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 지역 문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 : 좌표와 연구 방향의 재설정을 위하여

        서준섭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2005 강원문화연구 Vol.24 No.-

        본고는 지구화, 지방화 시대의 강원 지역 문화 연구의 좌표와 연구 방향 재설정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오늘날 강원문화 연구는 1) 역사와 전통 연구, 2) 현대 문화 연구, 3) 지역 문화 정책과 관련된 연구 등으로 대체로 세 가지 주제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가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강원문화 연구는 ‘무엇을 위한 강원 문화 연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연구의 대상과 목표를 재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문화는 우리를 만들고, 우리는 문화를 만든다’는 두겹의 시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필요하다. 1) 과거의 기억의 복원과 잊혀진 가치의 발굴을 위한 연구, 2) 주민의 일상 생활 이해를 목표로 한, 현금의 강원 문화의 실상 연구, 3) 일상 생활에서의 주민들의 창조성 제고와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문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 4) 환경과 자기 존재를 연결시키는 문화를 창조하기 위한 연구, 5) 문화발전과 지역 발전을 연계시키기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6) 미래의 지역문화 구상과 정책수립을 위한 연구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강원문화 연구를 재구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 지역주의와 지방성의 극복을 위해 연구 주제에 대한 관심 전환과 시야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 문화에 대한 전문가와 인력이 크게 확충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 전문가의 참여와 제휴에 의한 학제간의 연구 등의 통합적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의 전반적 문화 수준을 높이는 연구를 지역 문화 연구의 잠정적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현재 필요한 지역 문화 연구는 문화의 개념을 확대하는 문화연구가 필요하다. 강원지역 문화의 현실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지역 문화연구, 지금까지의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문화연구,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문화 담론의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 조선의 유람문화 공간으로서 강원지역에 정체(正體)된 장소적 표상 - 지역학에서 역사적 문화원형 찾기의 일례 -

        이상균 ( Lee¸ Sang-kyun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19 강원문화연구 Vol.40 No.-

        지역에서는 지역학을 통해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대표적 지역문화로 상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원학에서도 다양한 주제를 대상으로 강원도에서 파생된 문화의 실체를 찾아내는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시각을 조금 달리하여 역사적으로 파생된 문화의 실체들이 과연 강원도라는 공간을 어떻게 상징화시켰는가를 주목했다. 강원문화의 형성을 논하는 데 있어 가장 대표적 요소인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유행하였던 조선시대 유람문화 속에서 강원도가 획득한 장소적 표상을 고찰하고자 했다. 조선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강원도를 유람하고자 하는 열풍이 일었다. 금강산과 관동팔경 등의 수려한 산수명성이 확산되고 찬미되었다. 고려후기부터 조선 전 시기에 걸쳐 많은 지식인이 유람하고, 또 유람하길 소망한 지역이었다. 강원도는 조선의 유람문화 속에서 전국제일의 유람명소로 그 명성을 얻었다. 또한 자연에서 성정을 도야하여 시문 등을 창작하고자 했던 조선 지식인들의 문풍의식 속에서 강원도는 최적의 심미적 창작공간으로서 새로운 장소적 표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강원도의 문화원형은 오늘날 금강산 관광재개 등 남북강원도의 교류협력 전망 속에서 여전히 유용한 문화로 제고 하여 적용할 가치가 있다. Local studies are trying to reveal the identity in order to find cultural archetype. Gangwon local studies are now doing research of studies of cultural archetype. When it comes to discussing formation of culture of Gangwon, the representative element is natural view. This thesis studies how Gangwondo Province acquire images of go sightseeing culture during Joseon Dynasty period. There were fevers of go sightseeing Gangwon-do Province among intelligentsia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Beautiful picturesque scenery in Gangwon-do Province was the talk of the town and was praised. Gangwon-do province is the great region where intelligentsia wish to go and go sightseeing during the period from late Goryeo to Joseon Dynasty. Gangwon-do Province was the attraction of go sightseeing. There were many historical figures marks in the Gangwon-do Province. There are also numerous poetry and prose and pictures of Gangwon-do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Gangwon-do Province was spotlighted as landscape of go sight seeing and it also had acquisition of a new model of the space of esthetic creation. The culture of go sightseeing of Joseon Dynasty had a big importance of detailed identity establishment and it is branch of application pending issue in region. Today Gangwon-do province overbearingly promotes the service industry of sightseeing and it also applied to resume sightseeing of Mt. Geumgang. The model of go sightseeing culture can apply to the model of cultural space(Gangwon-do Province) and it had a big value of applying to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Gangwon-do Province.

