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치의학 교육 평가인증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김경년(Kyung-Nyun Kim),김윤진(Yun-Jin Kim),김주아(Ju Ah Kim),김지연(Ji-Youn Kim),김각균(Kack-Kyun Kim),이재일(Jae Il Lee),신제원(Je-Won Shin) 대한치과의사협회 2015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3 No.3

        The Korean Institute of Dent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DEE) was established in 2007 to provide the quality assurance in dental education. The KIDEE has been recog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Jan. 2015 for 5 years. KIDEE had accredited basic dental education programs of all 11 Korean dental schools. The dental accredit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encourage the improvement for dental schools, to ensure the quality of dental practice and most of all,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ly compatible system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he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is supported by voluntary service of many dental professionals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dental education program in all institutions. The accreditation by KIDEE let the students and the dentists be taught with assured education program and the all Koreans be cared by the qualified dentists. A quality education system thus provides a sufficient number of qualified dental health professionals to meet the workforce needs of the nation. Ultimately, this should result in quality oral health care for the public. Finally, by specifying the competencies of graduates, the standards will define the scope of dental practice. This may serve to define the profession of dentistry and differentiate it from other health professions, or to differentiate among the specialties in dentistry in the case of advanced dental education programs.

      • KCI우수등재

        학교의 지역사회 기관 활용 조건 : 전문성 신뢰와 거래비용 감소

        김경년(Kyung-Nyun Kim),김현수(Hyeon-Su Kim)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3

        학교의 지역사회 기관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교육복지 수요의 증가는 학교가 부족한 자원을 보충하기 위해 지역사회 기관을 학교 내로 끌어들이는 흡인(pull) 요인이 되고 있는 반면에 교육복지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의 과다, 업무수행의 어려움은 교육복지 서비스 제공을 학교에서 지역사회로 밀어내는 배출(push)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에서 학교의 지역사회 기관 활용의 조건 탐색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제까지 교사의 전문성은 교직의 자율성을 뒷받침하는 논거이지만 지역사회와 협력의 장애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교사의 지역사회 기관에 대한 전문성 인식을 조사하고 지역사회 기관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학교가 지역기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지역기관의 교육서비스 제공 계약 체결과 계약의 이행 과정에서 거래비용이 발생할 때 학교의 지역기관 활용은 제한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중간지원조직인 지역교육복지센터가 교사들의 지역사회 기관 활용에 따른 거래비용을 축소하여 지역기관의 활용을 촉진하는 여건 조성에 대한 분석이다. 교사의 지역사회 전문성 인식이 지역사회기관 활용에 미치는 영향 검증에는 도구변수분석을, 지역교육복지센터의 활용이 거래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상담 및 심리정서 지원, 문화체험 활동, 돌봄 및 생활지원, 부모상담 및 교육, 공동사례관리에 대해서 지역사회가 학교에 비해 더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지역사회 기관의 교육복지 전문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지역사회 기관의 활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지역사회 기관 활용에 발생하는 거래비용은 장애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중간지원조직인 지역교육복지센터를 활용하였을 경우에 지역기관 활용의 거래비용이 감소하였다. The increase in educational welfare demand due to the lack of school resources is becoming a pull factor to attract community institutions into schools. Teachers’ too much time spent on educational welfare work is becoming a pushing factor moving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welfare services out of th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for school to use community organizations.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is an argument to support the autonomy of the teaching profession, but it acts as an obstacle to cooperate with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f expertise of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o investigate their impact o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s. When teachers collects information about local agencies and makes contracts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s, transaction costs incur and the use of local institutions may be restricte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gional education welfare center reduces the transaction cost for school’s use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Instrumental variable analysi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were conducted to carry out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eachers recognize that communities are more specialized than schools in terms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care and life support, parent counseling and education, and joint case management. Teachers’ positive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expertise of community organizations increases their use of community organizations. The transaction costs incurred in the use of community institutions are obstacles and the local educational welfare center decreases the transaction cost of using the local institution.

