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후반 식민지기 관우 숭배의 확산과 쇠퇴

        손숙경 ( Suk-kyung So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5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이후 급격하게 확산된 관우 숭배가 한말 식민지기를 거치면서 쇠퇴해가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변화와 의미를 살 펴보았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들어온 관우 신앙은 19세기 후반 고 종 연간에 그 열기가 고조되어 크게 확산되었다. 국가 의례로서 국가 의 주도 아래 거행되었던 관우 의례는 식민지기 민간신앙으로 지속되다가 급속히 사라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말 식민지기 관우 신앙 이 더 이상 국가의 비호를 받지 못하게 되자, 단순히 의례를 후원하는 관우 숭배단체들이 관성교라는 종교조직을 만들어 관우 의례를 주관하게 된 것과 연관된다. 한편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질서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 치면서 중국을 배경으로 한 역사적 문화적 상징이 더 이상 호소력을 갖기 어려웠다. 대신 내셔널리즘에 기초한 민족 종교들이 확산되기 시 작했다. 그리하여 빠른 시간 안에 공공 의례의 또 다른 중심축으로까지 부상했던 관우 숭배는 한말에 이미 엘리트들의 희구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구심점의 자리에서 밀려났다. 이렇듯 관우 숭배는 강력한 후원자를 상실하면서 기독교 등 서구에 서 수용한 종교들과의 경쟁에서도 더 이상 지지 기반을 유지할 수 없었다. 더하여 관우 숭배를 바라보는 근대적 시선도 식민지기의 운명을 좌우한 현상이다. 각종 대중 매체, 특히 언론은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비판하였다. 식민지기 지식인들도 마찬가지로 1930년대 일본의 미신타파정책과 궤를 같이하여 민간신앙과 흡수되어 있는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간주하였고, 사대주의의 산물로 인식하였다. 특히 기독교인들은 관 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타파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근대로 가 는 데 있어 배척해야 할 문화적 유산으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에 의한 미신타파는 단순히 종교상의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 라 근대화로 가는 첫 길목으로 여긴 것이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 와 관우 신앙에 대한 시선들은 관우 신앙이 사라지는 배경으로 작용 하였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and its meaning of the worship of GwanWoo, focusing to the decline during the colonial period. Since the worship of GwanWoo was introduced when Japanese invasions of Korea broke out, it had been widely spread and reached its height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Although the ritual of the worship of GwanWoo tended to governed as state ritual, it disappeared rapidly after it was considered as folk religion for a while. This was related to the fact many organizations dedicated exclusively to GwanWoo, which were only sponsoring bodies, took the lead at the ceremony, forming the religious organization, Gwan-sung Taoism,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formal protection of Joseon dynas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Meanwhile, china``s power to influence other nations in east asia became slight as historical and cultural symbols through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Indigenous religions based on nationalism began to be diffused instead. Whereupon the worship of GwanWoo already lost its place to support elite groups around the end of dynasty in spite of its diffusion and decisive roles in public rituals. The worship of GwanWoo couldn``t maintain the bedrock of its support against the new religions from western nations such as Christianity after failing to keep its sponsors satisfied. Moreover, modern perspectives on the worship of GwanWoo was directly concerned in a direction of colonial Korea. Mass media, especially news media strongly criticized the worship of GwanWoo regarding the belief as a superstition. Many intellectual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lso considered the worship as superstitious religion and by-product of toadyism because it integrated into folk religion relating to the policy of disruption of superstition occurred in Japan in the 1930``s. Christians believed that because the belief of GwanWoo was a superstitious thing, it must be disrupted and firmly excluded for modern society. Therefore the disruption of superstition conducted by Christianity was important as not only the matter of religion but also the way for modernization. This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made the belief of GwanWoo unsustainable much longer. And these perceptions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the belief of GwanWoo as a background.