      • 남북강원도 지역 문화유산의 비교와 교류 방안

        권혁희 ( Kwon Hyeokhui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남북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두 지역의 문화유산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상호 교류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먼저 북강원 지역에서 문화유산이 집중된 지역으로 금강산을 들 수 있다. 금강산은 유형문화유산 뿐만 아니라 구비전승과 음식문화와 같은 비물질문화유산과 명승, 천연기념물의 자연유산이 집중된 지역이다. 금강산과 마찬가지로 설악산과 같은 명산을 중심으로 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문화유산의 보고로서 남북 강원도를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무형문화유산의 경우는 현재 지정된 분야보다 비지정된 분야에서의 상호교류가 기대된다. 특히, 아리랑을 비롯해 각 지역별 민요와 탈춤, 민속놀이 등이 상호간 교류에 있어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유무형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은 분단으로 미완성된 강원도의 역사와 문화를 통합시키는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남북 강원지역의 문화유산 연구는 자연과 역사, 인문과 사회 연구를 총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강원학 연구의 영지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a more comprehensive comparison by inclu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the mainstay of inter-Korean cultural heritage exchanges, focusing on the North and South Gangwon-do regions. First, the area around Mt. Geumgang has a wealth of intangible heritage such as oral tradition and food culture as well as 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e other hand, in the north of Gangwon-do, relics related to seowon and hyanggyo related to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are very rare as feudal remnants, but many fortresses and beacons that symbolize Juche's history through battle with foreign enemies have been designated. Next, in the ca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expected that Arirang, as well as regional folk songs, mask dances, and folk games, will become the focal point for mutual exchange. In addition, the exchange of food cultur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said to be a notable field that can reflect the ecology and culture of Gangwon-do, which is connected to the mountains and sea. Finally, in order to implement these projects, Gangwon-do should be the center to establish a governance of cooperation that can link the legislation of the Peace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various institutions. In particular, with the Gangwon Provincial Office as the center, a consultative body should be formed in which local universities, various private organizations, and civic groups can participate.

      • 강원도 문화산업의 발전전략

        김병철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2003 강원문화연구 Vol.22 No.-

        문화가 사회 전반을 좌우하는 중심적인 힘으로 전면에 떠오르면서, 지역문화산업 육성은 지역경제의 발전, 지역문화의 활성화, 지역사회의 통합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발전전략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지역문화산업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전국적 차원에서 지역문화산업의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일반화된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쳐왔다. 이 연구는 기존의 지역문화산업에 대한 연구들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일반화에 머물렀던 한계에서 벗어나, 강원도의 지역적 특수성에 기초하여 강원지역 문화산업의 발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수성, 장소성을 중심으로 강원도 문화산업 발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즉 첨단문화산업에 집중된 지역문화산업 육성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장소와 문화의 소비라는 관점에서 서비스형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 지역문화산업의 발전에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입장에서 지역정체성의 발굴과 이에 기초한 문화콘텐츠 개발, 문화산업의 지역적 특화와 기능적 연계, 지역문화산업 네트워크 구축, 지역문화정책, 산업정책과 연계된 통합적인 문화산업정책의 수립 등을 강원도 문화산업의 발전전략으로 도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region-specific development strategy for local cultural industry of Kangwon region. The empirical investigations of local cultural industry are carried out to achieve this objective.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design development strategy in terms of consuming culture and place.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industry, this study presents four recommendations; ① the effort to find regional identity and develop cultural contents on the basis of created identity, ②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local cultural industry and functional relationship, ③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production network of culture industry, ④ comprehensive plan for developing local cultural industry including the culture and industry policy. The present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ng some future studies to overcome its limitations.

