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과 대만에 대한 피셔효과의 재검정 - 구조적 단절을 고려한 공적분 분석 -

        이기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the Fisher effect holds in China and Taiwan. This study firstly tests the stationarities of nominal interest rates and expected inflation rates, and secondly tests the possible cointegration between those variables with Zivot-Andrews method and Gregory-Hansen method, which explicitly takes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structural break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All those time series variables have unit roots, and cointegrations with a structural break hold in China and Taiwan. Then Johansen test is conducted over the entire sample period, and the sample period is divided based on the points of the structural breaks, and the same test was performed for the each divided period. In China, the cointegration does not hold in the pre-structural break period, but holds both in the periods of post-structural break period and in the entire sample period. In Taiwan, cointegration holds in all those three periods. The increases of expected inflation rates in all periods in both countries raise the nominal interest rates when cointegrations hold, which can be seen in the long-run equilibrium equations. The error correction terms of the ECM works well. Therefore, the Fisher effect appears to holds in both countries. The above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In both countries, cointegrations with a structural break hold throughout the entire sample period, and so the presence of Fisher effect is also recognized. In most divided sample periods of China and Taiwan, cointegration also holds, bu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the cointegration can be found before and after the structural break. Therefore, it is also found in the case of China and Taiwan that the use of traditional cointegration model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structural breaks would likely lead to the wrong conclusion due to a serious decrease in statistical power. 본 연구는 중국과 대만에서 피셔효과가 유효하게 성립하는지에 대하여 검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구조적 단절의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감안하는 지봇-앤드루스(Zivot-Andrews) 검정법과 그레고리-한센(Gregory-Hansen) 검정법을 사용하여 명목이자율과 예상인플레이션율 변수의 안정성과 공적분 관계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과 대만의 해당 시계열 변수들이 모두 단위근을 가지는 것으로 인정하였으며, 양국은 모두 구조적 단절이 존재하는 공적분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확인한 후 전체 표본 기간에 걸친 요한슨(Johansen) 공적분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구조적 단절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표본 기간을 분할하여 각각의 기간에 대해서도 동일한 공적분 검정을 시행하였다. 중국에서는 구조적 단절 이전 기간에서는 공적분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구조적 단절 이후의 기간과 표본 기간 전체에 걸쳐서는 공적분이 성립하였다. 대만에서는 모든 기간에 대해 공적분이 다 성립하였다. 양국에서 공적분이 성립하는 모든 기간에 대해서 예상인플레이션의 상승은 실질금리를 상승시키는 것이 장기관계식을 통해 나타났으며, 오차수정모형의 오차수정항에서의 조정과정도 모두 유효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양국에서 피셔효과는 모두 성립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종합할 수 있다. 양국에서는 표본 기간 전체에 걸쳐 구조적 단절을 지닌 공적분이 존재하며 피셔효과의 존재도 인정된다. 분할된 기간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경우 공적분은 성립하지만, 구조적 단절을 전후하여 공적분 구조에 상당한 차이가 발견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 단절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전통적인 공적분 모형을 사용할 경우, 검정력의 저하로 잘못된 결론에 이를 가능성이 있음을 중국과 대만의 경우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The Impact of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Co-integration Relationships in Korea, Japan, China and the U.S. Stock Markets

