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혁명 시대와 그리스도교: 종교와 신학의 전망 안에서

        정희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8 가톨릭신학 Vol.0 No.33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has a real impact on every aspect of personal and social life. The impact on real life and the resulting changes lead to the break up of existing ethical norms that govern the real lif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In other words, it calls for a new ethical norm that defines social life. The changes in the ways of living the life brought about by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the changes in the ethical norms require changes in understanding of life and the world.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eventually calls for changes in life and norms (ethics, morals) and worldviews (the way in which people understand and explain nature and human beings and the world). Religion and theology should play their role in the formation of a new social norm that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demands. Moreover,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causes changes and challenges in the life of religion and faith itself. In other word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has some direct impact on the form and content of religious life. In addition, the worldview conceived by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brings conflict with the worldview of the religion. In the r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beings seem to be Homo Deus, but in reality they are becoming scapegoats of science and technology. Challeng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often go beyond the scope of existing ethical norms.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calls for the re-establishment of ethical norms. Christianity has always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of social ethics norms. Christianity should help to reflect on the ethical issues raised by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faith and to refine social norms. The bigger problem, however,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Christianity does not simply stay in the dimension of ethics and morality.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can threaten the very existence of Christianity as a religion. Christian doctrine and theology must compete with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the post-human and trans-human worldview implied by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as a matter of worldview. Christianity as a platform has to compete with cutting edge technology. And the religious practice of Christianity must also compete with the post-human way of life. 과학기술 혁명은 개인과 사회적 삶의 모든 자리에서 실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삶에 대한 영향과 변화의 . 초래는 그 이전까지 인간과 사회의 실제 삶을 규정하고 통제하는 기존의 윤리적 규범들의 균열을 초래한다. 즉, 사회적 삶을 규정하는 새로운 윤리적 규범을 요청하는 것이다. 과학기술 혁명이 초래한 삶을 살아가는 방식의 변화와 윤리적 규범의 변화는 당연히 삶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 변화를 요청한다. 과학기술 혁명은결국 삶과 규범(윤리, 도덕)과 세계관(자연과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방식)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과학기술 혁명이 요청하는 새로운 사회적 규범의 형성에 종교와 신학은 그 나름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더욱이 과학기술 혁명은 종교와 신앙의 삶 자체에도 변화와 도전을 야기한다. 즉, 과학기술 혁명은 종교적 삶의 형식과 내용에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과학기술 혁명이 내포하고 있는 세계관은 기존 종교가갖고 있는 세계관과 충돌을 가져오기도 한다. 과학기술의 혁명 속에서 인간은 마치 호모 데우스가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과학기술의 희생제물이 되어간다. 과학기술 혁명이 야기하는도전과 문제들은 기존의 윤리적 규범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많다. 과학기술 혁명은 윤리적 규범의 재정립을 요청하고 있다. 사회적 윤리규범의형성에 그리스도교는 늘 참여해왔다. 당연히 과학기술 혁명이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신앙의 관점에서 성찰하고 사회적 규범의 재정립에 그리스도교는 도움을 주어야 한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과학기술 혁명과 그리스도교와 관계는 단순히 윤리와 도덕의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과학기술 혁명은 종교로서의 그리스도교의 존립 자체를 위협할 수있다. 그리스도교의 교리와 신학은 세계관의 문제라는 차원에서 과학기술혁명(과학기술 혁명이 내포하는 포스트휴먼적·트랜스휴먼적 세계관)과 경쟁을 해야 한다. 그리스도교는 첨단의 과학기술들과 일종의 플랫폼(platform) 의 경쟁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실천은 포스트휴먼적삶의 방식과 또한 경쟁을 해야 한다.

