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분석 경향에 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는 공간을 해석하는 범위와 방법의 확장성을 가져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각도의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념에 의한 형태론, 행태에 의한 현상론 등 정성적 해석에 의한 기존의 공간분석은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물리적 형태에 대한 사회학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공간구문론은 많은 연구들에 유의미하게 활용되어지고 있지만 단위공간의 관계성 외 공간의 의미와 현상에 대한 포괄적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다양한 방법론적 데이터들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활용 현황과 향후 개선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선행연구의 영역, 분야, 시간적 특성 등 연구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후 새로운 분석체계로 재검증하여 그에 대한 원인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통제변수, 매개변수, 독립변수, 종속변수로 분류하고 변수 영역별 공간분석 키워드(위계성 정립)를 도출하여 기호화한 변수영역별 기호체계(SSV: System of Symbol Variable)를 마련한다. 이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의 영역별 특성과 경향을 통시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로 분석하였다. 키워드로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여 RISS, 국회도서관을 통해 검색된 371개의 학위 논문 중 제목, 목차, 요약의 내용에 키워드가 직접 언급된 68개의 국내 박사학위 논문을 연구의 대상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전체 대상의 발표 시기를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결과)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구는 공간의 시대적 변화와 특정 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전기와 후기로 분류한 결과 연구의 경향 및 특성에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SSV로 분석한 결과 전기에는 공간구문론만을 활용하여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경향과 특정 대상의 공간을 분석하는 연구경향이 균등한 비율로 나타난 반면 후기에는 타 이론과 병합되어 특정 대상의 공간만을 분석하는 경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기의 연구는 공간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기의 연구는 공간과 인식, 행태, 현상 등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었다. 이는 일반적 경향 분석에 대한 원인적 근거이며 공간 구문론의 한계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결론)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공간분석방법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나 현대에는 가시영역이론, VAE, ERAM, 등 다양한 이론들과의 병합으로 공간 구문론의 단점을 보완한 공간분석의 방법론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복합공간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전된 연구모형의 변화와 요인의 다양성, 변수간의 종속성에 의한 다중적 회귀 분석으로 좀 더 신뢰도의 발전을 가져와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변수영역별 기호체계를 통한 분석으로 선행연구의 경향을 객관적 수치로 검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the spatial recognition have led to the scalability of the scope and method of interpreting space. Existing spatial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morphology by concept and phenomenology by behavior, provides the first step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ological relations to physical forms with the emergence of space syntax. Space syntax theory has been significantly used in many studies, bu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phenomenon of space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nalysis of methodological data of space syntax theory. (Method) After analyzing the general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and its re-validation using a new analysis system, the causes and reasons for it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ontent, the space analysis keyword was derived to prepare the system of symbol (SSV: System of Symbol Variable). Previous research has analyzed the diachronic trend in quantitative terms by using SSV. When space syntax theory was used as a keyword, a total of 68 domestic doctoral dissertations among 371 theses searched via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set as the target scope of the study. (Results) The study using space syntax theory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of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pac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m into those belonging to the former and latter perio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As to the SSV analysis results, in the former perio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an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were found in equal proportions using only space syntax theory. However, in the latter period, the tendency to analyze only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ories was predominant. In addition, former studies focused only on the space itself, while the studies from the later period mainly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ce and perception, behavior, and phenomena. (Conclusions) After the appearance of space syntax theory, the methodological domain of space analysis in modern times has been expanded to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space syntax theory by merging it with various theories such as visual domain theory, VAE, and ERAM. To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complex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should be improv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hanges in the research model, diversity of factors, and interdependency among the variabl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was verified by objective figures through analysis using the preference system for each group of variables.