        Kim, Kyu-Hyong(김규형),Jiang, Ji-Yun(강기운)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3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적분 현상이 한국, 일본, 중국 그리고 미국의 주식시장 사이에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고 그로부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특히 공적분 현상에 대해서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들과 논의를 검토한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가 공적분의 구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방법] 각국의 주식시장에서의 구조적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서 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위기이전기간, 위기진행기간, 위기 이후 기간으로 나누어서 공적분의 형태를 살펴본 결과 각 기간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공적분 현상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2개국사이의 공적분과 3개국사이의 공적분을 살펴보면 위기진행기간과 위기 이후의 기간에 계속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때의 공적분은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미국을 제외한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 사이의 공적분 현상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동북아시아 지역에도 여타의 다른 지역에서의 연구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지리적 근접성에 근거한 공적분 현상이 글로벌 위기 이후 기간부터 존재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과관계적인 측면에서 볼 때 위기 이후 기간에 한국의 경우 장기와 단기 모두에 걸쳐서 영향력이 점점 약해지는데 비해서 일본과 중국은 상호간의 인과관계는 모든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중국은 한국, 일본뿐 만 아니라 미국에 대해서도 단기적인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은 위기진행기간에 국한해서 미국에 대한 일방적인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 발견한 동북아지역의 지리적 근접성에 의한 공적분의 강화에 근거하여 주식시장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 질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We investigated how the co-integration among the three far -eastern countries and the U.S. has changed for the last two decades. [Methodology] We adopted co-integration testing approach to find that there is no co-integration among the stock markets of Korea, Japan, China and the U.S. for the period from December 1997 to April 2016.However, once we took structural changes into consideration (pre- financial crisis, during financial crisis, and post-financial crisis), each sub-period showed its own co-integration. [Findings] We found tha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ve triggered geographical proximity based co-integration in the three far eastern countries (Japan, Korea, and China) for the post-crisis period. Bi- variate and tri-variate co-integration test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o-integration during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creased and that the U.S. played a pivot role in those co-integrations. Korea seems to have lost long run causality but also short run causality from other countries after the financial crisis. Japan and China maintained their bi-directional long run causality with the U.S. all through the years. China began to have short run causality relationship to Korea, Japan, and the U.S. after the financial crisis, while Japan showed short term one-directional causality to the U.S. only during the crisis. [Implications] Rational decisions concerning stock investments in far eastern Asian countries are supposed to be made if those decisions are based upon the empirical finings in this study.

      • KOSPI200 기초자산과 파생상품 간의 분수 공적분 관계에 대한 연구

        김태혁,임순영,박갑제 한국재무학회 200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04

        본 연구는 기초자산인 KOSPI200과 그 파생상품(KOSPI200 선물, 옵션) 가격들 사이의 장기적 균 형관계를 분수 공적분 검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각 시장들 간의 분수 공적분 관계를 파악하기 위 하여 수준자료에서의 KOSPI200 주가지수의 종가와 KOSPI200 선물, 옵션(등가격)의 최근월물의 종 가 시계열에 대한 단위근 검정을 실시한 결과 현물과 선물의 시계열은 수준에서 단위근을 가짐으로 써 시계열 불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고, 옵션의 경우는 수준자료에서 단위근 존재에 대한 귀무가설 을 기각함으로써 안정적인 시계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준에서 안정적인 시 계열을 가지는 옵션을 제외하고 현물과 선물 가격간의 공적분 여부를 살펴 본 결과 표준적인 공적 분 관계(CI(1,1))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시계열 변수사이의 장기균형관계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실증적 증거를 찾기 위하여 분수 공적분 여부를 살펴보았다. 공적분 관계가 성립하기 위 하여는 두 변수 사이의 차분계수가 동일하여야 하므로 그에 대하여 이변량 제약 GPH 추정을 한 결 과 모든 bandwidth 모수 m에서 유의한 차분계수를 가짐으로써 현물과 선물 종가 시계열은 공적분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공적분회귀식에서의 균형오차항을 추출하여 그에 대한 GPH추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bandwidth 모수 m값에서 추정된 차분계수가 -1/2<<1/2값을 가짐에 따라 분 수공적분 되어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각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의 가격 사이의 균형관계에 대한 충격의 영향이 쌍곡선율로 느리게 감소하는 특성을 표현 할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 즉, 분수 공적분은 균형오차가 분수 차분된 장기기억(long memory)과정을 따르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충격으로 인한 영향이 단기에 사라지지 않고 균형가격으로의 회귀가 매우 느리게 나타남을 의미하 는 것이다. 따라서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의 가격 간에 분수 공적분관계가 성립한다면 기존의 선행연 구들에서 선도-지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오차수정모형은 오직 장기의 시계열에서만 의미있는 모형 이 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기초자산을 이용하여 위험을 헤지하거나 시장간 차익거래를 통하여 초 과이윤을 얻고자 하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있어 그들의 투자전략이 어떻게 변화하여야 되는지에 대 한 정보를 함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간 수출입 구조에 대한 실증분석

