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교사의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장필준,한동수,김윤상,이주욱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연구논총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factors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of a Multi-Subject Teacher Learning Community (MSTLC) in which various subject teachers participate, and to deriv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gai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ven other subject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MSTLC for three years with the researcher, and thre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MSTLC for more than two years in other contexts.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perform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 materials, as well as local document materials, to extract key words and categorize them by topic to construct the data.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the formation factors of the MSTLC are 'the operation of a good environment', 'facing conflict situations', 'active support from upper institutions', and 'teachers' educational will', which interact comprehensively to form a spontaneous 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in the school. Second,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MSTLC are that teachers 'share the value of the community' and based on this, go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each other',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positive school cultu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gained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MSTLC was derived as 'expansion of student understanding breadth', 'class reflection and improvement', 'expansion of peer collaboration', and 'overcoming the sense of powerlessness in 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참여하는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요인과 활동 특징을 살펴보고 중등학교 체육교사가 참여하며 얻는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 사례를 선정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와 3년 간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를 경험한 타교과 교사 7명과 다른 시·공간에서 2년 이상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를 경험한 체육교사 3명을 선정하였다. 참여 관찰과 면담 자료, 현지 문서 자료에 대해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여 핵심단어를 추출하고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자료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요인은 ‘좋은 환경의 작용’, ‘갈등 상황에 직면’, ‘상급 기관의 적극적 지원’, ‘교사들의 교육적 의지’가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학교 내의 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활동 특징은 교사들이 ‘공동체의 가치를 공유’ 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력 학습’과 ‘서로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며 궁극적으로 ‘긍정적 학교문화 조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여 체육교사가 얻은 교육적 의미는 ‘학생 이해 폭의 확대’, ‘수업 성찰과 개선’, ‘동료 협력의 확대’, ‘교직의 무력감 극복’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후속 연구로서 향후 중등학교 학교 내에서 비자발적으로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체육교사에 관한 연구와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 내에서 타교과 교사들이 기대하는 체육교사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순회특수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을 중심으로

        박선정,곽승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1

        This study has its own meaning to examine how the itinera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belong to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make their classes with a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and how much the teacher mature as a teacher the though the class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cases which are conduc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nsisted of 8 teachers specialized in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at School A and it applies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first issue of this study was ‘students closed to death’. This issue implies that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have serious health problems. Thus, teachers faced with the death of their students thought that the time they spent with their students was very valuable. The second issue was ‘teachers losing their class’. This issue implies that the teachers feel hesitancy and fear of their classes because of the lack of curriculum and teaching model which will apply 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The last issue was ‘the maturity as a teacher through the introspection and cooperation’. This issue implies that the teachers introspect their classes and cooperate with co-workers in order to search desirable direction of classes. This study has its own meaning to examine how the itinera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belong to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recognize their classes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of class for students with a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를 통해 순회특수교사들이 경험하는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수업이 어떠한지, 중도․중복 장애학생과의 수업에서 교사들이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알아보았다. 8명의 특수교사로 구성된 A학교 교사학습공동체를 사례로 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죽음과 가까이 있는 학생’ 주제에서 학생들은 증 장애와 더불어 심각한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로 인해 교사들은 학생의 죽음과 직면하고 있었고 그들과 보내는 시간을 소중하게 여기고 있었다. 두 번째 주제 ‘수업을 잃어버린 교사’에서 교사들은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수업에 적용 할 교육과정이나 수업모형이 충분치 않아 수업에 한 망설임과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 주제 ‘성찰과 협력을 통해 성장하기’에서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동료교사들과 협력하면서 수업의 방향을 찾아가고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순회특수교사들이 자신의 수업 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중도․중복 장애학생을 위한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STEAM 수업 사례 연구

