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古時調 詩語 시소러스 개발

        우응순,권순회,한창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본 논문의 목표는 고시조의 정보 처리를 위한 방법론을 탐구하고, 실제 정보 검색에 쓰일 수 있는 <古詩調 詩語 시소러스>를 개발하여 한국학 문헌 자료의 정보화 및 그 활용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초 방법론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기반하여 디스크립터 2,000항목 규모의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먼저 기초 방법론 연구에서는 시소러스의 목표 및 적용 대상의 범위, 용어간의 관계 정의, 고시조 용어 분류·코드 체계 설계를 수행하였다. 시소러스 구축의 목표는 전문적인 고시조 자료 검색에 유용한 학술용 시소러스 구축에 두고 고전시가 전반으로의 확장성을 고려하였다. 적용 대상의 범위는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창작된 고시조 원문 텍스트 및 여기에 부수된 서지, 작가, 서발, 음악 정보로 규정하였다. 용어간의 관계 정의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ISO/TC)의 '단일언어 시소러스 제정 및 개발 지침(ISO 2788)'을 기준으로 고시조의 특성을 반영하여 등가 관계, 계층 관계, 연관 관계에 대한 개념을 규정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디스크립터(우선어) 및 비우선어 선정의 원칙, 상위어 및 하위어, 관련어 선정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용어 분류 체계는 계층형 시소러스의 기본 구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①문학 관련 시소러스의 특징에 맞게 이미지나 관념 등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②개념형 분류 체계(Ontology)를 중심으로 고시조 전문 연구자들의 관심과 지식 체계를 반영함으로써 전공자 수준의 이용가치를 증대시키고, ③고시조 어휘의 분야별·영역별 분류방식의 표준적 준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④고전 문학이나 한국학 일반의 시소러스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고시조 용어분류 체계를 설계하였다. 먼저 개념형 분류 체계 방식에 의거하여 대분류 항목을 '1. 時間', '2. 空間', '3. 人物', '4. 事物', '5. 觀念', '6. 事件', '7. 言語'로 구분하고, 고시조의 주제적 특성을 반영하여 중분류 및 소분류 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82개의 하위노드를 가진 <고시조 용어분류·코드>를 설계하였다. 이상과 같은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2,000항목 규모의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고시조 5,180수 및 주요 가집 13종에 수록된 7,183수(중출 작품 포함)를 대상으로 어절 단위의어휘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기초 어휘를 수집하고 유의어 및 동의어를 군집화하였다. 이어 동음이의어나 동형이의어, 복합어 등에 대한 어휘 통제를 거쳐 시소러스의 기반이 되는 어휘데이터베이스(Lexical DB)를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선 지시형 시소러스와 계층형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우선어(USE) 선정은 동의어 가운데 통용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되고, 언어적 인지도 및 활용성 면에서 다른 것보다 우월하며, 의미 표현이 고시조 분야의 의미로 한정될 수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어휘 통제 및 검증을 필수적으로 거친 용어를 우선하였다. 한편 관계형 시소러스는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실험적으로 구현하였다. 비우선어(UF)의 경우 고시조가 가창된 특성을 반영하여 訛字를 포함한 모든 이형 표기를 포함하였다. 유사동의어는 사안에 따라 비우선어로 처리하였다. 상위어(BT)와 하위어(NT)는 고시조 어휘의 범위하에서 선정하고 다중 계층 관계를 설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위어는 1개로 한정하였다. 한편 관계형 시소러스는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실험적으로 구축되었다. This paper aims at seeking after a methodology to process information in classic Shijo and magnifying the informationaliz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hilological data in Korean Studies by developing a thesaurus of poetic dictions. For this, I carried out a basic study of the methodology and constructed a thesaurus of 2,000 item size on the basis of this. First of all, in the study of basic methodology, I embodied the purpose and the application range of objects, the defini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erms, the classification of classic Shijo terms and the design of the code system. The purpose lies in construction of thesaurus which could be useful in searching classic Shijo data for the professional and includes the possibility to be extended to the whole of classic poems and songs. The application range of objects is restricted to the original texts which were created between the 15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additional information as bibliography, author, prefaces and postscripts, and music. The defini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erms includes equivalence relation, hierarchical relation and associative relation following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nolingual thesauri(ISO 2788)'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 Shijo. And on the basis of this, I suggested a principle of selecting descriptors(preferred terms) and non-descriptors, and a principle of selecting hypernyms, hyponyms and related terms. A classificational system of terms can also be regarded as a basic structure of hierarchical thesauri. In this reserch, it is designed ①to provide a system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of images and concepts, which is adequ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related thesaurus, ②to amplify the utility value to the speciality level, by mirroring the interests and knowledge system of the professional classic Shijo researchers, and ③to be applied as a standard of methods in classifying vocabularies of classic Shijo by fields or domains. While dong this, I also considered the convertibility of it into classic literature or Korean Studies. Firstly I distinguished seven major classes, i.e. 1. TIME, 2. SPACE, 3. HUMAN, 4. THING, 5. NOTION, 6. EVENT, 7. SPEECH according to the method of ontology, and then separated middle and lower ones mirroring thematic characteristics of classic Shijo. Thus, I produced <Table of term classification and codes in classic Shijo> in the end. The 2000 item thesaurus I mentioned above was constructed observing the criteria in this table. After extracting word unit vocabulary from 5,180 classic Shijos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database and 7,183 which were in 13 major song books(including overlaps), collected basic vocabulary from them and grouped synonyms including pseudo-synonyms. Then, I constructed a leical DB controlling homophones, homographs and compunds.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 constructed an indexed thesaurus and a hierarchical thesaurus. The selecting of USE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e height of currency, the degree of linguistic recognition, the applicative superiority and the domain specificity in classic Shijo. In addition, the vocabulary passed lexical control and evaluation were preferred. UF includes all the allomorphs including even wrong characters. Pseudo-synonyms were treated as UF, case by case. BT and NT were selected within the domain of classic Shijo and I did not give them any hierarchy. So, BT was restricted to one item. On the other hand, I gave body to a relational thesaurus experimentally within a small amount limit.