        이기환,송윤희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2

        This study concluded by empirically testing whether there i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imports and other macroeconomic variables in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implicitly assumed the symmetry of the cointegration between variables, this paper explicitly t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cointegration between the variables has asymmetries. The monthly macroeconomic data used are exports and import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of Korea and China, and the exchange rate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9. As results of testing by performing the linear cointegration tests,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cointegration relationship was found only in the import sector from China, not found in the export sector to China. As results of testing the asymmetric cointegration tes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symmetrical cointegration relationships in both the export and import sectors to China. Considering that the results of results from the M-TAR model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TAR model, it can be concluded that such results are due to the specificities of exports and import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are continuously affected by the trend changes of the global economy. It was found that the adjustment speed when there were the positive gaps from the equilibrium was higher than when there were negative gaps. In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threshold error correction models showing the short-term adjustment process between the variables, each coefficient of the error correction terms also showed different adjustment speeds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deviations from the equilibrium. Therefore, there are cointegration relationships with asymmetric adjustment processes among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o empirical tests based only on traditional linear cointegration theories seem to possibly lead to false conclusions.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간의 무역에서 수출수입과 여타 거시경제 변수들 사이에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변수들 간의 공적분 관계의 대칭성을 암묵적으로 가정했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이 논문에서는 변수들 간의 공적분 관계가 비대칭적 성격을 지닐 가능성에 대해서 명시적으로 검정하였다. 사용된 거시경제 데이터는 대중국 수출과 수입, 중국과 한국의 산업생산지수, 그리고 환율이다. 먼저 선형 공적분 기법을 적용하여 검정한 결과로서, 대중국 수입 부문에서만 유의한 공적분 관계의 존재를 발견하였고, 수출 부문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비대칭 공적분 기법을 적용하여 검정한 결과로는, 대중국 수출과 수입 부문 모두에서 비대칭적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TAR모형을 사용한 결과가 TAR모형의 결과보다 더 우수한 점을 감안하면, 세계경제의 추세적 변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받는 한국과 중국 간 수출입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짐작된다. 공적분 균형으로부터 양의 괴리가 존재할 경우의 조정 속도는 음의 괴리가 존재할 경우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사이의 단기적 조정과정을 보여주는 임계오차수정모형에 대한 추정 결과에서도, 오차수정항의 각 계수들은 균형으로부터의 양의 괴리와 음의 괴리에 대해서 다른 조정 속도를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 간에는 비대칭적 조정과정을 지니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며, 전통적인 선형공적분에 근거한 통계적 검정은 잘못된 결론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시차공적분을 통해 본 수도권과 비수도권 아파트시장의 특성

        강임호,조영진 국토연구원 2014 국토연구 Vol.80 No.-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unse price indexes, between sales price indexes, between junse-sales ratios, and finally between junse and sales prices of Gangnam, Gangbuk, and six metropolitan areas, using cointegration tests considering lagged relationship of variab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unse indexes are strongly cointegrated nationwide. On the other hand, the sales indexes are cointegrated inside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respectively, but not between the two areas. Second, junse-sales ratios are weakly cointegrated between the two areas. Third, junse and price indexes are not co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the capital areas, but are in the non-capital area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nationwide apartment market can be divided into the capital area with unstable sales prices and the non-capital areas with stable sales prices, but generally can be viewed as one market. 본 논문은 공적분에 시차를 고려하여 강북, 강남 그리고 6대 광역시(이하 8대 지역)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이하 전세지수) 간, 매매가격지수(이하 매매지수) 간, 전세매매비율 간,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지역의 전세지수와 매매지수 간의 관계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8대 지역의 전세지수는 전국적으로 강력하게 공적분되어 있었다. 매매지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각각 내부적으로는 공적분되어 있지만, 그들 간에는 공적분 관계가 없었다. 둘째, 전세매매비율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에 미약한 공적분 관계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수도권 지역에서는 매매지수와 전세지수가 공적분되어 있지 않고,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양 지수가 공적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은 전국의 아파트시장을 매매가격이 비교적 불안정한 수도권 지역과 안정적인 비수도권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The Dynamics of Nominal Exchange Rates in a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

        김창식(Chang Sik Kim) 한국계량경제학회 2006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17 No.2