      • 과학혁명과 神과학(God Science)

        김진춘 통일사상학회 2018 통일사상연구 Vol.15 No.-

        쿤(T. Kuhn)은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패러다임’이란 용어를 소개하면서 과학은 혁명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에 의하여 발전한다는 이론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혁명을 3단계 관점에서 살펴본다. 1차 과학혁명은 현대과학에 의한 혁명이다. 1차 과학혁명은 현대과학을 대표하는 양자론과 상대론을 통해 고전과학의 에너지, 물질, 시간, 공간에 관한 혁명적인 변화 를 초래했다. 2차 과학혁명은 新과학(New science)에 의한 혁명이다.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新 과학은 현대과학으로부터 또다른 혁명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新과학은 향도파와 토션장・토션파에 기초하는 정보파동・정보장을 중심한 과학이다. 3차 과학혁명은 神과학(God science)에 의한 혁명이다. 神과학은 하나님을 중심한 과학이며, 하나님 관점에서 본 과학이다. 또한 神과학은 하나님을 위한, 하나님을 향 한 과학이다. 神과학은 제3축복의 과학이며, 창조원리에 입각한 과학이다. 그리고 神 과학은 천주적인 과학이고, 이상세계를 향한 과학이다. 과학은 현대과학→新과학→神과학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주목한다. 인류의 구세주・메시아・재림주・참부모가 현현하여 복귀섭리완성과 창조이상실현이라는 근본 문제에 대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 문제가 온전히 완결하기 위해서는 하나님 중 심한 神패러다임(God paradigm)의 도래가 요청되고 있다. 神패러다임은 神과학을 넘어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문화, 체육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야 하는 궁극적인 패러다임이다. T. Kuhn introduced “paradigm” in his famous book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He claimed that science has proceeded by means of revolutionary paradigm shifts. I will discuss about scientific revolutions in three steps. The first scientific revolution was brought about by modern science. This revolution brought revolutionary change through quantum theory and relativity theory in our understanding of energy, matter, time and space based on classical science. The second scientific revolution is being brought about by new science. This revolution based on information is developing new features of energy, matter, time and space. New science has been studied through pilot waves, information waves and field, torsion field and waves, etc. The third scientific revolution is being realized through God science. God science is a science centered on God and a science in view of God. Also God science is a science for God and toward God. It is a science of the third blessing and a science based on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it is a science of a cosmic dimension and a science for the ideal world of God’s creation. We claim that science has unfolded from classical science, through modern science, new science, and eventually to God science. Since the Messiah, Savior, LSA, and True Parents of humankind came on earth and have established a solid foundation for completing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God’s ideal world of creation, we need a God paradigm. God paradigm will be extended to every area beyond God science.

      • KCI등재

        연기(緣起)는 마음과학의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는가?