      • KCI등재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 방법 연구

        김태웅(Kim, Tai-Woong)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3 No.-

        이 글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 방법 연구를 위해 이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1910~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53종의 고시조 앤솔로지의 목록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글에서 53종의 이르는 모든 고시조 앤솔로지의 편찬 방법을 분석할 수는 없었기에 자산의 〈모범의 고시조〉를 택해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 방법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산의 〈모범의 고시조〉는 신출 작품이 없는 그것도 단행본이 아닌 잡지의 하나의 소제목으로 이름 붙여진 것이다. 하지만 100수라는 적지 않은 작품수와 모든 작품이 유명씨로 구성되었으며 주제별 분류 방식을 택했다는 점이 고시조 앤솔로지의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에 이 텍스트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모범의 고시조〉는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이 고시조 앤솔로지는 평시조만을 수록하고 있으며 모든 작품에 작가가 기록되어 있는 유일한 시조집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고시조 앤솔로지에 수록된 작품들은 대부분이 다수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는 인기곡들이다. 100수의 작품을 일일이 고시조대전에서 찾아 확인해 본결과 극히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작품이 20개 이상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40개 이상의 가집에 수록된 작품도 상당수에 이른다. 셋째, 이 고시조 앤솔로지에는 고시조사에서 작가로서 등장하지 않는 박대길, 최서붕, 오희상, 장우벽, 안사필, 안윤기 등이 작가로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이 고시조 앤솔로지는 자산이 그가 태어나고 자란 우대지역의 특성을 바탕으로 조선 가곡의 근간이 된 우대 가객과 지역성을 드러내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to study the gosijo Anthology compilation method. The cataloging work was carried out 53 species of gosijo Anthology ranging from 1910-2000’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tudy. There was no way to analyze the compilation of all gosijo Anthology ranging from 53 species in this article. For this reason, select the classic gosijos(模範의 古時調) of Anhwak(安廓) conducted a study gosijo Anthology compilation method. The classic gosijos(模範의 古時調) of Anhwak(安廓) are no new works, will be named as one of the subheadings of the magazine. But not less that 100 can work with and all the works reveal the artist. It also select a topic classification scheme. This point is analyzed with focus on the text to be responsible enough to think that the role of gosijo Anthology. The classic gosijos(模範의 古時調) is thought to have great significance in a few aspects. First, the gosijo The Anthology is only pyeongsijo(平時調) and can be called only sijojip which the artist recorded all the work. Second, the work presented in this gosijo Anthology are the popular songs contained in a number of Gagip(歌集) majority. Third, there is a new artist appears gosijo Anthology does not appear as a writer in the gosijosa(古時調史). They BakDaegil(朴大吉), ChoiSeobung(崔瑞鵬), OhHuisang(吳喜常), JangWooByouk(張友璧), AnSapil(安思弼), AnYungi(安胤基). Fourth, gosijo Anthology reveals the Woodae gagaek(歌客) locality and the foundation of JoSeon(朝鮮) gagok(歌曲).

