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송일기,진나영,Song, Il-Gie,Jin, Na-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4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은 성종이 1571년 성종이 왕위에 오르는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좌리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성암고서박물관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으로 조사된 "좌리원종공신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성씨 및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좌리원종공신녹권"은 을해자(乙亥字)의 금속활자본으로 크게 권수(卷首) 본문(本文) 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513개의 직함에 모두 1,059명(1등 64명, 2등 272명, 3등 723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직함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며 1등원종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과 3등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의 성명에 기술된 성씨(姓氏)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성씨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이(李)씨가 약 21%와 김(金)씨가 약 15%로,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佐理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made Sung-jong into Chosun dynasty's king.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only 1 books of Jua-i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Eul-hae(乙亥)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 the body(本文) the end(卷末). Jwa-lee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1,059 persons(1st grade : 64 persons, 2nd grade : 272 persons, 3rd grade : 723 persons) with 513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family name confirmed that 1,059 persons were "Lee"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21%), "Kim" were second group(15%).

      • KCI등재

        『寧國原從功臣錄券』의 書誌的 硏究

        진나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3 No.-

        『영국원종공신녹권(寧國原從功臣錄券)』은 인조가 1646년 심기원의 역모를 고변하고 진압한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영국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영국원종공신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영국원종공신녹권은 공신도감자(功臣都監字)의 목활자본으로 인출되었으며, 녹권의 체계는 크게 권수(卷首)․본문(本文)․권말(卷末)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모두 2,578명(1등 620명, 2등 636명, 3등 1,322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고인의 직함과 성명이 나열되었다. 대체로 등급이 높을수록 품계 또한 높은 편이며, 무반 계열의 직함이 많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의 신분을 4개의 계급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양반 1,830명, 중인 421명, 양인 241명, 천인 86명 순으로 양반이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寧國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suppressed a rebellion caused by Shim Gi-wo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a collection of books at Yonsei university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wooden type book which was made up Gongsindogam(功臣都監)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the body(本文)․the end(卷末). Yeong-Guk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2,578 persons (1st grade: 620 persons, 2nd grade: 636 persons, 3rd grade: 1,322 persons). Also an analysis of their family name confirmed that 1,830 persons were “Yang-ban(兩班)”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Jung-in(中人)” were second group (421 persons), “Yang-in(良人)” were 241 persons and “Chun-in(賤人)” were 86 persons.

      • KCI등재후보

        인터넷신문의 미디어 공신력(Credibility)에 관한 연구

        안주아(Ahn Joo Ah),김봉섭(Kim Bong Seob)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3

        공신력은 수용자에 의해 지각된 커뮤니케이터의 속성으로,Hovland와 동료들의 연구 이후 초기의 커뮤니케이터 공신력에서 미디어와 미디어 콘텐츠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이용자가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신력(credibility) 차원에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인터넷신문을 대상으로, 공신력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공신력의 차원들이 인터넷신문 브랜드와 성별, 연령, 인터넷 이용경험 및 인터넷신문 이용동기 등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평가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단계 사전조사를 통하여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측정항목을 포괄적으로 수집하고,2단계 전문가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이틀 측정항목의 적합도를 조사하였으며, 3단계 본조사에서는 최종 선택된 측정항목으로 실제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객관성’과 ‘전문성’이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연구대상 신문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인터넷신문 공신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객관성, 전문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저연령 집단이 고연령 집단보다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이용경험에 따른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평가에 있어서는 객관성 요인에서 이용기간과 관련하여 단기이용과 장기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용동기에 따른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평가는 전문성 차원에서 관행적 이용과 도구적 이용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인터넷신문을 도구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인터넷 신문에 더 높은 공신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rnet newspapers have emerged as new forms of mass media. But even with its rapidly growing influence, it isn't still being regarded as a division of media credibility research.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ed. First. it attempts to discover factors of the internet newspapers.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internet newspapers'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 brands and internet newspaper user's characteristics.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redibility to internet newspapers are consist of 'objectivity' and 'expertise'. Thes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xplain the concept of credibility to internet newspapers. Second, evaluations to credibility of internet newspapers according to internet user's sex were not significant. Bu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internet newspaper brands and user's age. And there are partly significant for internet user's experience and motive for internet newspapers.

