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김성아,최진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1 놀이치료연구 Vol.15 No.1

        This thesis, whose subjects are only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and examines the relative influence The subjects are 490 5th to 6th grad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Chonnam Province. SPSS 12.0 i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1. It is seen that among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there exists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positive factors, an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negative factors. 2. It is observed that as the father's verbal aggression is more severe, the more negative effect is imposed on the child's positive factors,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conflict resolution, and satisfaction with his/her peer relationships whereas the more positive effect is exerted upon the child's negative factors, 3. It is seen that the higher the children's aggression, the more negative effect is imposed on the child's conflict resolution and his/her 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s and the more positive effect is exerted upon conflict and opposition, one-sided leading, retraction, isolation, and his/her dis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s. All things considered, it can be concluded that verbal aggression that parents frequently use as a method of control to remedy children's problem behaviors rather leads children not to be able to adjus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and thus leaves them with a lifelong psychological trauma. In particular,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ther's verbal aggression is exerted upon the child's peer relationships to a greater extent. This thesis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full of suggestions about how to discipline children and provides numerous empirical data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and children's aggression on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및 전남 지역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 5 · 6 학년 남녀 아동 49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은 또래관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의 언어적 공격성은 아동의 긍정적 요인 및 부정적 요인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의 언어적 공격성은 또래관계의 부정적인 요인에서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공격성은 또래관계의 긍정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격성을 중심으로 읽는 설화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와 건강한 서사로의 길 내기를 위한 서사지도 구축

        김혜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89 No.-

        This study is a basic work to design a media over-immersion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Among the media over-immersion factors, epics showing aggression were selected and discussed in literary therapeutics. In the fork tale "Betting With Strength and Worried About Brother," the younger brother was set as an agent of an epic.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ve behavior was explored through the literary therapeutics concepts of "principle" and "desire." In "Betting with Strength and Worried About Brother," the younger brother is born strong, but his sister is stronger. The younger brother behaves aggressively by murdering his older sister. He expresses his aggression by principlizing his desire. The aggression revelation process eventually kills the older sister, an act that reflects the strongest from of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on. In this study, the younger brother, who has aggressive tendencies, was set as an agent of an epic, and an aggression control method was explored. For this purpose, an epic map was constructed. First, we searched for an epic featuring an aggressive character like the younger brother. Next, the propos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ggression of an agent of an epic was explored. First, we explored and analyzed tales involving others' attempts to control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on. Next, we explored and analyzed a story in which the younger brother controls his aggression through his own will. These are "Brother-In-Law's Treason Plan" and "Betting With Strength and the Sister Who Became Maitreya," respectively. However, the characters failed at principlizing their desires, and desire was put in the realm of desire. Aggression was controll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hree stories were compared and examined with a focus on aggression, and the branch point of the epic was explored. An epic map was then constructed that facilitated choosing different paths in the same problem situation. Changing the epic of the self begins with choosing a different path at the epic's branch point.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to help alleviate aggression through epic map guidance. 본 연구는 미디어 과몰입 VR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미디어 과몰입의 요인 중 공격성을 보여주는 설화를 선정하여 문학치료학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비설화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에서 남동생을 서사의 주체로 보고, 남동생의 행동을 문학치료 서사이론의 ‘법칙’과 ‘소망’의 개념을 통해 공격성이 발현되는 원리를 탐색하였다.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남동생이 더 비범한 능력을 가진 누이와의 관계에서 공격성을 전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남동생은 자기 소망을 법칙화시켜 소망이 법칙의 영역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격성을 발현하게 된 것이다. 공격성을 발현하는 과정은 누이를 죽이는, 공격성이 가장 강력한 형태로 드러나게 되기도 하지만. 결국은 자기 자신까지 파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적 성향을 가진 남동생을 서사의 주체로 보았을 때, 공격성을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서사로의 길 내기를 가능하게 할 서사지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진 인물이 나타난 서사를 탐색하고 그 서사의 주체들이 공격성을 제어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의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타의에 의해 소망을 법칙화하지 못하고 소망을 소망으로 견지하고 있는 경우로 설화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를 선정하였다.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의형제가 자신들보다 더 힘세고 비범한 인물을 만나 공격성을 제어하게 되는 서사이다. 의형제는 사람들에게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여 자기 소망의 법칙화가 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소망이 상대에게 절대성을 발휘하도록 만들었다. 하지만 의형제가 자신들보다 보다 더 힘 센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서사의 분기점에서, 소망을 그대로 소망으로 간직하게 되는 사건을 맞이하여 타의에 의해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의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자의에 의해 소망을 법칙화하지 않고 소망을 소망으로 견지하고 있는 경우로 설화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를 선정하였다.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남동생이 더 비범한 능력을 가진 누이와의 관계에서 스스로 공격성을 제어하게 되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남동생은 자기 소망을 법칙화시키기 않고, 소망이 단지 소망의 영역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다. 공격성을 스스로 제어하는 과정은 결국 새로운 생명의 창조행위까지 이어져 자의에 의해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을 중심으로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서사의 분기점을 탐색하였다. 서사의 분기점을 통해 공격성향을 보이는 동일한 문제 상황에서 건강한 방향으로 가는 서사지도를 구안하였다. 자기서사의 변화는 서사의 분기점에서 이제와 다른 길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문학치료 프로그...