      • KCI등재

        19세기 후반 식민지기 관우 숭배의 확산과 쇠퇴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5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and its meaning of the worship of GwanWoo, focusing to the decline during the colonial period. Since the worship of GwanWoo was introduced when Japanese invasions of Korea broke out, it had been widely spread and reached its height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Although the ritual of the worship of GwanWoo tended to governed as state ritual, it disappeared rapidly after it was considered as folk religion for a while. This was related to the fact many organizations dedicated exclusively to GwanWoo, which were only sponsoring bodies, took the lead at the ceremony, forming the religious organization, Gwan-sung Taoism,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formal protection of Joseon dynas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Meanwhile, china's power to influence other nations in east asia became slight as historical and cultural symbols through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Indigenous religions based on nationalism began to be diffused instead. Whereupon the worship of GwanWoo already lost its place to support elite groups around the end of dynasty in spite of its diffusion and decisive roles in public rituals. The worship of GwanWoo couldn't maintain the bedrock of its support against the new religions from western nations such as Christianity after failing to keep its sponsors satisfied. Moreover, modern perspectives on the worship of GwanWoo was directly concerned in a direction of colonial Korea. Mass media, especially news media strongly criticized the worship of GwanWoo regarding the belief as a superstition. Many intellectual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lso considered the worship as superstitious religion and by-product of toadyism because it integrated into folk religion relating to the policy of disruption of superstition occurred in Japan in the 1930's. Christians believed that because the belief of GwanWoo was a superstitious thing, it must be disrupted and firmly excluded for modern society. Therefore the disruption of superstition conducted by Christianity was important as not only the matter of religion but also the way for modernization. This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made the belief of GwanWoo unsustainable much longer. And these perceptions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the belief of GwanWoo as a background.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이후 급격하게 확산된 관우 숭배가 한말 식민지기를 거치면서 쇠퇴해가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변화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들어온 관우 신앙은 19세기 후반 고종 연간에 그 열기가 고조되어 크게 확산되었다. 국가 의례로서 국가의 주도 아래 거행되었던 관우 의례는 식민지기 민간신앙으로 지속되다가 급속히 사라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말 식민지기 관우 신앙이 더 이상 국가의 비호를 받지 못하게 되자, 단순히 의례를 후원하는 관우숭배단체들이 관성교라는 종교조직을 만들어 관우 의례를 주관하게 된 것과 연관된다. 한편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질서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치면서 중국을 배경으로 한 역사적 문화적 상징이 더 이상 호소력을 갖기 어려웠다. 대신 내셔널리즘에 기초한 민족 종교들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빠른 시간 안에 공공 의례의 또 다른 중심축으로까지 부상했던 관우 숭배는 한말에 이미 엘리트들의 희구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구심점의 자리에서 밀려났다. 이렇듯 관우 숭배는 강력한 후원자를 상실하면서 기독교 등 서구에서 수용한 종교들과의 경쟁에서도 더 이상 지지 기반을 유지할 수 없었다. 더하여 관우 숭배를 바라보는 근대적 시선도 식민지기의 운명을 좌우한 현상이다. 각종 대중 매체, 특히 언론은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비판하였다. 식민지기 지식인들도 마찬가지로 1930년대 일본의 미신타파정책과 궤를 같이하여 민간신앙과 흡수되어 있는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간주하였고, 사대주의의 산물로 인식하였다. 특히 기독교인들은 관우 신앙을 미신적인 것으로 타파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근대로 가는 데 있어 배척해야 할 문화적 유산으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에 의한 미신타파는 단순히 종교상의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근대화로 가는 첫 길목으로 여긴 것이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와 관우 신앙에 대한 시선들은 관우 신앙이 사라지는 배경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