      • KCI등재

        인조대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의 시행과 참여자 논상(論賞) ―공신 자손 우대책을 중심으로―

        고민정 ( Ko¸ Min-j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2 No.-

        본 연구는 국가가 공신 자손을 대상으로 시행한 우대 정책의 실상을 고찰하기 위해서 인조대를 중심으로 전후의 공신회맹제가 시행되는 과정, 회맹제의 참여 인원, 회맹제 이후의 참여자 상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회맹제는 국초부터 시행되었으나 성종대부터 신공신이 녹훈될 때 신·구공신이 모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인조대에는 정사·진무공신, 소무·영사공신, 영국공신의 회맹제가 시행되었다. 참여 인원은 대략 300여 명인데, 공신 본인을 비롯한 아들·손자가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회맹제에 공신의 적장자와 친자가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 사공신 회맹제 때부터이고 적장손이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 팔공신 회맹제 때부터인데, 구공신들이 사망하게 되면서 자손들의 참여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회맹제 후에는 국왕의 특별한 명령으로 참여자들에게 물품 및 가자를 행하는 관례가 존재하였다. 인조도 이와 같은 전례에 따라 공신의 적장 자손 중에서 관직이 없는 자와 자궁·준직자에게는 가자를 내렸고, 70세 이상이면서 실직 4품 이상을 역임하거나 80세 이상인 자에게는 노직을 주었으며, 이에 해당하지 않는 자들에게는 물품을 하사하였다. 다만 두 번째 회맹제에서는 상격이 중복된다는 대간의 비판에 따라 일부 조정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공신의 자손들은 일찍부터 회맹제에 참여할 권한을 획득하였고 특히 적장자손들은 더욱 특별한 우대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공신 자손을 우대하기 위해 설치된 공식적 제도 외에, 비정기적으로 행해진 국가 전례에서도 공신의 자손들을 꾸준히 우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This thesis was written to study an affirmative action for descendants of meritorious subjects in the Joseon Dynasty. Meritorious subjects are the class that received special treatment from the country in recognition of their achievement for it. By the way, the country's affirmative action for meritorious subjects included their descendants because the pre-modern era had characteristics of the caste system. Therefore, the study tries to check the affirmative action for descendants of national meritorious subjects concretely by examining benefits given to eldest legitimate sons and grandsons of meritorious subjects' regular wives after conducting their pledge rituals. There were 5 investitures of meritorious subjects in the reign of Injo of Joseon and accordingly,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s were held three times. First, 17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 was held in 1625 as meritorious subjects of state affairs and Jinmu were invested. Second, 19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 was held in 1625 as meritorious subjects of Somu and Yeongguk were invested. Third, 20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 was held in 1646 as meritorious subjects of Yeongguk were invested. Meritorious subjects and their sons could participate in these pledge rituals. And after the death of the meritorious subjects, their eldest sons of the legitimate wives or the eldest legitimate sons and grandsons of their regular wives acquired qualification of participating in them. And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s could get particular items or have benefits of Gaja just because of doing it. Injo of Joseon was held in check by surveillance and censorial officials because he preferred Gaja to giving items, but generally, he raised Jageup for the people who had no official rank, were Junjik as Jagung, or were more than 70 years old in the name of Nojik. Like this, descendants of meritorious subjects are thought to be able to be privileged for generations due to their ancestors' virtue and conduct because they belonged to the structure to continue to get Pumgye as meritorious subjects' pledge rituals were repeated.