      • KCI등재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 연구(2) - 동아일보 수록 고시조를 대상으로 -

        김태웅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4

        This article conducted a study on the compilation method of modern and contemporary Gosijo under the name of “Gosijo” in DongAIlbo newspaper from September 30, 1925, to January 5, 1938. The DongAIlbo newspaper included 105 poems in total, spanning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era. Among these works, 30 were attributed to known authors, with 26 by famous and 4 by anonymous writers. The Gosijo featured in the DongAIlbo newspaper encompassed a wide range of authors, from figure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such as King Jeongjong, literary scholars like Jeong Cheol, military officials including Choi Young, Kim Jongseo, and Yi Sun-sin, to commoners like Kim Cheontak and noblewomen like HwangJini. The majority of the included works were by authors of the same social status as the majority of Gosijo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hile Gosijo in general often contain fervent language and expressions, the editors of the DongAIlbo anthology, due to the unique circumstanc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d not include such works. This aspect is similar to modern Gosijo anthologies. The selection process of Gosijo in the DongAIlbo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approaches. First, in 1925, a considerable number of works, 57 in total, were included, and it seems that this selection was based on the inclusion of works with similar themes. This principle of arranging works based on associative relationships is often observed in manuscript anthologies such as Kim Cheontak’s “Cheongguyeongeon,” “Haedongpunga,” “Yeongeon,” and “Gagokwonlyu.” Second, Gosi poems were included in the New Year’s issues of 1932, 1934, 1935, and 1938. This was done to maintain the tradition, considering that Gosijo was a representative genre of the Joseon era. The Gosijo featured in the DongAIlbo primarily included popular works that were widely known. They were arranged using methods such as replacement and mixing, which were related to the “Gagokwonlyu.” Although the number of Gosijo included in the DongAIlbo is not large, with only 105 in total, the mere inclusion of Gosijo in a modern medium, especially a newspaper, holds significance because 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pularization. 이 글은 1925년 9월 30일부터 1938년 1월 5일까지 )동아일보*에는 ‘古時調’ 라는 제명 아래 총 105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아일보*에는 고시조가 67회에 걸쳐 105수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이 작품 중 작가가 표기된 작품은 30수인데 유명씨 작가의 작품은 26수, 실명씨는 4수이다. )동아일보* 소재 고시조는 정몽주 등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인물까지 나타나 있는데 왕족(이정보), 문인(정철 등), 무인(최영, 김종서, 이순신), 중인(김천택), 기녀(황진이) 등 조선후기 대다수의 가집과 동일한 신분의 작가의 작품을수록하고 있다. 조선후기 가집은 일반적으로 열성어제를 수록하고 있는데 )동아일보*의 고시조 편집자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고시조를 선별했기에 열성어제의 작품도 수록하지 않았고 이러한 점은 근대 고시조앤솔로지와 비슷하다. )동아일보* 소재 고시조의 선별방식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1925년은 57수라는 많은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데 유사한 소재의 작품을 수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상에 의한 작품 배열 원리는 김천택본 )청구영언*, )해동풍아*, )영언*, )가곡원류* 등 필사본 가집에 많이 나타나는 작품 배열 방법이다. 둘째, 1932년, 1934년, 1935년, 1938년 신년호에 고시조를 수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시조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시가 장르였기에 전통의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고시조 편집자는 신년호에 고시조를 수록한 것이다. )동아일보* 수록 고시조는 대다수의 가집에 수록된 인기가 많았던 작품을수록하고 있다. )동아일보*의 고시조는 )가곡원류*와 관련이 있으며 교체와 혼합 등의 방식을 통해 작품을 배열했다. )동아일보* 소재 고시조는 105수라는많지 않은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고시조를 수록한 것만으로도 의미가있다. 근대매체, 특히 신문매체에 고시조가 수록된다는 것은 대중화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잡지 『청춘』을 통해 본 최남선의 고시조(古時調) 인식 방향과 그 의미

