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를 졸업한 청년 근로자의 과잉교육, 직무만족, 직업 가치관의 관계: 조절된 다중매개모형

        김도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4 고등교육 Vol.7 No.1

        본 연구는 고등교육 이수 비율이 높고 경쟁적인 교육 및 노동 시장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의 맥락에서 과잉교육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업 가치관이 이들의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명백히 과잉교육을 받은 근로자와 과잉교육을 받은 것으로 간주되는 근로자를 구별하여 과잉교육이 외재적 및 내재적 직무만족을 매개로 전반적 직무만족으로 전이되는 다양한 경로에 대한 차별적인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내재적 가치 지향과 외재적 가치 지향에 의해 조절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청년패널조사 참여자 중에서 대학교를 졸업하고 첫 직장에 취업한 20대 근로자 1,306명이다. 변수의 관계는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된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백히 과잉교육을 받은 근로자는 가치 지향 수준에 관계없이 외재적 및 내재적 직무만족이 크게 감소하여 전반적인 직무만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잉교육을 받은 것으로 간주되는 근로자는 내재적 가치 지향이 뚜렷하지 않을 때만 내재적 직무만족이 감소하여 전반적인 직무만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내재적 가치를 지향할수록 내재적 직무만족이 전반적 직무만족으로 전이되는 효과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내재적 가치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와 상충된 결과를 보였으며, 외재적 가치 지향은 외재적 직무만족을 높이는 동시에 직무만족에 대한 과잉교육의 부정적 영향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잉교육을 받은 청년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개선하고자 할 때 개인과 직무가 불일치한 맥락적인 상황을 고려하고 직업 가치관이 개인적인 맥락 안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과잉교육의 영향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상담 및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amifications of overeducation on job satisfaction within the unique context of South Korea, which is marked by high tertiary education completion rates and a competitive education and labor market landscape.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s how occupational value orientations modulate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it differentiates between explicitly overeducated workers and those perceived as overeducated, elucidating the distinct pathways through which overeducation influences extrinsic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The study then assesses how these influences are moderated by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 orientations. The sample comprised 1,306 workers in their twenties, all of whom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and secured their first employment positions, as selected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facilita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employed a moderated multimediation model using the PROCESS Macro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orkers who are unequivocally overeducated report significant declines in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irrespective of their value orientation levels, consequently diminishing overall job satisfaction. In contrast, workers who were deemed overeducated only exhibited decreases in intrinsic job satisfaction, and hence in overall job satisfaction, when they lacked an intrinsic value orientation. Intriguingly, as intrinsic value orientation intensified, the transfer of intrinsic job satisfaction to overall job satisfaction diminished, challenging the prevailing positive views associated with intrinsic values. Conversely, extrinsic value orientation not only amplifies extrinsic job satisfaction but also intensifies the adverse impact of overeducation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contextual incongruence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occupational roles and of scrutinizing the role of occupational value orientations within personal contexts in effort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among overeducated young workers.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counseling and policy implications aimed at mitigating and preempting the effects of overeducation.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부모교육 병행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과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단독 중재의 효과 비교

        김성범 ( Kim Sung-bum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부모교육을 병행한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그 지속성에 대해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단독 중재효과와 비교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조사연구의 대상은 D시 소재 J고등학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의심 청소년이 포함된 총 25명의 청소년이며, 선정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각각 9명, 8명, 8명씩 문학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과 부모교육병행 문학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세 집단에 대해 사전-사후-추후 통제집단 설계로 실험의 처치와 그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부모교육을 병행한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과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5주에 걸쳐 주 2회씩 총 10회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 그리고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집단에는 부모교육을 5주에 걸쳐 총 10회 실시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과 부모교육을 병행한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변화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감소되었다. 둘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감소되었다. 셋째, 부모교육을 병행한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은 추후검사에서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감소 효과의 지속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교육을 병행한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감소와 효과성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terary therapy program based on SST(Social Skills Training) combined with parents education to decrease ADHD of adolescents for EBD. 25 adolescents of `J` highschool located in `D` 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9 adolesc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were the literary therapy experiment group, another 8 adolesc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were the literary therapy combined parent educatio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s adolescents were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terary therapy program based on SST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EBD. Literary therapy program based on SST as a tool of integrated therapy with EBD adolescents based upon the results, and the valu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e empirical data. Second,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based on SST in a combination of parents education influenced positively effective to reduce the ADHD of adolescents with EBD. Lastly, ADHD in adolescents with EBD showed a greater persistence of ADHD reduction in later tests through the interaction of SST - based literary therapy programs with parent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SST - based literary therapy program with parents` education affects the decrease and persistence of ADHD in EBD adolescents.

