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통한 교과서 평가 방안

        박창균,함욱,김주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교과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점검하여 교과서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어과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련성 분석,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면담, 교과서를 매개로 한 교사와 학생의 수업 관찰, 그리고 학생의 학습 결과를 검토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할 국어 교과서 평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시적이고 동적인 교과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과서 평가는 양화된 평가 기준에 따른 일회적 평가나 내적 체제에 대한 정적 평가보다 교과서의 작용 양상을 상시적이고 동적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통한 교과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과서는 교육과정 실행에 관여하는 요인의 독립적인 분석만으로는 그 실체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교육과정 실행 요인간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는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가기 보다는 교실 상황에 따라 추가, 삭제, 대체 등의 변형을 하게 된다. 이때 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되는데,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반성적 내러티브는 교과서 질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평가에는 학생의 학습 경험이 반영되어야 한다. 교과서는 학생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서 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고 궁극적으로 학생의 성장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 of textbook evaluation through the monitoring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xtbook quality. The textbook evaluation method includes several kinds of research such as relation analysis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teacher's awareness face-to-face talk about textbook, class observation of teacher and student, and examinations of the result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he considerations for the textbook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requires not only regular but also active evaluation. Second, it must be performed by the inspec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rd, it is essential to do research of teacher’s narrative. Lastly, textbook evaluation have to consider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및 문법 교과서의 평가 준거 개발

        이경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for korean and grammar textbooks in the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e study limits the range of evaluation to authorization and adoption. And just like the textbook evaluation process in California, this study adopts IMAP(Instructional Materials Advisory Panels) and CRP(Content Review Panels). The procedures for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are collected by analyzing preceding literatures. Second, perceptions for evaluation criteria are surveyed by Delphi-technique(Ⅰ). Third,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are evaluated by Delphi-technique(Ⅱ). Finally, the evaluation criteria are revised with data collected by Delphi, in-depth interview results, and opinions from expert consultation. The final 12 korean and 12 grammar textbook criteria are then developed with the revised crit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cedur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more data are needed for valid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및 문법 교과서의 평가 준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서 평가의 범위를 교과서 검정과 교과서 선정으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교과서 평가 절차처럼 수업 자료 자문 패널과 내용 검토 패널 체제를 도입해 두 종류의 전문가 집단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 준거 설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평가 준거 설정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가 준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가 준거의 적합도를 평정하였다. 끝으로 델파이 조사 결과와 심층 면담 및 최종 자문을 통해 나온 의견을 반영하여 평가 준거를 수정 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문법 교과서에 각각 12개의 평가 준거를 개발하였다. 국어 교과 고유의 특성이 반영된 평가 준거를 설정한 본 연구는 국어 교과의 교과서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더 많은 표집 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를 통해 타당성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음악 교과서의 평가 기준 탐색

        석문주 ( Moon Joo Seog ),승윤희 ( Yun Hee Se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1

        음악 교과서는 학교음악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중요하고 일차적인 교재로 음악교육 활동의 기본 매체와 기초 자료가 되어야 한다. 음악 교과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교과서 평가는 필수적이다. 그간 음악 교과서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우리나라와 외국의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고 비교 평가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교과서 평가 기준은 나라마다 달라서 절대적인 평가 기준의 제시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와 외국의 음악 교과서를 평가하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객관성, 보편성에 근거한 평가 기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음악 교과서를 평가, 판단하기 위한 음악교과서의 평가 기준 및 항목을 보다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적의미에서의 교과서 구성 요소와 우리나라, 미국, 캐나다의 교과서 및 음악 교과서의 평가 기준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음악 교과서를 평가하기 위한 기본 틀에, 6개의 심사 영역, 12개의심사 기준, 35개의 심사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음악 교과서 평가 기준의 공적인 논의는 학교에서 사용될 질 높은 음악 교과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평가 준거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기초 연구로서 기여하게 될 것이다. As music textbooks are the most important and primary teaching material to attain the purpose of school music education, they should be the basic data and basic medium for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order to judge the suitability of a music textbook, evaluating the textbook is inevitable. Until now, studies on analyzing Korean and foreign textbooks and conducting a comparison evaluation between them have been going on continuously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hat are faced due to the fact that the textbook valuation standard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making it hard to display an absolute valuation criteria. Thus, it became clear that an objective and universal valuation basis for both Korean and foreign textbook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valuation criteria and items of music textbooks to evaluate and judge Korean textbooks along with foreign textbooks in a way that is universal and more objective.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references not only on the components of the textbook based on its general meaning, but also on the Korean, American and Canadian textbook/music textbook valuation basis.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presented a basic framework for music textbook evaluation composed of six evaluation sections, twelve evaluation standards, and thirty-five evaluation items. The suggested official discussion on the evaluation of music textbooks will be of help to selecting high quality music textbooks in schools. Additionally, the official discussion will contribute to the basic study of securing the public character of the evaluation standard.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 선정 평가기준 연구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도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덕·윤리 교사의 교과서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교과서는 교실학습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교과서의 질은 교실학습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교실학습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검정심사에 합격하여 저작자나 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교과서 선정 평가과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과 교과서 발행이 국정에서 검정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도덕과 교육에서 사용될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교사들이 개발한 타 교과 평가기준 분석,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과서 평가기준, 전문가회의를 거친 평가기준을 기초로 도덕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서 평가기준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덕과 교과서의 적합성, 타당성을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비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교육, 현직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al education textbook evaluation tool with high confidence and universal validity. And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ograms which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moral teacher in textbooks evaluation. Evaluation on Textbook is defined as an action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xtbooks, which promotes the quality of textbooks by strengthening the advantages and revising the disadvantages. In order to evaluate textbooks, a textbook evaluation tool should be firstly developed. A textbook evaluation tool is composed of evaluation categories,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cales. Out of the three elements,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developed not only by analyzing textbook authorization standards in a government level and teacher-developed evaluation standards in a school level, but also by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include both the internal areas of textbooks, such as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and the external areas of graphic layout (design and presentation), orthography, and durability.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정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용 단계 평가 체제 연구