        이 논문은 표준 공적분 모형보다 더 넓은 범위의 평균 회귀적 성향을 포함하면서 장기적 경제 변수의 균형관계를 모델화 할 수 있는 분수 공적분 모형에서의 효율적인 추정방법을 소개한다. Phillips and Hansen(1991)의 Fully-Modified 방법이 분수 공적분 모형에서도 이차 편의를 줄일 수 있는 추정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거하여 명목환율의 동태적 움직임을 분수 공적분 모형하에서 분석한다. 이 논문의 실증 분석에서는 1957∼1997 사이의 명목환율에서 장기적 균형관계, 즉 공적분 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This paper introduces an efficient estimation for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s which capture long run economic equilibrium relationships while allowing for a wider range of mean reverting behavior than standard cointegration analysis. The Fully-Modified method which is suggested in Phillips and Hansen (1991) can be applicable to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s to reduce second order biases. The comovement of nominal exchange rates is analyzed in a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s. Exchange rates dynamics are estimated by the efficient estimation method. Empirical results based on data for the 1957∼1997 period show that there exist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in a group of exchange rates.

      • KCI등재

        The Dynamics of Nominal Exchange Rates in a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

        Chang Sik Kim(김창식) 한국계량경제학회 2006 계량경제학보 Vol.17 No.2

        이 논문은 표준 공적분 모형보다 더 넓은 범위의 평균 회귀적 성향을 포함하면서 장기적 경제 변수의 균형관계를 모델화 할 수 있는 분수 공적분 모형에서의 효율적인 추정방법을 소개한다. Phillips and Hansen(1991)의 Fully-Modified 방법이 분수 공적분 모형에서도 이차 편의를 줄일 수 있는 추정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거하여 명목환율의 동태적 움직임을 분수 공적분 모형하에서 분석한다. 이 논문의 실증 분석에서는 1957∼1997 사이의 명목환율에서 장기적 균형관계, 즉 공적분 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This paper introduces an efficient estimation for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s which capture long run economic equilibrium relationships while allowing for a wider range of mean reverting behavior than standard cointegration analysis. The Fully-Modified method which is suggested in Phillips and Hansen (1991) can be applicable to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s to reduce second order biases. The comovement of nominal exchange rates is analyzed in a fractional cointegration models. Exchange rates dynamics are estimated by the efficient estimation method. Empirical results based on data for the 1957∼1997 period show that there exist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in a group of exchange rates.

      • 효율성과 무지, 그리고 환경피해 - 석면 악성중피종의 환경성질환 중심으로

        손동희,전용일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7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경제학 공동

        본 고에서는 효율성에 의해 경제성장과정에서 장기간 유용하게 사용된 석면의 소비와 대표적인 환경보건이슈인 환경성질환 간의 관계에 대한 시계열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다양한 환경성질환 중 석면의 기여위험도가 매우 높은 악성중피종을 중점분석대상으로 삼아, 영국·미국·한국에서의 석면 표관 소비량과 십만명당 악성중피종 발생비율 간의 시차분석과 장기균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시차분석은 교차상관분석기법을 활용하였고, 장기균형분석에서는 공적분 검정을 적용하였다. 시차분석결과, 3개 국가 공히 34년가량의 장기시차를 두고 교차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적인 공적분 검정조건이 장기시차를 둔 변수들 간에도 적용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검토 결과, 일반적인 공적분 검정조건이 장기시차를 보이는 변수를 대상으로 한 공적분 검정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한슨 공적분 검정결과, 영국과 미국에서는 석면 표관 소비량과 십만명당 악성중피종 발생비율 간에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였으나, 한국의 경우에는 공적분 관계를 특정하기 어려워 석면 표관 소비량과 십만명당 악성중피종 발생비율 간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석면규제의 역사와 규제형태, 주로 사용한 석면종류의 유해성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이다.