      • KCI등재

        박물관 증축에 의한 기능의 공간 및 시각적 위계 변화 분석 연구

        백송이,이현민,이행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국가경쟁력의 원천이 된다. 이에 정부는 박물관 진흥 중장기계획을 세워 운영중에 있다. 지속적인 박물관의 추가 건립은 국민들에게 박물관 이용을 권장하고 그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일환이다. 반면 기 건립된 박물관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장품의 증가로 추가적인 전시 및 소장을 위한 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박물관 증축에 대한 관심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 증축에 관련한 연구는 현저하게 부족한 상태로 박물관 증축을 위한 기초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증축이 이루어진 박물관을 대상으로 증축 전후 발생하는 공간 및 시각적 위계 변화와 그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박물관 증축시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실제 증축이 이루어진 박물관을 대상으로 박물관 증축 전후의 공간 및 시각 위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과 Visibility Graph Analysis(VGA)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연결도,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 및 군집계수와 관련한 지표값을 도출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각 지표의 상위 10% 값을 근거로 그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박물관 증축에 의한 위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수한 상황의 설계의도를 제외한 박물관 증축은 공간이용률 관련 지표인 연결도의 큰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다. 이는 증축으로 만들어진 건물은 서브기능을 이용하도록 계획되기 때문이다. 2) 박물관 증축은 홀과 로비 등의 공용공간으로 이용률, 접근성, 인지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박물관의 단순 전시기능에서 사회소통의 다각적인 기능으로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3) 시각적 위계 지표인 VGA 연결도 및 군집계수 분석 결과 박물관 증축이후 공용공간의 시각적 개방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접근성의 지표인 VGA 국부통합도 분석결과 박물관 증축 이후 상위 10%의 값을 보이는 격자의 비율이 공용공간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박물관의 공용공간의 기능은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4) 이러한 결과를 종합시 박물관 증축 이후 공용공간은 공간 및 시각적 위계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박물관 증축시 사회소통의 역할이 강조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실제 증축이 이루어진 박물관을 대상으로 증축 전후 공간 및 시각적 위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박물관 증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평면만을 중심으로 다루는 방법론인 공간구문론과 VGA를 채택하여 2차원적 분석만 진행하였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향후 다양한 방법에 의한 분석이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만족도 분석

        이동규,손병훈,안병철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around 39 dams, including multi-purpose dams, water dams, and flood control reservoir dams, to induce space improvement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level based on the Likert scale of 5 points for the currently created dam green infrastructure was 3.76,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gender, age, residence, number of dam visits, and the need to pursue sustainability, and it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gender, p<.05, age, residence, number of dam visits, and the need to pursue sustainability were found to be p<.01.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s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on satisfaction, and it was analyzed that only the number of dam visits and the need to pursue sustain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nd other characteristic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conceptual image of public bridge, view place and play space, which are the main spaces of dam green infrastructure considering sustainability, view place was the highest at 4.43, the play space was 4.35 and public bridge was analyzed as 4.21. The t-test result for the satisfaction of each space was found to be p<.01, and the difference in values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 Th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satisfaction with green infrastructure was also analyzed as p<.00,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s a way to revitalize green infrastructure around the dam through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needs for major visitors in their 40s and 50s and create a space considering them. It was proposed to derive facilities and programs that can be introduced to other regions through the analysis of green infrastructure status around dams in Chungbuk, Jeonju, and Ulsan, where there are relatively many dams. Furthermore, satisfaction analysis by space showed that green infrastructure around the dam could be activated in terms of sustainability when selecting packaging materials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dam, arranging observation facilities considering lake prospects, and introducing amusement facilities using local environmental resource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presented space improvemen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sustainability for green infrastructure around dams for non-urban areas, and space improvemen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it connectivity in urban and non-urban areas, which can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stainability of green infrastructure in Korea. 본 연구는 다목적댐, 용수댐, 홍수조절지댐 등 39개 댐 주변 그린인프라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공간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조성된 댐 그린인프라에 대한 리커트(Likert) 척도 5점 기준 만족도는 3.76으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성별, 나이, 거주지, 댐 방문 횟수,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성별의 경우 p<.05, 나이, 거주지, 댐 방문횟수,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은 p<.01로 나타났다. 이러한 응답자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댐 방문횟수와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특성 변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댐 그린인프라의 주요 공간인 공도교, 전망공간, 놀이공간의 구상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전망공간이 4.43으로 가장 높았고, 놀이공간이 4.35, 공도교가 4.21로 분석되었다. 각 공간의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p<.01로 나타나 값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현재의 그린인프라에 대한 만족도와의 차이는 p=.00으로 분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만족도 분석 결과를 통한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 방안으로는 주요 방문객 대상을 40대~50대를 대상으로 니즈(needs) 파악 및 이를 고려한 공간 조성이 필요하며, 비교적 댐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충북, 전주, 울산 지역의 댐 주변 그린인프라 현황 분석을 통한 타 지역에 도입 가능한 시설,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간별 만족도 분석결과 댐의 구조와 형태를 고려한 포장 재료 선정, 호수의 전망을 고려한 전망시설 배치, 지역의 환경 자원을 활용한 놀이시설 등의 시설 도입 시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며, 공간별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를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시행이 필요한 공간을 전망공간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도시지역에 위치한 댐 주변지역의 그린인프라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측면을 고려한 공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이에 대한 공간개선은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그린인프라 연결성 향상에 기여 가능하며, 이는 우리나라 그린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GIS 공간분석에 있어 Fuzzy 함수의 적용에 관한 연구