        김윤희 ( Yun Hee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0

        본고는 1914년부터 발행된 잡지 『청춘(靑春)』에 수록된 고시조(古詩調)의 특징을 고찰하여 최남선이 1910년대에 고시조를 인식하던 방향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춘』에 고시조가 수록된 양상을 살펴보면 한역시조를 소개한 것은 물론 시조의 내용에 부합하는 그림 속에 시조를 삽입한 점, 그리고 고시조 문학에 대한 정선(精選) 의식을 본격화하고 있는 점 등에서 『소년』의 경우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고시조 문학에 대한 최남선의 인식이 점차 다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근대적 화법을 도입한 안중식은 『청춘』에 네 편의 시조를 회화로 형상화했는데 이는 최남선이 고시조를 잡지에 소개하면서 대중적 친화력을 지향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청춘』 창간호에는 <시조한역(時調漢譯)>이라는 항목 내에 시조 9수와 한역시 17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독자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역시를 창작하려한 신휘, 이유원의 작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최남선은 하나의 시조를 한역하는 과정에서 보다 다채로운 시상으로 문학적 구성이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했던 것이다. 또한 1918년에 발간된 『청춘』 12호에는 <고금시조선(古今時調選)>이라는 항목이 확인되는데 최남선은 이를 통해 시조 문학에 대한 선별 의식을 체계화하려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고금시조선> 서문의 전체 맥락을 고려할 때 최남선은 ``자국어``로 된 민족 문학으로서 ``시조의 문학사(文學史)``를 확립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작품의 ``시대(時代)``를 기준으로 통시적 계열화를 시도한 『대동시선(大東詩選)』의 편집 체제를 긍정적으로 보고 그것을 시조 문학에 적용하여 <고금시조선>을 구성했던 것이다. 주지하듯 1920년대 중반 이후 최남선은 본격적인 ``시조론``을 전개하면서 ``시조부흥운동``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러므로 1910년대에 발간된 잡지 『소년』과 『청춘』을 통해 확인되는 고시조에 대한 최남선의 인식과 그 추이도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조 문학론이 표면화되기 이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배태되어왔던 최남선의 의식을 두 잡지에 고시조가 소개된 양상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discuss the perception and significance of kosijo (古詩調) through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pieces from the magazine, Chungchun (靑春), published since 1918. Ahn Jung Sik, who introduced modern speech, visualized four pieces of sijo in painting. His endeavor accounts for Choi Nam Sun`s intention to achieve more public appeal by including kohojo in the magazine. In addition to the visual materials, Chungchun had nine pieces of sijo and one translated in Chinese under the title of Sijohanyok (時調漢譯). Choi seems to focus on the possibility that literary structure could be broadened into more varied poetic concepts when sijo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t indicates that sijo also had as much room for annotation as translated poems. The selection became more systematic under Kokumsijosun (古今時調選) in Chungchun vol. 12 published in 1918. According to the context revealed in the introduction of Kokumsijosun, Choi attempted to establish the literary history of sijo as the national literary written in the native language. He organized Kokumsijosun by applying the compiling method of Taedongsisun (大東詩選), which adopted a chronological order. As well known, Choi, proclaiming the theory in sijo in earnest since the mid 1920s, led the revival of sijo.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his perception in sijo found in the magazines, Sonyun and Chungchun, published in the 1910s is highly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the chain of his thoughts matured and developed before the theory in sijo was surfaced is represented in kosijo published through these magazines.

