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관리주체측면을 중심으로 -

        김영하,안양욱,박승범,Kim, Yeong-Ha,An, Yang-Wook,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조성 완료된 근린공원 69개소를 대상으로 관리하는 운영주체에 대한 파악과 그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원녹지 관련 업무자료 및 담당자와 면담, 그리고 도시공원의 예산편성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주체를 조사하였으며, 위탁관리 및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되는 경우는 홈페이지 및 직접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공원의 관리방식은 자치단체의 본청과 사업소에서 직영관리가 48개소(69.6%), 공단 및 민간단체에 위탁관리가 18개소(26.1%), 직영관리와 위탁관리를 병행하는 혼합관리가 3개소(4.3%)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 실태를 종합분석한 결과, 위탁관리하고 있는 공원은 공원의 총괄 관리가 미약하며, 공원관리가 조경 및 청소 등의 유지관리 위주로 관리되어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리되고 있는 총 46개소의 공원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근린공원이며, 공원의 유지관리를 위해 무기계약직 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를 고용하여 관리하고 있어,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및 조직체계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원 내 교양시설은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어, 공원 내 공원시설이 아닌 독립된 교양시설로서 공원관리와 분리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해결 방안으로는 공원의 적정인원 고용에 대한 법제화 및 제도적 개선, 시민단체와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시대변화에 따른 이용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더불어 이용객 위주의 프로그램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in the 69 recently constructed neighborhood park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main agents. For this purpose, the work resources on park and landscape management, interview to related staff, and the budget on urban parks were found as the main agents of management. In case the parks were managed by consignment or by other separate organization, this study collected resources through the homepage or personal visits. As a result for the management method on parks, about 48 parks(69.6%) were under direct management by the local governments' main office and its business offices. Eighteen parks(26.1%) were commissioned to corpor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and three parks(4.3%) were operated by both direct and commissioned management. Because of the overall management result on urban parks, the company under outsourced management is not sufficient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uch is main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like landscape or cleaning, but have fewer programs for the users. Forty-six parks cared by the local governments are mainly small sized neighborhood parks. For the management, contract workers or short-term workers are hired. It demonstrates an urgent need to improve professional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park management. In addition, any educational or cultural facility in the park is managed by separate institutions. Thus, it is not controlled as a park facility but an independent facility with separate controls. Moreover, to solve such problems, it needs legalization on the proper employment for parks, institutional improvement, cooperative network with NGO,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customer oriented program management.

      • KCI우수등재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에 기반한 군립공원 지속가능성 영향요인 분석 -경남권역 11개소 군립공원을 대상으로-

        홍석환,안로사,톈완팅,허학영,박준효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3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 Natural Parks to county parks in Gyeongsangnam-do, and to review the performance statu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 and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ffectiveness in protected areas. County park officers evaluated current management using this framework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E framework design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mong the principal values of county parks, 'natural and ecological' is indic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ultural and historic value' and 'leisure and recreation'. Natural disasters and climate change, visitor impact-inappropriate visitor behavior are indicated as current threats, and three county parks administrators viewed that there was no particular threat to their park. According to MEE results, the most effective management fields were 'State of cultural and historic value', 'State of leisure and recreational value', 'Current state of principal value'. The comparatively weaker fields were 'Threatened species management', 'Invasive species management', 'Managem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The effects of sustainable management on county parks were analyz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and the influence of management factors reveal 'Annual budget', will impact attaining higher management scores.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management information about county parks and provides support for the basis for the planning of county parks in Korea, suggesting the influencing factor.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군립공원을 대상으로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를 통해 관리효과성평가(MEE)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군립공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 진단표는 2016년 환경부에서 개발한 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를 준용하여 소규모 자연공원에 응답할 수 있도록 보완한 평가표이며, 이를 바탕으로 공원이해관계자가 자가진단을 통해 자연공원의 전반적인 관리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현장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이를 보완하였다. 경남권역 군립공원의 11개소 MEE결과를 살펴보면, 과반수의 군립공원에서 ‘자연생태적 가치(6개소)’를 주요 가치로 인식하고, ‘역사문화적 가치(4개소)’, ‘여가휴양적 가치(1개소)’순으로 나타났다. 자연공원 관리의 위협요인으로는 ‘자연재해 및 환경요인(5개소)’, ‘인위적 요인(3개소)’로 나타났으며, 군립공원 3개소에서는 관리를 저해하는 위협요인이 없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관리효과성평가 점수가 양호한 분야는 휴양가치상태, 역사 및 문화자원의 가치상태, 주요 자연자원 등이며, 미흡한 분야는 조사 및 연구프로그램, 멸종위기종 관리, 생태계 교란 동·식물 관리, 관리활동 모니터링 및 평가 수행이 지적되었다. 지속가능하게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관리효과성평가점수와 관리요인 간 회귀분석결과, 연간공원관리투입예산이 관리효과성평가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연간 자연공원관리예산의 적정한 집행이 현 시점에서 군립공원 관리에 가장 필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향후 군립공원 관리계획 이행 시, 평가결과에서 도출된 미흡한 요인의 보완을 위한 예산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리투입예산을 고려한다면 군립공원 관리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시공원 관리를 위한 자원봉사 참여자와 관리자의 만족도 연구 -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중심으로 -