        고종 연간 관우신앙의 유행과 강화지역 관우묘(關羽廟) 연구

        신미란(Shin Mi-ra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4 인천학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고종 연간 강화지역 관우묘의 창건 양상과 혼란한 시대 분위기 속에 관우묘의 역할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장군인 관우가 우리나라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소개된 것은 임진왜란기 명의 장수들에 의해서였다. 이후 관우는 왕실을 중심으로 무(武)와 충(忠)의 상징으로 활용되며 조선 사회에 안착하였다. 고종 연간에는 이전 시기와 달리 왕가의 복운을 빌기 위해 관우가 신앙되고 무녀의 개입 속에 관우묘가 창건되었고 관우가 왕(王)에서 제(帝)로 격상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추앙되었다. 이 시기 관우신앙의 유행은 지방에까지 영향을 미쳐 전주, 하동, 개성 등지에도 관우묘가 건립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강화는 한 지역 내에 다수가 창건되었다는 점, 그리고 지금까지 모두 현존한다는 점에서 특별히 역사적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강화지역 관우묘의 창건과 운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강화지역 관우묘는 남묘(1883), 동묘(1885), 북묘(1892)가 1km 이내 가까운 거리에 창건되었다. 이 중 남묘와 북묘는 창건자가 판관 오상준과 수문장 윤희보로 관리이며, 동묘는 마여사라는 민간인이 창건하였다. 그러나 동묘까지도 향사비는 매년 관에서 제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화지역에 단기간 내 다수의 관우묘가 창건된 이유는 19세기 말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운요호 사건(1875) 등을 거치며 강화지역이 국방상 중요해지면서 많은 군사조직이 설치되고 여기에 근무하기 위해 무인들이 강화에 몰려든 것과 관련이 있다. 강화에는 이들을 위한 신앙의 장소가 필요했으며 이에 무신(武神)인 관우를 모시는 관우묘는 관(官)의 지원을 받아 창건되고 운영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강화지역 관우묘의 창건이 조선 후기 최초의 도교 교단인 무상단(無相壇)과의 밀접한 교류 속에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무상단의 단원들은 무인을 중심으로 한 중인계층이었다. 이들은 연행을 통한 넓은 식견과 인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으며, 고종의 지원을 받기도 하였다. 강화의 남묘와 북묘를 창건한 오상준과 윤희보는 무관이었으며, 오상준은 연행을 다녀온 적도 있었다. 특히 서난경은 무상단의 핵심 인물로 고종 연간 각종 도교서 출간에 관여한 인물로 남묘의 주련과 현판을 지었다. 이처럼 고종 연간 강화지역 관우묘는 왕실의 관우신앙 후원, 관(官)의 지원, 19세기 후반 결성된 도교 교단의 영향, 무인들의 필요 등 다양한 요인 속에서 창건되고 운영되었다. 그러나 관우신앙의 유행은 오래가지 못했다.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와 대한제국 군대해산이 발표되었고 1910년 국권피탈 이후 도교 단체들은 일제에 의해 이단화되어 흩어졌다. 지지세력을 잃으며 위기를 맞은 강화지역 관우묘는 지역에서 무속과 비운의 왕실을 위한 기도처를 자처하며 유지되었다. 현재 관우묘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혔고, 기존 관리인들이 고령으로 사망하여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연구의 불모지였던 지방의 관우묘, 특히 강화지역 관우묘를 소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관우묘 보존과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20世紀初前後韓國的關羽崇拜 - 以北、西關王廟爲中心的高宗王室崇拜情況-

        李憶琦(Lee, Yichi),韓容洙(Han, Yongsu)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0 No.-