      • KCI등재

        근대 잡지를 통해 본 고시조 선별 방식과 특성-<매일신보> 고시조 작품을 대상으로-

        김태웅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50

        The most studied genre of the classic poetry is Sijo, but the study of Gosijo Anthologies is very small. The Gosijo Anthology study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screening of the contemporary ancestor. Thus, in this paper, we looked at 78 works in <Maeilshinbo> on how to classify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As a result, the editor of <Maeilshinbo> found that 18 different entries were included, even if they did not specify a topic or a topic, they were linked to the subject or material to include the work.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work contains paintings related to the work for readers to better understand the work, and even if the author is recorded, he or she has not simply referenced one example, but wrote several works of poetry. In this way, the Sijo Anthology reveals the method of discerning the Sijo. There is a reason why Gosijo is now perceived as a boring genre by students. Haiku in Japan is a very popular genre worldwide. However, Gosijo can only play the role of memorization for students to take examination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e are learning only the sijo selected by the old researchers, not the sijo anthology which is suitable for the present age. Therefore, in order to select the sijo for this period, if a study on the method of compiling the Gosijo anthology is needed, a serious approach to the Canon Formation of Gosijo phenomenon is needed. 고전시가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장르는 시조이지만 고시조 앤솔로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하다. 고시조 앤솔로지 연구는 그 당대의 시조 선별에 대한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매일신보> 수록 고시조 78수를 대상으로 1930년대 중후반 시조선별의 방법 및 특성에 대해 살펴봤다. 그 결과 <매일신보> 편집자는 총 18회에 걸쳐 고시조를 수록했는데 주제를 명시하거나 주제를 명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주제나 소재와 연결해 작품을 수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그림을 작품과 수록한 경우에도 독자들이 작품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작품과 관련된 그림을 수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작가를 기록함에 있어도 단순히 한 가지 시조집을 참고한 것이 아니라 여러 시조집을 참고하여 작가를 기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고시조 앤솔로지에는 그 당대의 시조 선별 방식이 드러나 있다. 여기에 고시조가 현재 학생들에게 지루한 장르로 인식되는 이유가 있다. 일본의 하이쿠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인기 있는 장르이다. 하지만 고시조는 학생들에게 시험을 보기 위한 암기정도의 역할 밖에 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지금 시대에 맞는 시조 앤솔로지가 아닌 예전 연구자들이 선별한 시조만을 우리가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대에 맞는 시조를 선별하기 위해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면 시조의 정전화 현상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 연구(1) - 『고려시보』 소재 고시조(古時調) 작품을 대상으로

