bereaved families. Method: This study was examined through a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the 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a three-dimensional space of time, sociality, and place according to the inquiry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Results: The meaning of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was "sorry, regret, guilt: bereavement without preparation or practice," "responsibility: children who are the reason for life," "self-care: finding a way to save me," and "A life that grows with children: with faith, hope not to become a burden to children" Conclusions: By examining the entire process of life in the original family, marriage, and life after bereavement as a whol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was possible. By simultaneousl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who were left bereft after the death of their spouses in middle age,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ommon and different experiences.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counselling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was confirm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년기에 배우자를 사별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배우자 사별 가족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지원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탐구 절차에 따라 시간성, 사회성, 장소라는 3차원적 공간을 바탕으로 탐색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는 ‘미안함, 후회스러움, 죄책감: 준비도, 연습도 없었던 사별’, ‘책임감: 삶의 이유가 되는 자녀들’, ‘자기돌봄: 나를 살리는 길을 찾아서’,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삶: 신앙과 함께, 자녀에게 짐이 되지 않기를’로 나타났다. 결론: 참여자들의 어린 시절 원가족에서의 생활과 결혼 생활, 사별 후 삶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참여자들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중년기에 배우자를 사별한 중년 남성과 여성의 경험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배우자를 사별한 남성과 여성의 공통적 경험과 다른 경험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배우자 사별 경험자들에 대한 상담의 효과와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