      • KCI등재

        공격성 구성개념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적응적이고 긍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강선희(Gang Seon H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공격성의 구성개념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격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에서는 공격성을 나쁘고 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공격성의 부정적인 결과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론적 및 임상적 측면에서는 공격성을 중립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면서, 역기능적이고 파괴적인 측면뿐 아니라 기능적이고 건설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경험적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공격성의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측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먼저 일반인들의 공격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대학(원)생 173명을 대상으로 공격성의 구성개념과 공격성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격성의 구성개념에 대해 공격성의 ‘본질’, ‘기능’, ‘표현’, ‘관련된 심리적 특성’의 4개 영역, 11개 범주가 나타났고, 공격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사회적 차원’의 3개 영역, 9개 범주가 나타났다. 대학(원)생들은 공격성의 부정적인 측면뿐 아니라 긍정적이고 적응에 기여하는 측면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론가들이 제안한 공격성의 적응성에 대해 일반 대학생들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struct of aggression. Aggression is often perceived as bad and harmful, and empirical studies are also universally focused on negative consequences of aggression. However, in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aggression has been viewed from a neutral perspective, and not only dysfunctional and destructive aspects but also functional and constructive aspects have been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wanted to look at the positive and adaptive aspects of aggression that have not been noticed in empirical studies, and to do so, it was necessary to first explore the public’s perception of aggress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73 university students on the constructive concept and the necessity of aggression, and th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4 domains and 11 categories of aggression’s constructive concepts: ‘essence’, ‘function’, ‘expression’, and ‘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necessity of aggression, 3 categories of ‘personal dimension’, ‘relational dimension’, and ‘social dimension’ were found.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not only the negative aspects of aggression but also the positive and contributing aspects to adaptation, and the students also recognized the adaptability of aggression proposed by theoris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자존감과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및 대처 간의 관계

        안은주,정성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elf-esteem of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tress and coping shown in the ‘People In the Rain Test(PIRT).’ The participants were 293 elementary school children (149 males, 144 females) in grades 4, 5, and 6 from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coping resource,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ping ability.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ping ability, whereas coping resour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ping ability. Second, coping resource and cop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 aggression group than in the high aggression group. In the ‘heavy rain’ and ‘multiple precipitation or snowfall’ items, the high agg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low aggression group, and in the ‘wind’ item, the low aggress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aggression group. In the items of ‘flawless protection’ and ‘missing body parts’, the high agg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low aggression group, and in the ‘boots’ item, the low aggress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aggression group.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coping resource, and coping ability between the high self-esteem group and the low self-esteem group. The low self-esteem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self-esteem group in the ‘heavy rain’ item, and the high self-esteem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w self-esteem group in the ‘cloud’ it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of coping resour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PIRT used for checking children's aggression and self-esteem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공격성 및 자존감이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및 대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있는 한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293명(남:149명, 여:144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은 자존감 및 대처자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존감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대처능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스트레스는 대처능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대처자원은 대처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공격성 하 집단이 공격성 상 집단에 비해서 대처자원과 대처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많은 비’, ‘다중 강수나 강설’ 항목에서 공격성 상 집단이 공격성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바람’ 항목에서는 공격성 하 집단이 공격성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완전무결한 보호’, ‘몸의 일부가 빠짐’ 항목에서 공격성 상 집단이 공격성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장화’ 항목에서는 공격성 하 집단이 공격성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자존감 상 집단이 자존감 하 집단 사이에는 스트레스, 대처자원, 대처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많은 비’ 항목에서 자존감 하 집단이 자존감 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구름’ 항목에서는 자존감 상 집단이 자존감 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대처자원의 모든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아동의 공격성과 자존감을 점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7 No.3