        임승현(Lim Seung Hyeon),황주태(Hwang Ju Tae),박영기(Park Young Ki),이장춘(Lee Jang Cho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퍼지개념을 적용한 GIS 공간분석법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쓰레기 매립장 입지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는 GIS의 공간 중첩 분석법을 적용하여 입지분석이나 적지선정 등을 수행하였으나 공간 중첩분석은 보통집합의 불린 논리를 바탕으로 공간자료를 처리하였기 때문에 공간자료의 불확실성과 자료분류 기준의 부적합성을 고려하여 분석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신뢰할 수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없어 실제 문제에서 적극 활용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쓰레기 매립장을 대상 시설로 선정하고 객관적인 접근법으로 퍼지 공간분석 법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적용과정으로서 연속형 공간자료에 대한 소속함수의 정의방법과 퍼지분석을 위한 퍼지입력값의 생성, 그리고 쓰레기 매립장 입지평가를 위한 분석인자의 선정기준 및 자료분류기준을 검토하여 이것으로부터 소속함수를 결정하는 매개변수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GIS spatial analysis method adopted fuzzy concept was introduced and land suitability analysis of waste landfill wer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Previous studies conducted site evaluation and land suitability analysis by appling spatial overlay of conventional GIS that based on the boolean logic of crisp set. However these method can not consider the uncertainty of spatial data and the incongruity of data classification criteria, because these method handle spatial data based on the boolean logic of crisp set. As not provided trustable analysis result, conventional GIS spatial overlay method lacks opportunity for expanding use in reality. This study selected waste landfill as facility for analysis and applied fuzzy spatial analysis method as an objective approach. In the concrete contents of study, a series process with regard to the definition procedure of membership function for continuous data and the fuzzy input value generation of spatial data for fuzzy analysis is established. As a resul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hat derive parameters for deciding the membership function of spatial data by considering the criterion of data classification and factor selection for land suitability analysis of waste landfill.