        현남규(Hyun, Nam-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이 논문에서는 과학철학자들이나 심리철학자들이 물질과 마음을 실체로 보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이 제기된다고 보고 그 해법을 불교철학에서 찾으려 했다. 우선 과학혁명의 내용을 재조명하고 나서, 이것을 불교사상에 적용하여 불교철학 체계를 과학 용어를 사용하여 새롭게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뉴튼이 17세기 서양 과학혁명을 완성했다는 것과 같이 석가모니는 기원전 5세기경에 ‘마음과학혁명’을 이룩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뉴튼역학 패러다임’에 따라 이루어진 ‘정상과학’의 개념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무상·고·무아·공·연기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하여 지난 2,500여 년간에 이룩한 불교의 교학과 수행의 발전은 ‘정상마음과학’으로 해석하였다. 과학철학 ․ 심리철학 ․ 불교철학에서 제기된 난해한 문제들이 무엇인지 명시한 후에, 그 해법으로 생각되는 불교철학의 기본 개념들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논의하였다. 아비담마에서는 ‘수행자가 아라한이 되게 되면 번뇌 망상이 영원히 일어나지 않는다’고하기 때문에 아라한의 ‘관측’에는 이론이 하나도 적재됨이 없거나 최소한의 이론만이 적재 된다고 함으로써 ‘관측의 이론 적재성’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과학혁명은 계속해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에서 진리를 말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는 ‘마음과학혁명은 단 한 번만 일어났다’고 함으로써 그 해법을 탐구하였다. 심리철학에서 제기되는 ‘물리적인 세계에서 마음이 어떻게 인과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아비담마에서는 ‘눈의 감성’은 눈의 알음알이(안식)의 물질적인 토대와 문의 역할을 하며, 마음은 물질의 집합체인 깔라빠의 형태로 끊임없이 물질을 생성한다고 기술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이 인과관계에 있다고 함으로써 그 해법을 모색하였다. ‘물리적인 세계에서 의식과 같은 것이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아비담마에서는 물질과 마음이 찰나에 생멸하고 있으며, 89 (또는 121) 가지 마음이 양자화 되어 있다는 논의로부터 그 해법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수미산 등 9산 8해가 없는 불교 우주관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문제는 그 해법이 간단치 않다. 무상·고·무아·공· 연기라는 패러다임을 전제하였을 때에 현대과학에서 밝혀진 내용들 중에서 어떤 것들이 일관되게 이것들과 잘 부합하는 것인지를 먼저 확인하였다. 그 뜻은 각각 다르나 비독립적이면서 서로 연관된 개념들임을 고려하여 ‘무상 ․ 고·무아·공·연기’라는 용어들 대신에 ‘연기’를 대표적으로 선택하였고, ‘정상마음과학’ 대신에 ‘마음과학’이라고 개칭했다. 만약 ‘연기(緣起)라는 마음과학의 패러다임으로 현대과학의 업적들을 설명할 수 있는가?’하는 물음에 대한 답이 ‘그렇다’라고 할 수 있다면, 현대과학의 성과들을 마음과학의 물질관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Sakyamuni was enlightened after performing extreme ascetic spiritual practices. He is considered to have accomplished a scientific revolution of the mind. His philosophy and practices are based on those such as dependent-arising, impermanence, dissatisfaction, selflessness, and emptines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eaching and practices has been thought of as a “normal science of mind.” Hence, his philosophy hints at new approaches to find the solutions to difficult problems. The objectivity of empirical knowledge cannot be guaranteed because of “the theory-ladenness of observation.” However, when the performer becomes arahant in abhidhamma, it is possible to be interpreted as observations that do not load the theory. The next problem is that the truth of science is questionable because scientific knowledge tends to change. However, it can be concluded that, since Shakyamuni achieved the scientific revolution of mind only once, the problem of the invariance of the truth is to also be discussed in mind science. In the philosophy of mind, the mind-body problem and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are two difficult problems to solve. The fact that eye-sensitivity lies in the sensory receptacle of the eye and that kalapas are produced by the mind are both mentioned in abhidhamma. These ideas may help to solve the mind-body problem. In abhidhamma, it is discussed that a person’s consciousness arises and dissolves at a rate of more than a thousand billion times per eye movement. These facts may offer some clue to solving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The last issue I discuss is the problem inherent to ancient Buddhist cosmology. That is, at one time, people believed in a flat universe with Mount Meru at the center. We cannot accept this cosmology anymore. Instead, a new concept of matter is required in mind science.