      • KCI우수등재

        거울뉴런(mirror neurons)의 이해 및 탐색: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관계 및 교육학적 의미

        김경년(Kim, Kyung Ny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대한 이론 체계를 조망하여 상징적 상호작용의 작동 기제를 거울뉴런이 어떻게 그 근거를 제공하는지 고찰하고 또한 거울뉴론의 의미를 분석하여 교육학적 적용과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연구의 초점을 학교의 실제 생활에 위치시키며 학교에서 일어나는 명시적 혹은 묵시적 상호작용과 실천에 대한 이해 제고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Mead 이론에서는 어떻게 정신, 자아, 사회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출현하고 유지되는지에 대한 경험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거울뉴론은 Mead 이론에 대한 작동기제를 제시하며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두 이론의 의미와 행동 이해, 상상적 시연과 체화된 시뮬레이션, 자아 발달에서 타자 역할, 사회와 거울뉴론의 선후관계를 상호연관시키고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뇌 과학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거울뉴론 연구를 교육학 연구자의 관점에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Mead 이론에서 제시하지 않은 거울뉴런의 지각-행동 체계에 의한 전의식적 과정을 통해 우리가 타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을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한 이해 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지각-행동 체계와 전의식적 관점에서 주요한 교육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목표, 인식체계, 맥락체계, 교수-학습활동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거울뉴론 연구의 학문적 유행에도 불구하고 교육학적 의미에 대해서 국내외에서 드물게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울뉴론 이론의 교육학적 의미와 활용 가능성 탐구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Mead s symbolic interaction theory (STI), to examine how mirror neurons provide the basis for the working mechanism of symbolic interaction, and to explore pedagogical applications and utilization potential by analyzing the meaning of mirror neurons. STI placed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real life of schools and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explicit and implicit interactions and practices occurring in them. However, in Mead s theory, there is no empirical basis for how the mind, self, and society emerge and are maintained based on social interaction. The mirror neuron theory implicates the working mechanism for Mead’s theory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STI. This study revealed the validity of the two theories by correlating an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action understanding, imaginary rehearsal and embodied simulation, the role of others in ego development, and the antecedents of society and mirror neurons. In this process, mirror neuron research conducted by brain scientists is presented in an easier-to-understand manner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ical researchers. Above all,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hange in the way we understand how we learn behavior by observing the behavior of others through the preconscious process of perception-action coupling of mirror neurons, which was not suggested in Mead’s theory. Major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hese perceptual-behavioral systems and preconscious perspectives, and they were explor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gnitive systems, context system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 거울뉴런(mirror neurons)의 존재, 상징적 상호작용론과의 관계 및 교육학적 의미

        김경년(Kim, Kyung-Ny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2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연구의 초점을 학교의 실제생활에 위치시키며 학교에서 일어나는 명시적 혹은 묵시적 상호작용과 실천에 대한 이해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여러 관점을 종합하여 이론적 관점을 제시한 Mead는 정신, 자아, 사회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어떻게 출현하고 유지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특히 정신과 자아에 대한 Mead의 관점은 현대 뇌 과학연구의 거울뉴론의 작용에 해당하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거울뉴런은 인간의 마음 특히 공감을 이해하는 원천으로 여겨지고 행동경제학의 근거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거울뉴론 이론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두 관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어떻게 거울뉴런이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대한 신경학적 이해를 제시하는지 제시하였다. Mead가 제시한 의미, 상상적 시연 등이 거울뉴런에서 행동 이해와 체화된 시뮬레이션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거울뉴런의 교육학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Symbolic interaction theory placed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real life of schools and contributed a lot to improving understanding of explicit or implicit interactions and practices occurring in schools. Mead, who presented a theoretical perspective by synthesizing various viewpoints of symbolic interactionism, showed how the mind, self, and society emerged and maintained based on social interaction. In particular, Mead s perspective on the mind and the self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mirror neurons in modern brain science research. Mirror neuron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they are considered a source of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especially empathy, and provide a basis for behavioral economics. Based on Mead s analysis of symbolic interaction theory and mirror neuron theory, this study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and suggests how mirror neurons present a neur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posed by symbolic interaction theory. It was explained how the meanings and imaginary demonstrations suggested by Mead are related to behavior understanding and embodied simulations in mirror neurons. Final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mirror neur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개방등록제를 통한 비겨주지 학교 선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배정을 통한 실험적인 접근의 결과

        김경년(Kim, Kyung-Nyun),이필남(Yi, Pilnam)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1