        ( Kim Daehyeok ),( Choi Jaehyuck ),( Lee Shi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5 No.-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시공원 관리를 위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인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대하여 참여자와 관리자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공원의 관리방안 및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고,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활동의 가치와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대전광역시와 5개 구청에서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하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첫째, 현재 내 동네 내 공원에 참여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의 주된 참여 동기는 자원봉사 활동 시간이 필요해서, 함께 봉사활동을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때문에, 그리고 공원을 좋아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참여자들은 필요한 만큼의 자원봉사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그리고 공원을 직접 가꾸는 기분이 들어서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만족하고 있다. 셋째, 현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는 공원 청소를 주로 행하고 있으며 향후 공원 시설물 관리, 공원 프로그램 운영, 공원 내 치안 및 안전관리 및 수목 관리 등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향후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활성화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자들의 태도 및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참여자에 대한 보상 등이라고 나타났다. 다음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분석에서 관리자는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증가하는 공원 관리업무에 비해 필요한 인력과 예산이 충분히 뒷받침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다.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단순 공원 청소뿐만 아니라 수목 관리와 같은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업무 부담으로 인하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업무 부담을 낮추는 것과 참여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satisfaction of park managers and volunteers by conducting surveys on their awareness on the volunteering program called ‘Managing My Mark in My Neighborhood’ being carried out by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e methods taken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volunteers’ satisfaction and measures to effectively manage urban parks; then, the value and roles of volunteering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arks were studied. Afterwards, volunteer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bov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and park managers from the five district governments and the city government of Daejeon were interviewed in an attempt to seek for solutions to boosting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among the volunteers found that they joined the program to obtain volunteer hours, to mainta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ther volunteers, and just simply because they like parks. Second, the volunteers a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because they can secure volunteer hours they need and feel they take the lead in managing the parks. Third, what the volunteers mostly do in the program is cleaning the parks. They address some challenges in facility management, implementation of park activities programs, and management of trees in the parks. Fourth, the volunteers feel that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to boost the program would be to improve volunteers’ attitude,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volunteering, and reward volunteers. As for the result of the interview with park managers, most of them agreed on the necessity of continuing to promote volunteering for managing urban parks because they feel that they work more than their budget and human resources allow. Regarding the volunteering program, the interviewees shared a view that they need more diverse programs including managing trees other than just cleaning. Overall, the managers interviewed shared a less favorable view on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due to their increased burden from work and responded that their workload needs to be lightened and that volunteers’ awareness should be raised further.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국립공원 관리방안 비교 -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과 중국 태산 국가공원을 중심으로 -

        동한림,진평,이진형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중국 태산 국가공원과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의 자원 및 탐방객 관리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국가공원 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문헌을 검토하였고, 태산국가공원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법적인 관리의 측면에서 지리산국립공원의 경우 대한민국 국회에서 제정한 「자연공원법」이라는 단일한 법률 하에 공원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중국 태산국가공원의 경우 중국 국무원에서 반포한 조례인 「풍경명승구관리조례」와 태안시 태산국가공원관리위원회에서 제정한 「태산풍경명승구관리조례」그리고 기타 여러 조례와 규칙 등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경제적 관리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리산 국립공원은2006년 이후 입장료를 폐지하였지만, 태산 국립공원의 경우 한화 2만원 안팎의 높은입장료를 징수하고 있었다. 셋째 시설을 통한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국태산국가공원과 한국지리산국립공원은 탐방안내소, 주차장 등의 수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없었다. 하지만 태산국가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보다 공공화장실과 쓰레기통이 매우 많았고, 지리산 국립공원은 태산국가공원보다 탐방로와 안내판 그리고 야영장과 대피소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관리방안적인 측면에서 태산국가공원의 자원 해설사들은 지리산국립공원의 해설가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력이 낮았으며 자원에 대한 지식등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해설의 내용면에 있어서도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생태해설 이나 문화해설 등 주제가 있는 해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태산국가공원에서는 일반적인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논문의결과를 요약하고 분석해 보는 한편 한국국립공원 제도로부터 중국 국가공원의 개선에참고할 만한 점이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s Jirisan NationalPark's resources and tourist management with those of China Taishan National Park. Somedifferences were found as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First of all, in the legalmanagement, Jirisan 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a single law which was 'NaturalPark Law'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On the other hand, China Taishan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Scenic Area Management Regulations', which wasenacted by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Taishan Scenic Spot Management Regulation'as well as many other regulations and rules which were enacted by Taishan National ParkManagement Committee. Second, Jirisan National Park entrance fee has been abolishedsince 2006, but Taishan National Park still charge expensive entrance fee which is about20000 Korean won. Thir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urist center andparking lot between China Taishan National Park and Korea Jirisan National Park. However, Taishan National Park has more public toilets and dustbins and less trails signsthan Jirisan National Park. Finally, Taishan National Park and Jirisan National Park provideresources interpretation services as educational management method. However, theinterpreters in Taishan National Park have lower scholastic ability and less professionalknowledge than the interpreters in Jirisan National Park. Moreover, Jirisan National Parkhas thematic interpretation service while Taishan has normal interpretation service.