        김태웅(Kim, Tai-Woong) 한국시조학회 2021 시조학논총 Vol.55 No.-

        이 연구는 1930년대 개성지역 신문인 『고려시보』를 통해 개성지역 지식인들의 고시조 선별방식과 특성을 파악해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을 연구하는 데 있다. 『고려시보』는 1933년 4월 15일에 창간하였고 고시조는 1933년 10월 1일부터 1936년 4월 16일까지 10회에 걸쳐 44수의 시조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43수의 평시조와 1수의 사설시조가 기록되어 있고, 유명씨 작가는 43수, 실명씨 작가는 1수가 실려 있다. 『고려시보』 소재 고시조는 크게 주제어가 제시되어 있는 경우와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1회는 개성에서 발간된 신문답게 ‘송도회고’라는 주제로 시조 작품이 수록되어 있고 다른 호에도 주제에 맞는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주제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연상어나 충절 등 같은 주제의 작품을 묶어 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려시보』의 고시조를 창작한 작가의 신분은 왕, 사대부, 가객, 기녀 등 일반적인 가집의 작가와 동일하게 나타나지만 18세기 이후 전승이 잘 되지 않다가 20세기에 다시 전승이 되는 작품을 꽤 많이 수록하고 있고 그 중 상당한 수의 작품이 김수장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electing GoSijo by intellectuals in the Gaesong region through the Koryoshibo, a Korean newspaper in the 1930s. Koryoshibo was founded on April 15, 1933, and contains 44 Sijo works from ten occasions from October 1, 1933, to April 16, 1936, from 43 famous writers and one anonymous writer. The GoSijo, based on the Koryoshibo, is often presented or not, and the first episode contains a poem under the “Songdo Retro” theme as a newspaper published in Kaesong and is suitable for the theme in other issues. It is also characterized by combining works of the same theme, such as mnemonic and loyalty, even if the theme is not presented. The status of the author who created the GoSijo of Koryoshibo is the same as that of ordinary artists, such as kings, the nobility, musicians, and geisha, but it contains quite a few works that have not been effectively passed down since the 18th century and have been passed down again in the 20th century. Many of these are related to Kim Su-jang.

      • KCI등재

        고시조에 대한 백석의 산문, 그 형성 맥락에 대한 고찰

        김윤희 한국시가학회 2019 韓國 詩歌硏究 Vol.48 No.-

        본 연구는 1927년 경성제국대학 예과생들을 중심으로 발간되었던 잡지 『문우』4호에 백석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사랑이 엇더트냐>라는 글이 수록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여 그 형성 맥락을 고찰해 본 것이다. 이 산문에는 ‘사랑’을 주제로 한 고시조 80여수가 군집되어 있는데 16세에 백석이 이미 문단 활동을 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자료이자 고시조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을 중심으로 작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고 산문에 수록된 시조들 중 일부는 백석의 창작 시조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오류를 바로 잡고 산문의 형성 과정을 입체적으로 살펴 작가에 대한 논증을 시도하고 산문에 수록된 고시조의 전반적 특징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잡지를 면밀하게 검토해 본 결과 잡지 『문우(文友)』4호에는 김억의 창작 시조가 함께 수록되어 있는데 이 중 <님>이라는 연시조의 내용이 백석의 산문에 수록된 고시조 내용소와 유사함이 발견되었다. 또한 김억과 백석은 평양 정주의 오산고보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는 여러 정황이 확인되었으며 무엇보다 1925년에 평안도 출신 문인들이 만든 잡지 『영대(靈臺)』에 수록된 김억의 산문이 내용 전개 방식과 구성 면에서 백석의 <사랑이 엇더트냐>와 매우 흡사함이 발견되었다. 그 동안 학계에서 백석이 김억의 제자였다는 점이 추정되기는 했었지만 실증 자료가 부족했었는데 이 산문을 통해 그 영향 관계가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산문에 수록된 고시조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 백석이 활자본 가집 『대동풍아(大東風雅)』에서 고시조를 주로 선별하고 부분적으로 다른 가집들을 참조하여 산문을 구성한 정황이 발견되었다. 백석은 이 산문에서 나름의 첨언(添言)과 비평을 통해 왜 시조를 통해 사랑의 문제를 다루는지에 대한 의식은 물론, 시조에 나타난 사랑의 다층적 면모들을 설명하면서 그 의미망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그러므로 이 산문은 백석이 10대 시절 이미 고전문학에 대한 심미적 체험을 통해 형성된 문학적 자양분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큰 의미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고시조가 1920년대 지식인들에게 수용되고 이해되던 방식의 다층성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문학사적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이와 관련된 확장적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근현대 고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 연구(3) - 애송시조집 을 대상으로