        신서영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2021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국정도서로 개발되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교과서 사용 단계의 평가 체제 구축과 관련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평가 체제 구축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우선 국정도서의 질 관리 체제를 개발 단계와 사용 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다음, 사용 단계의 질 관리 체제로서 사용 단계 평가 체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사용 단계의 평가 체제 구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전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평가체제 구축과 관련한 설문을 배포하고 그 중 설문에 참여한 15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교육과정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3점이었으며, 사용 단계의 교과서 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평균 4.02로 만족도보다 높았다. 사용 단계 평가 체제의 구축 방안에 있어서, 평가의 주체는 교사(98.7%), 독립된 플렛폼 구축(62.2%), 정기평가(49.4%), 척도형 문항과 개방형 문항을 혼합한 문항(50.6%)을 선호하였다. 또 평가 결과는 ‘사용자로 인증된 사람에게만 공개(55.1%)’, 평가 결과 반영 시기는 ‘차기 교과서 개발 시’가 가장 많았다(41.0%).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사용 단계 평가 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평가 플렛폼을 구축하되, ‘교과서 사용성’을 규명하여 간단하고 명료한 질문을 통해 교과서 사용자 모두가 부담없이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질관리위원회 조직을 통해 평가 결과의 수정반영 여부를 심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평가 플렛폼에 이미 개발된 교과서와 사용자인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츠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사용-평가 통합형 플렛폼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in the textbook use stage to manage the quality of textbooks developed as government-run books, and proposed a plan to establish a textbook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For research,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was examined as a development stage and a use stage. And then, the necessity of a use stage evaluation system was raised a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use stage. Next, in order to find a way to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in the use stage, the survey responses of 159 special teachers nationwid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textbooks of special teachers using basic curriculum textbooks was 3.3 points, and the perception that textbook evaluation at the stage of use was 4.02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In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use-stage evaluation system, teachers (98.7%), independent platform construction (62.2%), regular evaluation (49.4%), and questions (50.6%) mixed with scale questions and open questions were preferr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s were "disclosed only to those certified as users (55.1%), and the timing of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was "when developing the next textbook" (41.0%).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evaluation platform to establish a system for evaluating the use of basic curriculum textbooks, but to identify "textbook usability" so that all textbook users can evaluate it without burden and to review the revision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e Quality Management Committee organization.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operate an integrated development-use-evaluation platform by allowing the evaluation platform to be equipped with textbooks already developed and various contents produced by teachers who are users.