      • 샛강 관리 및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1)

        강형식,이병국,한대호,김혜령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본 연구는 샛강 관리 및 이용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l차년도 과제로서, 국내 대표적인 샛강인 여의도 샛강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생태환경과 관리 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도심을 흐르는 여의도 샛강은 다양한 수변공간을 제공하여 생물들에게는 서식처로서, 시민들에게는 휴식 및 생태 체험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여의도 샛강은 과거 홍수기에만 물이 흐르고 평상시에는 습지의 형태로 유지되다가, 한강종합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여의도 일대를 정비하면서 1997년도에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으로 개장되었다 그러나 조성 당시부터 지금까지 오염 된 하수, 물순환, 쓰레기, 악취, 해충 등의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샛강의 하천환 경에 대한 문제점의 근원은 지형학적으로 물순환이 어려운 하천구조라는 점이다. 따라서 한강 본류와의 자연적인 하천수 유업과 유출을 위한 몇차례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샛강은 자연적인 물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로 변화했다. 이는 과거의 샛강이 평상시에 습지의 형태로 유지되었던 것과 관련성이 크다 이러한 근본적인 물순환의 악화는 수질에 영향을 미쳐 샛강을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악취와 시각적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수생태에도 큰 영향을 끼쳐 수생태의 건강성이 크게 악화되어 있어, 생태공원으로서 의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샛강 생태자원의 가치가 하락하고 이용자들의 활발한 이용이 저해되어 있는 현 실정을 고려해볼 때, 본 연구는 도시환경 개선과 한강 생태계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먼저 여의도 샛강의 현황과 함께 개발과 보전에 대한 정책방향 속 샛강의 변화상을 살펴보고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본원칙을 제시하였다. 여의도 샛강의 생태환경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이용, 관리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첫 번째로 한강과 연계한 셋강의 개발과 보전에 대한 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그 함의를 기반으로 하여 샛강 생태공원 활성화를 위한 기본원칙과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한강에 대한 개발과 보전 정책의 추진과 변화 속에서 샛강도 그 맥락을 함께 해 왔으며 이는 보전에 대한 당위성과 이용에 대한 필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여의도 샛강은 서울 도심 중심에 위치하며 한강 본류와 연결되어 있어 파편화된 한강 생태계를 보전하는 차원에서 마땅히 보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높은 인구밀도와 주민 휴식공간의 필요성을 고려해 볼 때 그 이용에 대한 필요성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완전히 접근이 차단된 보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동시에 일반 공원과 같은 이용방안 또한 그 조성 취지에 크게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보전과 이용을 융합한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서로 상호보완 관계를 유지하며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샛강 생태공원 관리 및 이용활성화 기본원칙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여의도 샛강의 하천환경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의도 샛강은 2008년 재조성 당시 한강수를 자연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준설을 감행하였다. 그러나 입구에서 출구까지 하상고의 높이차 없이 EL.1.7 ill로 균일하게 준설하여 오히려 샛강의 원활한 물흐름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준설 이후 홍수위가 오히려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한강수의 자연적인 물유입을 통한 샛강 자연화에 더 높은 가치를 두어 준설을 감행한 것으로 사료된다. 준설 이후의 항공사진을 분석한 결과, 준설 이후 초기에는 한강수가 자연 유입되는 것처럼 보였으나, 몇 차례 홍수 이후 샛강 유업부가 토사 퇴적으로 폐색되어 한강수의 자연 유업은 불가능한 구조로 변하였다 또한, 하천 측량결과 샛강 내에 역구배 현상이 발생되어 물흐름이 더욱 악화되는 하천구조로 변화되었다. 더욱이, 샛강 말단부는 임의적인 단면축소 구간과 한강 본류의 영향으로 지금의 샛강은 자연적인 물 유업과 유출이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적 인 물 유업과 배수 시스템을 통해 샛강 전체에 흐름이 발생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한편 여의도 샛강의 수질모니터링 결과,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BOD 기준으로 II-III등급(T-P는 VI등급)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강우 시에는 BOD가 VI-VI등급, T-P는 전 구간에서 VI등급이 훌쩍 넘어가 수질측정이 불가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샛강 수질악화의 원인으로는 CSOs 유업과 물흐름 정체로 인한 오염토 퇴적이 가장 크다 먼저 CSOs 유업과 관련하여 배수분구 분석을 통해 선길 l지역을 오염우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외에도 노량2-2, 노량2-3, 영등포-1 지역에서도 오염부하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오염 우심지역에 대한 월류수 개선 방안 등을 포함한 수질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샛강 산책로와 주변 그리고 하천 표변에서 악취를 측정한 결과, 물 표변에서도 악취가 발생되어 하천 주변에서 활동이 어려운 수준이었고, 산책로에서도 2.5강도의 악취가 발생 되어 심각한 수준이었다. 더욱이 맨홀 주위에서는 악취강도 4를 초과한 재래식 화장실 수준의 참기 어려운 악취 강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이정도의 악취 강도는 공단지역에서의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여의도 샛강이 서울시 중심에 있고,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이라는 상정이 존재하는 지역임에도, 공장지역에서의 악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의 악취를 내뿜고 있다는 것 자체로도 샛강에 대한 환경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샛강 지역에서의 식물과 육상동물상, 곤충 수생생물 등에 대한 생태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일반 도시하천에서 발견되는 수준의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시내 다른 도시 하천과 비교한 결과, 서식수변지수를 포함한 어류지수 등 모든 생태 지수들이 D등급의 ``불량 으로 최하등급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생물 통합지수 역시 생태 환경 불량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물순환 개선을 통한 수환경 건강성 증진과 보호종 관리, 적응적 유지관리 등 샛강에서의 생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분류군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생태관리를 통해 수질 및 서식환경이 개선된다 하더라도, 외부 요인으로 인해 보전할 가치가 있는 상태로의 복원은 어렵다는 견해가 우세하였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여의도 샛강에 대한 서울시 정책 방향은 샛강을 생물다양성이 높고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보전지역`` 으로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크루즈 등의 수상이용을 제안해 왔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러한 제안을 실행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최종적으로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이용 및 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이용현황 및 특성을 살펴본결과, 이용자들은 프로그램 및 시설, 환경에 대하여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이용자수는 정체된 상태로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용 특성 변에서도 이용자들은 샛강 생태공원을 도심 일반 공원으로서 방문하고 있는 행태가 발견되었다. 