      • KCI등재

        金融發展과 經濟成長의 關係 - 국제패널 共積分 分析 : 金融發展과 經濟成長의 關係

        전상준(Sangjoon Jun) 한국경제발전학회 2007 經濟發展硏究 Vol.13 No.1

        본고에서는 20개국 표본(1960-2003)과 패널 공적분 검정 및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금융발전과 경제성장간의 관계를 다양한 국가집단별로 분석하였다. 우선 패널 단위근 검정을 통해 실증분석 제 자료에 단위근이 존재함을 증명함으로써, 단위근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 연구결과들은 가성회귀 문제로 인해 추정과 추론 결과의 신뢰성이 저하됨을 알게 되었다. 패널 공적분 검정에 의해 공적분 관계를 파악한 후 3 가지 패널 공적분 추정기법을 사용하여 회귀방정식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양방향 공적분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사용된 표본의 1인당소득 중위수 기준의 소득수준별 분석에서는 표본내 고소득국가 집단보다 저소득국가 집단의 금융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반면, 저소득국가보다 고소득국가의 경제성장이 금융발전에 미치는 효과가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인플레율별 분석에서는 고인플레율 국가보다 저인플레율 국가에서 금융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및 그 반대효과가 모두 더 크게 추정되었다. 이는 인플레이션 억제정책이 경제성장 촉진 및 금융시장 발전에 모두 필수적이라는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n various country groups of the twenty country sample over 1960-2003, using panel cointegration testing and estimation techniques. Panel unit root tests indicate the existence of unit roots in the data series. Hence, the reliability of estimation and inference results in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do not consider unit roots is reduced due to the spurious regression problem. Based on panel cointegration tests, the regression equation is estimated by three different panel cointegration method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bi-directional cointegration relation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effect of financial development on growth in low-income countries is greater than that in high-income countries, while the effect of growth on financial development in the high-income group is larger than that in the low-income group, using the median of per capita GDP within the sample as the criterion for group classification. Moreover, both effects in low-inflation countries are greater that those in high-inflation countries, which provides a policy implication that inflation containment policy is essential to both economic growth and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 KCI등재

        2단계 하이브리드 주가 예측 모델 : 공적분 검정과 인공 신경망

        오유진,김유섭,Oh, Yu-Jin,Kim, Yu-Seop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4 No.7

        본 논문에서는 주가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적분 검정(Cointegration Tests)과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을 사용한 2단계 하이브리드 예측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예측을 시도하고자 하는 종목의 일자별 개별 레코드를 인공 신경망과 같은 방법으로 학습함으로써 주식 데이터가 가지는 시계열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는데, 새로 제안한 모형에서는 주식자료의 과거시차들의 값들도 인공 신경망의 속성(feature)으로 사용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또한, 예측대상종목의 정보들 외에도 장기적으로 높은 시계열 유사성을 보유한 종목들을 선발한 후 속성으로 사용하여 모형의 예측성능을 향상 시켰다. 구체적으로 1단계는 Johansen의 공적분 검정을 통하여 예측대상종목과 장기적 관계(long-term relationship)에 있는 종목을 추출하고, 2단계는 이 선발된 종목들과 예측대상종목의 시계열 정보 특성을 속성으로 구축한 인공 신경망으로 학습하여 관심 종목을 예측한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KOSPI 지수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시가총액 상위 종목군을 대상으로 지수와의 공적분 검정을 하였다. 성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정보가 속성으로 반영된 단순 인공 신경망 모델, 공적분 검정을 통과한 종목들의 시계열 속성이 포함된 모델, 그리고 그 모델과 속성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임의로 종목을 선택하여 이들의 시계열 속성이 포함된 모델을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공적분 검정을 통과한 종목군의 속성이 결합된 모델은 단순 인공 신경망만으로 학습된 기존 모델에 비하여 평균적으로는 11.29% (최대 29.98%)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임의로 선택된 종목군의 속성이 결합된 모델에 비해서는 평균적으로는 10.59% (최대 25.78%) 가 향상된 예측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In this research, we proposed a two-phase hybrid stock price forecasting model with cointegration test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Using not only the related stocks to the target stock but also the past information as input features in neural networks, the new model showed an improved performance in forecasting than that of the usual neural networks. Firstly in order to extract stocks which have long run relationships with the target stock, we made use of Johansen's cointegration test. In stock market, some stocks are apt to vary similarly and these phenomenon can be very informative to forecast the target stock. Johansen's cointegration test provides whether variables are related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we learned the model which includes lagged variables of the target and related stocks in addition to other characteristics of them. Although former research usually did not incorporate those variables, it is well known that most economic time series data are depend on its past value. Also, it is common in econometric literatures to consider lagged values as dependent variables. We implemented a price direction forecasting system for KOSPI index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As the result, our model had 11.29% higher forecasting accuracy on average than the model learned without cointegration test and also showed 10.59% higher on average than the model which randomly selected stocks to make the size of the feature set same as that of the proposed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