      •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강원도의 힘

        김경희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2005 강원문화연구 Vol.24 No.-

        본고는 오정희의 소설 속에서 강원도의 문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소설 속에서 강원도 문화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빛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년을 강원도 춘천이라는 소도시에서 보낸 작가의 이력답게, 오정희의 소설에서는 강원도 춘천이 ‘P'시, ’소도시‘이라는 이름으로 그려지고 있다. 「옛우물」 등에서 중년 여성의 기다림과 그리움이라는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그려내면서, 춘천의 모습은 비정상적인 삶을 포용할 수 있는 따뜻한 도시로 나타나고 있다. 오정희 소설의 여주인공들은 진부하고 일상적인 삶 속에서 그것으로부터의 탈출의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이 감지하는 것이 바로 ‘죽음’이다. 그런데 이러한 죽음은 새로운 생성이 라는 이미지를 갖게 되는데, 이것은 ‘신비로움’이라는 불확실한 주관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신비로움은 안개라는 이미지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안개의 도시 춘천은 상실 뒤에 새롭게 움트는 생명의 신비로움을 간직한 도시로 묘사되고 있다. 한편 오정희 소설에서는 춘천과 춘천 근교가 그려지지만 그 실체가 모호하게 처리된다. 그러나 「破虜湖」에서는 양구, 화천, 함춘벌, 월명리, 상무룡리 등 구체적인 지명이 등장하면서 강원도 자연과 강원도의 문화가 자세하게 그려진다. 여기에서는 강원도 자연의 맑고 깨끗함, 강원도 사람들의 순수함 그리고 강원도 땅의 생명력이 그려지고 있다. Literature has been with people for long time since it has shown many kinds of human affairs dynamically. So it is very important to observe and reassess their lives through the literature. If culture has thought as an important part of human lives, the questing for a value and signficance of literature can get shine from our lives. Oh Jung Hee made her debut by 〈The lady of toy store〉on 1968 and then wrote four selections of short stories, 『The river of fire』(1977),『The garden of childhood』(1981), 『The spirit of wind』(1986), 『Fire work』(1996). The writer tried to look for the source of a storiesl from a daily experience, so we can see a poor plot when the source is ruminated and scent an uncertain world. Behind such a certainty and unauthenticity, there are many types of lives and hide two faces of the lonely, desolate world. Moreover there is the truth, too. Especially, we can see the true life behind the realities through the shape and people of Kangwon in her stories.The place names that often appear as 'Little city' or 'P city' in Oh Jung Hee's novels have a lonely message. 'P city' is expressed as a city where long wait and yearning change into loneliness and reminiscense. Sometimes the object of the wait is death, but it's not ignoble or gray because of the invisible warmness of the city, Even though there are a crazy girl, fool and epileptic in the city, the city is still warm as long as the abnormal keep their living actively. There is the warm truth behind the hard realities. Also, the city in the novel has a silent secret of foggy world. The death seems to be in the opposite of the life, but it is beside the life, too. The fog is unauthentic like the border between the life and death. The fog in the novel become a material that hides a mystery of life that springs up after the forfeiture. And the foggy Chuncheon in Kangwondo is such a city where there is a mystery of life. 〈Paro Lake(破虜湖)〉, Oh Jung Hee's novel shows Kangwondo to give a wish to the people clearly. The power that makes the husband of the leading character keep living and the leading character write a novel is in the Paro lake. The leading character gets the power to purify her life, awakes vitality and it becomes creative ability in the space of the clean water. The vitality belongs to Kangwondo and Kawondo's people. It is the power to lead the plot in the stories. The nature, lives and people are beautiful in Oh Jung Hee's storiesl. It the long naive beauty that is never satiated with easily rather than the instant gorgeous beauty. It is the subject of the beauty is to the truth, the more vital it is. This is the power of Of Jung Hee's stories

      • 강원일보의 천주교 관련 기사 현황과 분석

        이원희 ( Lee Won Hee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강원도의 대표적인 지역 신문인 강원일보에 보도된 천주교 관련 기사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분석한 것이다. 강원일보는 1957년부터 지역 종합일간지의 역할을 하며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보도하고 있는 중요한 자료지만, 2002년 10월 11일 이전 신문은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불가하다. 이에 필자는 DB화가 되어있지 않은 강원일보 마이크로필름을 확인하여, 1958년부터 1989년까지 천주교 관련 기사를 수집 및 목록화하고 시대별 내용별로 분류 분석하였다. 1958년부터 1989년까지 강원일보에 수록된 천주교 관련 기사는 총 573건이며, 시대별로 구분하면 1950년대 7건, 1960년대 166건, 1970년대 149건, 1980년대 251건이다. 내용별로 구분하면 가톨릭 일반 52건, 한국 가톨릭 일반 64건, 도내 종교 일반 75건, 교구 일반 199건, 사회 참여로 도식화된 지역과 함께하는 교회 137건 그리고 기타 46건이다. 573건의 기사 속에는 강원도 천주교회의 동향에 관한 기사뿐만 아니라, 1960년대 구호사업, 1970년대 산아제한과 가족계획, 1980년대 민주화운동 등 역사의 전개 과정에서 강원지역 천주교가 행한 역할 및 지역사회와 어떻게 공존하였는지를 살필 수 있는 기사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Catholicism-related articles reported in Gangwon-do's representative local newspaper, the Gangwon Ilbo. The Gangwon Ilbo has served as a regional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 since 1957 and is an important source reporting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e region. Accordingly, I checked the microfilm of the Gangwon Ilbo, which was not made into a database, and collected and cataloged articles related to Catholicism from 1958 to 1989, and classified and analyzed them by content by age. From 1958 to 1989, there are a total of 573 articles related to Catholicism in the Gangwon Ilbo, and if classified by era, there are 7 articles in the 1950s, 166 articles in the 1960s, 149 articles in the 1970s, and 251 articles in the 1980s. By content, there are 52 general Catholic cases, 64 general Korean Catholic cases, 75 general religious cases in the province, 199 general cases of parishes, 137 cases of churches with areas schematized as social participation, and 46 other cases. Among the 573 articles, not only articles on the trend of the Catholic Church in Gangwon-do, but also the role of Catholicism in Gangwon-do and how it coexisted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e course of history, such as relief work in the 1960s, birth control and family planning in the 1970s,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were included. There are also many articles you can look through.