      • KCI등재

        ‘과잉학습 사회’의 파사주로서 교육공간 ― 벤야민의 공간철학과 랑시에르의 ‘역량의 고리’를 중심으로

        김소희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5 No.-

        ‘과잉학습사회’는 치열한 교육경쟁의 결과로서 바라보기보다 도시공간에서 침윤되는 파사주로서 교육공간을 새롭게 바라볼 필요성이 있다. 도시공간의 파사주로서 교육공간은 이미 주어진 공간이라기보다 새로운 ‘교육분위기’를 피어내는 교육풍경 즉 새로운 감성과 지각조건을 학습자의 ‘역량의 고리’에서 바라볼 필요성이 있다. 도시공간의 특성은 수많은 낯선 사람들과 만나는 익명성의 자유에서 학습자들이 학력코드로 치장하는 ‘상자인간’으로 변모하게 한다. 그러나 ‘상자인간’에 갇힌 교육현실은 교육 세 주체의 소통 단절을 가져오며, ‘감성분할’로서 ‘무능의 고리’에 묶이게 하고, 배제로서 등급화하는 공간해석에 포위당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산책자’로서 모자이크된 도시-교육-공간에 학습자의 산책을 허용하며, 추락한 지점에서 비등할 수 있는 ‘역량의 고리’로서 ‘열정의 플랫폼’이 가능함을 피력하고자 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교육공간’의 중요성은 도시공간에 내재된 빈 공간이지만, 오히려 도시공간이 만드는 피로로부터 신선한 활력과 여유를 불어넣어 학습자의 잠재하는 ‘발아력’를 촉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헤테로토피아로서 새로운 교육공간은 학습자들에게 전혀 다른 정서와 감각을 매혹적으로 체험하도록 이끈다. 즉 ‘헤테로토피아로서 교육공간’은 ‘피로사회’와 ‘과잉학습사회’의 탈출구로서 교육에 내재한 ‘이중부담’과 ‘이중낭비’의 사회현상으로부터 급선회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하게 한다. Over-learning society was not caused by fierce educational competition, but we have to look at educational space as a passage permeated in the urban space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The educational space as the passage of urban space is not the given space,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competence link' of learners to understand the concept. They create sensitivity and emotion in the educational landscape that again creates 'educational atmosphere'. The features of urban space turns the freedom of anonymity that enables meeting many different strangers into 'box human' who decorates his/her appearance with educational backgrounds. However, the reality of education encased by 'box human' savers communication and education savers emotions and chains human with competence link and again they are surrounded by space interpretation that tries to classify human for elimination. In the study, city walker is allowed to enter every corner of the mosaic urban educational space and as the competence link that is similar to the site of the crash, 'platform of passion' is possible. Heterotopia's educational space is important but empty space in urban space but it creates fresh vitality and leisure from the fatigue generated by urban space and triggers what is inside learners. As heterotopias, the new educational space attracts learners to have different feelings and senses. Therefore, it finds the ways for heterotopia as educational space to avoid the social phenomena such as double burden and double waste in education as the exit to 'fatigue society' and 'over-learning'. Rather than indulging in zero sum game to preempt better educational backgrounds, learners can find the platform of passion as a walker in the educational space as the passage of urban space. That is, mutual cooperation between social education and educational space in urban space can serve as new heterotopia's educational space and it can find the ways to avoid duplicated burden and duplicated waste inherent in education.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초등학생의 교육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변찬석 ( Byun Chan-su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4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초등학생의 교육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ADHD 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D & U지역의 특수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4개의 대주제와 10개의 중간주제, 23개의 소주제로 나누어 질적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4개의 대주제인 ‘선별과 진단’, ‘교육지원’, ‘방해요소’,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 교사는 ADHD 학생의 선별과 진단에 대하여 기본적인 지식이 있었다. ADHD가 특수교육법에 속하지 않는 장애이지만, 부모의 동의를 거쳐 다른 장애로 선정되어 특수교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의사의 진단이외에 교육적 진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ADH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이 통합학급에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특수학급에서는 다양한 개별지원이 이뤄지긴 하나 중증을 우선 지원하는 경향으로 다소 소외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학급상황의 자율과 통제의 혼란을 염려하면서 요즘 아이 특징을 반영하는 교육방법의 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는 ADHD 학생을 지원하는데 방해요소로는 높은 학생 비율, 교육과 행정업무 과다, 부모의 지나친 요구에 따른 교사의 위축 등을 들었다. 또한 학급상황에서 교사의 지도 한계와 갈등을 교사의 역량부족으로 원인을 돌렸다. 넷째, 특수교사의 요구사항으로는 ADHD 학생 지도에 필요한 적절한 교육과정 제공을 위한 교사교육 및 현직 연수와 같은 제도의 구축과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일원화된 협력체제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ADHD 학생을 차별없이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지원체제와 포함교육의 제도화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있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educational support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D & U area, who had experience teaching elementary students with ADHD. Data gathered was analyzed in 4 main categories, 10 middle themes, and 23 small themes. First, special teachers had a basic knowledge about screening and diagnosis of ADHD students. They understood that those who had ADHD could receive special education services by being identified as different disabilities like EBD with parental consent, although ADHD is disability which does not fall under the Special Education Act. They also suggested that educational assessment would be necessary in addition to a medical doctor’s diagnosis. Second, special teachers thought that educational support for ADHD students was not properly provided in the inclusive class, and the tendency to give priority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might alienate ADHD children a little, although various individual supports were available in the special class. While concerned about the confusion of autonomy and control of the classroom situa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change educational metho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se days. Third, special teachers mentioned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excessive teaching and administrative work, and teachers’ withdrawal due to excessive parental demands as obstacles in supporting ADHD student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and conflicts of teachers in the classroom situation were attributed to the lack of competence of teachers. Fourth, it was recognized that special teachers need to establish a system such as teacher ‘s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to provide appropriate curriculum necessary for the guidance of ADHD students, and a unified cooperation system between inclusive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And it was proposed to institutionalize an appropriate support system and inclusive education to provide ADHD students without discrimination. Discuss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and also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과잉 교육 시대 민주적 인성 발달의 문제에 관한 연구