      • KCI등재

        냉전과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김기윤 ( Kim Ki-y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1 No.-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는 지난 50년 사이에 압도적으로 자주 인용된 학술 문헌이다. 그 간 쿤이 이 책에서 과학 활동의 성격을 탐구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인 정상과학, 패러다임, 또는 공약불가능성이 어떤 의미인지, 또는 그 아이디어들이 당대의 철학자들의 아이디어와 어떻게 구분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논하는 철학적 시각의 연구물들이 주로 출판되었다. 그런데 교육학에서 회계학에 이르기까지 문자 그대로 현대 학문 분야의 톤을 만들어 낸 듯 보이는 이 책의 지성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작업은 아직 미답의 경지로 남아있다. 이 논문은 우선 과학사학자들과 지성사학자들이 『과학혁명의 구조』를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읽었는지를 살핀다. 과학사학자들이 이 책을 전형적인 사상사로서의 과학사 교과서로 읽었다면, 지성사학자들은 이 책이 냉전의 산물일 뿐 아니라, 미국 지성사의 사상적, 제도적 유산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읽어냈다. 다른 한 편, 현대의 과학학, 과학기술학, 또는 과학기술과 사회라는 이름의 학문 분야의 학자들은『과학혁명의 구조』의 독서로부터 과학지식의 사회적 분석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하다는 결정적인 영감을 얻었다. 하지만 쿤은 자신의 책이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사실에 불쾌해 했다. 이들이 자신을 오해했다는 것이다. 과학학 학자 스티브 풀러는 쿤이 냉전의 전사 코넌트 총장의 대리 싸움꾼 노릇을 하면서 자신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각하지 못했다는 묘한 분석을 내 놓았다. 이 글은 『과학혁명의 구조』가 냉전의 해로운 유산을 남긴 작품이라는 과학학자 스티브 풀러의 주장을 개관하고 그 무게를 가늠한다. 『과학혁명의 구조』는 과학을 과학 이론으로 이해해 온 학계가 과학의 실제활동에 눈을 돌리게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책이었다. 그리고 온갖 학계가 분과 학문 분야로 전문화 되는 과정의 증후이면서 동시에 그 과정을 추동하는 힘이었다. 그 과정에서 작동했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상황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최근 확장되어 가는 냉전 연구를 통해서『과학혁명의 구조』의 내용이나 쿤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쿤이 살았던 세계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Thomas Kuhn'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is the most frequently cited scholarly piece of work during the last 50 years. Philosophers have been written tremendous amount of research papers on the meanings and uses of paradigm, normal science, or incommensurability, the concepts introduced through the book. Rather strangely,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is influential book which seemed to make the most identifiable scholarly tone for modern disciplines from education to accounting is remains untrodden area. This article starts with different readings of the book by historians of science and traditional intellectual historians. Historians of science read the book as a typical textbook of history of ideas; Intellectual historians read the book as a typical production of the Cold War mentality, yet they also traced the intellectual roots of the book from American liberal democracy. On the other hand, researchers of the science studies, 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were struck by the book which seem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social studies of science, and many of them dubbed themselves Kuhnians in that sense. Yet frustratingly, Kuhn denied that his ideas could be interpreted as acknowledging social interpretations of science. Steve Fuller argued that Kuhn was a foot soldier of the ultimate Cod War warrior James Conant, the president of Harvard University, who lead Kuhn to be an historian of science. This article tries to evaluate Fuller's intriguing argument. Recent studies on Cold War began to provide some insightful keys to explain the intellectual status of Kuhn and hi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book has been a syndrome as well as a powerful instrument of making modern disciplines, scientific ones and others. Historical researches on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recep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book are opening new horizons not only for appreciating many intriguing aspects of the book but also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which Kuhn live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나지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1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understand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learning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jects needed to trai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hought that the current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not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at it needed to modify the learning content. Many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subject did not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lso did not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remained in the past. Second, the content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was important in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mainly related to the interests and curiosity of students, and scientific experiments or inquiry. On the contrary, the items that they thought should be deleted or reduced included science learning theory, science teaching/learning model, nature of science, and guidance for gifted children. Third, the conten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needed to be added as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jects were SSI education, science education-related social change and future prediction, advanced science technology, STEAM guidance, and integrated education within the science field. Fourth, in order to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tents that they thought should be introduced first as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jects were SSI education, integrated education within the science field, STEAM guidance, and core competencies. Other contents that need to be introduced were software education, safety education, and project learning method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과학 교사 양성을 위해 필요한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에 대해 초등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고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하지 않으며 학습 내용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초등 교사가 다수 있었다. 초등 교사들이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주로 과목의 학습 내용이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을 포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대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과거에 머물러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용은 주로 학생의 흥미와 호기심, 과학 실험이나 탐구와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그에 비해 삭제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으로는 과학학습이론, 과학과 교수⋅학습 모형, 과학의 본성, 영재아 지도가 있었다. 셋째, 초등 교사들이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내용은 SSI 교육, 과학교육 관련 사회 변화와 미래예측, 첨단과학기술, STEAM 지도, 과학 분야 내의 통합교육이었다. 넷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 교사 양성을 위해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으로 우선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SSI 교육, 과학 분야 내의 통합교육, STEAM 지도와 과학과 핵심역량이었다. 그 외에 추가로 도입될 필요가 있는 내용으로는 소프트웨어교육, 안전교육, 프로젝트 학습법이 있었다.