        동아시아 사회에서는 관우라는 인물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고, 대만 혹은 중국의 여러 직업을 보면 관우와 관련있는 이유로 그를 숭배한다. 그것은 관우가 무신의 형상으로 경찰이나 조폭 등과 같은 집단에서 필요한 충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중국인들에게 관우는 일상생활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신이기도 하다. 그리고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한 한국도 전쟁이 많았던 조선시대에 관우가 일부 왕실에서 모셔지는 인물이기도 하였다. 점차 전쟁이 줄어들고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한국에서는 점점 서양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민간신앙은 점차 입지가 줄어들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관우신앙은 대만이나 중국에 비해 줄어들게 되었고, 서울에서 첫 번째로 건립된 남관왕묘(남묘)는 선조 31년(1598)에 건립되었으며, 전쟁으로 인해 다시 다른 곳으로 옮겼는데, 현재 한국에서 보존이 잘 되어있는 관왕묘는 선조 35년(1602)의 동관왕묘(동묘)로 그 당시 가장 큰 규모의 관왕묘이기도 하다. 선조 때 이후 조선왕들이 계속해서 제사를 지내왔으며, 고종 20년(1883)때 북관왕묘(북묘)가 건립되었고, 고종 39년(1902)때는 서관왕묘(서묘)가 건립되었다. 이와 같이 고종시기는 관우에 대한 신앙이 변화 발전하는 과정이었다. 현재 관우신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조선시대의 관우신앙 혹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남묘와 동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20세기초 전후의 관우신앙과 관왕묘의 발전과정 및 변화 그리고 사회배경을 조사하는 연구는 그리 다양하지가 않다. 본 연구는 주로 20세기초 전후의 조선왕조 말기부터 대한제국시기의 관우신앙과 관왕묘에 대해 조사이며, 고종시기의 북묘와 서묘의 건립과정 및 관우신앙의 사회배경에 대해 정리한 것이다. 이 시기의 북, 동, 남묘의 보수과정과 고종황제시기의 제사방식에 관한 설명은 선행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Gwanwu belief is a fame folk beilef in Chinese communities of East Asia. Peoples in every walk of life worship Gwanwu whatever in China or Taiwan, in Taiwan, police and gangsterdom worship him especially because of his loyal image. For Chinese people, Gwanwu is a indispensable deity in daily life. In South Korea, which also in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Gwanwu was adored by the royal family in Joeson dynasty. However Gwanwu belief in South Korea declined with end of war and Western religion expand, it effect is less than China and Taiwan. The first Gwanwu temple built in Seoul was the South Temple, which was built in 31 (1598) of Seon Jo, and then rebuilt and relocated due to a war. The South Gwanwu temple was built in the 35th year of Seon Jo(1602), which is the largest Gwanwu temple at that time and is now the best preserved in South Korea. After Seon Jo, kings of Joeson dynasty went to worship one after another but it was not until the 20<SUP>th</SUP> year of Go Jong(1883) that the North Temple, and the 39<SUP>th</SUP> year of Go Jong(1902) that the West Temple was built. The belief of Gwanwu in Go Jong period was a process.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Gwanwu belief throughout the Joeson dynasty era, or on the south and east temples with a long history. Researches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changes, and social background of Gwanwu belief and Gwanwu temples around the 20th century are discussed not enough. This article mainly discuss the Gwanwu belief and Gwanwu templ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period around the 20<SUP>th</SUP> century. It attempts to summariz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South Temple and the West temple during the Gwanwu period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Gwanwu belief. During the period, the repair process of the North, East, and South Gwanwu temples and the ritual of worship when Korean Empire.