        목적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의 가정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의 공격성과 스트레스를 통한 정신건강상태를 연구하고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개광역시, 4개 도에 거주하는 135명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스트레스는 t 검증, 일원배치분산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요인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전체 공격성은 3.05점이었고 언어적 공격성이 3.69점으로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는 3.66 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은 연령에 따른 언어적 공격성(p=.031)과 분노표출(p=.043) 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체공격성(p=.028)과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p=.049), 언어적 공격성(p=.000), 분노표출(p=.036), 적대감표출(p=.042), 스트레스(p=.01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의성이 있었고(F=57.139, p<.001), 경제적 수준에서 나쁨(p<.01), 스트레스(p<.01), 연령에서 10세(p<.01), 연령에서 13세(p<.01)에서 공격성 정도에 71.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은 연령과 경제적 수준,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있어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This article was to study mental health status through aggression and stres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 and to use them as baseline data. Method : We used questionnaire and collected them from 135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live in 2 city and 4 do.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for aggression and stres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actors. Result : The first, the total score of aggression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3.05 and the most high score was verbal aggression, 3.69. Stress was 3.66. Th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gression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erbal aggression(p=.031) depending on age and anger(p=.01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tal aggression(p=.028) depending on economic level and physical aggression(p=.049), verbal aggression(p=.000), anger(p=.036), hostility(p=.042), and stress(p=.011). The third, we analysed the factors affecting aggress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ing from stepwise regression analysis(F=57.139, p<.001), the results showed a strong explanation of aggression by bad in economic status(p<.01), stress(p<.01), 10 years in age(p<.01), and 13 years in age(p<.01). Conclusion : Aggression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caused by age, economic level, and stres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애와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조절의 역할

        이은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lf-esteem and narcissism influence the aggress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scale (NPI), aggression (AQ), self-esteem, and anger control scale were conducted for 471 university students (177 male students and 294 female students). Of the 471 respondents, 97 in the bottom 20% of the aggression score (low aggression group) and 92 in the top 20% of the respondents (high aggression group) were selecte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high aggression was associated with high self-esteem, and high narcissism. A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443 data excluding data with missing values among all respondents. As a resul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narcissism and anger control, and self-esteem and anger control on aggress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a hypothetical model mediated by anger control between narcissism, self-esteem, and aggress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and narcissism had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anger control between self-esteem and aggression, bu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anger control between narcissism and agg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arcissism and self-esteem may differ in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trigger aggression. 본 연구는 자존감과 자기애가 어떻게 작용하여 대학생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5개 대학 대학생 471명(남학생 177명, 여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자기애적 성격척도(NPI), 공격성(AQ), 자존감, 분노조절 척도를 실시하였다. 응답자 471명 중 공격성 점수 하위의 20% 97명과 상위의 20% 92명을 선정하여 낮은 공격성 집단과 높은 공격성 집단으로 구분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낮은 자존감과 높은 자기애 수준이 높은 공격성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들 중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한 443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조절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격성에 미치는 자기애와 자존감, 자기애와 분노조절, 자존감과 분노조절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아 특성(자기애, 자존감)과 공격성 간에 분노조절이 매개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공변량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은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자기애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존감과 공격성 간에 분노조절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자기애와 공격성 간에는 분노조절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기애와 자존감이 공격성을 촉발하는 심리적 기제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인간의 공격성(aggression)’ 개념에 대한 고찰 및 그 치유 가능성의 전망 - ‘인간학적(anthropological) 관점’을 중심으로