      • KCI등재

        근대 과학혁명과 천구의 음악

        원준식 ( Jun Sik 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1 No.-

        오늘날의 일반적인 관점에서, 음악은 주관적인 원리에 근거한 미적 영역으로, 수학적 합리성에 입각한 과학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과학혁명이 한창이던 17세기까지도 음악은 과학의 한 분과로서 산술, 기하학, 천문학과 함께 4과(quadrivium)에 속해 있었다. 음악과 과학의 연관은 진동하는 현의 길이와 음높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피타고라스학파의 발견에서 비롯되는데, 그들은 자신들의 발견을 천체의 운동으로 확장함으로써 ‘천구의 음악’ 교리를 만들어냈다. 이에 따르면, 지구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행성들의 거리와 속력이 음악에서의 음정들, 특히 온음계의 음정들과 동일한 비례를 갖는다는 것이다. ‘천구의 음악’ 교리에 구체화되어 있는 이런 음악적 이론화는 일종의 원형적 과학(proto-science)이었으며, 그런 점에서 그것은 음악이론의 출발점인 동시에 우주론과 천문학의 출발점이었다. 천구의 음악 교리는 우주의 법칙을 탐구하는 데 있어 다음 시대의 과학자들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천체들의 운동에서 음악적 하모니를 발견하려는 마지막이자 가장 열정적인 시도는 케플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행성들의 운동을 지배하는 원리가 음악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수학적 비율로 표현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처럼 그는 ‘음악적 하모니에 의해 지배되는 우주’라는 피타고라스학파의 개념을 고수하고 있었지만, 과학사와 음악사 모두에서 이전과는 다른 지평 위에 서 있었다.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 천문학을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다성음악이 발전한 시대에 살고 있었다. 따라서 행성들의 운동도 다성적이어야 했다. 그는 이 새로운 지평에서 ‘천구의 음악’ 개념을 재구성했는데, 태양중심체계에 근거해서 행성들의 각속도를 비교하고 이를 순정률의 음정으로 표현함으로써, 다성음악에 부합되는 천체 하모니를 발견한 것이다. 비록 케플러의 이런 구상은 지속적인 과학적 산물로 귀속되지 못했지만, 그 과정에서 발견된 행성운동 법칙들은 과학혁명의 중요한 성과였다. 더욱이 과학혁명을 완성한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이 그의 행성운동 법칙에서 도출된 가설에서 출발했다는 점에서, ‘천구의 음악’ 교리의 과학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Music is today considered as an aesthetic discipline based on the subjective principles, clearly distinct from science having mathematical rationality. But it was a branch of science and held a place among the quadrivium beside arithmetic, geometry and astronomy until the 17th century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science forged by the Pythagorean school`s discover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a vibrating string and pitch. By extending the discovery to the motions of the celestial bodies, they invented the celebrated doctrine of ‘music of the spheres’. According to this, the velocities at which the planets circle the Earth, as well as the distances from the Earth to them, are in the same ratios as various musical intervals, especially those of the diatonic scale. This musical theorizing which was crystallized in the conception of the music of the spheres was a kind of proto-science, and thus the starting point of cosmology and astronomy as well as music theory. The doctrine of ‘music of the spheres’ has served as a strong impetus for the next generations of scientists in their exploration of the laws governing the universe. The last and the most earnest attempt to find musical harmony in the motions of the heavens was that of Kepler. He believed that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motions of the planets could be expressed in the same ratio as found in music. He held firmly the Pythagorean conception of ‘the universe governed by musical harmony’. But he was confronted by a new circumstance in aspect of science and music. He accepted the Copernican heliocentric astronomy, and lived in an age when polyphony was the musical norm, and thus the planetary music must therefore be polyphonic, too. He tried to reconstruct the conception of ‘music of the spheres’ on the basis of musical polyphony and heliocentric astronomy. He compared the angular velocities of the planets based on the heliocentric system, and expressed these ratios as musical intervals in just intonation, not Pythagorean scale, that is, the harmonies which he found are polyphonic.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와 반부패 방향