      • KCI등재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연구

        임기영 ( Kee Young L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1

        이 연구는 임진왜란이 수습된 뒤 그 은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공신 책봉의 결과물로 간행된 공신녹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전란 평정에 직접적인 공로가 있었던 9,060명을 대상으로 발급되었던 『宣武原從功臣錄券』에 대하여, 녹권의 사급 경위와 형태 사항, 현존본의 현황 및 본문에 사용된 활자, 그 밖에 간행시 참여 인력과 소요된 물자 등을 서지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임란 후 선조조에는 『宣武原從功臣錄券』, 『扈聖原從功臣錄券』, 『淸難原從功臣錄券』의 3종의 공신녹권이 발급되었다. 이들 녹권은 각각 발급 동기나 경위, 발행 부수 등에서 차이가 난다. 또한 녹권의 인출에 사용된 활자는 동일하나, 그 활자에 대하여도 각종 서지 기록상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宣武原從功臣錄券』을 대상으로 간행의 배경적인 사실 검토로 공신제도의 성립 및 책봉 기구의 운영이나 책봉 절차 등에 대하여 다루었다. 그리고 녹권의 형태 사항과 체제 및 내용을 분석하되, 무엇보다 녹권 인출에 사용되었던 활자에 대하여도 관련 기록과 실물 분석을 통하여 각종 서지 기록상의 착오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또한 『宣武原從功臣錄券』은 간행이 완료된 후에 의궤를 통하여 관련 기록을 정리해 두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녹권 간행이라는 실무적 관점에서 참여 인력과 소요된 물자에 대해 소급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가 조선시대 전반으로 확대된다면, 태조 개국 이래 모두 28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공신 책봉 및 녹권의 간행과 발급, 전존본의 현황 등 그 전모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book 『SeonMooWonJongGonSinNok Kwon(宣武原從功臣錄券)』 which was given to meritorious retainer in relation to distinguished contribution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So this study focused the detail process of proclaim in gratituding system and the publication of 『Nokkwon(錄券)』, the physical format and the number of existing books also the exact name of receiver as meritorious retainer so forth within the category of biblilography. During the period of King Seonjo(宣祖, 1552-1608), 3 kinds of Nokkwon(錄券) were published, that is ``Seonmoo(宣武)``, Hoseong(扈聖)``, ``Cheongnan(淸難)``. These were different in that they have respective purpose, process of proclaim, publishing time and the number of issue. But this three kinds of books were printed by the same wooden type what is called Gongsindogam wooden type(功臣都監字). By contrast, various catalog of old books in many institutions have the Nokkwon(錄券) represented different name about the wooden type. For instance, Gonsindogam wooden type(功臣都監字), Seonjosillok wooden type(宣祖實錄字), Hoonryundogam wooden type(訓鍊都監字) so on. Consequently, we tried to analyze the format and contents, but most of all the focus was at the wooden type used publication of Nokkwon(錄券). Moreover through the close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the wooden type, we tried to straighten out the lack of unity in the point of name and kinds of the type. This kinds of consecutive studies might contribute the understanding of whole aspect of Gongsinnokkwon(功臣錄券) in the Chosun Period. Especially they could be useful materials within the categor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조선초기 공신교서와 녹권의 발급제도 변경 시기에 대한 재론