공원 생태프로그램은 일회성 또는 이벤트성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한정적이었으며 다양성 변에서도 타 생태공원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리현황 부분을 살펴보면 잦은 관리부서의 개편과 이동으로 업무효율성 감소 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와 더불어 민원 관리 또한 적절히 처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및 유지관리 예산 현황에서는 정확한 운영비 내역을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모니터링에 대한 예산이 편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엇보다 현재 샛강 생태공원은 법적으로 생태공원으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단순히 생태적 특성을 갖춘 테마공원처럼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이용 및 관리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샛강 생태공원의 법적 지위 개선과 생태관리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샛강 생태공원 생태 프로그램 개선을 통한 공원 이용 활성화의 필요성과 풀뿌리 조직 발주 및 지원을 통한 주민들의 자체적인 참여 방안을 제언하였다. With the reduction of ecological spaces in urban area, the public’s interest in the urban water environment has grown. Despite their importance, however, urban small rivers including the Saetgang Stream are being abandoned. The Saetgang Stream means a branch river in Korean and by definition, “a branch river is led off from the main river and joined by an alluvial islan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habitat for biodiversity. For that reason, the Saetgang Stream in Yeouido can be a politically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anagement and revitalization of urban small riv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ecific areas of waterway structure, water quality, odor and ecological monitoring to identify Saetgang Stream’s environmental condition. In addition, current status and issu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responsible public officials and local community committee members and by accepting expert opinions. In this context, the aim of this study is firstly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Saetgang Stream, then to provid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in the first year of the two-year study. 1) Policy direction and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Hangang River. Trying to conserve urban ecological spaces without using them is not realistic at all. For that reason, the convergence policy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s inevitable. By the same token, this study suggests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1)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2) eco-oriented revitalization of usage; (3) promoting the attractiveness by considering the a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2) Improvement suggestions on the Saetgang Stream’s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how the Saetgang Ecological Park is currently used and managed. Due to its waterway structure, Saetgang Stream’s water cannot be naturally circulated. In particular, the river bottom was dredged evenly at the same level of 1.7 m during the renewal in 2008. By analyzing the river flow, it was found that natural water circulation is impossible without additional artificial flow-triggering due to the reversible flow which occurs twice a day by the West Sea tides and the blocking up of Seatgang River‘s inlet by sanding, while the current maintenance flow is 20,047 ../day, which is only about half of the required flow of 38,200 m3/day. Moreover, inadequate management resulted in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The water quality is I~III level in normal season with T-P of IV level. BOD worsens to IV~VI level during rainfall and T-P to over VI level, which is a critical level. The wetlands in the Saetgang Ecological Park are also unable to serve their purification function and only brings dilutive effect with the inflow of groundwater. Odor intensity of the Saetgang Stream is 1 on the water surface and 2.5 in Saetgang Ecological Park’s trail. The level exceeds 4, similar with the odor of conventional toilets, in places next to the sewers connected to local rainwater pump stations. During ecological monitoring, tadpoles of narrow-mouth frog and hobbies that are classified as Class II endangered species were found in the Saetgang Ecological Park. In addition, the aquatic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rating was D, which represents poor environmental level. While the habitat of narrow-mouth frogs must be preserved, it is realistically unlikely for the Yeouido Saetgang Stream to be classified as an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characterized by high biodiversity and high conservation value. 3) Suggestion on the improvement of Saetgang Ecological Park’s usage and management The study by investigating Saetgang Stream’s present usage and management conditions identified its problems and solutions. Consequently, in terms of usage, users were found to be unsatisfied with education program, facility and environment. The number of visitors and participants of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did not improve even after enhancing accessibility. Also, user behavior was no different from general urban parks. In managerial aspect, frequent restructuring and inter-department rotation were causing low work efficiency and civil complaints were not handled properly. While the exact details of Saetgang Ecological Park’s operation and maintenance budget could not be obta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budget for regular monitoring has not been allocated. This study suggests four improvements as solutions; (1) ensure Saetgang Ecological Park’s legal status as an ecological park; (2) implement adaptive management; (3) improv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4) discover grassroots organization and induc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한·중국 공원 관리체계 비교 고찰 : 서울시와 베이징시 직영관리 공원을 중심으로