        정은(Cheong, Eun)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교육은 삶에서 나왔으며 따라서 시대적 상황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런 맥락에서 역사적으로 교육제도의 거듭된 개편과 발전은 인간 개개인의 삶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사회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여 민주시민사회로의 도약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근대화 이후 인류 사회의 가장 중요한 유산이라고도 할 수 있는 사회형태로서 민주사회는 현대 사회에서 근본적으로 재도전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맥락에서 자라나는 세대들의 인성 교육에 관한 교육계의 반성은 변화된 사회적 위기 상황에 대한 마땅한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지금과 같은 과잉 교육 시대에 우리사회 학생들이 건강하게 민주적 인성을 함양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이 필요한지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과잉 교육의 의미 및 그 배경과 함께 무한경쟁, 고학력 실업 등 기존에 제기된 몇 가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과잉 교육의 심각한 폐해는 단순히 경제적 비효율성을 넘어 이러한 환경이 민주사회의 근간이 되는 사회구성원들의 다양성 발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각 개인의 고유하고 다양한 발달의 기본 환경이 되는 일상적인 삶이 과잉 교육으로 말미암아 총체적으로 교육화 되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 사회의 가치와 학생들의 일상생활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이 과정을 통해 삶의 다양성을 회복하고 또 민주적 마음의 습관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진화역사적으로 봤을 때 인성을 포함하여 도덕성 발달은 사람들 간의 직접적인 접촉 속 에서 비로소 그 잠재력 역량이 발현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The education will begin in the life of the people. So, it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ircumstances at that time. Constant evolution of education system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democracy and civil society contributing to achieving individual development. Unfortunately, however, after modernization, democratic society as a social form is fundamentally tried again in modern society. And it has been noted that the failure of character education led to the current social problems. This study, in this context, is to suggest the alternatives for a viable character education needed for a democratic society in the age of overeducation. Also, it is in agony that our society s students increase healthy democratic character. First, it was examined some of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such a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overeducation and unlimited competition, educated unemployment, etc. For this, the meaning, the background and the problems of overeducation such as unlimited competition and educated unemployment has been examined in the study. Trough this, Serious harmful effects of overeducation may be a barrier at community member s diversity. Especially, day-to-day life of individuals have been educating, because of overeducation. The finding is that overeducation has not only brought about economic inefficiency but also crippled social diversity which is a basis for a democratic society.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a changes in the underlying value of our daily life, recovery of social diversity and the habit of democratic mind. It also foun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history,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ethnics could be achieved by direct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in a society.