        박성호 ( Sung Ho Park ) 한국고문서학회 2014 古文書硏究 Vol.45 No.-

        조선시대 공신교서와 녹권은 이미 여러 경로와 연구자들을 통해 자료의 발굴 및 기초적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그리고 문서의 발급제도에 관해서도 “조선초기에 있어서는 개국·정사·좌명 삼공신의 정공신에 한하여 교서와 녹권을 아울러 주었으며, 원종공신에게는 녹권만 주었다. 그러나 정난공신 이후는 정공신에게는 교서만 주고 녹권은 원종공신에게만 주었다”는 정리가 이미 학계에 제시되었고, 현재까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조선초기 개국·정사·좌명공신 이후 공신교서와 녹권을 발급하는 제도가 변경된 것은 선행 연구와 원본 고문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정훈공신에게 녹권 없이 공신교서만 발급해 주도록 제도가 변경된 정확한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주장 가운데 하나이다. 전존하는 공신교서와 녹권의 원본을 함께 검토해 본 결과 1458년(세조 4) 좌익원종공신녹권의 형태가 기존의 卷子形(두루마리)에서 선장형(線裝形)(책자) 형태로 바뀌었고, 1467년(세조 13) 적개공신교서에는 앞서 발급된 공신교서들에 기재되지 않았던 등급별 공신 명단이 추가로 삽입된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개국·정사·좌명공신 이후인 정난 또는 좌익공신 녹훈시 공신교서와 녹권 발급 제도의 변경과 더불어 문서 양식에도 변화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조선초기 공신교서와 녹권의 발급 제도 변경에 관한 기존 견해는 상당 부분 타당하지만, 이에 대한 확정적인 판단은 정난공신과 좌익공신에게 발급된 공신교서와 녹권의 신규 발견이나 그에 준하는 증거를 확보한 이후에야 가능할 것이다. 만약 정난공신이나 좌익공신의 정훈공신에게 발급된 교서와 녹권이 함께 발견된다면 조선초기 공신교서와 녹권 발급제도가 변경된 시점은 수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조선초기 공신 가운데 정사·정난·익대·적개공신의 경우 정훈공신 외에 별도로 원종공신의 녹훈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진다면, 결과적으로 해당 원종공신녹권의 추가 발견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Various channels and researchers have already excavated materials related with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issued during Joseon dynasty, and there have been a considerable degree of basic researches on them. On the system of issuing documents, the following thesis was suggested to the related scholastic field, which has been accepted as truth: ``In the early Joseon era, both kinds of certificate were awarded only to main meritorious subjects of three kinds of meritorious subject (or gongsin) ― Gaeguk gongsin, Jeongsa gongsin, Jwamyeong gongsin ― and only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awarded to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However, after Jeongnan Gongsin was awarded, main meritorious subjects were given only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were given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The fact that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after Gaeguk, Jeongsa, and Jwamyeong gongsins can b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original old documents. But, it is one of the important arguments of this paper that we still cannot be sure of the exact time when the system of issuing such certificates was changed by which main meritorious subjects were only given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ithout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Examination of original documents of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hich still remain revealed that, in 1458 (the 4th year of King Sejo), the form of official certificate of Jwaik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from scroll type to book type, and that, the royal certificate of Jeokgae meritorious subject issued in 1467 (the 13th year of King Sejo) included the list of meritorious subjects per class who had not been registered in the royal certificates of meritorious subject issued in previous times. Such evidences led me to presume that when Jeongnans or Jwaik gongsins were awarded later after Gaeguk, Jeongsa, Jwamyeong gongsins had been awarded,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together with