        김태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4 東洋學 Vol.- No.94

        이 글은 1946년 100수의 고시조 작품과 그 위에 100개의 그림이 있는 애송시조집 을 상으로 근현 고 시조 앤솔로지 편찬방법에 한 연구를 진행하다. 애송시조집 은 100수의 작품을 안서 김억이 선별하고, 조병덕이 그림을 그렸다. 애송시조집 은 작가가 모두 기록되어 있는데 유명씨 작품은 93수, 실명씨 작품은 7수이다. 윤선도와 박효관의 작품은 4수씩 수록되어 있고 정철, 김수장, 황진이는 3수, 이정보, 인평군, 최 충, 김유기, 주의식, 이정신은 2수, 나머지 작가는 1수씩 수록하고 있다. 애송시조집 의 고시조 작품은 성충 등 백제시부터 조선시 인물까지 나타나는데 왕, 왕족, 문인, 무인, 중인, 기녀 등 조선후기 가집과 비슷한 작가군을 형성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아래 편찬된 근 고시조 앤솔로 지의 경우 열성어제의 작품이 수록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애송시조집 은 해방 후에 나온 고시조앤솔로 지이기 때문에 태종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애송시조집 의 선별방식은 제목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애송하기 좋은 작품, 즉 예로부터 지금까지 인기 가 많았던 작품을 수록하려고 편찬자는 노력했다. 형식상 근 가투인 정선화가투 , 시조노리 의 형식인 100수의 작품과 100개의 삽화라는 형식을 그로 차용했지만 애송시조집 에만 수록된 작품이 27수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시가 바뀌면서 애송하는 작품이 바뀌고 그 흐름 속에서 편찬자가 고시조 작품을 선별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삽화를 통해 독자 의식까지 확인할 수 있다. 애송시조집 에 삽화가 작품을 형상화 하는 방식은 독 자가 시조를 좀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데 있다. 하지만 삽화는 이 시기 독자의 한계이기도 하다. 애송시조 집 의 삽화가 독자들에게 시조 작품에 한 이해를 돕고 있다면 독자 스스로 시조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 렵다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This text seems to discuss a study conducted on the compilation metho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Gosijo poetry anthologies, focusing on the E a s o n g S ijo C o ll e c ti o n containing 100 Gosijo works from 1946 along with 100 accompanying illustrations. The E a s o n g S ijo C o ll e c ti o n was curated by Kim Eok, selecting the 100 works, while Cho Byeongdeok provided the illustrations. All authors of the E a s o n g S ijo C o ll e c ti o n are recorded, with 93 works attributed to a famous individual, 7 to an anonymous figure. Works by Yoon Seondo and Park Hyogwan are featured four times each, while Jung Cheol, Kim Sujang, Hwang Jin-i are included three times. Works by Lee Jeong-bo, Inpyeong Daegun, Choi Chung, Kim YugI, Ju Uisik, Lee Jeongsin are included twice, with the remaining authors contributing one work each. The sijo works in the Easong Sijo Collection span from figures in the Baekje Dynasty to tho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ming a similar group of authors to the late Joseon period, including kings, royalty, scholars, peasants, middle-class people, and female entertainers. In anthologies compil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s typical that works of passionate nationalism were not included. However, as the Easong Sijo Collection emerged after liberation, it includes works from the Taecho period.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Easong Sijo Collection can be inferred through its title. The compilers aimed to include works that were popular historically and up to the present, considering pieces favorable for recitation. Although the format structurally mimics the “HwaGa-Tu,” 100 works in the style of “Sijo Noli” along with 100 illustrations, the fact that 27 pieces are exclusively found in the Easong Sijo Collection suggests a change in the trend of favored Gosijo compositions with the passage of time, influencing the selection by the compilers. Furthermore, the illustrations provide insight into the readers’ perceptions. The visualizations in the Easong Sijo Collection aid in making the sijo works more accessible to readers, yet they also signify the limitations of the readership during that period. While these illustrations assist in understanding sijo works to some extent, they also indicate the difficulty readers might face in fully comprehending the sijo independently.