      • KCI등재

        國內 關羽廟의 現況과 受容에 대한 硏究

        閔寬東,裵玗桯 한국중국소설학회 2015 中國小說論叢 Vol.45 No.-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대와 함께 유입된 관우신앙은, 명나라 장수 陳寅이 1598년 남대문 밖 남산기슭에 관우묘를 건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조선시대 대략 27곳 이상에서 관우묘가 건립되었는데 그중 現存하는 곳은 14곳으로 확인된다. 관우묘는 주로 왜군과의 격전지에 건립되었으며 건립주체는 대개 명나라와 조선왕실 및 민간의 주도로 건립하였다. 관우묘의 名稱 또한 초기에는 주로 關王廟로 부르다가 후대에는 關帝廟 및 關聖廟로 격상되었다. 관우묘는 초기에 주로 단순한 유교적 사당의 의미로 참배되었다. 그러나 肅宗과 英ㆍ正祖 및 高宗 등이 직접 관우묘에 참배하며 儀禮化 하였고 또 이러한 공식의례를 통하여 정치적 명분과 왕실안정의 의도로도 활용하였다. 朝鮮後期로 들어서며 관우신은 민간신앙 및 무속신앙으로 이어지고 급기야는 종교화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관우신앙이 무속신앙으로 발전한 데에는 高宗 때 巫女 眞靈君과 賢靈君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또 한편으로는 善陰騭敎ㆍ甑山敎ㆍ關聖敎가 출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관우묘의 건립과 함께 시작된 관우전설은 약 23종이 있는데 크게 現夢類ㆍ顯靈類ㆍ治病類ㆍ祈福類ㆍ禁忌類 등으로 분류된다. 전설에 나타난 관우는 초기에는 忠義를 겸비한 군신으로 國家守護와 王室安定을 담당하는 수호신이었지만, 후대 민간에 수용되면서 財物神ㆍ發福神ㆍ治病神 등 다양화된 萬能神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The God of Guan yu entered Korea with Ming troops, when Japanese Invasion in King Sun-jo period. The God of Guan yu put down roots in Korea by a commander of Ming, Chenyin(陳寅) that built a Guan Yu’s shrine at the foot of a Namsan Mountain out the South Gate of Seoul in 1598. Since then, Guan Yu’s shrine was built in more than 27 locations but only exist 14 locations in Korea. Mostly, Guan Yu’s shrine was built on ferocious battlefield with Japanese army, and the shrine was built by Ming and Chosun Dynasty, among people as a main agent. In its early days, the name of Guan Yu’s shrine was a Guanwang Miao(關王廟) and it was upgraded to Guandi Miao(關帝廟) Guansheng Miao(關聖廟) in later generation. The Guan Yu’s shrine was worshipped in terms of Confucian shrine at the beginning. Since then, the shrine was ritualized nationally by King Sukjong, King Youngjo, Jungjo and King Gojong worshipped at the Guan Yu’s shrine. They also utilized the official rituals for a political cause, a stabilization of royal family and home country protection. The God of Guan Yu was led to popular beliefs, shamanistic beliefs and the shrine has religious aspects after all. Jinryeonggun(眞靈君) and Hyunryeonggun(賢靈君) in the period of King Gojong were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shamanistic beliefs. The shrine was also influenced on the emergence of private religion such as the Seoneumjeul religion(善陰騭敎), the Jeungsan religion(甑山敎) and the Gwanseong religion(關聖敎). The legend of Guan Yu with Guan Yu’s shrine was classed as an appearance in a dream(現夢類), an appearance of a God figure(顯靈類), a cure of disease(治病類), and a kind of taboo(禁忌類). Guan Yu in the legend was a guardian god in charge of country protection and stabilization royal family with loyalty and force. At the turn of the popular belief, the original managing duties extended to a God of Wealth(財物神), a God to bring good luck(發福神), a God of cure of disease(治病神), and an Almighty God(全知全能萬能神)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관우도>와 조선시대 관우 이미지

        장진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8 동원학술논문집 Vol.9 No.-

        관우도는 임진왜란 시기 명나라 군사에 의해 들어와 점차 확산된 관우 신앙을 배경으로 다수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 민속, 무속적 관점에서 인식되어 왔을 뿐, 미술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았다.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관우도>를 중심으로, 회화사적 접근이 미진하였던 관우도에 대해 고찰하고, 조선시대 형성되었던 관우 이미지의 성격과 기능을 밝혔다. 특히 관우 신앙에 대한 군왕의 후원에 주목하여, 관우도의 제작 배경을 여러 갈래로 살펴보았다. A large number of Guan Yu(關羽, ?-219) paintings were created during the Joseon period as the worship of Guan Di(關帝, Emperor Guan) increased through the arrival of the Ming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awareness of these paintings within art history has been very menial; they have been categorized only within the ranks of folk art and shamanist practices. With its main focus on the two Guan Yu painting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this paper will attempt to clarify the functions and character of the Guan Yu image created during the Joseon period. It will also look into the true nature and meaning behind the Guan Yu painting that had been neglected by art history;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l production background of these paintings, special attention will also be paid to the king’s support behind Guan Di worship.