the letter forms of them. A considerable part of existing view on the change of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is true. But, a conclusive judgement on it can only be made through the new discovery of those certificates issued to Jeongnan or Jwaik gongsins. If the two kinds of certificate issued to a main meritorious subject are discovered together, the argument on the exact time when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in early Joseon dynasty can be revised. And, if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Jeongsa, Jeongnan, Ikdae and Jeokgae gongsins among all kinds of meritorious subjects, there was no separate awarding for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except for main meritorious subjects, proves to be true, we cannot expect additional discovery of official certificate of related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 KCI등재

        『定社功臣錄券』의 書誌的 硏究

        진나영,송일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3

        Jeongsa-gongshin-nokgwon (定社功臣錄券) is a document issue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The king appointed the vassals of merit who suppressed the First Rebel of Prince in 1398 as Jeongsa-gongshin (定社功臣) and gave them titles and rewards as described in the Jeongsa-gongshin-nokgwon document.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s and process of the rewards given to the vassals by way of the existing copy of Jeongsa-gongshin-nokgwon. The form and organization of the document were analyzed in detail. The titles given to the vassals were classified into each grad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sought. The content of the document was also analyzed in detail.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Jeongsa-gongshin-nokgwon is a manuscript and it consists of 3 parts: introduction (卷首), main text (本文), and ending (卷末). Names and titles given to 29 vassals of merit are listed of which 12 vassals were first grade and 17 vassals were second grade. The ranks of first-grade vassals of merit were higher than the ranks of second-grade vassals of merit. In the first-grade vassals of merit, there were relatively more relatives of the king. The rewards and privileges given to the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grade. The content of regulation was also different within the same grade, depending on the person. The formation and names of government officers, who worked in the temporary office in charge of rewards to the vassals of merit (Gongshin-dogam, 功臣都監), were verified by the approval signatures and last names found in Jeongsa-gongshin-nokgwon. 『정사공신녹권(定社功臣錄券)』은 태종이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힘쓴 신하들을 정사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문서이다. 이 연구는 현존하는 『정사공신녹권』 복제본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보았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을 분석하여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녹권의 내용을 세세히 분석한 연구결과, 『정사공신녹권』은 필사본으로 크게 권수(卷首)․본문(本文)․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모두 29명(1등 12명, 2등 17명)이 기재되었으며, 그들의 직함과 성명이 기술되었다. 1등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에 비해 높았고 비교적 왕의 친인척이 많았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포상 및 특전규정이 등급에 따라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같은 등급 안에서도 사람에 따라 그 규정 내용이 상이(相異)하였다. 공신에 관한 제반사무를 맡아본 공신도감의 관원들의 구성과 녹권 안 그들의 성씨(姓氏)와 수결을 통해 관원들의 상세한 성명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改造本 功臣敎書의 粧䌙연구