        박율진,정정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0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3 No.1

        서울시와 베이징시의 두 도시의 공원 관리체계의 현황, 유형, 관리조직, 이용객, 예산, 문화활동 분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양국 비교분석 하였다.두 도시의 공원 관리체계의 기본기능과 내용은 대체적으로 동일하나, 그러나 구체적인 방면에서 차이가 많다. 공원녹지통계, 오락공원시설, 이용객 및 구성원의 신분 통계, 수입관리방식, 관리조직과 기능, 이용객을 끌어들이는 방식 및 관련있는 법규의 내용등 방면에서 나타난다.공원관리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주요원인은 국가의 문화, 행정체제가 다른데 있으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두도시 모두 많은 방면에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시설의 재정비, 공원문화의 혁신 등을 통하여 이용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두 도시의 도시녹화, 공원시설, 이용객 활동, 구성원과 원림수입/지출방면의 통계자료로 두 도시의 특징과 차이를 보이고,도시공원의 문화활동, 입장료 판매방식, 수입/지출관리 방식을 비교하여 최종에 두 도시의 공원관리방식에 관련 있는 법규내용의차이가 나타났다..공원관리사업에서도 공통적으로 공원조성, 수목 및 화훼, 시설물 보수 및 정비, 환경위생, 공원 서비스, 유람 서비스등서비스가 포함되기 때문에 관리내용이 비교적 업무량도 많으나. 그러나 베이징시의 경우 공원 구성원들은 반드시 계획대로고효율적으로 공원관리를 진행하여 공원관리의 목적에 도달해야 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그러나 비교할 수 있는 자료는 문화와 행정체계가 다르고 연구 자료도부족하기 때문에 내용도 한계가 있다고 보며, 중국의녹지 정책, 넓게는 중국의 환경개선 및 보호 정책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므로 정책과 실상을 알아보는 것이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ark management systems of two cities of Seoul and Beijing have been classified and summarized by the present condition, type, management organization, users, budget and cultural activity field to compare and analyze them. The basic function and content of the park management system in two cities are generally same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concrete details such as statistics of green tracts in the park, amusement park facilities, social position statistics of users and constituents, income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organization and function, method to attract users and provisions of related regulations. The main causes of differences generated in the course of park management come from different national cultural and administrative system and both cities exert efforts in many fields to achieve their targets and enhance satisfaction of users through rearrangement of facilities, innovation of park culture, etc. Two cities hav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statistics data of urban afforestation, park facility, activity of users, constituents and income/expenditures and finally, there are differences in legal provisions related to park management system of two cities comparing cultural activities, admission fee sale method and income/expenditure management system of urban parks. The park management business commonly includes services such as park afforestation, tree and flowers, facility repair and maintenance, environmental hygiene, park service, sightseeing service, etc. so they have a great deal of workload. However, in case of Beijing city, park members have dominative understanding to achieve the object of park management by making sure to efficiently mange parks as planned. However, I believe that we have limited data to be compared due to the different cultural and administrative system and insufficient study data, and for lack of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protection policy as well as afforestation policy in China, we should investigate the policy and actual situation at first.