      • KCI등재

        교사와 학생이 지각하는 디지털교과서의 교수학습 적합성 평가 및 개선방안

        이미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정부 주도로 지난 15년간 개발 및 적용연구를 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를 교수·학습 활용 측면에서 교사와 학생이 직접 적용 및 평가하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해 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남지역 2010, 2011년 연속 2년 교과부지정 디지털교과서 초등연구학교 2개교 교사(15명)와 학생(21명) 총 36명을 선정하였다. 평가대상 디지털교과서는 초등 4,5,6학년 사회, 과학이었다. 교사와 학생들이 직접 수업에 적용해 본 경험을 기초로 평가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평가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0-12월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 디지털교과서의 여러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예상들과는 다르게 실제 평가 결과는 대체로 만족하지 못하고 문제점 지적이 많은 편이었다. 교수학습 측면 적합성에 대한 평가 전체평균은 2.8/5(교사 2.71, 학생 2.96)로 백분율 59%정도로 낮았다. 또한, 각 평가영역별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과 대안들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교사와 학생이 대체로 같은 문제점 지적을 하였다. 평가영역을 초월하여 가장 자주 반복 지적되는 문제점들은, 수준별 수업 지원 미흡, 고등사고능력 촉진 부족, 서책형교과서와의 차별성 낮음 등이었다. 지적내용을 바탕으로 이 문제점들과 구체적인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정재연 ( Jae Yeon Ch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19

        교과서는 일반적으로 교재의 한 부분으로 분류하고, 국가의 교육과정 목표의 실현을 위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서 교수·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 자료라고 정의된다. 현재 의사소통 기능을 중시하는 교육과 한일 양국간의 상호 문화교류 증진으로 변화를 갖으며 일본어 교육의 성과와 교과서의 중요성이 커지는 데에 비해 일본어 교과서자체에 관한 평가 연구의 성과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의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에 좋은 교과서를 채택하고 교육현장에 필요한 교과서를 집필하기 위해서, 현장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장·단점 등을 파악하고 새로운 교과서 개발에 바람직한 평가 지침을 제시하는 것도 의의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를 진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에 있어서 먼저 일본어 및 다른 외국어의 교재 및 교과서의 평가 모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중학교 「생활일본어」및 고등학교 일본어Ⅰ의 교육과정의 특징,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교과서 평가기준으로 볼 수 있는 교과서 검정심사 기준 과 집필상의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평가 기준의 영역으로 교육과정, 내적 구성 체계, 학습자, 편집 및 외형 체계, 교사를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고 설정하였다. 그리고 간단하고 대략적인 평가 기준으로 일본어 교과서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는 1차 평가기준과 자세하고 세밀한 평가를 위한 2차 평가기준의 2가지 평가기준 표를 제안하였다. 이에 따른 각 영역별 하위 항목을 정하여 예비 평가기준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敎科書は一般的に敎材の一つであり、國家の敎育課程の目標の實現を目指して敎育現場で敎師之學生の敎授學習活動に影響を與える公式的な資料之定義される。現在、意思疏通機能を重視し、韓日兩國間の相互文化交流も增え續けている變化を見せている。でも、日本語敎育の成果之敎科書の重要性がだんだん大きくなってきたにも關わらず、まだ日本語敎科書自體に關する評價の硏究は少ない狀態である。このような日本語敎育において、敎授學習活動にいい敎科書を採擇し敎育現場に必要な敎科書を執筆するために、現場の敎科書を分析し長所·短所などを把握して、新しい敎科書の開發に望ましい評價指針を提示するのは意義がある之思われる。本稿では基準開發の段階之して、日本語敎科書だけの特性を生かす間單で大略的な評價基準を提供する1次評價モデルと、詳しくて細密な評價のための2次評價モデルのような二つのモデルを提案しよう之した。それから日本語·英語及び他の外國語の敎材や敎科書などの評價モデルに關する先行硏究を收集し檢討した。韓國の中學校の「生活日本語」·高校日本語Ⅰの敎育課程の特徵、國家の公式的な敎科書評價基準之もいえる檢定審査基準·執筆上の有意點も調べてみた。その結果、評價基準の領域設定には敎育課程、內的構成體系、學習者、編集·外形體系、敎師が重要な要素である之判斷した。そして各モデルの領域別に細部項目を抉め、予備基準表を作成して提示した。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 단원평가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4

        이 연구는 2015년에 발행되어 학교 현장에 보급된 6종 실과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6단원의 단원평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준거는 평가의 형태, Bloom의 목표 분류, 2011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 Romey의 분석 방법에 따른 평가지수이다. 분석 준거에 의해 비교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 전체에 단원평가의 문항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는 A교과서, 가장 적은 것은 C, D교과서로 나타났다. 6개 단원의 단원평가 문항 유형의 대부분은 주관형 보다는 객관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단원에서 단답형 문항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1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 중 평가 항목의 수가 가장 많은 단원은 ‘나와 가정생활’과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관리’ 단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평가는 인지적 영역이 가장 많았다, 넷째, 2011 실과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기준 모두를 단원평가에 제시한 단원과 교과서는 ‘나와 가정생활’ 단원은 A교과서 이었다. 또한 ‘나의 자립적인 의생활’ 단원,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 단원,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은 B교과서에서 성취기준 모두를 단원평가에 제시하였다. 다섯째, 2011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평가의 평가 Q 지수는 모든 단원에서 E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바람직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its on the ‘Family Life’ domains of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implement this proposal, the study employs 6 different textbooks published in 2011.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review was mainly utilized and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with practical arts textbooks. An analysis criteria for textbook analysis were evaluation tool’s type,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domain, achievement criteria(content element) in 2011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Evaluation Quotient.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 evaluation analysis which is appropriate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other units on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It may be used as a basis for the textbook evaluation instrument ahead of next textbook development.