        김종세(Jong Se Kim) 한국부패학회 2023 한국부패학회보 Vol.28 No.1

        제4차 산업혁명은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회 분야에 큰 변혁을 가져오고 있다. 지구촌 전체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 엄청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현실이 되어, 특히 인공지능, 자율 주행 차량,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3차원 인쇄, 생명공학, 나노 기술, 재료 공학, 양자 컴퓨팅, 에너지 저장 기술 등 상상을 초월하는 새로운 기술이 탄생하고 발전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혁명으로 견고히 구축된 기술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이 총체적으로 구성된다. 최근 빅데이터, 자율주행자동차,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로 필두로 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화는 경제 및 산업 성장을 가져오면서 국가의 협력체계와 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혁신적인 변화를 창출하고 있다. 인공지능, 자율주행자동차, 유전정보, 유전체 기술 등과 관련하여 부패행위나 반윤리적 행위로 인간에 대한 근본적 가치를 위협하는 요소를 분석하여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반부패적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하며, 기술 발달로 야기된 위험이나 부패행위에 대한 법규범적 규제 또는 법정책적 방향을 중점을 두면서 사전적 및 사후적 규율이 필요하고, 과학기술 발달로 기술문명의 문제가 발생하기에 이전에 윤리적 판단 및 정책적 판단과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인해 야기되는 혁신적 변화로 윤리적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은 인간의 참된 존엄과 가치에 있고, 특히 인류과학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인간의 이해, 가치판단과 같은 윤리관에 대한 철학과 교육도 진행되어야 한다. 폭넓은 융합, 교양, 기초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윤리에 대한 중요성을 쟁점으로 하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쟁점과 반부패적 정책 방향을 제안할 필요성이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우리 사회는 혁신적인 과학기술 성장에 따른 윤리적 쟁점을 제기해 왔으며, 이와 동시에 법제도적, 정책적 및 교육 영역에서도 변화의 흐름에 맞춰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표적인 기술 영역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유전체 기술, 가상현실 등에 의해 인간의 질병예방과 치료의 기회를 증가시키고 있고, 인간의 삶의 질도 향상되는 등 삶에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하지만 모든 과학기술이 그렇듯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적인 기술 또한 가치중립에 대한 논쟁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혁신적인 과학기술의 연구 및 개발과 성장이 가져올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영향과 윤리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자율주행자동차, 빅테이터, 유전체 기술 등이 유익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침과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고, 동시에 윤리적 핵심사항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왔다. 그리고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가와 개발자는 새롭고 혁신적인 기술을 연구 및 개발에 있어서 윤리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근본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과학기술의 도입으로 인하여 야기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사고능력과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bringing about great changes in various social fields worldwide. As the entire world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remendous data has exploded and various information can be easily accessed anytime, anywhere,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vehicle, robotics, Internet of Things, 3D printing, biotechnology, nanotechnology, material engineering, quantum computing, and energy storage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ists of various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based on technologies firmly built by the digital revolution. Recently, network-based intelligence, led by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has led to economic and industrial growth, creating a wide range of innovative changes throughout the nation's cooperation system and societ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iscuss anti-corruption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factors that threaten the fundamental value of human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genetic information, and genetic technology. The policy direction to cope with ethical risks with innovative changes caused by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ies in human dignity and values, and philosophy and education on ethics such as human understanding and value judgment should be conducted by applying human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propose ethical issues and anti-corruption policy directio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importance of ethics based on wide convergence, culture, and basic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society has raised ethical issues due to the growth of innovative science and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we are proposing alternatives in line with the trend of change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y, and education sectors. A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are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genetic technology, and virtual reality are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human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many changes will occur in life. However, as with al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ve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lead to a debate about value neutrality, so discussions on various forms of social and ethical effe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growth of innovative technology are continuing. Guidelin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are already being prepared to help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dielectric technologies achieve beneficial purposes worldwide, and at the same time, discussions on ethical core matters have been actively underway. In addition, countries and develope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able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nd decision-making skills on ethical issues that may arise from the introdu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giving fundamental meaning to human dignity and values based on ethical awarenes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이재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圓光法學 Vol.35 No.4