      • KCI등재

        공간 주성분을 이용한 오존데이터 탐색

        문승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1

        Among the methods of exploratory analysis on spatial dat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an be considered for dimension reduction, in general. Generally, univariate spatial data consist of three variables, that is, two location variables and main interest variable. So in this case, if we simply consider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variance- covariance matrix from these variables, we can not get some correct results, such as inherent spatial characteristic or spatial correlation information of spatial data. In this study, we derive spatial correlation from spatial data and propose spati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the spatial correlation as an alternative method. As an application of spati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 analyze the Korean ozon data. 일반적으로 공간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분석 중 차원축소를 통한 시각적 탐색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주성분분석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어진 데이터를 위치좌표 변수와 관심 주변수를 포함한 다변량 데이터로 간주하고 일반 주성분분석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그 공간데이터에 내재하고 있는 공간적 특징이나 공간상관의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분석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상관을 고려한 공간 주성분분석을 제안, 이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한국의 오존데이터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사례분석 결과 공간 주성분분석은 공간상관이 존재하는 경우, 일반 주성분분석과는 달리 공간데이터의 군집성과 이에 따른 공간상관이 존재함을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이 교육공간 분석에 주는 의미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이 연구는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이 교육공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드러내고 교육공간의 창조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론적 고찰의 결과, 첫째, Lefebvre의 공간적 실천 분석, 교육적 공간 표상 분석, 체험적 공간 분석의 세 차원으로 이루어진 교육공간에 대한 분석틀은 교육과 관련된 제약과 모순을 보다 정교하면서도 종합적으로 파악하게 해 줄 수 있다. 둘째, Lefebvre의 리듬분석은 교육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들의 과정적 변화 과정을 심층적인 연관성까지도 함께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Lefebvre의 차이생산이론은 이상적 상태의 제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과 교사에게 더욱 의미 있는 교육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실천적 거점을 마련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공간 분석의 새로운 관점으로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Lefebvre의 리듬에 관한 개념과 분석의철학을 반영한 절차적 과정을 정립하고 적용ㆍ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What is space in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the diagnosis of the educational space based on Lefebvre’s space production and rhythm analysis theory utilizing as approach could be exposed as its whole field and derived creative changes of its own space. Lefebvre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arious academic fields by establishing his own theory of space through creatively developing the ideas of Marx. Results of this study is a three-point summary follows; Firstly, that analysis on three aspects of educational space, that is to say Lefebvre’s practical analysis, symbolic analysis, experiential and historical analysis could be elaborately, but at the same time totality grasp attribute of educational space. Second, Lefebvre’s rhythm analysis could be find in-depth interrelationship of these, as well as changing process of daily life of occurring within educational space. Finally, by Lefebvre’s differential space theory providing an ideal place for educational space, his theory can help that educational space should creatively produce a different space of learning and teaching on their won. So, this study proposed that Lefebvre’s space production and rhythm analysis theory to make use as alternative approach for diagnosis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this study proposed that elements and process of educational space analysis that best reflects the Lefebvre’s theory set up and will start practicing.

      • KCI등재

        행위자기반모형을 적용한 공간구조분석 기초연구

        오성진,김석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현대는 과학과 정보량의 증가로 인하여 사회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사용자와 공간간의 관계 역시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간의 복잡계적 특성은 계획단계에서부터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으로 기능적 효율성을 검토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필요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시지각기반 분석방법은 공간의 물리적 분석이 아닌 복잡계적 특성을 분석함에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계적 특성을 반영한 행위자기반모형이론을 바탕으로 공간과 행위자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이용하는 공간구조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예시모형 실험을 통하여 먼저, 시지각 분석이론과 행위자기반 분석이론을 비교하여 행위자기반 분석모형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평가하였고, 시간 및 공간제어변수를 조절에 따른 공간 점유율을 측정으로 새로운 분석방법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 동일한 공간 구조에서도 행위자의 공간 점유시간이 공간구조의 관계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2) 동일한 위상학적 경로를 지닌 공간에서 공간의 크기 변화 역시 공간구조의 관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었다. 이를 통하여 공간의 복잡계적 특성인, 행위자 및 공간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창발현상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행위자기반 분석모형이 공간 통행량 분석 및 효과적인 동선 설정 등의 사전 시뮬레이션에 적용되었을 때 상당히 실용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In the modern society, the social structure is getting more complex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increase of inform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user and space is also being expressed more diversely. This characteristic of space as a complex system came to require the methodology to review the functional efficiency from the stage of planning with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method. The vision-based analysis method has a limit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system rather than the physical analysis of spac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analyze the space structure by using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agent based on the agent-based modeling theor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system.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rough the experiment of proposed model, the vision analysis theory and the agent-based analysis theory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agent-based analysis model. And then, it proposed the possibility of new analysis method by measuring the space sharing rat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ime and space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Even in the same space structure, the space occupying time of agent has influence on the relativity change of space structure; 2) In the spaces with the same topological route, the size change of space also has great influence on the relation of space structure. With this, we can expect the fairly practical effect of the agent-based analysis model when it is applied to the preliminary simulation for the space traffic analysis and the set-up of effective route, as a tool to analyze the emergence phenomena occurr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agent and space as the complex system characteristic of space.