        이진희(Lee Jin-hee)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29

        이 글은 현전하는 조선시대 공신교서 중에서 후대에 改造된 3건의 장황형식을 관련 의궤의 기록내용에 바탕하여 분석한 것이다. 현존하는 공신교서 중에서 改造된 것으로 확인된 예는 〈朴東亮扈聖功臣敎書〉, 〈具宏靖社功臣敎書〉, 〈朴炡靖社功臣敎書〉 3건이다. 이번에 조사한 공신교서 3건은 왕명문서의 재발급본이라는 측면에서 그 희소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1680년에서 1681년 保社功臣敎書 발급 당시 함께 改造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보사공신교서는 현재까지 제작 당시 장황을 그대로 갖춘 예가 확인되지 않고 있어, 이 3건의 공신교서 장황을 통해 보사공신교서의 장황을 고증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얻을 수 때문이다. 이 3건의 改造本과 관련해서 『保社錄勳都監儀軌』의 기록을 통해 몇 가지 중요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당시 개조되어 재발급된 공신교서는 현전하는 3건보다 더 많았는데, 扈聖功臣 李恒福(1등)·朴東亮(2등), 靖社功臣 金?·李貴·申景?·李曙·崔嗚吉·具宏(1등)·申景?·李時白·李時昉·張維·李懈(2등)·朴炡(3등), 昭武功臣李擢男(2등) 15건의 공신교서가 이에 해당한다. 이 교서들이 개조된 이유는 15건 모두 丙子胡亂으로 인해 原本이 소실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15건 외에도 호성공신 2등에 책봉된 윤두수(1533~1601)의 호성공신교서 역시 원본을 소실하여 1728년 분무공신교서 발급 시 개조되었다는 것이 『承政院日記』와 『奮武錄勳都監儀軌』의 기록에서 확인되었으나, 교서의 존재는 현재까지 확인하지 못했다. 개조된 공신교서의 소실원인과 개조사유에 대해서는 현전하는 3건의 공신교서 본문 말미에도 기록하고 있다. 각 교서의 개조시기는 〈구굉정사공신교서〉가 1680년(숙종 6), 〈박정정사공신교서〉는 1681년(숙종 7)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만 〈박동량호성공신교서〉의 경우, 교서 말미의 기록만으로는 정확한 개조연대를 알 수 없으나, 『보사녹훈도감의궤』 기록을 통해 1681년 〈박정정사공신교서〉와 함께 개조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신교서의 제작과 粧?은 錄勳都監에서 주관한다. 1680년에 개조된 〈구굉정사공신교서〉 역시 녹훈도감에서 제작한 것이다. 그런데 1681년에 개조된 〈박동량호성공신교서〉와 〈박정정사공신교서〉의 경우에는 후손들이 私家에서 교서를 제작하여 장황한 후, 녹훈도감에 安寶를 요청하여 追給받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제작 양상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들의 장황이 소실되기 이전의 형태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소실되기 이전 원형의 장황형태를 지니고 있는 자료와 이 자료들에 대한 문헌기록을 내용을 통해 그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敎書 장황 각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 사용된 재료, 粧?附材의 형태와 크기에서 제작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上下繪粧의 폭은 1625년 < 1604년 < 改造本의 순으로 넓어지는데, 개조본의 하회장은 상회장과 그 폭이 거의 1 : 1의 비율로 후대로 갈수록 상회장의 폭이 넓어지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 변아의 폭은 후대로 갈수록 넓게 변하고, 끈(多繪纓子)의 폭 역시 원본의 호성공신교서와 정사공신교서는 좁은 반면 개조본은 이보다 넓다. 上下橫木과 莫只의 재료로는 산유자목을 사용하였고, 다회영자는 오방색을 의미하는 다섯가지 색실을 엮어 織造하였고, 籤(箴)의 재료는 鹿角을 사용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흥미롭다. 교서의 배접은 총 2차례에 걸쳐 진행하여 전체적으로 두 겹으로 마무리 된 것으로 보이는데, 바탕견의 배접은 毛邊紙로 하였고, 두 번째의 전체적인 배접에는 楮注紙를 사용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2겹의 배접상태는 자료를 실견하여 조사한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이들 장황재료에 대한 정보는 전적문화재의 재질 분석, 보존·복원 분야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중요하므로 검토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 Joseon dynasty, Gonsin-Gyoseo (Royal Edicts rewarding meritorious vassals) was issued for the reward of the contribution to the specific event of the nation. The family decided as vassals succeeded this Gonsin-Gyoseo as the family treasure to future generations. While it was happened to loss of this because of the unavoidable situation such as war in this process, there was the case of reissuance of Gonsin-gyoseo from the nation. The confirmative reissued Gonsin-gyoseo among Gonsin-gyoseo that descended down until the present was three pieces such as Park dongryang Hoseong Gonsin-Gyoseo, Gu gwoing Jeongsa Gonsin-Gyoseo, and Park jung Jeongsa Gonsin-Gyoseo.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form and mounting about these three pieces. The comparison result of Gonsin-Gyoseo produced in the same period with the original issued one in the record of the related Uigwe (a collection of document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reissued one seems to be larger in the form or ratio of the mounting compared to the first issued one. First of all, the width of Byunah was expanded as twice bigger, center and both side Whoijang also was bigger as over 2cm, and the below Whoijang was expanded as 10cm, and the ratio of the upper Whoijang and the below Whoijang was wider as 1.5 times and the reissuance was 1:1 ratio. The bisect of upper shaft in Park dongryang Hoseong Gonsin-Gyoseo is assumed as the form of an equilateral triangle, not a half-moon shape of the present, and Gu gwoing and Park jung Jeongsa Gonsin-Gyoseo will be the form whose bisection form is same but the size is smaller. Chuksu is confirmed that the size is not changed significantly. Osaekdahoi can be assumed that the width was smaller compared to the first issued one. The 3 piece of the reissued versions provide the clue of the verification for the form of the mounting of Bosa Gonsin-Gyoseo in the same production period. In the situation that the mounting of the production time was not confirmed among the currently descended Bosa Gonsin-Gyoseo, they can be very important materials.