        4차 산업혁명이란 디지털기술이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과 결합・융합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등으로 나타나는 기술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산업, 경제, 의료, 군사/보안, 농업, 오락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향후 산업계의 선도기술로써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현행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총체적 변화 과정을 국가적인 방향전환의 계기로 삼아, 경제성장과 사회문제해결을 함께 추구하는 포용적 성장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며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술 등이 정부의 정책상, 산업별, 부처별 연계 부족으로 연구개발 성과가 저조한 실정이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핵심 기술수준이 외국에 비해 낮고, 경직된 규제와 지원부족, 그리고 관・산・학 연계 부족으로 집중적인 연구개발 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인프라가 부족하여 공공서비스 및 공공 스마트 구축・활용이 미흡하고 국제 경쟁력 또한 저조한 상황이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 전문 인력난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의 유연성 미흡, 노동시장의 유연성 등이 부족하고,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스타트업에 대한 환경 조성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범정부 차원에서의 과학기술혁신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각 부처간 그리고 창출, R&D시스템 혁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국가 전략기술의 구축을 위한 국가 ICT 네트워크의 인프라의 구축과 시스템 S/W 및 네트워크, 센서, 소재 관・학・산업체 간 상생협력과 자체평가를 통한 성과관리에 주력해야 한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선도적인 핵심기술개발과 융합 신산업 육성,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모델 등 핵심기술의 연구개발과 지원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창의적 사고를 지닌 유능한 인재의 양성과 일자리 창출 및 창업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도덕과 교육 - 과학기술사회의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

        김동창 ( Kim Dong Ch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3

        인류는 3차례의 산업혁명을 거치며 삶의 양적, 질적 변화를 이루어 왔고, 현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사회변화의 중심에 과학기술이 자리를 잡았고, 오늘날 우리는 과학기술이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우리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정책에 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시민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과 정책에 시민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은 제4차 산업혁명으로 도래하게 될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과학기술사회의 시민성 교육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과학기술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권리와 책임에 관한 교육이 구체적으로 계획되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Humankind has achiev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of their life through three industrial revolutions. At present, Humankind enter into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d been at the center of social changes. Today, people live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when science and technology greatly influences people’s lives. Therefore, as citizens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relevant policies. It is required to actively take part in science, technology and relevant policies that largely influence citizens’ lives in order to achieve ‘democrat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erms of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take heed of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oc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actively get involved in social changes that will be made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tively. In this aspect,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atically plan and perform the education of citizen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soc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포퍼와 쿤의 과학관을 통해 본 진리