      • KCI등재

        門神信仰과 中國古典小說

        卞貴南(Byun, Kyinam)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3 No.-

        대문이란 외부세계와 통하는 출입구이자 외부의 적으로부터 그 집에 살고 있는 구성원을 지켜주는 중요한 관문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대문에 집을 보호하는 신령이 존재한다고 믿었는데 이것이 ‘門神’이다. 門神은 주로 ‘辟邪逐鬼’와 ‘祈福迎祥’의 역할을 맡았으며, 초기 문신과 관련된 기록을 《論衡》 등 漢代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록상 가장 이른 시기에 출현한 두 명의 문신은 神荼와 鬱壘로서 邪氣를 진압하고 鬼魂의 침입을 방지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실존 인물이 아니라 신화전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唐代이후에 다른 문신신앙이 출현하였는데 먼저 秦瓊과 尉遲敬德을 들 수 있다. 唐太宗의 入冥故事는 몇 가지 형태로 전승되었으며, 明代 神魔小說인 《西遊記》에도 唐太宗이 冥府에 갔다 돌아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속에 秦瓊과 尉遲敬德 두 장수가 唐太宗을 위해 귀신을 쫓는 이야기가 있다. 《西遊記》의 창작과 더불어 그들의 일화가 민간에 널리 전파되면서 집집마다 秦瓊과 尉遲敬德의 그림을 대문에 붙이게 되고, 점차 신도와 울루가 가졌던 문신의 지위를 대신하게 된다. 明代이후 또 다른 문신이 출현하였는데 鐘馗와 關羽이다. 鐘馗는 宋元이래 출현한 門神으로 明淸代 鐘馗를 다룬 소설을 통해 종규에 관한 민간전설이 확대되고 다양해졌다. 關羽는 주지하다시피 중요한 역사인물로 《三國演義》에 나오는 유명한 영웅이다. 忠義의 상징으로 關帝廟가 세워지고 신격화됨으로써 明淸時代 사대부나 일반 서민을 막론하고 모두 관우를 숭상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문신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처럼 문신신앙의 변화는 중국고전소설의 성행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The gateway is an important channel that connects inside and outside world. It protects people who live in the house from various dangerous factors from outside of house. The ancient Chinese thought that there is a household god, called as‘Menshen(門神), that protects their house. The main role of ‘Menshen(門神)’ is to protect the family and prevent harmfulness, repel ghosts, blessing and bring luck to the family. In China, there were two Menshen(門神) named as ‘ShenTu(神荼)’ and ‘YuLϋ(鬱壘). The Chinese thought the gods are keeping the evil spirits outside of their house and prevent ghost from entering their house. In the era of Song Dynasty(宋代), two other ‘Menshen(門神)’ came to appear. Those are ‘Qin Shubao(秦叔寶)’ and ‘Yuchi Jingde(尉遲敬德)’. 《唐太宗入冥記》 is a popular novel associated with them. The generations of Ming Dynasty(明代) wrote the 《西遊記》. This novel also tells about Tang(唐) Taizong(太宗) had been to the netherworld and gave orders to Qin Shubao(秦叔寶) and Yuchi Jingde(尉遲敬德) keep the doors to protect against demons. In accordance with 《西遊記》 appearance, every house posted Menshenhua(門神畵) of Qin Shubao(秦叔寶) and Yuchi Jingde(尉遲敬德). After Ming dynasty(明代) two other Menshen(門神)s appeared. Those are ‘Zhong Kui(鐘馗)’ and ‘Guan Yu(關羽)’. Zhong Kui(鐘馗) appeared after Song and Yuan Dynasty(宋元), Guan Yu(關羽) is a historic hero who come to 《Sanguoyanyi(三國演義)》. During Ming and Qing Dynasty(明淸), both ordinary people and the nobility generally worshiped Guan Yu (關羽). The change of faith on the Menshen(門神) also seems to affected by these prevailance of Ming and Qing Dynasty’s novels.