      • KCI등재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 및 관리상의 문제점 분석

        이정석,조세환,Lee, Jeoung-Suk,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도시자연공원구역 제도가 도입되고 약 6년 정도가 흐른 현 시점에서 지역 지정 및 관리상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향후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지정 및 관리 측면의 제도개선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 도시의 민원 내용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시자연공원구역이 지닌 지정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것을 근거로 도시자연공원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도출된 문제점의 타당성 검증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지정 및 관리와 관련하여 지정기준, 지정과정, 유지 관리, 법 지침 측면에서 20개 항목의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델파이 분석을 시행한 결과 5개 항목이 제외되고, 2개 항목이 추가되어 모두 17개 항목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2. 지정기준 측면 문제점은 공원구역지정기준 우선순위(가중치)의 결여, 정량적 평가가 어려운 항목으로 객관성 결여, 국토환경성평가항목 부적합성, 토지적성평가항목 부적합성, 현장조사에 대한 구체적 기준 미 제시, 공원구역 지정면적 기준 제시 미비 등 6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3. 지정과정 측면 문제점은 공원구역 신규지정 시 민원발생, 공원구역지침 시행 전 수립된 도시자연공원구역 타당성평가 필요, 공원구역관리계획 결정 시 경계설정의 종합적 검토 부족, 정밀한 현장조사 수행을 위한 시간적 재정적 여건의 열악함 등 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4. 관리기준 측면 문제점은 공간별 관리체계 부재, 공원녹지기본계획 중 도시자연공원구역관리계획의 실효성 부족, 용도구역과 도시공원의 이중적 성격으로 인한 관리주체의 이원화 발생, 공원구역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전문인력의 부족 등 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5. 법 지침 측면 문제점은 별도의 도시자연공원구역관리계획 부재, 공원구역 내 행위허가 된 시설의 부지면적 기준부적합, 도시자연공원구역 타당성 검토 부재 등 3 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zoning regulations of urban nature park by analyzing the present problem which occurred during last 6 years from the year of 2005 when the program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 study was processed first by the analysis of the cases of problems evoked by citizens, second the other problems was delineated by interviews of officials, at last the validity of all of the problems was verified by a group of professionals through delphi metho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relation to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national park areas, designation criteria, designation process, maintenance, laws and regulations and 20 other items were found to be problematic. After Delphi method, 5 items were removed and 2 ad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17 problematic items in total. 2. Regarding the problem of criteria for designation, which are, lack of priority(weights), lack of objectivity due to the difficulty to us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ncompatibility for contaminated l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compatibility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lack of detailed field survey standards, lack of national park area standards, and 6 other items. 3. Regarding the problem of designation process, which are, the occurrence of civil appeals for designating a new national park, the needs of feasibility study on the urban national park areas constructed before urban national park guidelines came out, lack of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boundaries set when determining national park area management plan, poor temporal and financial conditions for an accurate field survey, and 4 other items. 4. Regarding the problem of maintenance management, which are, lack of management system in each space, lack of effectiveness of Urban Nature Park Area Management Plan among master plans for park and green areas, the occurrence of dual managers due to dual natures such as purpose area and city park,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o manage park areas, and 4 other items. 5. Regarding the problems of regulation guidelines, which are, lack of separate urban park area management plan, incompatibility of the permitted facilities in the park to the park area standards, lack of feasibility study on urban park areas, and 3 other items.