      • KCI등재

        와카마쓰 미노루(若松實)의 『한국의 고시조(韓国の古時調)』 연구

        김준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이 글의 연구 배경은 현대에 한국의 고시조가 일본에 어떻게 수용되었는가에서 기인한다. 한국의 고시조에 대한 번역은 근대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현대에 일본에서 한국의 고시조를 어떻게 수용했는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979년에 간행된 와카마쓰 미노루(若松實)의 『한국의 고시조(韓国の古時調)』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와카마쓰 미노루(若松實)는 한국의 고시조를 분류함에 있어서 시대별로 구분하는 방식을 채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신 자료까지 참고했음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고시조를 일본어로 번역할 때는 리듬보다는 원래의 의미를 표현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본고의 이와 같은 연구는 현대에 한국의 고시조가 일본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에 대한 면모를 살펴보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또한 향후 시조의 세계화 연구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based on how Korean Goshijo was accepted to Japan in modern times because the translation of Korean Goshijo was concentrated in modern ti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 accepted Goshijo in Japan in modern tim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Ancient Times" of Minoru Wakamatsu published in 1979.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inoru Wakamatsu adopted 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Goshijo of Korea by period, and also referred to the latest data. When translating Korean Goshijo into Japanese, there was an intention to express the original meaning rather than rhythm.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the examination of how Korean Goshijo was accepted in Japan in modern times. In addition, it can give implications to future studies on globalization of Sijo.

      • 애정 제재 고시조와 현대 대중가요의 접점 찾기 : 1960-2000년대 가요의 애정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박경우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애정 편향의 현대 대중가요(1960년대부터 2000년대 초)가 고전시가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확인하고 대중가요를 음악적 연구 대상으로뿐만 아니라, 향후 문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을 열어 두기 위해서이다. 본 논문은 한국 대중가요와 고시조가 내용 측면에서 공유하고 있는 제재를 ‘애정’ 이라고 보고, 60년대 이후 대중가요의 애정 제재 편향 현상이 전통 시가와 어떻게 연계되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애정 제재 대중가요 중에서 고시조의 애정 형상화 양상과 같은 연장선 상에 있는 작품들을 유형화하였는데, 크게 갈등하는 애정관계 와 갈등을 넘은 애정 관계로 나눌 수 있었고, 세부 유형으로는 ‘남의 님 : 이룰 수 없는 사랑(불륜)’ , ‘짝사랑’, ‘연상연하의 사랑’, ‘이별’, ‘고백 : 너만 있으면’ ,‘사랑의 세레나데’로 나누었다. 고시조에서 보였던 애정에 대한 솔직한 표현이 최근의 대중가요에 다시 나타난다는 점과 양 장르에서 애정 제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고시조와 현대 대중가요의 만남 가능성은 논의될 수 있다. 표면적으로는 성을 마음껏 노출한다는 점에서 최근의 가요 가사와 사설시조는 맞닿아 있다. 하지만 이면의 제요소들을 문학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핀다면, 상업 성에 기반을 둔 현대 대중가요와 예술성에 기반을 둔 시조는 그 문학적 성격을 달리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 논문의 한계로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at love-biased contemporary pop songs are an extension of classical poetry and to leave open the possibility of using pop songs as a subject for future literary research as well as for musical research. This paper considers the topic shared by Korean pop songs and Goshijo in terms of content as “love,” and looks at how the love theme bias phenomenon of k-pop since the 60s is linked to traditional poetry. Among the popular songs, it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Other's Lover: Unachievable Love (An affair)”, “One-sided love”, “Love of Older woman and young man”, “Parting” and “Confession : as long as I had you”, “Serenade of Love”. The possibility of meeting sijo and modern pop songs can be discussed in that the honest expression of affection seen in Goshijo reappears in recent popular songs, and the importance of affection topics in both genres is high. Superficially, the lyrics of recent songs are in contact with SaseolSijo(辭說時調) in that it exposes sex to the fullest. However, if we look at the elements behind the scenes in terms of literary nature, it is suggested as a limitation of this thesis that modern popular songs based on commerciality and Sijo based on artistry have no choice but to have different literary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