      • KCI등재

        <적벽가>에서 관우의 인물 형상과 사회사적 의미

        권기성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39

        본고는 관우에 대한 과도한 인물 선호 양상이 작품의 핍진성 결여를 불러일으킨다는 지적에 문제제기를 하여 작품 외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적벽가>에서 그려진 관우의 모습과 사회사적으로 관우의 모습이 어떻게 진행되어 오는가를 살펴보았다. 관우를 충의 화신으로 자리매김하려는 국가주도의 사업은 오랜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행해져, 상하층을 막론하고 막대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보인다. 그런데 민간에서는 충신으로서의 관우 역시 받아들였겠지만, 재신이나 치병신과 같은 만능신의 모습으로 섬기고 있는 양상 또한 나타난다. 종합적으로 말해보자면, 관우는 이미 삼국지연의 에서의 용맹한 장수의 모습을 벗어나 이미 신격에 가까운 모습으로 격상되어 있었다. 이는 원본 삼국지연의 에 충실하려는 원본지향성의 성격도 무관하지 않겠지만, 국가주도차원에서 실시되었던 관제신앙의 면모가 더욱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적벽가>에서 등장하는 관우의 무조건적인 숭배의 모습은 핍진성의 결여라기보다는 위에서부터 진행되었던 관제신앙의 흔적의 한 영향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유교이데올로기의 강화라는 이념강화의 측면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보아, 이념과 명분을 중시하는 상층 계층의 욕구와 어느 정도 들어맞는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적벽가>의 이원적 구성이 양반 향유자의 무조건적인 참여에 있다기보다는, 보편적인 인식의 차원에서 상, 하층민 모두가 연관되어 있다는 데 까지 주장하였다. This paper tried to take an off-the-art approach by raising questions about the fact that excessive character preference for Guan Yu was causing the work's lack of perimilitude. To this end, we looked at how Guan Yu painted on the red wall and how Guan Yu was progressing socially. The president's project to establish Guan Yu as the incarnation of loyal subjects was carried out over a long period of time, which could have had a huge impact on both the upper and lower classes. However, although the people in the private sector may have accepted Guan Yu as a loyalist, they also seem to be serving as a full-fledged god such as Jae-shin and Chi Byeong-sin. To put it all together, Guan Yu had already been elevated to a state of nearness, away from the brave longevit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may als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original orientation of trying to stick to the original Three Kingdoms delay, but it seems to reflect a stronger view of the control that was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Thus, the unconditional worship of Guan Yu in the book "The Jeok-Byeok of the Book of the Bactrian Book" can be regarded as a sign of control that has been carried out from above rather than a lack of perimilitation. This is also partly in line with the desire of the upper classes, who value ideology and cause, as they are not free from the ideological intensification of Confucian ideology. In this process, it was argued that the dual composition of the red wall is relat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classes in terms of universal recognition, rather than to the unconditional participation of the yangban flavouring party.