        전석환 아시아교정포럼 2018 교정담론 Vol.12 No.1

        타인을 살해하는 공격성과 더불어 그러한 공격성 자체에 쾌감을 느끼는 인간의 행위는 과연 어떤 시각에서 어떤 관점으로 보고 평가해야 할 것인가? 다시 말해 고의적으로 상해, 혹은 살인을 저지르는 것과 더 나아가 전쟁을 일으키는 것 같은 더 파괴적인 공격성은 인간에 내재한 불변의 본질성에서 나오는 것인지, 혹은 충동적인 기질적 차이에서 나오는 것인지? 본 연구는 이러한 물음으로부터 출발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첫 번째는 ‘인간의 공격성’ 개념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다. 본 장에서는 인간의 공격성을 일반적인‘방어적인 공격성’과 구별하면서‘인간의 악성 공격성’ 개념을 해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두 번째는 악성 인간 공격성의 치유 범주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는 데, 본 장에서는 기존의 치유 범주의 확장과 심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필요가 기존의 관점 외에 바로 ‘인간학적 관점을 수용하는 것이다’라는 사실을 밝히고, 그 근거를 해명한다. 세 번째는 인간 공격성의 치유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그러한 논의를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결정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중심으로 수행한다. What viewpoints should be used to evaluate human behavior that feels pleasure in such aggression as well as aggression to kill others? In other words, is the more destructive aggression, such as deliberately injuring or murdering or even causing war, coming from the immutable nature of human beings or from impulsive dispositional differences? This study starts from these questions and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The first tries to explain the concept of 'human aggression'. In this chapter, we focus on explaining the concept of 'malignant aggression' by distinguishing human aggression from general 'benign aggression'. The second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healing category of malignant human aggression, which discusses the need for expansion and deepening of existing healing categories. In this paper, we reveal that such a need is to accept the anthropological viewpoint in addition to the existing viewpoint, and explain the basis. The third is the discussion of the possibility of healing human aggression, which is based on a critical view of 'biological determinism' in this study.

      • KCI등재

        유아의 운동변인과 공격성의 관계

        최문형 ( Moon Hyung Choi ),유진 ( Jin Y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체력과 운동프로그램이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운동변인과 공격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격성은 개인의 특질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달을 하는데 유아의 운동 또한 이러한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발달을 이루기 때문에 유아기에 공격성과 운동변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그 두 변인 관계의 해석을 다른 시기보다 객관적 차원에서 규명할 수 있다 하겠다. 서울지역 4곳의 유치원에서 학교와 부모의 동의를 얻은 만 5, 6세의 남녀 유아 322명을 대상으로 체력과 공격성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2곳의 유치원에서 만 5, 6세의 남녀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공격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공격성의 요인인 대물, 대인, 언어 공격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모두 높았다. 체력 요인(건강관련체력, 수행관련체력)과 공격성 요인(대물 공격성, 대인 공격성, 언어 공격성)의 상관분석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공격성 요인(대물 공격성, 대인 공격성, 언어 공격성)에 대한 체력 요인(건강관련체력, 수행관련체력)의 회귀분석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체력 요인이 공격성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으며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남녀 유아의 공격성에 어떠한 차이도 주지 못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의 운동변인은 공격성과 관계가 없다고 결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relation between exercise variables and aggression by analyzing how aggression can be affected by children`s physical fitness and an exercise program. As aggression is developed by the interaction of personal trait and environment and as children`s motor development progress likewise, analysing the relation between exercise variables and aggression in this period could be a more objective point of view than other periods.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aggression was proved by the data obtained by studying 322 children of 5, 6 years after getting permission from their parents and school at four kindergartens in the Seoul region. The difference of aggression was analyzed by a 12 weeks exercise program which was applied on 61 children of 5, 6 years olds at 2 kindergartens. All the primary factors of aggression, that is object, person and verbal factors, were higher for boys than for girls.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aggression showed that both boys and girls` physical fitness` factors(health related fitness, performance related fitness) were not related with person and verbal ag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physical fitness factors to aggression, boys and girls physical fitness didn`t affect aggression. And 12 weeks exercise program didn`t have any affection on children`s aggression for both boys and girls groups. In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physical fitness is not a factor affecting aggression of both boys and girls.