      • KCI등재

        색채 중심의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 경향

        이민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Studies on health have been continually conducted for a long time, and began to focus more on healthy lifestyles and quality of life as our modern society ag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ealthcare space design(HCSD) in order to realize the healthcare, studies on the realization of a healthcare environment centered on color, the representative visual element, were conducted. However, there is no trend analysis of accumulated studies so far despite the demands of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prior healthcare design studies centered on color studied in space design, and to derive a study trend, and to find out implications for color-centered HCSD studies. (Method) To find out the trend of prior studies, 33 papers from 2002 when a healthcare design study began to March 2020, were extracted by searching related keyword among registered journals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o meta-analyze. (1)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eaning of color in healthcare space design in order to reveal the need for a color design approach in healthcare space. (2) Based on this, the HCSD related keyword was applied to extract subject papers through a KCI system, and (3) the trend of HCSD studies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time series, research methods, key actors, and target space according to the analysis design criteria. (Result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color-centered HCS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a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perspective starting from 2003. It is also found that analysis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olor status of case spaces were mainly conducted as a main research method,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increase objectivity in the process of color extraction for space. The key actors of the studies were the elderly and patients, and the studies mainly focused on verifying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through color to them. As the category of space has been expanded from specialized medical facilities to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in everyday space, environmental colors considering psychological comfort and convenience even for the general public and the visually weak were being studied. (Conclusions) The meta-analysis of HCSD studies centering on color is meaningful, as it can present a design direction that can be finally realized in connection with the design influence of a single visual element of design. As a follow-up to this study, a trend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 number of design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ing effects other than color and HCSD will be conducted. If these studies are integrat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direction of HCSD based on comprehensive design elements. (연구배경 및 목적) 건강을 주제로 한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 왔고 현대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건강한 생활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해 더욱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헬스케어 실현을 위한 헬스케어공간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중에서도 대표적 시각표현요소인 색채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 환경 구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시대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까지 누적된 연구들의 경향 분석이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연구된 색채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화 하고 연구 경향을 도출하여, 색채 중심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된 연구의 경향을 알아보고자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시작된 2002년부터 2020년 3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중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해 대상논문 33건을 추출하고, 이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1)헬스케어공간디자인에서 색채의 의미를 발견하여, 헬스케어공간의 색채디자인적 접근의 필요성을 밝힌다. (2) 이를 기반으로 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 관련 키워드를 적용하여 KCI 시스템으로 대상논문을 추출하고, (3) 분석설계 기준에 맞춰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시계열, 연구방법, 중점 행위자, 대상공간별 유형화 하여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색채 중심의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는 2003년을 시작으로 전문화・다양화 관점으로 진행되었고,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례공간의 환경색채현황 분석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공간색채 추출과정에서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었다. 연구의 중점행위자로 고령자와 환자 대상의 색채를 통한 심리적 치유효과 검증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공간의 범주가 전문의료시설 이외에도 일상 공간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으로 확장되어, 일반인 및 시각약자까지 고려한 심리적 안정감 및 편의성을 고려한 환경색채가 연구되고 있었다. (결론) 색채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메타분석은, 단일 디자인 시각표현요소가 갖는 디자인 영향력과 연계하여 최종적으로 실현화할 수 있는 디자인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색채 이외의 환경적 치유 효과와 관련된 다수의 디자인 인자들과 헬스케어공간디자인의 관계 연구들의 경향 분석을 수행할 것이며, 추후 이러한 연구들이 집적된다면 종합적 디자인 요소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공간디자인의 방향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유휴공간 활용으로 재생된 공원의 조성실태 및 공간 특성 사례 분석 연구 -시흥갯골생태공원, 인천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중심으로-