      • KCI등재

        安東의 關王廟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동향

        김명자(Kim Myung-Ja)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2 No.-

        이 글에서는 官의 안동 관왕묘의 건립에 대한 지역사회의 담론과 관왕묘 건립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전략을 펼치는지를 중심으로 하여 안동 관왕묘의 존속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이후 관왕묘의 건립에서부터 현재에 이르는 통시대적인 관점으로 신앙형태는 어떠한 변화와 지속을 거듭하였는지도 함께 논의하였다. 먼저. 선조 31년( 1598) 국가의 공적 廟로써 안동 관왕묘를 건립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검토했다. 다음에는 선조 39년(1606)에 안동 유림의 반발로 西嶽의 東臺 현 위치로 移安한 시기, 이어 숙종 37년(1711)에 이르러 명나라 군대의 철수 이후 황폐한 상태에 놓여진 관왕묘를 국가차원에서 정비를 하는 시기로 크게 나누어 지속과 변화의 양상을 짚어 보았다. 그 결과 안동의 관왕묘는 보편성과 함께 지역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598년 명나라의 眞定營都司 薛虎臣에 의해 城內 北山頂에 처음 세워진 국가차원의 안동 관왕묘가 건립된 후 8년만인 1606년에 안동향교와 대치되어 있다는 이유로 유림에서 관왕묘의 철수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官에서 현재의 위치인 西岳 東臺로 관왕묘를 이전할 수밖에 없었던 일련의 사건은 관왕묘에 대한 안동지역사회의 여론과 동향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관에서는 관왕묘를 이전하는 구실 즉, 정당성을 관왕의 현몽과 서악의 풍수지리적 형국에서 찾게 된다. 지역사회와 관 차원에서 풍수지리적 형국을 어떻게 자신에게 유리한 관점으로 해석하며, 이용하는가를 통해 관왕묘를 둘러싼 지역사회에서 야기되는 문제와 민간신앙으로 정착된 양상을 보다 정치(精緻)하게 살필 수 있었다. 요컨대 관왕묘를 이전하기 전, 관왕이 고을 원에게 좋은 자리로 옮겨달라는 설화가 동원되고, 다음으로는 서악산의 풍수지리적 형국이 虎頭穴이어서 虎食을 많이 당하기 때문에 軍神인 관왕의 氣로써 호두혈을 눌러야 한다는 풍수지리적 정당성이 동원된 것이다. 이처럼 국가차원의 관왕묘 건립과 안동 지역사회의 대응양상을 통해 볼 때 안동 관왕묘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관왕묘가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는 것은 관왕묘의 보편성이라 할 수 있지만 유림의 반대에 의해 관왕묘의 자리를 옮기는 것은 안동 관왕묘의 지역적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관왕묘를 이전하는 구실을 관왕의 현몽과 풍수지리적 형국으로 해석하는 것 역시 특수성에 해당된다. 신앙대상으로서의 관우는 관성제군을 신으로 모시는 무속인들과 미륵불을 섬기며 관우를 협시보살로 모시는 관성교 등에 의해 신앙되어 왔다. 안동의 관왕묘 역시 후전도 미륵종불을 섬기는 이에 의해 현재 관리되고 있다. 관우의 財神ㆍ治病ㆍ祈福의 기능은 지속되고 있으나 실상 안동지역에서 관왕에 대한 신앙적 인식은 그리 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gives an over view of a local community concerned with the establishment of Gwanwangmyo, an ancestral shrine worshiping Gwanu in the era of Three States, China, under the government in Andong and the existence legitimacy of Gwanwnagmyo in Andong, based on the strategy that was used to get legitimacy for its establishment. This study also shows how the form of a faith has changed and been sustained from the establishment of Gwanwangmyo after Imjin-waeran to the present. First, we looked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by which Gwanwangmyo was established as the public ancestral shrine in Seonjo 31, 1598. Next, we looked into the durability and the nature of the change, by dividing into two parts, Firstly, the time of moving an ancestral tablet or the scroll of a portrait to Dong-dae, Seo-ak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the Confucians at Andong in Seonjo 39, 1606. Secondly, the time of maintenance of the ruined Gwanwangmyo by the government after the withdrawal of the army of the Ming dynasty in Sukjeong 37, 1711. As the result, we found that Gwanwangmyo in Andong had a localized view as well as a general view. The Confucians demanded the withdrawal of Gwanwangmyo because it stood up against Andong Hyanggyo in 1606, eight years after Gwanwangmyo under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at Buksanjeong by Seol Hosin who managed Jinjeong-yeong in the Ming dynasty, 1598. Accordingly the series of events by which people felt the need to move Gwanwangmyo to Dong-dae, Seo-ak showed the public opinion of Andong community about Gwangwangmyo clearly. The government set down the reasons for moving Gwangwangmyo according to Gwanwang’s dream and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he topography of Seoak. We were able to ascertain the problems caused by Gwangwangmyo in the local community and how it took root as a folk belief in detail, that is, understanding how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was viewed favorably and had an influence on the condi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In other words, people brought something into play as following: the tale, by which Gwanwang asked a country magistrate to move it into a good place, and the reasons on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according to which people suggested the need to control Hoduhyeol, the hole with the shape of a tiger, using Gwanwang’s strength because the appearance of Seoak-san was the shape of Hoduhyeol and had caused a tiger's attack. As a result, we could be sure that Gwanwangmyo in Andong held an important status as suggested above. We can consider it as a general view of Gwanwangmyo that it held an important status in the national situation, while we can also consider it as a localised view of Gwanwangmyo that it moved its place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the Confucians and the cause of its movement was considered as a result of Gwanwang’s dream and the geographical position. Gwanu was considered as the being like a faith by the person following the shamanist custom, who served Gwanseong-jegun as a god, and Gwanseonggyo, which served Maitraye and considered Gwanu as Hyeopsi-bosal. Gwanwangmyo in Andong was also managed by persons serving Maitraye of Hwucheondo. We found that Gwanu’s ability of being like a god, healing illnesses and granting wishes was sustained but the belief in considering Gwanwang a faith was po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