      • KCI등재후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의 매개효과

        김선미,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4 초등상담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이 매개하는 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구와 경상남도 소재 4개 초등학교 5, 6학년 411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러한 변인들의 내적 합치도와 기술통계치 및 변인간의 상관을 검토하고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의 부족이 공격성을 설명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 하였다. 그리고 거부민감성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의 부분매개를 가정한 연구모형과 완전매개를 가정한 대안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포함시킨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 결과 거부민감성,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 및 공격성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 부족이 4가지 공격성을 예측하는 변인인 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거부민감성은 주도적-외현적 공격성, 정서인식과 표현능력의 부족은 반응적-외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 변인이었고, 반응적-관계적, 주도적-관계적 공격성에 대해서는 두 변인이 모두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두 가지 관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설명변량의 차이는 있지만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일차적으로 설명변량이 높고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이 이차적인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4가지 종류의 공격성(주도적-외현적, 주도적-관계적, 반응적-외현적, 반응적-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이 매개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인식과 표현 능력의 부분매개를 가정한 연구모형과 완전매개를 가정한 대안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4개 모형 중에서 연구모형1(주도적-관계적 공격성)과 연구모형2(반응적-관계적 공격성)가 적합도지수와 설명력이 가장 높은 모형이었고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aggression. To do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411 students who we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Daegu City and Gyeongsangnam-do, South Korea.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al values and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It was implemented by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at the lack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accounts for aggression. And the research model supposed as segmental mediation of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and the alternative model supposed as full mediation were set up in relation to rejection sensitivity and aggression. These models were examin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este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with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shows there is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and aggression.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whethe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lack of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were variables to predict four types of aggression. Regression analysis was a variable of proactive overt aggression whil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were a variable of reactive overt aggression. These variables could explain reactive relational and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dictable variables as the variables explained two relational aggressions. However,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had primarily a high predictable variation.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had secondary power of explanation. Thirdly, a research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were set up to investigate that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are effective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four types of aggression(proactive overt, proactive relational, reactive overt and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he research model was supposed as segmental mediation of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while the alternative model was supposed as full mediation. These models were test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ng model. As a result, the greatest models of the four models were research model 1(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and 2(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hat goodness-of fit index was good and the highest power of explanation. Also it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공격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정애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253 papers from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infant aggression published from 1990 to May 2021 were selected and then keyword frequency analysis, keyword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UCINET program.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earch on aggression started to increase after 2006, and it was found that it increased rapidly in the last 10 years after 2011.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showed that studies were being conducted on the type of aggression,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aggression and methodological efforts to reduce aggression. Next, looking at the results of network centrality analysi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mother-related keyword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aggression, and other human variables such as teachers, peers, and father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addition, keywords to reduce aggression such as play, program, treatment, and physical activity appeared as major keywords. In particular, play and program were found to be important keywords in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Finally, the CONCOR analysis of the research on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ree clusters were roughly formed, which were divided into clusters dealing with aggression reduction, a cluster related to major factors influencing aggression, and a cluster related to aggression-related subjects and category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the above keyword network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ek diversification of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공격성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유아 공격성 관련 학술지 논문 253편에 대해 키워드 빈도분석, 키워드 네트워크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공격성 관련 연구는 2006년 이후 두드러지기 시작하여 2011년 이후 최근 10년간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공격성의 유형,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 공격성 감소를 위한 방법적 노력을 다룬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어머니 관련 키워드가 유아 공격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외 교사, 또래, 아버지 등의 인적변인이 직·간접적으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놀이, 프로그램, 치료, 신체활동 등 유아 공격성을 감소방법 키워드가 주요하게 출현하였으며 특히 놀이와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 결과, 공격성 감소 관련 군집, 공격성 관련 개인 내외 변인군집, 공격성 관련 대상 및 범주유형 군집 등 3개의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아 공격성 관련 연구 방향의 다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