      • KCI등재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김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교과서 개발과 평가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적 · 외적 체제로 구성된 역사교과서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교과서에 대한 평가와 좋은 교과서에 대한 요구에 기반을 두고 교과서를 개발할 때 교수 · 학습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역사교과서를 실제 사용하는 교사와 학생의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 분석 기준에 토대를 두고, 역사교과서를 선정할 때 고려한 점과 우선순위, 실제 교수 · 학습 상황에서 사용해 본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및 개선 요구를 검토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으로 이루어진 조사 결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대해 교사들은 대체로 만족스러운 평가를 내렸다. 교사들은 역사교과서의 내용 선정과 조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교과서를 선정하며, 실제 사용해 본 결과 개정 교육과정의 초점 중 하나인 한국사와 세계사의 유기적 연결에 대해서는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평가와 함께 학습 분량의 과다를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교과서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교재로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자신들의 역사 정보를 얻는 주요한 경로로서 파악하고 있다. 교과서가 충분한 학습 자료를 싣고 있고, 제시 방식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역사교과서가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학습자와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학생들의 인식에 비추어, 교사와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학습량의 문제, 학습 자료의 측면에서 탐색되어 오던 교과서 문제를 되짚어보고, 학생들의 역사 ‘학습’이 제대로 일어나도록 학습의 흥미와 탐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과서 편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history textbook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extbook developers to meet those needs.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what features of textbooks teachers consider most importantly when selecting textbooks, how textbook readers assess current using history textbooks, and specifically in what features students find useful comparing the currently-used textbooks with the previous 1990s textbooks. Data collection included questionnaire surveys,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s.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ed in nation wide survey. Among them, focus groups were chosen to conduct intervie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of all, history teachers considere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to be more important when selecting textbooks, including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The survey also highlights that teachers seem to demand effectiveness and variety of visual aids for teaching. Most of teachers point out the level and amount of textbook contents inappropriate for their students. Compared to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the impact of external characteristics was relatively low. In overall, textbook readers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were not dissatisfied with the organization and internal aspects of textbooks but more satisfied with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such as design, colors and editing. Especially teachers addres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such as the weak linkage between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and low applicability to changing educational contexts such as block time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history textbook developers should strive to identify the demands and needs of textbook readers as well as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how history textbooks are used in classroom contexts.

      • KCI등재

        전면디지털교과서 사용으로의 과도기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 개발 연구

        김대권(Kim Dae Kwon),이재창(Lee Jae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This research develop a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in a transitional phase. Current state is inter-compatibly using digital textbooks and book-type textbooks. We intended to more practically diagnose the current state based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deepening. This study developed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by delphi method research. Delphi method research conducted twice with 10 expertises on digital textbooks from 2019. 8. 1. - 2020. 2. 25.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deducted 43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10 criteria on the contents area, 11 criteria on the learning design area, 9 criteria on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area, 6 criteria on the technique area, 3 criteria on the management area, 4 criteria on the evaluation area.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criteria first included a variety of key and common elements among the evaluation criteria covered in prior studies, and second, reflected the purpose of smart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lan to improve learners’ competency in the 21st century, and third, considered the connection with book-type textbooks, and fourth, tried to develop a criteria that included both the learning content and technical el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교과서의 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초안을 도출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을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는 관련분야 전문가 10명이 참여하였으며 2019년 8월 1일부터 2020년 2월 25일까지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영역 10지표, 교수설계영역 11지표, 교수학습영역 9지표, 기술영역 6지표, 관리영역 3지표, 평가영역 4지표 등 총 43개 항목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에 첫째,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평가기준 중 핵심적이고 공통된 요소들을 두루 포함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육부의 스마트교육 취지와 21세기 학습자 역량 향상 방안에 부합하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셋째, 현재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병용단계 또는 보조단계 수준으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서책형교과서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내용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고루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이 현장에서의 양질의 디지털교과서 선정 및 보급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