      • KCI등재

        高麗 恭愍王 代 燕邸隨從功臣에 대한 一 考察 -柳淑의 動向 및 人的 關係網을 중심으로 -

        柳炅來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에서는 江陵大君(후일의 공민왕)을 시종했던 燕邸隨從功臣들에 대해서, 대표적인 공신이었던 柳淑의 動向 및 공신들 간의 상호 人的 關係網에 중심을 두어 고찰하였다. 高麗忠肅王의 차남인 강릉대군은 어린 시절 入元宿衛하여 10여년간 원에 머물렀다. 당시 다양한 성향을 지닌 인물들이 그를 시종하였다. 1351년 귀국하여 즉위한 공민왕은 자신을 시종했던 인물들을 연저수종공신으로 책봉하여 포상했다. 이들 공신들은 상호 인아 관계를 통해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서로 다른 다양한 면모를 지닌 공신들은 다양한 정치적 노선을 지향했고 여러 차례의 정변을 거치며 점 차 도태되는 양상을 보였다. 곧 1352년 趙日新의 난, 1356년 反元改革, 1363년 興王寺의 난, 1365년 辛旽 집권 등을 거치며 여러 공신들이 살해되거나 유배되었다. 수종공신 가운데 당대의 개혁․신진세력과도 연계된 獨步적인 존재였던 柳淑이 신돈에 의 해 실각한 이후 살해되었다. 이는 신돈이 집권하면서, 그나마 얼마 남지 않은 수종공신 세력이 결정적으로 정계에서 퇴장하였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Yeonjeo(Beijing residence)-sujong meritorious retainers(燕邸隨從功臣) who served Gang-reung-dae-gun(江陵大君), with a main focus on the trend of representative meritorious retainer-Yu-Sook(柳淑 ; 1316∼1368) and mutual Human network(人的關係網). Gang-reung-dae-gun, the second son of the King Chung-Suk(忠肅王), entered the Yuan(元) Royal court as a kind of hostage. He resided in Yuan for ten years. At that time, people of various inclination attended and served him. In 1351, Gang-reung-dae-gun returned to Koryo and ascend the throne. He is the King Kong-Min(恭愍王). King Kong-Min rewarded people who served him as the Yeonjeo-sujong meritorious retainers. Some meritorious retainers(功臣) constituted Human network(人的 關係網) through mutual marital relations. But meritorious retainers of diverse features aimed at different political lines. And they were gradually weed out through many political convulsions. Throughout the rebellion of Cho il-sin(趙日新 ; ?∼ 1352) in 1352․the anti-Yuan reformation policies(反元 改革 政策) in 1356․the revolt of Heung-Wang temple(興王寺) led by Kim yong(金鏞 ; ?∼1363) in 1363․the centralization of Shin-don(辛旽 ; ?∼1371 ;priest), some of meritorious retainers were removed or exiled. Yu-Sook(柳淑), the unique retainer who was related to contemporary rising reformers, was overthrown and murdered by Shin-don. It symbolizes the political decline of Yeonjeo-sujong meritorious retainers. Decisively, As Shin-don took the helm of state affairs after the revolt of Heung-Wang temple was suppressd, Yeonjeo-sujong retainers meritorious left political circles.