        정경화 ( Kyunghwa Jung ),신영준 ( Youngjoon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을 위해 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동 학년 교사 3명이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공동지도안을 작성하고 수업하는 모습을 살펴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동 학년 교사학습공동체는 STEAM 수업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준다.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STEAM 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업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이 생각한 STEAM 수업의 어려움은 연구시간 확보의 문제, STEAM 수업 진행이 어려운 문제, 그리고 STEAM 수업 연구가 어렵다는 문제이다.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공동지도안을 작성하면서 수업에 대한 부담을 극복하였고 좋은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교차 점검하는 등의 노력을 했다. 아울러 공동지도안으로 실행한 수업을 서로 참관하면 지도안을 작성할 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수업 진행상의 어려움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를 개선하여 수정된 지도안으로 점점 더 좋은 수업을 하게 되었다. 즉, 학생들이 좀 더 학습 목표에 수월하게 도달하고, 수업 안에서 배움이 더 잘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스스로 성장하고 있음을 느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LC) with three teachers from the same school and to develop a joint teaching plan for students through the TLC.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LC with the same grade helps teachers to implement STEAM classes, where teachers overcame difficulties of STEAM lessons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them. Teachers in this study expressed difficulties of STEAM lessons including lack of time, difficulties of STEAM lesson im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of developing a good STEAM lesson. Teachers worked together to develop a common teaching plan, to overcome the burden of teaching, and to plan better lessons through discussions and cross-checking. In addition, teachers newly discovered difficulties of lesson implementation as they watch each other teaching using a joint lesson plan. Teachers will conduct a better lesson as they improve these difficulties, where a better lesson means having students reach learning goals and learn from the lesson. Teachers in TLC felt that their lesson improved and they themselves growing through a series of courses of watching and learning each other’s lessons.

      • KCI등재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개선 사례 연구: 충남초등영어교육연구회를 중심으로

        유성동,김도기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는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수업 개선 활동 경험이 학교 안으로 구현되고 공유되는 방식을 조명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안팎의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충남초등영어교육연구회에서 활동 중인 교사 4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지식 및 경험의 공유와 협력적 배움에 대한 기대로 연구회에 가입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지식과 수업 전문성 습득, 협력적 실천과 성찰, 상호 나눔과 공유를 통한 성장을 경험하였다. 셋째, 연구회 활동은 수업 관점과 도구의 변화, 새로운 교수전략의 활용, 지식과 수업기술의 공유를 통해 학교 안의 수업 개선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일선 학교의 수업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양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체계 모색과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질적 성장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를 둘러싼 현안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과 상상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독서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PLC)의 활동 사례 연구

        김미혜 ( Kim Mi-hye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8

        이 연구는 독서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사례로 라온(가칭) 교사 독서교육연구회의 활동 내용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1년에 활동을 시작한 라온은 매년 독서교육과 세부 주제를 새롭게 선정하여 탐구하면서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 연구에는 질적 사례 분석 방법이 적용되었고, 라온의 활동에 관한 자료는 문서 분석과 면담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라온의 활동은 주로 독서 토론과 연수 프로그램 참여,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라온은 1) 공동체의 목표 설정과 활동의 유기적 결합, 2) 교사의 전문성에서 학생의 학습으로의 전이, 3) 독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경험의 축적, 4) 전문성을 갖춘 열정적 리더와 구성원들 간의 유대감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라온의 교사들은 독서교육에 대한 협력적 탐구와 실행 활동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어올 수 있었다. 라온의 사례가, 교사들의 독서 경험을 확대하고 독서교육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of the ‘Raon(tentatively named)’ teachers' research group on reading education as an exampl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at has the goal of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in reading education. Raon started its activities in 2011, and has been continuing its activities so far, exploring new ways of reading education by setting detail topics each year. Qualitative case analysis was applied to this study, and the data on Raon's activities were collected using document analysis and interviews. Raon's activities consisted mainly of reading discussions, participation in training programs, an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And Raon has obtained characteristics including 1) organic combination of community goal setting and activities, 2) transition from teacher's expertise to student's learning, 3) accumulation of experience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and 4) a bond of passionate leadership with professionalism and member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teachers of Raon have been able to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carry out collaborative inquiry and implementation activities on reading education. The case of Raon is expected to help operate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expand the reading experience of teachers and to strengthen their reading education capacity.

      • KCI등재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교사리더십 관계에 대한 탐색적 사례 연구

        김효정(Hyojeong Kim),한재범(Jaebum 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본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사리더십 대해 살펴보고,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교사리더십의 관계에 대해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로는 교사들은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 교사리더십을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활발한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 교사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제도적 환경은 어떠해야 하는가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내 두 곳의 초등학교 교사들 9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하여 리더십을개발함과 동시에 리더십을 발휘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발하게 운영하는 사례를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들이 전문성을 향상하고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정책적인 환경의 중요성도 살펴볼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eacher leadership experience throughou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CL)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LC and teacher leadership. In order to meet the aim of this paper, the researchers set the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teacher experiences in their PLC? Are teachers experience teacher leadership in their communities? And what are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eachers to experience positive PLC and teacher leadership?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ers interviewed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 participants promote teacher leadership in thei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well as manage their communities by their leadership. Also, teacher interviews indicated limited political circumstances to promote teacher leadership. Finally, required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leadership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업 경험을 토대로 한 교사의 성장의 의미