      • KCI우수등재

        도시공원관리 거버넌스 구축정도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차이 -영국 셰필드 지구공원을 대상으로-

        남진보,김현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4

        In the late 1980s, a financial crisis and Compulsory Competitive Tendering (CCT) in green space services brought with it a profound impact on the quality of parks in the UK. Such government projects, e.g. Urban Task Force (1999) and Public Parks Assessment (2001), aimed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severity of the declining standards of urban parks. Since the late 1990s, the UK governments (The New Labour (1997-2010) and The Conservative Government (2010-2019)), have often adopted community-led governance schemes to enhance the quality of parks and address problems derived from the financial crisis. Accordingly, community groups, notably ‘Friends of’, enlarged their invol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ark management. However,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concerning the impact of community-led governance on park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effect on the users’ perceptions of park use.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xt of community-led park management to reclassify the level of build-up of governance underlined by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In addition,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around two Sheffield district parks, which are located in deprived areas. As a result, community involvement in the status quo of UK urban park management has changed its form of governance based on the extent of invol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forms of governance could be categorised in three levels: general, active, and predominant governance, where the extents of decision-making and sharing responsibility var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show that one park (active governance), which has a stronger tendency of sharing responsibility to get involved in park management, had better contribution to park management and positive impacts on users’ satisfaction than the other park (general governance). The findings highlight that stronger governance in partnerships with the non-public sectors can shed light on current and future park management through a shift in sharing responsibility for park management. 1980년대 후반 녹지 및 공원경영 관련 예산삭감과 의무경쟁입찰제도(Compulsory Competitive Tendering: CCT)는 영국 도시공원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1999년 도시 전담 조직(Urban Task Force, 1999), 2001년 도시공원포럼(Urban Park Forum, 2001)에 의한 공공공원평가(Public Parks Assessment)는 공원의 가치와 훼손에 대한 심각성을 경고하였고, 영국의 신노동당(The New Labour Government, 1997-2010) 그리고 보수정부(The Conservative Government 2010-2019 현재)는 부족한 공원녹지 예산문제와 공원의 질적하락 문제에 대해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 단체 그중에서도 프렌즈 그룹과 같은 비영리 봉사단체의 공원 관리 참여 및 그 역할은 확대되었다. 그러나, 실제 이와 같은 커뮤니티 주도형 거버넌스가, 특히 거버넌스의 구축 차이에 따른 공원의 질적 향상이나 이용자만족도 제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대한 고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커뮤니티 주도형 거버넌스를 통한 공원 관리의 흐름을 고찰하였으며, 거버넌스 구축단계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지역의 영국 셰필드 2개 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영국 도시공원 관리에서의 커뮤니티 참여는 의사결정 참여를 통한 거버넌스 운영 관리 구조로 발전되었으며, 일반적, 적극적, 지배적 거버넌스형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커뮤니티의 의사결정 참여의 단계에 따라 다른 수준의 책임공유가 수반됨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거버넌스 구축단계에 따라 이용자의 공원 관리 만족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의사결정 참여 기회를 가지는 책임공유를 수반하는 적극적 거버넌스 구축 공원에서 이용자 만족도에 더욱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속적인 커뮤니티의 의사결정 참여를 통한 적극적 거버넌스 구조의 공원관리에 대한 책임공유를 바탕으로 하는 파트너십, 특히 비공공 부문, 비영리 사회적 전문그룹 주도의 공원 운영 관리 방식이 도입되어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공원 내 홍수 저감을 위한 지속가능한 배수체계의 유지관리 지침에 관한 연구 - 영국 마너필드 공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남진보,박상욱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Sustainable drainage system (SuDS), according to the fast-growing urban sprawl is recently one of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to flooding mitigation at which we could suggest in many ways. However, there is little sources which provide systematical guidelines for how to maintain parks in relation to SuDS as the source delivering great effectiveness in flooding allevi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determine the approaches to flooding alleviation maintenance in parks, ultimately provide guidelines and suggestions for maintaining SuDS in parks including calculation grounds of SuDS maintenance costs. In order to chart the guidelines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methods e.g) professional interviews focusing on SuDS in the site ‘Manor Fields Park, UK’ where SuDS has been applying against flooding within the park. Supplementary resources provided by SuDS consultants were utilised to firm the guidelines up. The results show that six SuDS facilities (filter strips, swales, bioretention, tree plantation, pavement and ponds) in parks can highly contribute to mitigating flooding. In addition, there are remarkable issues, pointing that regular maintenance and monitoring underlined by systematic guidelines are the keys to sustainable flooding alleviation. Also, calculation grounds of SuDS maintenance costs drawn in this study can help predict overall maintenance costs. In line with this, SuDS has to be rethouhgt of long-term maintenance, meaning that sustainable or long-term budgets will have to be generated in different ways under policy support and stakeholders’ involvement. Final remarks are here that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maxmising positive benefits derived from parks and green spaces as SuDS is well-functioned on the basis of well-formed maintenance guidelines.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도시화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배수체계(sustainable drainage system, SuDS)는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SuDS의 지속적인 유지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희소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원 내 SuDS 시설의 이해를 바탕으로 유지관리를 위한 지침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례연구로 영국에서 SuDS를 적용하여 관리 중인 마너필드 공원을 대상으로 조성된 주요 시설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유지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공원 관리자 및 학계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공원에는 식생여과대, 식생체류지, 습지, 포장, 연못, 식재대가 SuDS의 주요 시설로 조성되었으며, 관리적인 측면에서는 주기적인 관리와 특별관리를 통해 SuDS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에 SuDS 유지관리를 위한 지침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어, 본 연구에서 발견된 SuDS 시설을 바탕으로 지침에 관한 기초자료를 도출하였다. SuDS의 주요 시설이 공원에 전반적으로 유기적으로 조성되고, 관리비용 산정을 포함하는 체계화된 유지관리가 적용될 때 그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더불어, 장기적인 관리 측면에서 정책적으로 예산이 편성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커뮤니티 단체를 포함하는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지속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때, SuDS의 지속가능성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공원이 이용과 방재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도심 내 공원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거버넌스를 통한 대형 도시공원의 조성 및 운영관리 전략 - 프레시디오 공원과 시드니 하버 국립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