      • KCI등재

        조선시대 재발급 공신교서 양식 연구

        심영환,이진희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2

        In Joseon dynasty, Gongsin-Gyoseo(Royal Edicts rewarding meritorious vassals) was issued for the reward of the contribution to the specific event of the nation. The family decided as vassals succeeded this Gongsin-Gyoseo as the family treasure to later generations. When one happened to lose this caused by an unavoidable situation such as war in this process, there were a few cases of reissuing of Gongsin-gyoseo by the nation. The confirmative reissued Gongsin-gyoseo among Gongsin-gyoseo that descended down by now are three pieces which is Park dongnyang Hoseong Gongsin-Gyoseo, Gu goeng Jeongsa Gongsin-Gyoseo, and Park jung Jeongsa Gongsin-Gyoseo.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form and mounting about these three pieces. It was indicated that the reissued Gongsin-Gyoseo was produced following the same form with the original Gongsin-Gyoseo, that is pyeongchul(moving to next lines) and daedu (writing one or two letters ahead compared to the first letter) and so on. But, it was indicated that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vassals in the reissued time was reflected compared to position of the original Gongsin-Gyoseo. In case of Jeonsa Gongsin-Gyoseo, it was indicated that it was ‘Wonjongdaewang-whi’ since the original Gongsin-Gyoseo was ‘Jeongwongun-bu’ and the reissued time he became the father of King Injo.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ase of deprivation because of conspiracy such as ‘Kim jajeom, Kim ryeon, Sim kiwon, Sim kisung’ was produced as the original document and deleted with black ink stick. It was newly confirmed while the original Gongsin-Gyoseo was produced by a designated writer from the nation, the reissuance was written by a writer from the family of the vassals. Since the mounting of Gongsin-Gyoseo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avor and technique of the craftsman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production such as Baezeopjang and economical situation of the country supplying the material, the mounting of these three Gongsin-Gyoseo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ounting, especially because of the loss of the original by the Manchu war of 1636. The comparison result of Gongsin-Gyoseo produced in the same period with the original issued one in the record of the related Uigwe (a collection of document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reissued one seems to be larger in the form or ratio of the mounting compared to the first issued one. First of all, the width of Byunah was expanded as twice bigger, center and both side Hoejang also was bigger as over 2cm, and the below Hoejang was expanded as 10cm, and the ratio of the upper Hoejang and the below Hoejang was wider as 1.5 times and the reissuance was 1:1 ratio. The bisect of upper shaft in Park dongnyang Hoseong Gongsin-Gyoseo is assumed as the form of an equilateral triangle, not a half-moon shape of the present, and Gu goeng and Park jung Jeongsa Gongsin-Gyoseo will be the form whose bisection form is same but the size is smaller. Chuksu is confirmed that the size is not changed significantly. Osaekdahoe can be assumed that the width was smaller compared to the first issued one. The 3 pieces of the reissued versions provide the clue of the verification for the form of the mounting of Bosa Gongsin-Gyoseo in the same production period. In the situation that the mounting of the production time was not confirmed among the currently descended Bosa Gongsin-Gyoseo, they can be very important materials. 조선시대 공신교서는 국가의 특정한 사건에 공을 세운 공신을 포상하기 위하여 발급하였다. 공신으로 녹훈(錄勳)된 가문에서는 이 공신교서를 가보(家寶)로서 후대에 전승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전란 등의 피치 못할 상황 속에서 소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국가에서 다시 교서를 발급해 준 사례가 남아있다. 현전하는 공신교서 중에서 확인되는 재발급 교서는 박동량 호성공신교서, 구굉 정사공신교서, 박정 정사공신교서 3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 3점에 대한 문서양식과 장황에 대해 검토하였다. 재발급 공신교서는 원본 공신교서와 동일한 양식, 곧 평출(平出)과 대두(擡頭) 등을 준수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원본 공신교서와는 달리 재발급된 시점에서 공신의 신분에 변화가 있을 때는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사공신교서의 경우는 원본 공신교서는 ‘定遠君 琈’가 재발급된 시점에는 인조의 아버지가 되었기 때문에 ‘元宗大王諱’로 나타났다. 또 재발급 정사공신교서의 경우 ‘金自點, 金鍊, 沈器遠, 沈器成’과 같이 역모에 의해 삭훈된 경우는 원본 문서대로 작성을 하고 먹으로 검게 삭거(削去)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사자의 경우도 원본 공신교서는 국가에서 지정한 선서자가 작성하는 반면에, 재발급의 경우는 그 공신 가문의 선서자가 문서를 필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신교서의 장황(粧䌙)은 물자를 조달해야 하는 조정의 경제적 상황, 배접장 등 실제 제작에 관여한 장인의 기호와 기술 등에 따라 시대적으로 변모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3점의 경우 모두 병자호란으로 그 원형이 소실된 상황이었으므로, 재발급본과 최초 발급본의 장황이 달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해서 교서 제작 과정에 대한 의궤의 기록, 최초 발급본과 같은 시기에 제작된 공신교서와 비교해 본 결과, 재발급본은 최초 발급본에 비하여 장황의 형태나 비율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변아(邊兒)의 폭은 2배 정도 넓어지고, 중앙좌우회장(中央左右回粧) 역시 평균 2㎝이상 커진 형태이고, 하회장(下回粧)의 경우도 평균 10㎝ 넓어졌다. 상회장(上回粧)과 하회장(下回粧)의 비율은 최초 발급본의 경우 상회장이 하회장에 비해 1.5배 정도 넓고, 재발급본의 경우 거의 1:1의 비율을 갖추고 있었다. 상축(上軸)의 단면은 박동량 호성공신교서의 경우 현재의 반달형태가 아닌 부등변삼각형의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구굉과 박정 정사공신교서 축(軸)은 단면의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작아진 형태일 것이다. 축수(軸首)는 크기에 큰 변화가 없고, 오색다회(五色多繪)는 최초 발급본이 재발급본에 비해 그 폭이 훨씬 좁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재발급본 3점은 제작시기가 같은 보사공신교서(保社功臣敎書)의 장황 형태를 고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현전하는 보사공신교서 중에 제작당시의 장황을 갖추고 있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