        본 연구는 2010년 서울특별시에서 실시한 고등학교 선택제도의 일종인 개방등록제(open enrollment)의 도입에 따른 비거주지 학교선택 동기, 학교선택동기와 사회경제적 배경의 연관성, 비거주지 학교 선택의 효과, 비거주지 학교선택 동기와 학교선택 효과의 관계 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고교선택 제도가 지니고 있는 확률 추첨에 의한 실험설계적 요소를 활용하여 비거주지 학교를 선택한 학부모와 학생들의 감추어진 특성에 의한 추정의 오류, 즉 선택편의 (selection bias)를 통제하면서 학교선택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거주지 학교선택의 동기는 대학진학 실적, 학교명성, 프로그램 등 학업 성취적 요소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학교시설, 친구, 내신 성적 유리 등 비학업적인 요소도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비거주지 학교선택 동기는 가정배경보다는 중학교 시기의 학업성취 수준과 연관성이 있었다. 비거주지 학교선택의 학업성취 효과는 국어와 영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학교과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비거주지 학교선택의 동기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다른 영향을 보였으며 대학진학 실적, 학교 명성 혹은 교육 프로그램이 학교선택의 주요 동기인 경우에 국어나 영어에서 성취도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끝으로 서울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개방등록제가 부유층의 감추어진 학교선택 수단인 거주지 이전과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비하여 부모의 학력이나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저소득층에게도 원하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기회의 실질적 평등을 실현시킬 수 있는 제도라는 측면에서 고교 평준화 제도와의 병립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district school choice reasons,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hoice reasons and SES, and the effects of inter-district school choice on student achievement under the high school choice scheme of Seoul Metropolitan City in 2010. Utilizing random assignment element in high school choice by lottery, the study controlled for selection bias, that is, measurement errors in school choice effects caused by unobservable traits of parents and students who made choice. The study found that the main reasons of inter-district choice included percentage of graduates who advanced to top-tier universities, prestige, and program quality, but school facilities, friends, and relative advantage in high school GPA were also reasons for inter-district choice. The reasons for inter-district school choice were more highly correlated with students' achievement level in middle school years than SES. The effects of inter-district school choice on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English, but not in mathematics. The effects varied by inter-district school choice reasons: those who had chosen high school based on percentage of graduates advancing to top-tier universities, school prestige, and program qua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achievement level in Korean and English. Finally, the study discussed a paralleled implementation of school leveling policy and open enrollment school choice considering that the open enrollment school choice is a policy which can realize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for low-income disadvantaged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기관 간 협력의 구조

        김경년(Kim, Kyung-Nyu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연구 Vol.25 No.1

        Lately, the approach to pubic agenda through the network form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hereby their cooperation is considered an salient method for solving community problems and enhancing policy effectiveness. The formation of network means not only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ut the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to partners on network through the integration of each organization’s service to accomplish their objectiv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trainment or exchange in networks of information, resources, projects related to supporting school’s educational welfare tasks. Entrainment in this study stands for unilateral support without any returns from supported organizations, while exchange means transaction including the exchange process of rewards and costs. This study targets community organizations in Seoul Sungbuk Municipal where cooperation among community organizations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and systemized on educational welfare issues. This study applied multivariate network analysis among information, resource, and project networks using random graph models. Results show that community organizations have interacted with each other based on entrainment rather than exchange. That is, the organizations provide unilateral support for other organization in network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regional input-output tables where outputs of some organizations become an input for the other organiz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ep fundamentals enabling this entrainment process may be an open system of community society and non-distribution constraint for nonprofit organizations.

      • KCI등재

        학교와 지역사회 기관 간 네트워크 형성: 동종선호에 의한 협력 및 구조적 공백의 중개

        김경년(Kim, Kyung-Nyun),정지윤(Jung, Ji-Y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s) 이론과 동종선호(homophily) 개념을 활용하여 교 육복지 지정 여부에 따른 지역기관과 협력행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기관 중 복지기관 내에서 동종선호에 의한 정보공유 협력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더불어 학교와 지역 기관 간 구조적 공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육복지 학교로 지정되지 않은 학교와 지 역기관의 연계를 위해 인위적인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관인 교육복지센터가 유 의미한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방법론 측면에서 네트워크를 기술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을 사용하여 지역기관에 존재하 는 네트워크 구조 및 동종선호 현상을 통계적 추론을 통해 검증하였다. This study, using the concept of structural holes and homophily, analysed a difference in cooperation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in respect of a school structure such as a designation of educational welfare school. This study found strong homophily among community welfare organizations except complex welfare facilities. We found a structural hole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We also demonstrated that Educational Welfare Center, imposed to mediate non-welfare school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performed successfully its tasks. From method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went beyond describing network and made statistical inference using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