        임규정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5 No.-

        현대의 과학철학 논쟁의 특징은 근대에 팽배했던 과학의 절대주의, 독단주의 그리고 회의론을 극복하려는 새로운 시도의 등장에 있다. 그 대표자로 우리는 포퍼와 쿤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포퍼는 근대의 과학적 방법으로 사용되던 귀납주의 대신 ‘반증주의’를 주장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포퍼의 비판적 태도는 귀납주의적 방법처럼 단순히 증거만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논박 가능한 가설을 주장하고, 그것에 대한 과감한 비판적 시험을 행하는 것이다. 그에게 이러한 비판적 태도는 가장 합리적 절차이며, 이를 통해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은 곧 진리에 다가가는 과정이 된다. 따라서 포퍼의 진리는 규제적 의미로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다. 한편 쿤은 과학적 탐구를 통한 진리는 패러다임 내에서만 통용가능한 합리성과 진리임을 주장한다. 과학혁명을 통해서 패러다임이 바뀌게 되고,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의 변화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포퍼와 쿤이 생각하는 진리는 절대성과 독단성을 띠지 않는다. 포퍼가 주장하는 규제적 의미로서의 진리는 열린 진리이다. 이것은 시간성을 포함하고 있는 진리이다. 한편 쿤에게 진리는 패러다임 내의 일종의 합의로부터 도출된다. 포퍼와 쿤의 과학관을 철학사적 맥락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이들의 사적 의의는 일치한다. 그것은 곧 진리에 대한 과학적 발견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또한 실재에 대해 과학적 발견이 객관적일 수 없다는 이들의 입장은 과학이 가지는 본질적인 성격을 밝히고, 진리에 대한 재규정을 통해 과학의 대화참여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According to the modern world view, the characteristic of science is accepted as being more objective. Through this acceptance the modern world view has established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known today. As a result the universal truth of validity were gained and reached through the scientific method. Throughout the modern times, the principle of the scientific method was thought to be the method of induction.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generalized propositions, such as an assumption or a hypothesis, which is considered to be a scientific law. Because an observation and an experiment is to be objective, the results is to be pertained and objective, too. Therefore induction is considered as the very standard of judgment about truth. Today, the character of disputations on philosophy of science is the attempt which overcomes the absolutism and the dogmatism of science and the scepticism on science. This tendency is represented by Karl Popper and Thomas Kuhn, both of whom criticize a dogma of science. Their attempts have become the turning point through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We know the natural character of "science" through them. Popper insists the falsificationism because of the inductive method's being contradictory, and he insists to represent the hypothesis which is possible to refute, and to examine the hypothesis, because it has a limit to accumulate the evidences just as the inductive method does. Hence he proclaims that this critical attitude is the most reasonable process. Popper's attitude, which is open and critical, comes to light by his view of the truth. Popper uses the terms 'corroboration' and 'conformation' instead of the general used terms 'true' and 'false' because these terms are not possible to refute. However the terms, 'corroboration' and 'confirmation' which Popper insists does not have the immutability. They are used in processing 'conjecture' and 'refutation' which mean that it is the truth by that time. So the conclusion which is gained by this method is only resonable through the scientific method of research. And this process is the inquiry for the truth which has 'regulative' meaning. The processing of research is the only course for absolute and immutable truth. Thomas Kuhn insists that the truth through scientific research holds true only within the paradigm. Through the scientific revolution a paradigm can be changed, which means that the view of the world is changed too. According to Kuhn, the scientific revolution cannot be with the objectivity or the rationality, due that it is dependent upon the agreement between scientists. Therefore the paradigm can not have the same standard even though it is in the same field of science. A paradigm can not be changed through the continuous and accumulative results of science, but only through a scientific revolution, Therefore a paradigm will be different from the former paradigm. In conclusion, According to Popper and Kuhn, the truth through scientific method or scientific knowledge is not absolute and nor is it objective. It means the following: 1) The scientific discovery for the truth is not absolute. 2) The scientific discovery for the reality is not objective. 3) These facts show that science is open. Finally, their inquiry make possible to open the science to field of fair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