      • KCI우수등재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사호석(Hoseok Sa),우한성(Hansoun Woo)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5

        과잉학력으로 인한 교육-일자리 미스매치의 확대는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다양한 경제・사회 문제를 야기한다. 이로 인해 교육-일자리 매치 논의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학교와 직장소재지를 기반으로 한 지역 간 이동과 교육-일자리 매치 간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수도권-수도권 유형의 교육-일자리 매치율이 가장 낮았으며, 비수도권-비수도권 유형의 교육-일자리 매치율이 가장 높았다. 수도권-비수도권 유형의 경우 수도권-수도권 유형에 비해 교육-일자리 매치율이 향상된 반면, 비수도권-수도권 유형은 비수도권-비수도권 유형에 비해 교육-일자리 매치율이 개선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1수준(개인수준) 변수와 2수준(지역수준) 변수를 투입한 위계로짓모형을 토대로 교육-일자리 매치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교육・의약・공학 전공, 대학원 졸업, 지식기반서비스업, 임금수준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도권-비수도권 유형에 비해 3가지 유형 모두 교육-일자리 매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수준 변수들에서는 지식기반서비스업 특화도, 지식기반제조업 특화도, 문화시설, 병원 등이 교육-일자리 매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청년층의 교육-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서는 개인・직업적 요인 외에도 지역 산업 및 지역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s the degree of education-job mismatch is increased by over-education, which causes a diversity of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at both national and regional level, education-job match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determinants on education-job match in Korea. First, correlation between migration patterns and education-job match is analyzed. Compared with the rate of education-job match for each type, the match rate of SMA-SMA type is the lowest, and the rate of nonSMA-nonSMA type is the highest. Meanwhile, the rate of education-job match for SMA-nonSMA type is improved than the one for SMA-SMA type, whereas nonSMA-SMA type is not higher than the one for nonSMA-nonSMA type. Next, in order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n education-job match, hierarchical logit model with two level data consisting of personal variables and regional variables is adopted. For the individual level, education, medicine, engineering in the major field, the graduation of graduate school, jobs in knowledge-service industry sector, and wag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match. On the other hand, three type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match in comparison with nonSMA-nonSMA type. For the regional level, the specialization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and hospitals have been positively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regional factors as well as individual elements need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elements to relieve education-job mismatch of the youth.

      • KCI등재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한명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3

        한국어는 후치언어(postpositional language)로서 어미나 조사의 기능이 중요한 언어다. 특히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나뉘는 조사는 그 종류와 기능이 다양하여 한국어교육의 일선에 있는 교원들에게조차 어렵게 다루어진다. 7가지 종류 38개 형태의 격조사, 23개 형태의 보조사 및 17개 형태로 나타나는 접속조사의 종류와 그 기능 등은 한국어교원에게 필요한 교수내용지식(PCK)이고,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배우기 어려운 학습내용이 된다. 이 조사 사용의 어려움을 중급의 한국어 실력을 가진 영어 화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생성한 문장에 나타난 조사 사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확인한 결과 178개의 한국어 문장에 사용된 374개의 조사 가운데 17.6%에 해당하는 66개의 조사 사용 오류가 분석되었다. 구체적인 오류의 양상은 대치 오류가 약 53.2%, 누락 오류가 약 33.9%, 과잉 오류가 약 12.9%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육은 한국어의 말맛을 살리는 조사에 대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사 관련 교육내용을 중요하게 다루고, 영어 화자 및 다른 전치언어(propositional language) 습득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조사에 관한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I found three error type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in 178 Korean sentences made by a Korean learner, Mitch Goshorn, who is an American senior student. During six months in 2011-2012, he was taught Korean language by me in 33 lessons, and he could translate many Korean sentences to English sentences in the picture book, I hate English. In his sentences, 374 distinct postpositions were used. However, 62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ere made by him. According to my analysis, the error types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as follows:Omission, Substitution, and Addition. 35 errors were made for omission, 23 errors for substitution, and 8 errors for addition. These three error types imply that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how to use postpositions in learning Korean language. Therefore, I propose that Korean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KSL)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postpositions so that Korean learners can express postpositions freely.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making a curriculum, selecting pedagogical contents, and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s a postpositional language.

      • 과잉 교육의 투자수익률 추정

        김홍균 ( Hong Kyun Kim ),김지혜 ( Ji Hye Kim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8 재정학연구 Vol.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과잉교육의 교육투자수익률을 추정하는 데 있다. 이를 함에 있어 본 연구는 「전문대·대학교 졸업생의 경제활동상태 추적조사」를 이용했다. 주요 추정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외국의 선행연구들과 같이 과잉교육의 투자수익률은 음이었으나 다른 나라들보다는 커 과잉교육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잉교육의 교육투자수익률은 남자는 -0.0489에서 -0.1382의 값을 여자는 -0.0873에서 -0.1470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정도는 학력이 높을수록 큰 것으로 나타나 남자, 여자 모두 공히 대학원의 과잉교육이 임금 감소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o estimate the rate of return of overeducation. In doing so, we used 「2005 Economic activity survey data for 2 years and 4 years college graduat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milarly to other countries, the rate of return of overeducation is negative. However the magnitude is small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Second, in case of man, the magnitude ranges from -0.0389 to -0.1383. Third, in case of woman, the magnitude ranges from -0.0873 to -0.1470.