        길현주(Gil, HyunJu),박가나(Park, GaNa),이효인(Lee, HyoIn),이해영(Lee, H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경험을 통해 수업에서 교사 성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샛별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김교사를 선정하여 총 8차례의 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외에도 수업과 면담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교사의 개인사적 측면과 수업에서 인상 깊었던 순간 등에 대해서는 교사생애사 일기로 확인하였다. 샛별중학교의 김교사는 힘든 수업을 경험하면서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는 수평적인 관계, 민주적인 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수업과 교사의 일상을 분리하지 않고 학생들을 만나고 있었다. 또한 수업의 목표와 오늘 배워야 하는 차시 내용은 계 획하지만 그 배움에 다다르는 과정은 교사와 학생이 수업에서 함께 만들어가고 있었다. 수업을 철저하게 계획하기보다는 느슨하게 설계하고 있었고, 이러한 여백은 오롯이 학생의 공간이 되었다. 그리고 김교사는 수업의 고민을 학교 내 동료 교사들과 함께 해결해가고 있었다. 동료교사들과 함께 수업이 왜 어려운지 이야기를 공유하면서혼자만의 수업 고민은 고민으로 끝내지 않고 동료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요컨대, 김교사의 성장은 자기 고민을 통해, 동료교사들과 함께하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This paper aimed to survey the meaning of teacher’s development in classroom. One teacher who majored in sc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11 to May 29 in 2014. We investigated her class 8times and interviewed with her about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he did not separate her class from life and treated students fairly because Kim teacher thought that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should be democratic. Kim teacher planed the lesson goal and contents of teaching in her class but she made the lesson plan loosely, not throughly so there were the empty spaces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for themselves in class. Meanwhile, Kim teacher solved her worries of her class, sharing the worries with fellow teachers in learning community. She talked with the troubles and difficulties with them in class and try to solve them actively.

      • KCI등재

        미래중학교 초임 체육 교사들의 교직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한동수,이주욱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new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se to facilitate school sports practice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many factors of school life at Mirae Middle School,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scholarships and school sports clubs, were described in detail and interpret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 case study of a single middle school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nvestigation. Both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are novice gymnasts, and the data gathered included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personal documents, scholarship materials, classroom videos, photos and online resources. The data analysis categorized the learning community into a beginning stage, a class stage, and a school sports club stag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time teacher experiences identity chaos and forms a community in a time when confusion and excitement coexist. Second, beginning teachers try to find identity in class, collaborate with fellow teachers, and continue their research activities. They also experience sharing and consideration through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educational terms, the key findings included insights on the process along a completion-oriented path, the internality of learning in the teaching, and the dialectics of an existential reflection on life. 본 연구는 초임 교사의 학교체육 실천과정을 이해하고,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중학교 학습공동체 교사들의 학교생활 과정과 정과 체육, 장학, 학교스포츠클럽 등의 생활을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교육적 관점으로 해석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를 활용했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모두 초임 체육 교사로 재직 중이며 자료수집은 면담과 참여 관찰, 개인 문서와 장학 자료, 수업 영상, 사진 그리고 온라인 자료를 활용했다. 자료 분석은 학습공동체의 실천과정을 시작단계, 수업, 학교스포츠클럽으로 범주화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교사는 설렘과 낯섦이 공존하는 시기에서 정체성의 혼돈을 경험하며 공동체를 형성한다. 둘째, 초임 교사들은 수업에서 정체성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동료 교사와 협업을 하며 연구 활동을 지속한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나눔과 배려의 실천을 경험한다. 교육적 의미로는 완성을 지향하는 경로의 과정성, 가르침 속의 배움이 있는 내면성, 삶에 대한 실존적 반성의 변증성으로 논의했다.

      • KCI등재후보

        중국과 일본의 교육공동체 운영실태 연구

        서희,박창언,사이오노 아카네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1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3 No.1

        Purpose: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communities in China and Japan. It used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e concepts and examples of educational communities in each country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related papers, digitized literature, schools and government websites. Results: A characteristic of Japan's educational community is that there are many schools nationwide that operate schools and classes based on the community philosophy of learning by Manabu Sato. China's educational community is an important means to promote the interaction of creative elements and revitalize economic development, and can be seen as a beneficial attempt to establish an education system to realize the qualitative and balanced development of educatio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community must first rely more on the identity and teamwork of values. And educational communities must also develop into living organic structures as ecological structures. It's necessary to share online, promote the formation of federated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