      • 강원도 역사문화자원 전수조사 현황 - 근대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

        현승욱 ( Hyun Seung-woo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5 No.-

        역사문화자원이란 역사성, 문화성을 간직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간, 건조물, 자연환경 등을 아우르는 광의의 개념이다. 강원도 역사문화자원 전수조사는 역사문화자원의 총체적 보존, 관리, 활용을 위한 정책 기반 마련 및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계획되어 2020년 이미 진행 완료되었다. 전수조사 결과, 강원도 근대 문화유산은 약 679건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향후 강원도 근대 문화재로 지정될 후보들이다. 따라서, 금번 전수조사를 계기로, 강원도 및 각 지자체는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 관리, 감독을 철저히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spaces, buildings, and natural environments that form a regional identity by preserving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Th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Gangwon-do was planned to prepare a policy basis for the overall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o secure basic data, and has already been carried out in 2020. As a result of the total investigation, about 679 modern cultural heritages of Gangwon-do were found, and these are candidates to be designated as modern cultural assets of Gangwon-do in the future. Therefore, with this full investigation as an opportunity, Gangwon-do and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thoroughly carry out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 강원도 무형문화유산의 특성과 전망

        이창식 ( Lee Chang-si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1 강원문화연구 Vol.43 No.-

        강원도 무형문화재의 정체성 원칙에는 전통론(傳統論) 시각이 작용한다. 전통문화유산은 오래된 지혜의 무형의 소산물이다. 강원도 무형문화재 지역적 특징은 ‘원형 그대로를 재현’하고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이다. 대체로 강원도 향토색이 현저한 것인데 지역 인성론(人性論) 곧 인정(인간문화재)의 순박성, 대동의 순환성, 자연의 생리성을 항목에 따라 차이가 보이나 두루 내재하고 있다. 문화유산으로서 무형문화재(총 36건)의 창조성 문제는 도 지정문화재 32건으로 ‘향부론(鄕富論)’에 우선한다. 무형문화재 적극 발굴을 전제로 전형의 실제 공연 프로그램 강화, 관련 지적 재산권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 지역 브랜드와 랜드마크를 위한 문화산업 견인이 그것이다. 대상 항목은 지역의 특수성을 끌어내고 독자성을 살린 종목 지정-예비지정 전통주, 방언, 황토잽이, 덕장 기술 등-을 확장해야 하는 것이다. 무형문화재의 지정관리에 대해 지역 균형에 대한 ‘지역학(地域學)’ 전략이 필요하다. 이는 남과의 비교-아시아 간의 비교, 타 시도 간의 비교-를 통해서만 비로소 드러나는 것이다. 지정 종목은 비교를 통해 우위 장점을 살려 지정관리, 민속예술 전승교육, 지역자원 활용으로 이행되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전승자는 타시도와 교류를 많이 하여 자신의 전승 기술을 알리기도 하고 또 문제점을 고쳐나가고, 시군을 포함한 강원도로 대표되는 지방 정부는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rinciple of ident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well aligned with the principles of tradition. Traditional culture develops from ancient wisdom, and one of the geographical elemen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 Province is that they bring the original form to life. The elements of Gangwon Province’s study of human nature, the good human nature, circle of peace, and force of nature, are all prominent, although each of them is more visible than others in different areas. The issue of creativity with regard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based on “the Wealth of Towns”, meaning that cultural art performances should be encouraged, IP rights should be protected for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creating more local brands and landmarks to boost the local cultural sector. Cultural items should highlight unique aspects of the local culture and more of such unique cultural elements should b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help keep balance of regions, which can be studied through comparing a local culture to that of other people, other regions in Asia, and other cities and provinces. Such comparisons can serve as a foundation of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can be used for designated management, transmission, and as local resources. Bear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st engage in cultural exchange with other cities and provinces to spread, build upon, and recreate his/her cultural asset, backed by activ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in this case,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Gangw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