      • KCI우수등재

        직무재량과 학습 참여의 관계 및 교육불일치의 조절효과

        김경년(Kim, Kyung Ny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재량과 학습 참여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으로 학습유형별로 직무재량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불일치에 의한 직무재량과 학습참여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직무재량은 의사결정, 문제해결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바람직하지만 도덕적 해이를 일으킬 수 있어 양날의 검으로 인식된다. 직무재량이 부여하는 선택의 자유와 범위 확대는 학습의 장애를 제거하지만 학습 참여 의지 및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과잉교육이 사회적 인력활용에서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지만 과잉교육과 직업훈련 참여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육불일치를 직무기술에서 요구와 성취의 차이로 보는 직무성숙도의 시각에서 직무재량과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IAAC 2012 자료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설정하고 인지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직업과 관련한 형식학습에서 직무재량은 학습참여와 비선형 관계가 있었으나, 비형식학습에서는 직무재량과 학습참여는 선형 관계가 있었다. 교육불일치는 형식학습에서 직무재량과 학습 참여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에 비형식학습에서는 교육불일치의 주효과만 유의미하였다. 직무재량과 성인학습 참여의 비선형관계(curvelinear)는 학습참여에서 직무재량의 양날의 검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또한 직무재량과 교육불일치의 상호작용 효과는 과잉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직무재량을 확대하는 것이 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iscretion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to analyze the variating relationship by learning typ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ducational mismatch on the relationship. Job discretion is desirable for securing flexibility in decision-making and problem-solving, but it can cause moral hazard and is recognized as a double-edged sword. This study is anchored on the fact that the freedom of choice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given by job discretion remove obstacles to learning, but may affect the willingness and attitude to participate. Although over-education continues to be an issue in the use of social manpower,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have been conduc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discretion and its inter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job maturity, which sees educational mismatch with the concept of demand and achievement in general job skills. In this study,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using PIAAC 2012 data and analyzed in a controlled state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while job discretion has a curve-linear relationship in formal learning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t has a linear relationship in non-formal learning. Education mismatch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iscre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in formal learning, whereas in non-formal learning, only the main effect of educational mismatch is significant. The interactive effect of job discretion and educational mismatch suggests that expanding job discretion can be a way to increase productivity in our society where over-education is expanding.

      • KCI등재

        태교胎敎에서 신위神位까지, 총체적으로 과잉 교육화된 사회?

        정성원 東洋社會思想學會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현대한국사회의 대다수 학부모들이 자녀의 미래설계와 관련해서 한 번은 생각했을 인생지도는 태교/원정출산 → 탈세 및 자녀상속/위장전입 → 영어유치원/특목고/SKY입학 → 병역면제 → 자기계발 → 신위 등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베른슈타인의'총체적으로 교육화된 사회' 개념으로 '태교에서 신위까지를 어떻게 사회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해 연구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우리는 학부모들이 현대한국사회가 요구하는 '교육능력'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 물을 것이다. 이에 학부모들은 공시/통시-사회적 압력의 목록들로 그러한 능력을 이해·해석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두 번째, 우리는 그러한 사회적 압력들에 대해 그 학부모들이 보인 행동을 중심으로 '총체적 교육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세 번째, '교육의 개인 식민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해 살피면서, 우리는 교육이 개인의 정신에도 침범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가지 답변을 통해 현대한국사회의 성격을'총체적으로 과잉 교육화된 사회'로 규정할 것이다.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 majority of parents wish their children to draw a map of a successful life, ranging from the prenatal education to the ancestral tablet. In this regard, I attempt to explain this social phenomena in terms of Bernstein's concept of 'totally pedagogised society'. For this, firstly, we will ask how parents understand the 'trainability' Korean society requires. In this regard, we argue that parents recognize the trainability through the list of synchronic and diachronic-social pressures. Secondly, we argue that 'totally pedagogising' is realized through parents' reactions to such social pressures. Thrdly, we argue that pedagogy encroaches upon the individual's spirit, looking at how an individual is colonized through it. Finally, with three arguments above, we define the nature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s 'the totally over-pedagogisie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