        심주영,조경진,Sim, Joo-Young,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6

        본 연구는 공공관리 전환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는 공원 거버넌스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대형 도시공원 조성과 운영관리의 추진방향과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대형 도시공원에서 나타나는 민관 파트너십, 거버넌스의 사례는 공공 서비스 전환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프레시디오 공원과 시드니 하버 국립공원의 조성과정과 운영관리 전략을 분석하여 공원 거버넌스 의미와 효과, 전제조건을 확인하였다. 분석의 틀로 다음의 6가지 항목-정책, 거버넌스, 파트너십, 재정 및 기금, 디자인 및 운영과 관리, 평가와 모니터링-을 선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정책수립에서 계획과 운영관리까지 일관성 있게 목표를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공원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독립적 운영주체 조직에 이양함으로써 유연한 공원 서비스가 가능하다. 둘째, 트러스트를 중심으로 공공 행정, 비영리민간조직, 민간기업, 지역 커뮤니티단체, 학술기관 등의 폭넓은 파트너십이 구축됨으로써 공원 활동의 다양성이 확대될 수 있다. 셋째, 공원의 경제적 자족성 모색은 공공재정 의존도를 낮추어 위기 대응력을 높이고, 자체적 수익모델을 구성하여 공원의 재투자가 가능한 경제적 선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장기적으로 공원 관리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와도 연동하는 효과를 만든다. 넷째, 공원 조성 운영관리 실행 체계에서 지역 커뮤니티를 공원의 생산자이며, 소비자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역커뮤니티 참여 방안과 실행전략이 필요하다. 두 공원에서 시도하고 있는 전략들은 공공 중심의 논의 틀을 민간과 제 3의 섹터, 즉 지역 커뮤니티 그룹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공원 거버넌스 모델의 지향과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공원에서의 민간 활동에 의한 사유화 우려, 재정적 자족성 확보를 위한 수익운영 정책이 야기하는 공공재 본질성의 침해는 한계로 지적된다. 공원 거버넌스 모델은 앞으로도 대형 도시공원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large parks by examining experimental cases of park governance models related to a shift away from public administration. The shifts towards governance as well as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city parks have involved the need for new public management. This study has analyzed two exemplary cases of Presidio Park and Sydney Harbour National Park in the aspects of planning process and management strategies, as the results derived the meaning and effect of park governance management and is also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e achievement of the model. There are six dimensions of research frames--namely policy, governance, partnership, finances and funds, design and maintenance-management, and evaluation-monitoring-taken as the basis for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several key characteristics of these cases were elicited. First, the park planning process must be consistent in carrying a policy from planning to implementation, and furthermore, an independent operation body which can properly authorize an execution and uphold its responsibility from the public could serve in adaptable park services. Second, it has been suggested to build various partnerships with PAs and NGOs, private corporations, community groups, and academic institutes that allow it to expand the diversity of the park activities. Third, there has been experimental exploration to achieve a financially self-sufficient model by establishing internal revenue models and hence allow the reduction of reliance on public finances. The result of this type of park management would allow for improving park quality and make the park space a vital part of the local economy. Fourth, the strategies for a local community's participation are needed to allow the community to become a producer as well as a consumer. This study shows that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park governance model regarding the fact that the plans sought by the two parks are extending the layout of public-centered discussion to the private sector and the third non-governmental sector including to the local community group. This shows bo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such as the risk of privatization through non-governmental activities at the park or the violation of essential functions as a public good due to a profit-generating management policy for securing financial self-sufficiency. At the current point in which plans are under way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large parks, a park governance model requires continuous study and expansion of discuss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