        김영은,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실증적 평가 방식을 통해 유휴공간이 재생된 사례 분석이 부족한 시점에서 과거 유휴공간이었던 대상지를 평가하고 재생된 공원의 공간 요소를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과거 유휴공간이었던 부지가현재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공간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5가지 특성으로 공간 평가 지표를 재구성하여 대상지 2곳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유휴공간을 재정의하고 유휴공간의 유형과 발생 원인, 문제점과 재생 가치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공간 평가 지표에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역사적 측면 5가지 항목으로 재구성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최종 평가 지표를 작성하였다. 이는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유휴공간이었던 대상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 향후 유휴공간의 맥락이 담긴 공원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시흥갯골생태공원, 인천 소래습지생태공원으로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는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3차례 방문하여 공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흥갯골생태공원은 시민들이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하여 공원의 활성화를 이끌어사회적, 역사적 측면에서 세부특성 정도가 높게 드러났다. 하지만 다양한 동선에 비해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요소가 부족했고, 공원 내 갯골이 흐르는 수변 공간의 쾌적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인천 소래습지생태공원은 도시의 역사적인 맥락과 갯골이라는 친수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휴식공간으로 역사적 측면에서 세부특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자체적인 내부 행사가 진행되지 않았고, 오수 및 폐기물과연관된 위생 관리가 부족하여 개선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실증적 평가를 통한 사례 분석이 부족한 상황에서, 객관적 평가 지표를 활용하여 공원이 효율적으로활용되고 있는지 5가지의 특성에 따라 공간 요소를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두 공원의 평가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문제점에 대해 개선점을 제시한 후, 향후 이용자 만족도 향상과 공원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Through an empirical evaluation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target site that was previously idle and analyze the spatial elements of the regenerated park at a time when there was a lack of case analysis of unused space regener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ite, which was an unused space in the past, is currently being efficiently used, the spatial evaluation index was reconstructed with five characteristic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target sit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survey and a field survey.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unused space was redefined, and the type and cause of the unused space, problems, and regeneration value were explored. In addition, based on prior research on spatial evaluation indicators, it was reorganized into five items in physical,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historical aspects, and the final evaluation index was prepared through field trips. This aims to help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 containing the context of the unused space in the future by presenting evaluation criteria to analyze the target site that was an unused space.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as Siheung Gaetgol Ecological Park and Incheon Sorae Wetland Ecological Park.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three times from May to June 2023 us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Siheung Gaetgol Ecological Park has a high degree of detaile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ocial and historical aspects by inducing natural participation through continuous programs so that citizens can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However, compared to various routes, there were insufficient elements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the comfort of the waterfront space where the tidal valley flows in the park was not secured. Incheon Sorae Wetland Ecological Park is a resting place that actively utiliz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ity and the hydrophilic space of the tidal valley, and has a high degree of detaile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istory. However, internal events have not been carried out on their own, and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due to a lack of hygiene management related to sewage and waste. This paper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how to analyze spatial factors according to five characteristics of the park using objective evaluation indicators in a situation where case analysis through empirical evaluation is insufficient. In addition, after presenting improvement points for problems derived from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two parks,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user satisfaction and park improv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간정보산업의 재무분석

        김현재(Kim Hyun Jae),이정우(Lee Jung Woo) 한국산업경영학회 2022 경영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공간정보산업분류에 대한 시계열 재무분석이다. 재무분석을 통해 재무적 산업구조를 파악을 위한 연구이며 공간정보산업의 변화를 추정하는 연구이다. 공간정보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업종별 효과 제시및 공간정보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 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공간정보산업을 대상으로 산업 구조분석 및 재무분석을 통해 공간정보산업의 업역의특성과 공간정보산업의 성격과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공간정보기업을 추출하고 산업분류 상의 대분류, 소분류를 구분한 뒤 전체 산업 대비 공간정보산업의 비중과 세분류별 공간정보산업의 규모와 비중을 분석한다. 산업 현황을 고찰하기 위한 재무지표로는 성장성, 수익성, 생산성 지표를 적용하였다. 세부 지표로는 성장성은매출액증가율을, 수익성은 자기자본이익율(ROE), 총자산순이율(ROA), 안정성은 부가가치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기여는 다음과 같다. 공간정보산업 분류는 현재까지도 구체적이고 상세하지 않은 상황이며 산업의 범위와 규모에 대한 추정이나 정의도 확실하지 않다. 융복합 특성을 갖는 공간정보산업은 지속적인 확장과변화를 맞이하고 있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의 산업 현황조사와 구조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본 연구는 산업구조 분석 그리고 재무분석을 통해 공간정보산업을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공간정보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